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623A -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623A
KR20060033623A KR1020040082815A KR20040082815A KR20060033623A KR 20060033623 A KR20060033623 A KR 20060033623A KR 1020040082815 A KR1020040082815 A KR 1020040082815A KR 20040082815 A KR20040082815 A KR 20040082815A KR 20060033623 A KR20060033623 A KR 2006003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ader
tag
tags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869B1 (ko
Inventor
모츄가에브아템
박경호
강우식
구시경
드오뜨피에르
구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869B1/ko
Priority to US11/250,482 priority patent/US7417544B2/en
Publication of KR2006003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51Specific applications combined with EAS
    • G08B13/2462Asset location systems combined with 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제1신호에 반응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태그; 태그에 제1신호를 송신하고 제2신호를 수신하며, 제2신호로부터 태그의 ID를 식별하는 판독기; 및 태그들의 위치를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들의 위치를 기반으로하여 판독기로부터 수신한 태그의 ID로부터 판독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태그들과 각 태그의 커버리지를 바닥면에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판독기가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소정 태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판독신호의 세기를 각각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복수 태그들의 커버리지 및 판독기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판독기의 위치별로 태그신호를 유발하기위한 판독신호의 세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판독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판독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판독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을 이용하여 사람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치 추적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환경에 따라 실외 환경과 실내 환경을 위한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내환경에서의 위치 추적은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물관에서 관람자는 관심있는 전시물의 위치를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관람자는 박물관의 맵(map)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와 전시물의 위치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개인화된 네이게이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병원에서 현재 근무중인 의사와 간호사들의 위치를 공유함으로써 응급환자 발생시 지원가능한 의료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의료지원이 가능한 네트웍을 구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쇼핑몰, 백화점 등에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 있는 매장 정보 및 세일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를 위한 컨텐츠 제작과 같은 비지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도 있다.
실내환경을 위한 위치 추적 시스템으로는 카메라를 이용한 비젼 기반 시스템 또는 적외선 등의 센서를 이용한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나 비젼 기반 시스템은 사생활 보호 측면과 계산량이 많다는 문제점을 갖고있기 때문에 센서 기반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부각되고있다.
종래의 센서 기반 위치 추적 시스템으로는 크리켓(Cricket)(Nissanka et. al, The Circket Location-Support System, 6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2000) 이 있다.
크리켓에서는 RF 센서와 초음파 센서 두가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한다. 즉, 발신기(beacon)는 RF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동시에 내보내고, 수신기는 이 두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는 초음파 신호의 전파 지연시간을 RF신호에 동기화시켜서 전파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파 지연시간과 공기내에서의 초음파 신호의 전파속도를 이용하여 발신기와 수신기간 거리를 계산한다. 계산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에 더 가까운 발신기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수신기에 보다 가까운 발신기들중 세 발신기로부터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2차원 공간에서의 수신기의 위치 또는 좌표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크리켓은 기반구조의 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 보다 간단하게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과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RFID를 이용하여 사람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위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은 제1신호에 반응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태그; 상기 태그에 상기 제1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신호로부터 상기 태그의 ID를 식별하는 판독기; 및 상기 태그들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태그들의 위치를 기반으로하여 상기 판독 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태그의 ID로부터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이터 치리 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위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방법은 실내 천정에 배열된 복수의 태그들 및 상기 태그들과 통신하는 판독기를 이용하여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가 제1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에 반응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신호로부터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그들의 ID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 세기가 조절된 제1신호에 반응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신호로부터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그들의 ID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세기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태그들의 ID로부터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은 실내 천정(100)에 설치된 복수의 태그(11), 이동가능한 대상물, 예를 들어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12) 등에 내장되는 판독기(13) 그리고 판독기(13)와 통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을 포함한다. 참조번호 15는 하나의 태그(11)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 즉 태그신호(backscattering signal)를 바닥면(200)에서 수신할 수 있는 최대범위, 즉 커버리지(coverage)를 나타낸다. 여기서, 태그(11)는 천정(100)에 일정한 간격의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단말기(12)는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 또는 이동이 가능한 단말기가 바람직하며, 판독기(13)를 내장 또는 외장함으로써 사용자의 버튼 또는 키 조절에 의해 판독기(13)가 출력하는 판독(interrogation)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한다.
태그(11)는 판독기(13)가 송신하는 판독신호에 대응하여 태그 ID를 포함한 태그 신호를 판독기(13)로 송신한다. 판독기(13)는 태그 신호를 수신하고, 태그 신호로부터 각 태그(10)의 ID를 식별하며, 태그 ID를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은 각 태그의 ID를 이용하여 판독기(13)가 설치된 이동 단말기(12)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은 천정(1)에 부착된 태그의 ID 및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상술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동작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판독기(13)는 판독 신호를 송신하고(21단계), 송신된 신호에 반응하는 태그(10)들로부터 태그 신호를 수신하고, 태그 신호로부터 태그 ID를 식별한다(22단계).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2)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판독기(13)에서 송출되는 판독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판독기(13)는 판독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송신한다(23단계). 판독기(13)는 신호세기가 조절된 판독신호에 반응하는 태그(10)들로부터 다시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태그 ID를 식별한다(24단계). 판독기(13)에서 판독신호의 송출과 태그 신호의 수신을 n회동안 반복했으면(25단계), 판독신호의 세기별로 식별된 태그 ID를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으로 전 송한다. 여기서, n회의 반복이라 함은 판독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3-4개 정도의 태그가 응답신호를 출력할 때까지를 말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은 각 판독신호의 세기별 태그 ID를 이용하여 판독기(13)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26단계).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처리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태그들과 각 태그의 커버리지를 바닥면에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의 태그의 커버리지는 참조번호 30-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34는 30-1번의 범위에만 포함되는 판독기(13)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35는 30-1과 31-1번의 범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판독기(13)의 위치를 나타내며, 36은 30-1, 31-1 그리고 32-1의 범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판독기(13)의 위치를 나타낸다. 37은 네 원(30-1, 31-1, 32-1, 33-1)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판독기(13)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b는 판독기가 각각 도 3a에서 참조번호 34, 35, 36 및 37의 위치에 있을 때 참조번호 30의 태그로부터 태그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판독신호의 세기를 각각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에서 Pe는 판독기(13)가 각각 34, 35, 36 및 37의 위치에 있을 때 판독기(13)에서 출력되는 판독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에 다르면, 판독기(13)가 태그(30)의 커버리지(30-1) 중심에서 벗 어날수록 태그신호를 감지하는데 보다 세기가 큰 판독신호를 출력해야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기(13)가 34의 위치에 있는 경우 판독기(13)는 P34의 세기를 갖는 판독신호를 전송해야 태그(30)로부터 태그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판독기가 35의 위치에 있다면 판독기(13)는 P34의 경우보다 더 큰 세기를 갖는 P35의 판독신호를 출력해야한다.
도 4는 복수 태그들의 커버리지 및 판독기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판독기의 위치별로 태그신호를 유발하기위한 판독신호의 세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판독기(13)가 도 4의 참조번호 51의 위치, 즉 커버리지 1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고 커버리지 4의 경계에 있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세기의 판독신호로 1의 커버리지를 갖는 태그(제1태그라 함)를 읽을 수 있다. 제4태그는 제1태그에 비해 큰 세기의 판독신호가 필요하게된다.
판독기가(13)가 도 4의 참조번호 52의 위치, 즉 커버리지 1과 커버리지 6의 안쪽, 커버지리 4와 커버리지 5의 경계에 있는 경우에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태그와 제5태그를 읽기 위해서 제1태그와 제6태그의 경우에 비해 큰 세기의 판독신호가 필요하게된다. 제2 및 제3태그를 읽기위해서는 제4 및 제5태그보다 큰 세기의 판독신호가 필요하지만, 판독기(13)에서 출력되는 판독신호의 세기는 ISO에서 최대 파워를 제한하고있으므로 무한정 크게할 수 없다. 따라서 판독기(13)는 제2 및 제3태그는 읽을 수 없다.
이와 같이 태그신호를 수신하게되면, 판독기(13)는 태그신호로부터 태그 ID를 식별하며, 각 판독신호의 세기에 따라 식별된 태그 ID를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은 판독신호의 세기와 그에 대응하는 태그 ID로부터 판독기(13)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판독기(13)의 위치 (x,y)는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1
여기서, i는 읽혀진 태그 개수, wi는 가중치, (Pm-Pn)은 m번과 n번 태그를 읽을 수 있는 최소 판독신호 세기의 차,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2
는 i번째 태그의 (x,y)위치이다.
상술한 수학식 1에서 가중치는 (Pm-Pn)과 Pm에 따라 달라진다.
판독기(13)의 위치는 다음 식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3
여기서, x판독기, y판독기는 각각 판독기의 x,y위치, x태그, y택그 는 각각 i번째 태그의 x,y위치, N은 읽혀진 태그 수, wm,n은 가중치이다.
수학식 2에서 N은 3-4개 정도의 태그를 포함한다.
수학식 2에서 가중치 wm,n은 다음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4
여기서, m=i, n=i+1
수학식 3에 따르면, 가중치 w는 판독기(13)의 송출 파워 레벨 Pm, Pn의 차에 반비례한다. 그 이유는 m번 태그를 읽기 위한 판독기(13)의 송출 파워가 크다는 것은 m번 태그가 판독기(13)로부터 더 멀리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RFID 판독기는 가까이 있는 태그를 읽을수록 더 작은 송출 파워가 필요하다. 여기서 Pm 과 Pn의 차는 m ,n번 태그를 읽기 위한 판독기(13) 송출 파워레벨의 차를 말하는 데, 이 값이 크다는 것은 판독기(13)가 m, n번 태그 중, 하나의 태그에 더 가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판독기(13)의 위치가 51번 위치에 있다면 판독기(10)가 1번 태그를 읽기 위한 송출 파워보다 4번 태그를 읽기 위한 송출파워가 더 크다는 것을 말하고, 판독기(13)는 4번 태그보다 1번 태그쪽에 더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판독기(13)가 도 4에서 1번 태그쪽으로 더 움직이면 Pm과 Pn의 차는 더 커지게 되고, 만약 4번 태그쪽으로 움직이면 P m과 Pn의 차는 더 작게 된다. 따라서 판독기(13)의 위치 인식에 필요한 가중치 w는 Pm과 Pn의 차에 반비례할 것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태그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태그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미리 저장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 판독기(13)의 위치를 보정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판독기는 도 6의 상세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른 판독기(130)는 태그신호 처리부(61), 태그신호 측정부(62), 판독신호 출력부(63) 및 세기 조절부(64)를 포함한다.
태그신호 처리부(61)는 수신된 태그신호로부터 태그 ID를 식별한다. 태그신호 측정부(62)는 수신된 태그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판독신호 출력부(63)는 세기 조절부(63)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세기가 조절된 판독신호를 출력하고, 세기 조절부(64)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되는 조절신호에 따라 판독신호의 세기를 조절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판독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판독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판독기의 위치 보정은 태그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시 설명하면, 판독기의 위치 보정은 판독기로부터 태그까지의 거리에 따라 태그신호의 세기에 차이가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태그신호의 세기는 태그의 바로 아래 지점에서는 가장 크고, 바로 아래 지점에서부터 사방으로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도 7은 이러한 태그신호의 특징을 도시한 것으로, 제1태그(70)의 안테나 이득을 정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판독기(130)가 제1태그(70)의 바로 아래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태그신호를 송출하는 제1태그(70)의 안테나의 이득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판독기(130)를 제1태그(70)의 바로 아래 방향으로부터 5°혹은 10°간격으로 옮기면서 각 태그로부터 출력되는 태그신호의 세기를 미리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에 저장한다. 판독기(130)의 위치를 보정하는 경우, 현재 위치에서 수신된 태그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세기가 가장 큰 태그신호에 대해 측정된 값과 해당 태그에 대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14)에 저장된 값을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을 갖는 각도에 판독기(13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판독기(130)의 최종 위치는 수학식 2에서 계산된 위치에 대해 측정된 각도를 고려하여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 있다.
판독기(13) 위치의 보정을 위해 보다 정확한 각도 추정 방법으로, 하나 이상의 태그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다음 식과 같이 추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2태그(71)에서 출력되는 이득의 정규분포(73)도 함게 고려하여 다음 식의 최소 평균 자승 추정 방법을 만족하는 각도 φ를 구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5
여기서, PBS1, PBS2는 각각 측정된 제1 및 제2태그신호의 세기, Pe는 판독신호 의 최대 세기, G1, G2는 각각 제1 및 제2태그의 안테나 이득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RFID 태그들과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RFID 태그들을 이용하여 사람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위치 추적에 의해 사용자는 개인 정보를 자신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적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 예를 들어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를 중점적으로 냉방하는 서비스 등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 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제1신호에 반응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태그;
    상기 태그에 상기 제1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신호로부터 상기 태그의 ID를 식별하는 판독기; 및
    상기 태그들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태그들의 위치를 기반으로하여 상기 판독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태그의 ID로부터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그는
    실내 천정에 일정한 간격의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는
    소정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제1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1신호의 세기에 따라 반응한 태그들의 ID를 기반으로하여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의 위치는 다음 식
    [수학식]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6
    여기서, i는 읽혀진 태그 개수, wi는 가중치, (Pm-Pn)은 m번과 n번 태그를 읽을 수 있는 최소 판독신호 세기의 차,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7
    는 i번째 태그의 (x,y)위치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의 위치는 다음 식
    [수학식]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8
    여기서, x판독기, y판독기는 각각 판독기의 x,y위치, x태그, y택그 는 각각 i번째 태그의 x,y위치, N은 읽혀진 태그 수, wm,n은 가중치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m번 태그의 최소 판독신호의 세기와 n번 태그의 최소 판독신호의 세기의 차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는
    상기 제2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2신호 측정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2신호 측정부로부터 출력된 제2신호의 세기중 가장 큰 값에 대응하는 중심 태그의 바로 아래 지점으로부터 상기 판독기가 떨어진 거리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각 태그의 바로 아래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및 그에 따른 상기 제2신호 의 세기를 미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중심 태그의 바로 아래 방향에 대해 상기 판독기가 갖는 각도 φ를 상기 중심 태그로부터 가장 가까운 주변 태그들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이용하여 다음 식
    [수학식]
    Figure 112004047002517-PAT00009
    여기서, PBS1, PBS2는 각각 측정된 중심 및 주변 태그신호의 세기, Pe는 판독신호의 최대 세기, G1, G2는 각각 중심 및 주변 태그의 안테나 이득
    과 같이 계산하고, 계산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는
    이동가능한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13. 실내 천정에 배열된 복수의 태그들 및 상기 태그들과 통신하는 판독기를 이 용하여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가 제1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에 반응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신호로부터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그들의 ID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
    세기가 조절된 제1신호에 반응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신호로부터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그들의 ID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세기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태그들의 ID로부터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그들의 수가 소정 개수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제1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그 다음 단계를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이전의 어느 한 단계는 상기 태그들의 ID 및 해당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의 위치는 다음 식
    [수학식]
    Figure 112004047002517-PAT00010
    여기서, i는 읽혀진 태그 개수, wi는 가중치, (Pm-Pn)은 m번과 n번 태그를 읽을 수 있는 최소 판독신호 세기의 차,
    Figure 112004047002517-PAT00011
    는 i번째 태그의 (x,y)위치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의 위치는 다음 식
    [수학식]
    Figure 112004047002517-PAT00012
    여기서, x판독기, y판독기는 각각 판독기의 x,y위치, x태그, y택그 는 각각 i번째 태그의 x,y위치, N은 읽혀진 태그 수, wm,n은 가중치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m번 태그의 최소 판독신호의 세기와 n번 태그의 최소 판독신호의 세기의 차 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한 다음, 상기 제2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의 위치는
    측정된 제2신호의 세기중 가장 큰 값에 대응하는 중심 태그의 바로 아래 지점으로부터 상기 판독기가 떨어진 거리를 추정하여 보정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각 태그의 바로 아래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및 그에 따른 상기 제2신호의 세기를 미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의 위치는
    상기 중심 태그의 바로 아래 방향에 대해 상기 판독기가 갖는 각도 φ를, 상기 중심 태그로부터 가장 가까운 주변 태그들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이용하여 다음 식
    [수학식]
    Figure 112004047002517-PAT00013
    여기서, PBS1, PBS2는 각각 측정된 중심 및 주변 태그신호의 세기, Pe는 판독신호의 최대 세기, G1, G2는 각각 중심 및 주변 태그의 안테나 이득
    과 같이 계산하고, 계산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판독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치 추적 방법.
KR1020040082815A 2004-10-15 2004-10-15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15A KR100682869B1 (ko) 2004-10-15 2004-10-15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50,482 US7417544B2 (en) 2004-10-15 2005-10-17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15A KR100682869B1 (ko) 2004-10-15 2004-10-15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23A true KR20060033623A (ko) 2006-04-19
KR100682869B1 KR100682869B1 (ko) 2007-02-15

Family

ID=3618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815A KR100682869B1 (ko) 2004-10-15 2004-10-15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17544B2 (ko)
KR (1) KR1006828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05B1 (ko) * 2006-02-18 2007-06-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환자 자동식별장치
KR100847566B1 (ko) * 2005-12-21 2008-07-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6368B2 (en) * 2004-12-06 2011-02-15 Tony Hood Garment backpack
US20100225447A1 (en) * 2006-02-27 2010-09-09 Adra Hosni I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tracking and state forecasting tagged entities
EP1997085A4 (en) * 2006-02-27 2011-04-27 Inc Createasoft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INUING MARKED ENTITIES AND PRESCRIBING THEIR STATE
US20080042015A1 (en) * 2006-08-15 2008-02-21 Plawecki Daniel W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Position of Rolling Stock
EP1973236A1 (en) * 2007-03-21 2008-09-24 Ingecom Sàrl Method to determine a field strength by a reader for telemetry units
US8583079B2 (en) 2007-08-14 2013-11-12 Mpanion, Inc. Rich presence status based on location, activity, availability and transit status of a user
US8489111B2 (en) 2007-08-14 2013-07-16 Mpanion, Inc. Real-time location and presence using a push-location client and server
US8050690B2 (en) 2007-08-14 2011-11-01 Mpanion, Inc. Location based presence and privacy management
JP4285576B1 (ja) * 2007-12-04 2009-06-24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ic媒体通信装置と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353298B2 (ja) * 2007-12-13 2009-10-28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ic媒体方向検知装置と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271578B1 (ko) * 2008-01-31 2013-06-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Rfid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US8063738B2 (en) * 2008-02-04 2011-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FID system with a mobile RFID reader
US8120486B2 (en) * 2008-06-10 2012-02-21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RFID devices
KR101212239B1 (ko) * 2011-02-18 2012-12-13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루투스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시스템
US8504288B2 (en) 2011-05-11 2013-08-06 Google Inc. Quality control of mapping data
US8583400B2 (en) 2011-05-13 2013-11-12 Google Inc. Indoor localization of mobile devices
US8386422B1 (en) * 2011-07-08 2013-02-26 Google Inc. Using constructed paths to supplement map data
US8548738B1 (en) 2011-07-08 2013-10-01 Google Inc. Constructing paths based on a particle model
US9830424B2 (en) 2013-09-18 2017-11-28 Hill-Rom Services, Inc. Bed/room/patient associ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71448B1 (en) * 2014-06-11 2015-10-27 Target Brands, Inc. RFID tags for locating products
US10816638B2 (en) * 2014-09-16 2020-10-27 Symbol Technologies, Llc Ultrasonic locationing interleaved with alternate audio functions
WO2017056111A2 (en) 2015-09-29 2017-04-06 Ibus Networks And Infrastructure Pvt. Ltd Establishing a geo-spatial grid and location triangulation of a user/mobile device within large buildings
US9959435B1 (en) * 2015-11-25 2018-05-01 Impinj, Inc. Location-based access to RFID tag information
US11911325B2 (en) 2019-02-26 2024-02-27 Hill-Rom Services, Inc. Bed interface for manual 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1979B2 (en) * 2002-11-26 2006-12-1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ventory
KR20030004215A (ko) * 2002-11-26 2003-01-14 전경호 착용자의 위치추적 시스템
KR100511555B1 (ko) * 2003-11-10 2005-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객체 위치 인식 장치 및그 방법
KR20050083299A (ko) * 2004-02-23 2005-08-2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위치 추적 방법
KR20040078636A (ko) * 2004-08-23 2004-09-10 안재명 매장 관리 시스템
US20060044112A1 (en) * 2004-08-31 2006-03-02 Raj Bridgelall Wearable RFID reader and system
KR20060024552A (ko) * 2004-09-14 2006-03-17 주식회사 팬택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위치 추적 방법
US7403120B2 (en) * 2004-09-29 2008-07-22 Symbol Technologies, Inc. Reverse infrastructure loca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566B1 (ko) * 2005-12-21 2008-07-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100728605B1 (ko) * 2006-02-18 2007-06-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환자 자동식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869B1 (ko) 2007-02-15
US20060082457A1 (en) 2006-04-20
US7417544B2 (en)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869B1 (ko)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09600B2 (en) RFID location systems and methods
Hightower et al. Location systems for ubiquitous computing
Gu et al. A survey of indoor positioning systems for wireless personal networks
JP5015423B2 (ja) ビーコン装置を用いて位置決定を行うターゲット装置、遠隔サーバ及び方法
JP5299289B2 (ja) 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方法及び位置検出用プログラム
KR101600190B1 (ko) 환경 변수를 고려한 실내 측위 장치 및 그 방법
US10162043B2 (en) Optical locating system
US20230115698A1 (en)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Acoustic-Contextual Data
Manapure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radio frequency-based indoor location sensing systems
WO2013169612A1 (en) Low frequency magnetic inductio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Puspitaningayu et al. A fingerprint-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using IEEE 802.15. 4 for staying room detection
KR101283749B1 (ko) Ap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측위 장치
US20190141663A1 (en) Portable-device-locating system that uses room-level motion sensors and rssi measurements to determine precise room-location
Guidara et al. A real-time indoor localization platfor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Mostafa et al. A survey of indoor localization systems in multi-floor environments
Krishnamurthy Technologies for positioning in indoor Areas
Chen et al. Object finding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Mustafa et al. A High Fidelity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Users in Motion Using BLE With Beacons.
Shafi et al. Review of Indoor Localization Based Services (ILBS) and its Applications
Potgantwar et al. Improved indoor positioning using RSS and directional antenna integrating with RFID and wireless technology
Chan et al. Leveled indoor localization algorithms based on passive RFID
US11902858B2 (en) Power ramping of beacon signals to enhance location accuracy
KR102604367B1 (ko) 확장현실을 포함한 가상현실 공간 서비스를 위한 고정밀 위치 움직임 획득장치
US20230394257A1 (en) Wireless anchors for asset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