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613B1 -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613B1
KR100871613B1 KR1020080016251A KR20080016251A KR100871613B1 KR 100871613 B1 KR100871613 B1 KR 100871613B1 KR 1020080016251 A KR1020080016251 A KR 1020080016251A KR 20080016251 A KR20080016251 A KR 20080016251A KR 100871613 B1 KR100871613 B1 KR 10087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data
pointer
rfid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라
정동회
Original Assignee
삼차원공간기술(주)
유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차원공간기술(주), 유미라 filed Critical 삼차원공간기술(주)
Priority to KR102008001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거치부에 형성된 RFID태그에는 RFID태그의 출시 당시의 내장된 고유ID만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부에 형성된 RFID태그의 무선주파수를 수신하는 RFID리더기를 포함한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고유ID를 수신하여 고유ID에 따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유지보수 및 신규설치시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RFID리더기를 포함한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에 설치되어 있는 RFID태그에 의해 RFID태그의 고유ID와 대응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이동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시공자가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또한, RFID태그에 고유ID만을 사용한 상태에서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추후 변경되는 사항들에 대해 수정이 용이하며, 특히, 실제 지하매설물 설치시 거치대와의 거리를 공간정보데이터에 표시하여 이동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하게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위상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사용자가 시공 후 아파트와 같은 주택단지에서 순찰을 할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기능을 서버에 장착하여, 순찰카드의 필요없이 서버에서 통합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80016251
RFID, 좌표화 시공, 무선통신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RFID using cordinate construction-syste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유지보수 및 신규설치시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RFID리더기를 포함한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에 설치되어 있는 RFID태그에 의해 RFID태그의 고유ID와 대응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이동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시공자가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와 위상관계를 알 수 있으며, 또한, RFID태그에 고유ID만 사용한 상태에서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추후 변경되는 사항들에 대해 수정이 용이하며, 특히, 실제 지하매설물 설치시 거치대와의 거리를 공간정보데이터에 표시하여 이동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하게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사용자가 시공 후 아파트와 같은 주택단지에서 순찰을 할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기능을 서버에 장착하여, 순찰카드의 필요없이 서버에서 통합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현재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지하매설물의 경우 노후화로 인하여 교체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종래의 지하매설물 이외에 다른 지하매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도 빈번히 발생한다.
이 중 종래 지하매설물의 유지보수를 살펴보면, 지하에 매설된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찾지 못하여 유지에 따른 공사기간 및 필요 이상의 공사비가 발생하였다.
또한, 신규설치시에도 종래의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종래 지하매설물을 파손시킴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예산보다 많은 공사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자기마커를 이용한 방법인데, 이는 종래의 지하매설물 유지보수시나 신규설치시 특정한 영구자석을 지하매설물에 설치하여 매설한 후, 추후 유지보수 및 신규설치시 특정한 영구자석의 형상에 따른 자기장의 형상차이를 이용하여 지하매설물의 종류와 그 매설된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최근 신기술 매체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무선인식)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설물 관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하매설물의 유지보수 및 신규설치시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자기마커를 이용한 방법은 지하매설물과 함께 매설되는 특정 영구자석이 설치된 후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찾을 때에, 매설된 영구자석의 자기장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자기탐지장치를 이용하여야만 하는데, 상기 자기탐지장치는 고가의 제품이면서 휴대하고 다니기 불편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해줄 뿐만 아니라, 찾고자 하는 지표면에 맨홀과 같은 금속성 물체나 기타 지하고압선 등 강력한 자기장을 형성하고 있는 물체가 있을 때에는 정확한 탐지가 어려워 오류탐지 또는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한편, RFID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시설물의 시공자, 시공연도 등 속성정보에 치우친 나머지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노출되었으며, 특히, RFID태그에 속성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수정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시공화 좌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고유ID만을 형성한 RFID태그를 포함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된 RFID태그의 무선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는 RFID리더기를 포함한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고유ID를 수신하여 고유ID에 따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지하매설물을 좌표화 시공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지하매설물 중 밸브와 같은 특정자재가 설치된 위치 및 부속설비설치지점과 GPS를 통한 좌표획득의 자료를 종합하여 형성된 제1포인터와 상기 제1포인터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형성된 제2포인터와 상기 제2포인터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표식주를 설치하고, 상기 표식주를 설치한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유지보수 및 신규설치시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RFID리더기를 포함한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에 설치되어 있는 RFID태그에 의해 RFID태그의 고유ID와 대응하는 공간정보데이터를 이동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시공자가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와 위상관계를 알 수 있다.
또한, RFID태그에 고유ID만 사용한 상태에서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추후 변경되는 사항들에 대해 수정이 용이하며, 특히, 실제 지하매설물 설치시 거치대와의 거리를 공간정보데이터에 표시하여 이동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하게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시공 후 아파트와 같은 주택단지에서 순찰을 할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기능을 서버에 장착하여, 순찰카드의 필요없이 서버에서 통합관리가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우선,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는 RFID태그(11)의 출시 당시에서 내장된 고유ID가 입력되어 있는 RFID태그(1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10)는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는데, 특히, 인근구조물의 미관 및 인근구조물과의 간섭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높이로 지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하도록 하며, 이때에 상기 거치부(10)에 포함되는 RFID태그(11)의 설치위치를 지표면에서 돌출된 부분에 설치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쉽게 거치부(10)를 찾을 수 있도록 반사발광 띠나 야광 띠와 같은 표시부(12)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RFID의 특성상 지하에 매설되었을 경우, 무선주파수의 파장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 무선주파수의 전송거리를 넓히기 위해 스스로 전파를 발산하는 엑티브타입의 태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20)는 상기 거치부(10)에 형성된 고유ID만 사용한 RFID태그(11)의 무선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RFID리더기(21)를 탑재하여, 상기 고유ID에 따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단말기(20)는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나 UMPC(Ultra Mobile Persnal Computer :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이 데이터의 저장 및 무선통신기능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2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는 지하매설물의 시 공자, 시공연도와 같은 속성정보데이터와 지하매설물의 위치 및 인근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는 전자도면과 같은 공간자료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20)에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을 통한 방법으로서, 거치부(10)에 형성된 RFID태그(11)의 무선주파수(고유ID)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무선주파수에 의해 이동단말기(20)에서는 무선데이터 중계부(40)를 통해 속성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데이터가 저장된 서버(30)와 연결되어 고유ID에 따른 속성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동단말기(20)로 관련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이동단말기(20)의 선택시 저장용량이 적어도 상관없지만 회선속도가 빠른 형태의 무선통신모듈을 채택하는 이동단말기(20)를 선택하도록 하며, 회선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대용량데이터인 공간정보데이터는 이동단말기(20)에 저장한 상태에서 속성정보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도 운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을 이용할 때에는 서버(30)에서 속성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시 갱신되는 자료를 다시 입력할 수 있게 되며, 부가적으로 양방향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 후 관리자가 순찰할 때에, 이동단말기(1O)의 RFID리더기(21)와 거치대(10)의 RFID태그(11)에 의해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서버(30)에 추가적으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관리자가 순찰카드와 같은 형태의 문서를 작성하지 않도록 하여 관리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추적기능은 예컨대, 순찰자가 보유한 이동단말기(20)에서 거치대(10)에 형성된 RFID태그(11)의 고유ID를 읽게 되면, 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버(30)로 전송하여 순찰자가 통과한 지점의 RFID태그(11) 위치를 파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3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형태의 서버(30)이면 충분하며, 속성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속성정보데이터서버(31)와 공간정보데이터서버(32) 및 상기 서버들(31, 32)의 데이터를 이동단말기(20)가 요청할 때에 전송할 수 있는 트래킹서버(33)를 구성하여 데이터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트래킹서버(33)에는 데이터전송속도를 재차 높이기 위해 DAEMON Tool소프트웨어를 내장할 수도 있다.
상기 DAEMON Tool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소프트 웨어로써 예시로서, 인터넷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컴퓨터 시스템에서 웹 서버는 후선(Background)상태로 작동하고 있다가 통신망 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자료 요청이 있으면 작업을 실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이동단말기(20) 자체에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모두 저장한 상태에서 거치부(10)에 형성된 RFID태그의 무선주파수를 수신하는 RFID리더기(21)에 의해 이동단말기(20)로 고유ID가 인식되면, 해당데이터들을 이동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단말기(20) 내에 데이터들을 저장할 때에는 서버(30)에서 속성정보데이터 및 공간정보데이터들을 갱신한 상태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자료전송방식(USB를 이용한 자료 전송 등)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20) 내의 데이터들을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후술할 시공방법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거치부(10)는, 지하매설물 중 밸브와 같은 특정자재가 설치된 위치 및 부속설비설치지점과 GPS를 통한 좌표획득의 자료를 종합하여 형성된 제1포인터(111)와 상기 제1포인터(111)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형성된 제2포인터(112)와 상기 제2포인터(112)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표식주(113)를 설치하고, 상기 표식주(113)를 설치한 위치에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좌표화시공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받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유ID만 이용하고 있는 RFID태그를 형성하여 거치부를 제작하고, 상기 RFID태그의 무선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RFID리더기를 구성한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구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한다(S1-제1단계)
그런 후, 시공자가 시공배치도면에 의해 시공한 지하매설물의 매설공사 전에 정확한 좌표로 인근구조물 등과 같은 기타 주변정보가 도시된 전자도면 및 상기 전자도면에 지하매설물을 입력하여 서버에 기록한 후, 지하매설물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표식주를 형성하고, 상기 표식주(도면에 미도시)와의 거리를 전자도면상에 정확히 기재한다.(S2-제2단계)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 지하매설물과 일정한 거리에 있는 표식주를 표시하는 방법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매설물 중 밸브와 같은 특정자재가 설치된 위치 및 부속설비설치지점, GPS를 통한 좌표획득데이터 자료들을 취합하여 설 치 및 사용자가 편리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제1포인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1포인터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1포인터와 수직인 지점에 제2포인터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포인터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하되 수직인 지점에 표식주를 설치한 후, 상기 제1,2포인터 및 표식주의 좌표 및 이격거리를 전자도면에 표기하도록 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좌표만을 이용하였을 때에는 위상관계에 따른 거리측정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상기에서와 같이 현장에서 각각의 포인터간의 실측한 방향 및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게 되면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 상기 표식주는 거치대 설치 전 거치대가 매설될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표식주에 설치될 RFID태그의 고유ID와 똑같은 형태의 표식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자도면상에 제1,2포인터 및 표식주자리를 표시할 때에, 사용자가 쉽게 구분이 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색을 달리하여 형성하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전자도면에 표시한 표식주와의 이격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를 전자도면에 표기하여 공간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지하매설물 공사 당시의 시공자, 시공연동 등과 같은 속성정보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한다.(S3-제3단계)
그런 후, 지하매설물을 매설한 후 2단계에서 표시한 표식주 위치에 고유ID만 사용하고 있는 RFID태그를 포함한 거치부를 설치(S4-제4단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이동단말기에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형태 의 시공방법의 경우, 상술한 무선통신을 적용한 형태의 RFID를 이용한 좌표화시공 시스템의 시공방법 중 1단계에 대응하는 11단계에서 이동단말기의 구성 및 무선통신을 위한 구성이 빠져있을 뿐 다른 시공과정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단계 및 제12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의 시공방법에 따른 시공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치부 11 : RFID태그
20 : 이동단말기 21 : RFID리더기
30 : 서버 40 : 무선데이터 중계부
50 :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지하매설물을 좌표화시공기술에 의해 시공하기 위해 RFID와 이동단말기 및 상기 이동단말기와 서버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중계기로 이루어진 RFID를 이용한 좌표화시공 시스템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고유ID만 사용하고 있는 RFID태그를 설치한 거치부를 제작하고, RFID리더기를 이동단말기에 포함시켜 구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는 제1단계(S1);
    시공자가 시공배치도면에 의해 시공한 지하매설물의 매설공사 전 정확한 좌표로 인근구조물이 도시된 전자도면에 지하매설물의 배치도를 기록한 후, 지하매설물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표식주를 설치하고, 상기 표식주와의 거리를 전자도면상에 표시하되 지하매설물 중 밸브와 같은 특정자재가 설치된 위치 및 부속설비설치지점과 GPS를 통한 좌표획득의 자료를 종합하여 제1포인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1포인터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제2포인터를 형성하며, 상기 제2포인터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표식주를 설치한 후, 상기 제1,2포인터와 표식주의 좌표 및 이격거리를 전자도면에 도시하는 제2단계(S2);
    제2단계에서 전자도면에 표시한 표식주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를 기재하여 공간자료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지하매설물 공사 당시의 시공자, 시공연도 등으로 이루어진 속성정보데이터를 입력하는 제3단계(S3);
    지하매설물을 매설한 후 상기 제2단계에서 표시한 표식주 위치에 고유ID만 사용하고 있는 RFID태그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설치하는 제4단계(S4)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도면에 표시되는 제1,2포인터와 표식주는 사용자가 구분할 수 있도록 다른 색으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방법.
  12. 삭제
  13. 지하매설물을 좌표화시공기술에 의해 시공하기 위해 RFID와 이동단말기로 이루어진 RFID를 이용한 좌표화시공 시스템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고유ID만 사용하고 있는 RFID태그를 설치한 거치부를 제작하고, RFID리더기를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가 입력된 이동단말기에 포함시켜 구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에 입력된 속성정보데이터와 공간정보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는 제11단계(S11);
    시공자가 시공배치도면에 의해 시공한 지하매설물의 매설공사 전 정확한 좌표로 인근구조물이 도시된 전자도면에 지하매설물의 배치도를 기록한 후, 지하매설물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표식주를 형성하고, 상기 표식주와의 거리를 전자도면상에 표시하되 지하매설물 중 밸브와 같은 특정자재가 설치된 위치 및 부속설비설치지점과 GPS를 통한 좌표획득의 자료를 종합하여 제1포인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1포인터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제2포인터를 형성하며, 상기 제2포인터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표식주를 설치한 후, 상기 제1,2포인터와 표식주의 좌표 및 이격거리를 전자도면에 도시하는 제12단계(S12);
    제12단계에서 전자도면에 표시한 표식주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를 기재하여 공간자료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지하매설물 공사 당시의 시공자, 시공연도 등으로 이루어진 속성정보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3단계(S13);
    지하매설물을 매설한 후 상기 제2단계에서 표시한 표식주 위치에 고유ID만 사용하고 있는 RFID태그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설치하는 제14단계(S14);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방법.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도면에 표시되는 제1,2포인터와 표식주는 사용자가 구분할 수 있도록 다른 색으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을 이용한 시공방법.
  16. 삭제
  17. 고유ID만을 형성한 RFID태그를 포함한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에 형성된 RFID태그(11)의 무선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는 RFID리더기(21)를 포함한 이동단말기(20)에서 상기 고유ID를 수신하여 고유ID에 따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지하매설물을 좌표화 시공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는, 지하매설물 중 밸브와 같은 특정자재가 설치된 위치 및 부속설비설치지점과 GPS를 통한 좌표획득의 자료를 종합하여 형성된 제1포인터(111)와 상기 제1포인터(111)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형성된 제2포인터(112)와 상기 제2포인터(112)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되 수직인 지점에 표식주(113)를 설치하고, 상기 표식주(113)를 설치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20)에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은 이동단말기(20)에 속성정보데이터 및 공간자료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거치부(10)에 형성된 RFID태그(11)의 고유ID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는 공간자료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서버에서 작성하여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들을 이동단말기(20)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KR1020080016251A 2008-02-22 2008-02-22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7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51A KR100871613B1 (ko) 2008-02-22 2008-02-22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51A KR100871613B1 (ko) 2008-02-22 2008-02-22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613B1 true KR100871613B1 (ko) 2008-12-02

Family

ID=4037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251A KR100871613B1 (ko) 2008-02-22 2008-02-22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82A1 (ko) * 2018-04-05 2019-10-10 대진기술정보(주) 지하 매설물 통합표지기 및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308A (ja) 2004-10-05 2006-04-20 Kimoto & Co Ltd 埋設物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70066901A (ko) * 2005-12-21 2007-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20070092374A (ko) *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308A (ja) 2004-10-05 2006-04-20 Kimoto & Co Ltd 埋設物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70066901A (ko) * 2005-12-21 2007-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20070092374A (ko) *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82A1 (ko) * 2018-04-05 2019-10-10 대진기술정보(주) 지하 매설물 통합표지기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37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ompliance with marking specifications for dispensing marking material
CA2416513C (en) Method of locating underground utility lines and an underground utility line
US9311614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onsite linking to location-specific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operations
CA2875184C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updating geographical data
JP5689180B2 (ja) 情報認識手段を利用した管渠総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7920068B2 (en) Distance correction for damage prevention system
US7482973B2 (en) Precision GPS driven utility asset management and utility damag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852730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electronic locate information on facilities map information and/or other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a locate device
US20120066273A1 (en) System for and methods of automatically inserting symbols into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operations
KR101122185B1 (ko)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A2832188A1 (en) Underground asset management system
JP2012198833A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9418351B2 (en) Automated network inventory using a user device
CN106383358A (zh) 一种基于北斗卫星定位的隐蔽工程数字化标识与探测装置
KR100871613B1 (ko)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81066B1 (ko)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JP5468635B2 (ja) 地下埋設物位置検出システム
US9759833B2 (en) Buried asset detection including portable transmitter hookup logging
KR20030030594A (ko) 지중 매설물 위치 인식시스템
US20140292486A1 (en) Generation of buffer zones for buried assets
US20240054301A1 (en) Process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240053427A1 (en) Display control syste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30307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surveying points along a property boundary
US9753173B1 (en) Generation of buffer zones for buried assets using line forming processes
US8823492B2 (en) Detection of incursion of proposed excavation zones into buried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