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066B1 -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066B1
KR100481066B1 KR10-2001-0027471A KR20010027471A KR100481066B1 KR 100481066 B1 KR100481066 B1 KR 100481066B1 KR 20010027471 A KR20010027471 A KR 20010027471A KR 100481066 B1 KR100481066 B1 KR 100481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electronic
electronic marker
data
mark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667A (ko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욱 filed Critical 최성욱
Priority to KR10-2001-002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066B1/ko
Priority to CNA028119568A priority patent/CN1761964A/zh
Priority to PCT/KR2002/000944 priority patent/WO2002097704A2/en
Publication of KR2002008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전자 표지석은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전자 표지석은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인식하고,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 또는 상호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본 발명은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에는 국립 지리원, 수자원 공사, 가스 공사, 송유관 공사, 난방 공사 및 지방 자체 단체 등에서 보유하고 관리하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표지석 및 측지 기준점의 표지석, 전국 지적도 기준으로 사용하는 지적 도근점의 표지석 등이 될 수 있다.
측지 기준점은 측지 기준계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지오이드와 지구 타원체가 일치하는 점에 관한 위치와 방위각이 명시되어 있는 기준점을 의미한다. 측지 기준점은 삼각점 또는 수준점이라고도 하며 지도 제작, 지적 측량, 건설 공사, 국토 개발 사업 및 방제 사업 등에 국토의 정확한 위치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측지 기준점은 토지 정보에 대한 기초 정보로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 환경, 국제화 및 정보화 사회는 기준점의 성과가 요구되기 때문에 측지 기준점을 이용한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의 제공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측지 기준점의 변화는 국가의 경쟁력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한 국가의 측지 기준계(Geodetic Reference System)는 위치 정보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그 적용 범위는 한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및 국제 협력을 통하여 전세계적으로 활용되는 경우 등 다양하다. 국가 단위의 측지 기준계(Geodetic Reference System)는 일반적으로 법령에 기초하여 국가가 정의하고 유지 및 관리한다.
6.25동란후 대부분의 기준점이 망실 또는 손실되어 삼각점의 복구(상부 표지석의 복구)는 1958년 국방부지리연구소가 창설되면서 우선 1,2등 삼각점의 복구(상부 표지석의 복구)부터 시작하였다. 삼각점의 복구는 다음과 같이 실행되었다.
육군은 전국에 설치된 삼각점 16,090점(남한)에 대하여 그 표지석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전방지역에 대해 1,2,3,4등 삼각점을 조사하고, 1957년 국방부 지리 연구소가 창설되어 상기 국방부 지리 연구소는 1958년부터 서해안 지역(일부 도서 지역 포함)에 대한 삼각점을 우선 조사하여 파손된 총점수 11,929점(약 74%)중 1,2등 삼각점을 복구 대상으로 삼았다. 당시의 삼각점 표지석은 콘크리트 표주에 주물로 제작된 삼각점 표지를 사용하였다.
1961년 2월 국립 건설 연구소가 창설되어 국립 건설 연구소는 본격적인 삼각점조사와 복구 작업을 병행하여 추진하였다. 삼각점 복구 작업은 1960년대초부터 1970년대초까지 지역 우선 순위에 따라 시행하였다. 삼각점 복구 작업은 1975년부터는 정밀기준점 측량으로 추진되고 있다. 삼각점 복구 작업은 1,2등 경위의(Wild T₃및 T₂)를 도입하여 실시하였으며 1974년부터는 주물제의 삼각점 표지판의 도난 및 파괴의 사례가 많아 화강암제의 삼각점 표지석으로 바꾸었다. 현 삼각점 표지석은 측량법 시행규칙 별표에 의거 표주석과 반석을 매설하는데 표주석이 망실되었을 때에는 반석의 중심인 +자에 맞추어 상부 표지석을 복구하면 관측없이도 종전의 성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삼각점 복구 사업은 5~10년 주기로 계획되어 실시하였다. 특히 전방의 군작전 지역내의 3,4등 삼각점조사, 복구 및 재설은 기본 측량 및 지도 제작을 위한 상호 지원 협정(건설부,국방부,교통부 1970.5.8)에 의거 육군 지도창(측지부대)에 위탁하고 있다.최근 들어 급속한 과학 발전에 힘입어 위성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이하 GPS라 칭한다)은 지구상의 한 곳에 위치한 정지 물체 또는 이동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전세계 어느 곳에 가든지 지구 궤도 상에 위치하는 위성을 이용하여 이동중인 물체의 위치 및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GPS를 이용하여 국립지리정보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국가기준점(일명 삼각점)의 정밀좌표값은 이미 설정되어 있다.
지도는 중요 지형 및 시설물 등 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져 각각 해당 분야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의 근원이었다. 그러나, 지도는 수시로 변하는 내용들을 수록하지 못함으로써 이용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처리 및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자료 이용 방안이 필요하게 되어 종합적 공간 처리 기술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 개발되었고, GIS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리적 자료를 수집하기가 어렵고, 수집된 지리적 자료의 정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서 GPS를 이용하여 정확한 지리적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리적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및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형 공간에 관한 모든 정보를 컴퓨터에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이 사는 공간과 관련된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하려는 시스템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대상은 공간적 현상의 지리 자료이다. 지리 자료는 분포의 특성을 가진 모든 것을 의미한다. 지리 자료에 흔히 사용되는 주제도(Thematic Map)는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지적도 및 지하 시설물인 상·하수도, 지하 전화 배선, 지하 가스관 등을 표시한 지도이다.
지리 자료는 부호로 표시되는데 그 밖의 주소나 발생 건수 등은 글과 숫자로 기재되기도 한다. 완벽한 지리 자료는 공간 자료(Spatial Data)와 속성 자료(Attribute Data)가 함께 정의 되어야 한다. 공간 자료는 각종 지리 현상의 위치와 형상 및 사상간의 공간상 상대적 위치 관계이며 지도상에서는 점, 선 및 면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속성 자료는 점, 선 및 면으로 표시된 각종 지표상의 지리적 사상의 특성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점으로 표시된 지표 공간을 수질 관측소라고 할 경우, 공간 자료는 한 쌍의 위치 좌표(X, Y)가 되고, 속성 자료는 관측소의 명칭, 기호, 특정한 시간에 측정한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및 용존산소량(DO) 등이 될 수 있다. 도로의 경우, 선 자료는 일련의 점을 상호 연관시켜 나타내고, 속성 자료는 도로의 명칭, 노폭, 노면 재료 및 교통량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속성 자료는 문자와 숫자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다각형 또는 면 자료인 행정 구획도 및 토양도의 경우, 공간 자료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선분으로 구성되는 폐곡선으로 만들어지고, 속성 자료는 폐곡선으로 구분되어진 지역의 인구 특성 및 토양의 성질 등이 될 수 있다.
범 국가적인 국책 사업으로 수행중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국토의 정확한 지형 정보를 수치화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국토 및 각종 공공 시설물의 계획, 시공 및 유지 관리의 전 단계에 걸쳐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래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구축 과정 중에 데이터의 획득에 기본이 되는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로 인한 데이터의 부정확성이 결정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로 인한 재설치시에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산림의 성장으로 인한 사용자의 기준점 식별 곤란으로 인한 시간 낭비와 지적 기준점이나 무용지물이 된 기준점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점들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는 부정확한 위치 정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재측량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국가 측지 기준점을 전자표지석으로 대체하거나, 신규설치시에도 선행측량한 후 좌표값을 부여하고 동위치에 전자표지석을 설치하여,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의 우려가 없고 즉각적인 대응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가격의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설치 함으로써 저 예산으로 국가 측지 기준점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 위치가 아닌 GPS등을 이용하여 가장 근사한 절대위치의 좌표를 얻음으로서, 국가 측지 기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 GPS등 정밀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정밀좌표값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국가 측지 기준점 )에 따라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설물은 측지 기준점의 표지석, 지적 도근점의 표지석 및 특정 시설물의 유지 관리용 표지석 중 적어도 하나이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위치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확인 결과는 시설물의 훼손시에 추출되는 응급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인식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전자 표지석의 고유한 식별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방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시설물의 위치 변동 수치 및 파손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포함함-; 및 상기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국가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지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국가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지석은 상단부(101)와 하단부(103)로 구분되고, 하단부(103)에 홈을 파서 고정시킨 형태로 분리 가능하고 재질은 화강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표지석의 상단부(201)는 태양열 전지의 활용이 가능한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지닌 합성 수지 또는 합금철로 이루어져 있고 대리석에 비해 가볍고 고강도를 지니고 있다. 상기 태양열 전지의 활용은 전자 표지석의 상단(203) 및 측면(205)을 태양열 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은 상기 태양열을 이용한 자가 발전 이외에 자체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표지석의 상단부(201)는 내부에 송수신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다.
전자 표지석의 하단부(207)는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대리석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상단의 재질과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전자 표지석은 종래의 표지석에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서 부착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과 원격 감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자 표지석(301)은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303)에 전자 표지석(301)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상기 전자 표지석(301)의 위치 및 상태가 훼손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 표시석(301)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301)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응급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상기 응급 데이터를 확인하여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한국 가스 공사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용 표지석으로부터 시설물 훼손과 관련된 응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한국 가스 공사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용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에 현장에 가서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급 데이터는 상기 한국 가스 공사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용 표지석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컴퓨터 기능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프로그램 구동이 가능한 휴대형 컴퓨터 모형, 단순하게 전자 표지석의 위치 및 상태만을 확인할 수 있는 소형 휴대 장치 모형, 차량 등에 부착하여 사용 가능한 모형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표지석(301) 및 원격 감지 시스템(303)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표지석(301)은 적어도 태양 전지(401), 전원부(403), RF 송수신 모듈(405), 센서부(407), 데이터 처리부(409) 및 안테나부(411)를 포함한다.
태양 전지(401)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전자 표지석 상단부(201, 도2 참조)의 태양열 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원을 축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부(403)는 전자 표지석(301)내의 전원이 필요한 모든 세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403)는 상기 태양 전지(401)로부터 태양열 전원을 받아 전원 공급을 할 수 있고 자체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RF 송수신 모듈(405)은 전자 표지석(301)내에서 발생하는 송신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조하고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식별자 호출 신호로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RF 송수신 모듈(405)에 대한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부(407)는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 및 상태 변화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409)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부(407)는 위치 센서 및 상태 감지 센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위치 센서는 미리 정해진 좌표에 상응하여 자기 좌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상태 감지 센서는 시설물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감지 센서는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가스관에 전자 표지석이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상태 감지 센서는 가스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센서는 특정 지역 가스관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 상기 가스 누출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409)는 상기 센서부(407)에서 감지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09)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부(411)는 RF 송수신 모듈(405)에서 생성되는 RF 신호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409)는 적어도 위치 데이터 처리부(501), 상태 데이터 처리부(503) 및 메모리부(505)를 포함한다.
위치 데이터 처리부(501)는 센서부(407)에서 감지되는 위치 데이터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위치 좌표에 상응하는 실시간 자기 좌표의 변동 수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태 데이터 처리부(503)는 센서부(407)에서 감지되는 상태 데이터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가스관에 전자 표지석이 설치되었을 경우, 상태 데이터는 가스 누출을 알리는 데이터 및 누출 가스의 농도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부(505)는 상기 위치 데이터 처리부(501) 및 상태 데이터 처리부(503)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이 훼손되었을 경우, 상태 데이터는 상기 시설물의 훼손 상태를 알리는 응급 데이터 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적어도 안테나부(601), RF 송수신 모듈(603),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607),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방위 표시부(611), 전원부(613) 및 입출력부(615)를 포함한다.
안테나부(601)는 특정 시설물의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특정 시설물의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위치 및 상태 데이터에 상응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F 송수신 모듈(603)은 원격 감지 시스템(303)내에서 발생하는 식별자 호출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하고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위치 및 상태 데이터로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RF 송수신 모듈(603)에 대한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는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607)은 시설물의 위치 및 조사자의 위치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할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607)은 조사자 위치의 좌표를 인식하여 상기 조사자 위치에 상응하는 일정 범위 내의 시설물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을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는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조사자가 식별하기 좋은 형태로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국 수자원 공사의 수도관 파열시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는 응급 신호 발생 지점의 지형상 위치 및 누수 상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방위 표시부(611)는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방향 및 거리를 표시하고 상기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조사자가 근접시에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위 표시부(611)는 조사자의 위치점 부근의 수치 지형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전원부(613)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내의 전원이 필요한 모든 세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출력부(615)는 통신 네트워크 망과 연결되어 각종 자료 및 성과를 송수신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 망은 유선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는 적어도 데이터 선별부(701), 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703),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 및 메인 메모리부(707)를 포함한다.
데이터 선별부(701)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선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선별부(701)는 선별한 위치 데이터를 메인 데이터 처리부(703)로 전송하고 선별한 상태 데이터를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로 전송한다.
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703)는 데이터 선별부(701)부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도6 참조) 및 방위 표시부(611, 도 6 참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상응하는 위치 좌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는 데이터 선별부(701)부로부터 수신한 상태 데이터를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도6 참조) 및 방위 표시부(611, 도 6 참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인 메모리부(707)는 상기 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703) 및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 메모리부(707)에 저장된 데이터는 성과 및 데이터 정보 이용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상응하여 자기 좌표를 인식(단계 801)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반복되는 자기 좌표의 인식을 통해서 위치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자기 좌표를 인식한 후, 시설물의 훼손 상태 여부를 확인(단계 803)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는 수평 및 수직 진동 상태, 누수 상태 및 가스 누출 상태 등을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훼손 상태 여부 확인 결과, 시설물의 훼손이 감지 되었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훼손 상태에 상응하는 훼손 데이터를 추출(단계 805)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가스관에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이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훼손 데이터는 상태 감지 센서인 가스 센서에 감지된 가스 누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누출 데이터는 누출된 가스의 농도 및 가스관의 파손 정도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국가 기준점 표지석의 경우, 상기 훼손 데이터는 상태 감지 센서인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국가 기준점 표지석의 변경된 위치 데이터 및 표지석 파손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훼손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상기 추출한 훼손 데이터를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상응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전송(단계 809)한다.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발생시에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의 호출 신호에 상관 없이 응급 데이터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상기 훼손 상태 여부 확인 결과, 시설물의 훼손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의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단계 807)한다.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는 조사자가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사자에 상응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조사자는 상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에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 결과,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가 수신됐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송신(단계 809)한다.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 결과,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단계 801을 수행한다. 시설물 관리자는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을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시설물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를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송신(단계 901)한다.
그 후,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 응답 신호를 수신(단계 903)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 응답 신호는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의치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전자 표지석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상기 전자 표지석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수신 데이터를 처리(단계 905)한다.
그 후,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처리된 데이터를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단계 907)한다. 또한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방위 표시부(611)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방향 및 거리를 표시(단계 909)한다.
조사자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을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에 따라 자신의 위치, 주변 지형 정보 및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까지의 방향, 거리 등을 확인하여 특정 시설물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조사자는 특정 시설물의 훼손 발생시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및 데이터 이용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자 표지석(1001)은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메인 서버(1003)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003)는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과 네트워크 망(100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서버(1003)는 상기 위치 및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오프라인으로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의 성과 및 데이터 제공에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은 특정 시설물의 조사자 및 일반 데이터 이용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은 상기 메인 서버(1003)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전자 표지석(1001)으로부터 직접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위치 파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사자는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기 위치 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사자는 필요한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을 선택하여 위치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기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훼손 시설물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사자(1202)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내의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도6 참조) 및 방위 표시부(611, 도 6 참조)를 통하여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시설물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조사자(1202)는 정보 표시 화면(1201)을 통해 상기 조사자(1202), 정상 신호 장치(1203) 및 오류 신호 장치(1205)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사자(1202)는 오류 신호를 발견하면 상기 오류 신호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 관리 데이터에 입력하여 상기 오류 신호 장치에 상응하는 시설물을 전산 관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의 우려가 없고 즉각적인 대응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한 가격의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설치 함으로써 저 예산으로 국가 측지 기준점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 측지 기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국가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지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과 원격 감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및 데이터 이용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위치 파악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훼손 시설물 관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전자 표지석 303…원격 감지 시스템
401…태양 전지 403…전원부
405…RF 송수신 모듈 407…센서부
409…데이터 처리부 411…안테나부
501…위치 데이터 처리부 503…상태 데이터 처리부
505…메모리부 601…안테나부
603…RF 송수신 모듈 605…메인 데이터 처리부
607…GPS 모듈 609…정보표시부(LCD Display)
611…방위 표시부 613…전원부
615…입출력부 701…데이터 선별부
703…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 705…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
707…메인 메모리부

Claims (13)

  1.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 및 상호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은 측지 기준점의 표지석, 지적 도근점의 표지석 및 특정 시설물의 유지 관리용 표지석 중 적어도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위치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는 시설물의 훼손시에 추출되는 응급 데이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인식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전자 표지석의 고유한 식별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8.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방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시설물의 위치 변동 수치 및 파손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9.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포함함-; 및
    상기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0. 시설물을 관리하는 전자 표지석의 내부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 및 상호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1. 시설물을 관리하는 전자 표지석의 내부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인식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2. 전자 표지석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방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시설물의 위치 변동 수치 및 파손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3. 전자 표지석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포함함- 및
    상기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001-0027471A 2001-05-19 2001-05-19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481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471A KR100481066B1 (ko) 2001-05-19 2001-05-19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CNA028119568A CN1761964A (zh) 2001-05-19 2002-05-20 使用电子指示器处理信息的方法和系统
PCT/KR2002/000944 WO2002097704A2 (en) 2001-05-19 2002-05-20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inde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471A KR100481066B1 (ko) 2001-05-19 2001-05-19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667A KR20020088667A (ko) 2002-11-29
KR100481066B1 true KR100481066B1 (ko) 2005-04-07

Family

ID=3670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471A KR100481066B1 (ko) 2001-05-19 2001-05-19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1066B1 (ko)
CN (1) CN17619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20B1 (ko) * 2010-02-02 2010-11-09 비티컨설턴트 주식회사 Gps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의 시공 및 유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12740B1 (ko) 2012-05-10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지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시스템
KR101212731B1 (ko) 2012-05-14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표면의 고저 측량에 따른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값 처리시스템
KR101217856B1 (ko) 2012-05-25 2013-01-0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54B1 (ko) * 2006-04-20 2007-07-20 한진정보통신(주) 전파식별을 이용한 국가수준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83221B1 (ko) * 2007-10-02 2010-09-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태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표지의 원격관리시스템
KR101227683B1 (ko) * 2012-06-22 2013-01-29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전파식별 태그 장치를 이용한 국가수준점 관리 시스템
KR102432239B1 (ko) * 2021-10-18 2022-08-12 송종찬 IoT 적용 통합 관로표지기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340A (ja) * 1992-10-21 1994-06-14 Sekisui Chem Co Ltd 標示用埋設物
JPH07134032A (ja) * 1993-11-11 1995-05-23 Fujita Corp 埋設標識
JPH07306044A (ja) * 1993-12-17 1995-11-21 Mitsui Constr Co Ltd 設置位置情報標示器及び、設置位置情報標示装置及び、設置位置情報標示杭及び、設置位置情報標示定礎石ユニット
JPH0926320A (ja) * 1995-07-12 1997-01-28 Sekisui Chem Co Ltd 標識体およびその探査システム
JPH0968429A (ja) * 1995-08-31 1997-03-11 Ripuro:Kk 位置標示器およびこれの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340A (ja) * 1992-10-21 1994-06-14 Sekisui Chem Co Ltd 標示用埋設物
JPH07134032A (ja) * 1993-11-11 1995-05-23 Fujita Corp 埋設標識
JPH07306044A (ja) * 1993-12-17 1995-11-21 Mitsui Constr Co Ltd 設置位置情報標示器及び、設置位置情報標示装置及び、設置位置情報標示杭及び、設置位置情報標示定礎石ユニット
JPH0926320A (ja) * 1995-07-12 1997-01-28 Sekisui Chem Co Ltd 標識体およびその探査システム
JPH0968429A (ja) * 1995-08-31 1997-03-11 Ripuro:Kk 位置標示器およびこれの設置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20B1 (ko) * 2010-02-02 2010-11-09 비티컨설턴트 주식회사 Gps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의 시공 및 유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12740B1 (ko) 2012-05-10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지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시스템
KR101212731B1 (ko) 2012-05-14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표면의 고저 측량에 따른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값 처리시스템
KR101217856B1 (ko) 2012-05-25 2013-01-0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피에스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데이터 업데이트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667A (ko) 2002-11-29
CN1761964A (zh)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asset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US80811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utility assets
US7920068B2 (en) Distance correction for damage prevention system
CN103229197B (zh) 使用信息识别手段的集成管线管理系统和方法
CA2875184C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updating geographical data
KR101958441B1 (ko) 전자표식장치 이용과 증강현실 구현으로 국토라이프라인 굴착, 시공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86652B1 (ko) 다기능 전자 측량기준점 시스템
KR100481066B1 (ko)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877073B1 (ko) 관로 측량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 및 이를 이용한관로 측량 시스템
KR100883794B1 (ko) 관로 측량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 및 이를 이용한관로 측량 시스템
US9759833B2 (en) Buried asset detection including portable transmitter hookup logging
JP2004279172A (ja) 巡回監視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3445987A (zh) 基于移动终端下增强现实场景的铁路钻探辅助作业方法
EP3255465B1 (en) Buried asset locate device motion sensing for quality control
US20150070138A1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Patel et al. Integrat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with laser technology to capture as-built information during open-cut construction
US9086441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US20170316366A1 (en) Buried asset locator retrofit card for motion sensing for quality control
Voženílek Spatial database for geomorphological mapping by GPS techniques
Patel et al. Integrating GPS and laser technology to map underground utilities installed using open trench method
Momin et al. Mapping of the assets and utilities: a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India
KR100871613B1 (ko)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58289B1 (ko) 위치정보 제공표지기 및 측량 기준점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Ghazali et al. Integrating Cadastral GIS Database into GPS Navigation System for Locating Land Parcel Location in cadastral surveying
EP2866058B1 (en) Improved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