KR100847566B1 -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566B1
KR100847566B1 KR1020060131170A KR20060131170A KR100847566B1 KR 100847566 B1 KR100847566 B1 KR 100847566B1 KR 1020060131170 A KR1020060131170 A KR 1020060131170A KR 20060131170 A KR20060131170 A KR 20060131170A KR 100847566 B1 KR100847566 B1 KR 10084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ag
information
unit
electronic
recogn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901A (ko
Inventor
우제윤
구지희
오윤석
남상관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자신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태그를 구비하는 전자태그부; 상기 전자태그부와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는 전자태그인식부; 및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부터 상기 전자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태그인식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 송신하는 서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모든 시설물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태그의 고유 정보 및 서버를 연계 및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GPS를 포함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비해 정보, 특히 위치정보의 제공능력이 향상되고, 설치비용이 감소되며, 관리가 용이해지고, 사용자에게 지도나 GPS 수신기의 구비없이도 위치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측량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전자태그, 태그인식, 위치정보, 모바일, 전파인식, 광학인식, 서버

Description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tag}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인식부의 기기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태그 20, 10a, 10b : 전자태그인식부
30 : 서버부 A : 2차원 코드
B : 전자태그칩
본 발명은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치정보 또는 주소, 우편번호 및 건물명과 같은 부수정보를 내장한 전자태그를 구비하는 전자표지인 전자태그부를 이용하여 토목측량, 일반측량 및 지적측량 등 각종 측량작업에서 기준점 표지로 사용하고, 사용자가 지도 또는 GPS와 같은 절대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기없이 다양한 위치기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및 관련 무선 기기의 발달과 함께 현대 사회가 점점 디지털화됨에 따라 정보 사용자들은 외부에서도 위치정보와 관련하여 아날로그 사회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면서도 정확한 대량의 정보들을 요구한다.
그러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의 분야는 두 가지로서, 하나는 공간상의 정확한 위치정보 취득이 중요한 측량분야이고, 다른 하나는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라 불리는 정보서비스 분야이다.
보통,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측량분야는, 정확도에 따라 다수 등급으로 분류되고 삼각점, 수준점 및 도근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강암 재질로 제작되어 절대위치를 파악하는 기준점을 절대위치의 지표로 사용하는데, 상기 기준점에는 기준점 명칭, 번호 또는 설치 기관 정도의 정보만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측량시 기준점의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국토지리정보원을 방문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기준점 성과표와 같은 기준점 정보를 다운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준점을 이용한 측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준점에 새겨진 정보가 소실되거나 훼손되어 육안으로 정확하게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상기 기준점 성과표와 동일한 것인지 확인할 수 없고, 잘못된 정보를 이용하여 측량 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이러한 오류를 보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워 힘든 보정을 통해서 가능하고, 상기 기준점을 통해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수기로 이루어지는 등 원시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해 디지털화되어 가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인프라에 있어서 효율성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련 측량기기는 정확한 측량을 위해 경도, 위도 및 높이 등 약 20여개의 위치정보가 수작업으로 직접 입력되어야 하며, 상기 입력 과정이 번거롭고, 그 과정에서 입력 착오가 발생할 수 있는 등 그 정확도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정보서비스 분야는 지도 또는 이정표에서 진보하여 GPS와 같은 절대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GPS는 전원문제나 기기의 크기문제 등으로 보행자용으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자동차의 네비게이션용으로 제한되고 있으며, 개방된 공간에서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등 GPS의 특성상 사용자가 건물내에 있거나 터널 또는 지하에 있을 경우 신호 수신의 제한을 받는 등 위치정보의 제공능력이 떨어지며, 관련 기기의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무선인터넷, Wibro, HSDPA 등 원거리 무선통신과 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 근거리 무선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위치정보와 연동된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GPS와 같은 절대위치를 파악하는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비용이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감소되며, 관리가 용이해지고, 위치정보의 제공능력이 향상되어 위치정보기반의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용 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고 높은 정확도 및 신뢰도를 가지는 측량용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태그를 구비하는 전자태그부; 상기 전자태그부와 필요한 정보를 인식하는 전자태그인식부; 및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전자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태그인식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 송신하는 서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태그가 저장하고 있는 고유 정보는 상기 전자태그에 입력된 상기 전자태그의 좌표정보 또는 주소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이거나 상기 전자태그의 ID 정보이고, 상기 전자태그인식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는 사용자 또는 측량물의 위치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모바일 콘텐츠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는 RFID, IC칩 또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전파 인식방식으로 상기 전자태그부와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거나, 바코드, 1차원 코드, 2차원 코드 또는 칼라 코드를 이용한 광학 인식방식으로 상기 전자태그부와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부는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서버 또는 일반 무선 인터넷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자태그는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태그칩을 포함하거나, 표면에 구비되는 코드를 포함하거나, 내부 및 표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태그칩 및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태그부는 표면에 측량용 기준점을 더 포함하여 측량작업에서 기준점 표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는 전자태그 리더기가 내장되는 RFID 리더기, 카메라 부착형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PDA 또는 측량기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전자태그의 고유 정보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는 상기 서버부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태그의 고유 정보와 연관된 상기 서버부의 주소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전자태그인식부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 연결된 상기 주소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인식부의 기기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은 소정 위치에 고 정되고, 자신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태그를 구비하는 전자태그부(10); 상기 전자태그부와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는 전자태그인식부(20); 및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로부터 상기 전자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로 송신하는 서버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태그부(10)는 용도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전자태그 ID, 위치정보 또는 주소, 우편번호 및 건물명과 같은 부수정보를 포함한 고유 정보가 내장된 전자표지로서, 각종 시설물에 부착될 수 있는 캡형상의 구조물이며,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원코드(A)가 표면에 프린트되거나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양각 또는 음각되는 방식으로 표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FID와 같은 전자태그칩(B)이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도2a 및 도2b의 조합으로 내부 및 표면에 각각 전자태그칩 및 2차원코드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태그는 RFID 등 전파를 이용한 정보식별 방법 및 바코드, 1차원코드, 2차원코드 또는 칼라코드 등 광학을 이용한 정보식별 방법을 포함하는 코드로 한다.
이때, 상기 전자태그부(10)가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와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는 방식은 RFID, IC칩 또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전파 인식방식이거나 바코드, 1차원코드, 2차원코드 또는 칼라코드를 이용한 광학 인식방식일 수 있다. 즉, 전자태그칩(B)이 내장되는 전자태그부(10b)는 전파 인식방식으로 사용거리가 긴 장점이 있다. 2차원코드(A)가 새겨지는 전자태그부(10a)는 광학 인식방식으로 덮개가 카메라, 광학장비 또는 육안에 보이도록 투명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전파의 간섭을 받 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태그칩(B) 및 2차원 코드(A)가 모두 구비되는 전자태그부는 상기 두 방식을 모두 가져 상기 이 두 방식의 장점을 갖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자태그부(10)는 표면의 중심부 또는 특정 부위에 십자표시와 같은 측량용 기준점을 더 포함하여 측량작업에서 기준점 표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벽면, 시설물 또는 지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나사 또는 못과 같은 체결수단이 결합, 고정될 수 있는 통공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기준점은 사용목적, 주조형태 또는 크기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의 예로서, 전자태그 리더기가 내장되는 기기들로서 카메라 부착형 휴대전화(21), 일반 휴대전화(22), 디지털 카메라, PDA(23), 거치용 RFID 리더기(24) 또는 측량기기(25)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전자태그부(10)와 교류하여 상기 전자태그의 고유 정보를 읽을 수 있되, EPC 글로벌 또는 QR 코드와 같은 특정 표준에 맞는 형태의 정보만을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다른 전자태그에서 받는 정보와 혼돈 및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자태그가 저장하고 있는 고유 정보는 상기 전자태그의 좌표정보 또는 주소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이거나 상기 전자태그의 ID 정보이고,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는 사용자 또는 측량물의 위치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모바일 콘텐츠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버부(30)는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에 따라 상기 전자태그의 메모리 용량이 한정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상 대용량의 정보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로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서버 또는 일반 무선 인터넷 서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전자태그7(17)은 전자태그인식부(2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에 해당하는 기기를 통해 전파 또는 광학 인식방식으로 가장 가까운 전자태그7(17)과 교류하여 상기 전자태그7(17)의 고유 ID와 같은 고유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버부(30)의 ODS 또는 DNS에 접속된 후, 상기 서버부(30)의 주소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서버부(30)는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 연결된 상기 주소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20)로 전송하여 사용자는 상기 전자태그7(17)의 고유 정보와 연관된 인터넷 콘텐츠 또는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전자태그인식부(20)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7(17)뿐만 아니라 전자태그1(11), 전자태그2(12), 전자태그3(13), 전자태그4(14), 전자태그5(15), 전자태그6(16) 또는 전자태그n(18)이 각각 내장된 전자태그부(10)와도 교류할 수 있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전자태그의 위치와 관련된 고유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와 연관된 서버부(30)의 다양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인공위성 지원 또는 GPS 관련 기기없이도 최소한의 고유 정보 만을 저장하고, 가격이 저렴하게 설치 및 구비될 수 있는 전자태그부(10) 및 전자태그인식부(20)를 이용한 서버부(30)와의 통신을 통해 정확한 위치정보 및 그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무선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등 각종 정보의 관리 및 운용이 용이해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검색 및 검색정보이용이 편리해지고, 측량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모든 시설물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태그의 고유 정보 및 서버를 연계 및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GPS를 포함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비해 정보, 특히 위치정보의 제공능력이 향상되고, 설치비용이 감소되며,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지도나 GPS 수신기의 구비없이도 위치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측량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자신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태그를 구비하는 전자태그부;
    상기 전자태그부와 사용자 또는 측량물의 위치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모바일 콘텐츠정보를 인식하는 전자태그인식부; 및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전자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태그인식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 송신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는 상기 서버부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태그의 고유 정보와 연관된 상기 서버부의 주소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전자태그인식부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 연결된 상기 주소를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가 저장하고 있는 고유 정보는 상기 전자태그에 입력된 상기 전자태그의 좌표정보 또는 주소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이거나 상기 전자태그의 ID 정보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는
    RFID, IC칩 또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전파 인식방식으로 상기 전자태그부와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거나, 바코드, 1차원 코드, 2차원 코드 또는 칼라 코드를 이용한 광학 인식방식으로 상기 전자태그부와 필요한 정보를 교류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서버 또는 일반 무선 인터넷 서버인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는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태그칩을 포함하거나, 표면에 구비되는 코드를 포함하거나, 내부 및 표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태그칩 및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부는 표면에 측량용 기준점을 더 포함하여 측량작업에서 기준점 표지로 사용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인식부는
    전자태그 리더기가 내장되는 RFID 리더기, 카메라 부착형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PDA 또는 측량기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전자태그의 고유 정보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8. 삭제
KR1020060131170A 2005-12-21 2006-12-20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100847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55 2005-12-21
KR20050126555 2005-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901A KR20070066901A (ko) 2007-06-27
KR100847566B1 true KR100847566B1 (ko) 2008-07-21

Family

ID=3836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170A KR100847566B1 (ko) 2005-12-21 2006-12-20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25B1 (ko) * 2007-07-06 2014-02-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rfid 및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위치 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71613B1 (ko) * 2008-02-22 2008-12-02 삼차원공간기술(주)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0504B1 (ko) * 2008-06-25 2011-03-09 팅크웨어(주) Rfid를 이용한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194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엘아이디 위치식별 코드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획득 방법 및 그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
KR20050116587A (ko) * 2004-06-08 2005-12-13 대한지적공사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KR20060033623A (ko) * 2004-10-15 2006-04-19 삼성전기주식회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34976A (ja) 2005-02-22 2006-09-07 Nec Corp 位置情報把握システム、管理装置、移動体通信端末、位置情報把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119401A (ko) * 2005-05-20 2006-11-24 주식회사 유비스티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194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엘아이디 위치식별 코드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획득 방법 및 그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
KR20050116587A (ko) * 2004-06-08 2005-12-13 대한지적공사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KR20060033623A (ko) * 2004-10-15 2006-04-19 삼성전기주식회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34976A (ja) 2005-02-22 2006-09-07 Nec Corp 位置情報把握システム、管理装置、移動体通信端末、位置情報把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119401A (ko) * 2005-05-20 2006-11-24 주식회사 유비스티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901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7062B (zh) 地理参照物识别方法、系统和装置
US20060220955A1 (en) Geographic marking device with RFID transponder
EP1313079A2 (en) RFID navigation system
KR100564145B1 (ko)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US7680486B2 (en) Sensor network system
US20140297485A1 (en) Initial Calibration of Asset To-Be-Tracked
CN101501723A (zh) 位置信息标签的登记方法及设置辅助装置
KR20050065194A (ko) 유엘아이디 위치식별 코드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획득 방법 및 그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
JP2012198833A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2479214B (zh) 基于条码识别技术及gis技术的定位方法及定位系统
WO2006123413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端末並びにrfidタグ書込み装置
KR10084756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20120064347A (ko)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KR20080010717A (ko) 지적화 전주번호와 평면직각좌표 정보가 내장된알에프아이디-태그와 알에프아이디-리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234293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urvey monument system
CN102036429A (zh) 一种手持设备
JP2007133106A (ja) 広告情報配信システム
TWI392890B (zh) 結合全球定位資訊以區域定位空間座標系統及短距離定位訊號收發設備為基礎之區域性定位資訊系統
US8335523B2 (en) Electronic entity and microcircuit card for electronic entity
KR102222687B1 (ko)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KR100673449B1 (ko) 위치정보 확인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그 동작방법
CN202135324U (zh) 一种通过文字标识进行位置识别的移动终端
KR101654421B1 (ko) 지적기준점 위치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안내방법
CN104268492A (zh) 一种实现室内精确定位的方法
KR20060099593A (ko) 알에프아이디를 활용한 3차원 위치정보서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