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551B1 -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 Google Patents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551B1
KR101177551B1 KR1020120023060A KR20120023060A KR101177551B1 KR 101177551 B1 KR101177551 B1 KR 101177551B1 KR 1020120023060 A KR1020120023060 A KR 1020120023060A KR 20120023060 A KR20120023060 A KR 20120023060A KR 101177551 B1 KR101177551 B1 KR 10117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insertion groove
pillar
support structure
p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2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4Permanent marks; Boundary mar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 지중에 매설되되 상부 중앙에 기둥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석재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지지구조물과; 하부가 상기 기둥삽입홈에 삽입되며, 상단 중앙에 핀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강재, 콘크리트,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기둥부재와; 상기 핀삽입홈에 끼워지며, 상단에 십자형의 망선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또는 강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핀부재와; 상기 기둥부재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앙카부재와; 상기 앙카부재가 설치된 기둥부재 및 지지구조물 둘레를 감싸 타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지지구조물 상부에 기둥삽입홈을 형성하여 기둥부재 하부를 기둥삽입홈에 끼워 고정하고, 기둥부재와 지지구조물 외부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한편, 기둥부재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된 앙카부재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기둥부재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되고, 기둥부재 상부에는 핀삽입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망선이 형성된 핀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노출 부위가 마모되더라도 핀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십자형 망선은 핀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연속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노출 부위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십자형 망선의 위치까지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망선은 자외선 감응 형광 물질을 포함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 내장 후레쉬 등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야간에도 쉽게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기둥부재와 지지구조물의 사이에 소리발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기둥부재를 누르게 되면 소리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정확한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bench-mark for control survey}
본 발명은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관한 것으로, 지지구조물과 기둥부재가 견고한 연결관계를 갖도록 하여 기둥부재가 손망실되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둥부재 상단이 마찰 등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정확한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관한 것이다.
토지를 측량하기 위해서는 측량 기준점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 종래에는 화강석 제품을 사용하였으나, 근자에 들어 합성수지 사출 기술이 발달하여 합성수지를 혼용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의 주요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먼저, 지표면에 노출된 기둥부재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뽑혀 정확한 위치를 벗어나버리고, 이로 인해 측량 기준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거나, 잘못된 위치가 기준점이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잘못된 기준점에 의해 측량됨으로 인해 각종 이해 다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두번째로 기준점이 야지에 위치할 경우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이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간편하게 기준점을 파악하지 못하고 이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행정력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측지기준 표주"(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824호, 특허문헌 1)에는 지중에 매설되는 지지 구조물과, 상면에 십자망선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외부로 표출되게 한 기준점표석과, 지지구조물 내부에 십잡망선과 수직으로 일치하는 자성발생부를 포함한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기준점표석 하부에 지지 구조물이 지중에 매설되어 기준점표석이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기준점표석이 손,망실되어 육안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자기장의 탐지에 의해 정확한 위치와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 외에도 최근 GPS 위치 확인 칩 등을 내장시켜 설치하는 기술들이 있는데, 이처럼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기준점표석이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려 함에도 불구하고, 기준점표석에 강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기준점표석이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준점표석 상부에 표시된 십자망선의 경우 노출된 시간이 길어지고, 노출 부위가 마찰 등의 이유로 마모될 경우 시각적으로 정확한 기준점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기준점표석의 위치나 지지구조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성발생부에 반응하여 이를 찾기 위한 장치나, GPS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장비 구비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368824 (2004.11.17)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구조물 상부에 기둥삽입홈을 형성하여 기둥부재 하부를 기둥삽입홈에 끼워 고정하고, 기둥부재와 지지구조물 외부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한편, 기둥부재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된 앙카부재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기둥부재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또, 기둥부재 상부에는 핀삽입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망선이 형성된 핀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노출 부위가 마모되더라도 핀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십자형 망선은 핀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연속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노출 부위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십자형 망선의 위치까지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망선은 자외선 감응 형광 물질을 포함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 내장 후레쉬 등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야간에도 쉽게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기둥부재와 지지구조물의 사이에 소리발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기둥부재를 누르게 되면 소리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정확한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되 상부 중앙에 기둥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석재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지지구조물과; 하부가 상기 기둥삽입홈에 삽입되며, 상단 중앙에 핀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강재, 콘크리트,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기둥부재와; 상기 핀삽입홈에 끼워지며, 상단에 십자형의 망선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또는 강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핀부재와; 상기 기둥부재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앙카부재와; 상기 앙카부재가 설치된 기둥부재 및 지지구조물 둘레를 감싸 타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부재 하단이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핀부재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십자형의 망선은 핀부재의 상단부터 하부까지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선은 자외선 감응 형광 물질이 포함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핀삽입홈은 기둥부재 하단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핀부재가 핀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기 기둥부재의 내주면 일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 상부 및 하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핀부재로 하여금 상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홈의 하부에는 핀부재의 하단과 지지구조물 상단과의 사이가 이격되어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부재의 하단과 지지구조물의 상단에는 서로 부딪혀 소리를 발생하는 제1소리발생부재 및 제2소리발생부재로 구성된 소리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지지구조물 상부에 기둥삽입홈을 형성하여 기둥부재 하부를 기둥삽입홈에 끼워 고정하고, 기둥부재와 지지구조물 외부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한편, 기둥부재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된 앙카부재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기둥부재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또, 기둥부재 상부에는 핀삽입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망선이 형성된 핀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노출 부위가 마모되더라도 핀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십자형 망선은 핀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연속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노출 부위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십자형 망선의 위치까지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망선은 자외선 감응 형광 물질을 포함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 내장 후레쉬 등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야간에도 쉽게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둥부재와 지지구조물의 사이에 소리발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기둥부재를 누르게 되면 소리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정확한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소리발생장치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 크게 지지구조물(10), 기둥부재(20), 핀부재(30) 및 콘크리트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구조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장방형의 구조를 가지며, 상부 중앙에는 기둥부재(20) 하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기둥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지지구조물(10)은 콘크리트나 석재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기둥부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기둥삽입홈(11)에 끼워져 삽입되며, 상단 중앙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하게 핀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어 핀부재(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기둥부재(20)는 합성수지나 강태, 콘크리트 및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핀부재(30)는 상기 핀삽입홈(2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십자형의 망선(3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핀부재(30)는 합성수지 또는 강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핀부재(30)는 기둥부재(20)를 성형할 때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기둥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핀부재(30)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기둥부재(20)의 핀삽입홈(21)에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앙카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20)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다수 개의 리브(41)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41)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층(50)과 앙카부재(40)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기둥부재(20)의 외주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2)을 형성하고, 앙카부재(40)의 하단이 걸림턱(2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앙카부재(40)가 기둥부재(20) 하단까지 미끄러 내려가지 않고 지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콘크리트층(5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앙카부재(40)가 설치된 기둥부재(20) 및 지지구조물(10) 둘레를 감싸 타설치되어 있어 지지구조물(10) 상에 설치된 기둥부재(2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기둥부재(20)의 상단은 콘크리트층(50)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기둥부재(20)가 지지구조물(10) 상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세워져 외력에 의해 기둥부재(20)가 뽑히거나 지지구조물(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룬다.
구체적인 이유로 첫째, 지지구조물(10) 상의 기둥삽입홈(11)에 기둥부재(20)의 하부가 끼워져 있어 지지구조물(10)과 기둥부재(20)가 견고한 연결 관계를 갖기 때문이며, 둘째, 기둥부재(20)의 외주면에 다수의 리브(41)가 형성된 앙카부재(40)가 고정 설치되므로, 콘크리트층(50)과 기둥부재(2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수직으로 잡아당기는 힘 등에 의해 기둥부재(20)가 뽑히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기둥부재(20) 상부에는 핀삽입홈(21)이 형성되고, 여기에 망선(31)이 형성된 핀부재(30)가 끼워져 있음으로 인해 노출 부위가 마모되더라도 핀부재(30)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십자형 망선(31)을 구성함에 있어서 핀부재(3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연속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노출 부위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십자형 망선(31)의 위치까지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정확도를 보다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십자형 망선(31)을 자외선 감응 형광 물질이 포함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식별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내장 후레쉬 어플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야간에도 쉽게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주간에 별도의 식별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기준점의 위치를 보다 잘 찾을 수 있도록 소리발생장치(70)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핀삽입홈(21)이 기둥부재(20) 하단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핀부재(30)가 핀삽입홈(21)에 끼워져 삽입된 채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기둥부재(20)의 내주면 일측에 가이드홈(23)이 형성되고, 핀부재(30)의 외주면에 가이드홈(23) 상부 및 하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돌기(32)가 형성됨으로써 돌기(32)가 가이드홈(23) 상,하단에 걸리는 위치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돌기(32)의 하부에 스프링(60)이 설치되어 핀부재(30)로 하여금 상향으로 이동하려 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핀부재(30)에 하향 압력이 작용할 경우 핀부재(30)가 핀삽입홈(21)에 끼워진 채 하향 이동했다 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의 이동 거리는 가이드홈(23)의 상하단 거리만큼 이동이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핀삽입홈(21)의 하부에는 핀부재(30)의 하단과 지지구조물(10) 상단과의 사이가 이격된 중공부(12)가 형성되고, 핀부재(30)의 하단과 지지구조물(10)의 상단에는 서로 부딪혀 소리를 발생하는 제1소리발생부재(71) 및 제2소리발생부재(72)로 구성된 소리발생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즉, 핀부재(30)가 하향 이동하면서 제1소리발생부재(71)와 제2소리발생부재(72)가 부딪혀 소리를 발생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는 지면에서 발이나 나무 막대 등으로 핀부재(30)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제1소리발생부재(71)와 제2소리발생부재(72)가 부딪히면서 소리가 나도록 한 것으로, 별도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장비를 휴대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제1소리발생부재(71)와 제2소리발생부재(72)는 다양한 공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종과 추로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지지구조물 11 : 기둥삽입홈
12 : 중공부 20 : 기둥부재
21 : 핀삽입홈 22 : 걸림턱
23 : 가이드홈 30 : 핀부재
31 : 망선 32 : 돌기
40 : 앙카부재 41 : 리브
50 : 콘크리트층 60 : 스프링
70 : 소리발생장치 71 : 제1소리발생부재
72 : 제2소리발생부재

Claims (5)

  1.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있어서,
    지중에 매설되되 상부 중앙에 기둥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석재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지지구조물(10)과;
    하부가 상기 기둥삽입홈(11)에 삽입되며, 상단 중앙에 핀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강재, 콘크리트,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기둥부재(20)와;
    상기 핀삽입홈(21)에 끼워지며, 상단에 십자형의 망선(31)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또는 강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핀부재(30)와;
    상기 기둥부재(20)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다수 개의 리브(41)가 형성되어 있는 앙카부재(40)와;
    상기 앙카부재(40)가 설치된 기둥부재(20) 및 지지구조물(10) 둘레를 감싸 타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기둥부재(20) 외주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부재(40) 하단이 걸림턱(22)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부재(3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십자형의 망선(31)은 핀부재(30)의 상단부터 하부까지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삽입홈(21)은 기둥부재(20) 하단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핀부재(30)가 핀삽입홈(21)에 삽입된 채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기 기둥부재(20)의 내주면 일측에 가이드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부재(30)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23) 상부 및 하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32)의 하부에는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어 핀부재(30)로 하여금 상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홈(21)의 하부에는 핀부재(30)의 하단과 지지구조물(10) 상단과의 사이가 이격되어 중공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부재(30)의 하단과 지지구조물(10)의 상단에는 서로 부딪혀 소리를 발생하는 제1소리발생부재(71) 및 제2소리발생부재(72)로 구성된 소리발생장치(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선(31)은 자외선 감응 형광 물질이 포함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5. 삭제
KR1020120023060A 2012-03-06 2012-03-06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KR10117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060A KR101177551B1 (ko) 2012-03-06 2012-03-06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060A KR101177551B1 (ko) 2012-03-06 2012-03-06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551B1 true KR101177551B1 (ko) 2012-08-27

Family

ID=4688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060A KR101177551B1 (ko) 2012-03-06 2012-03-06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5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676B1 (ko) * 2019-07-16 2020-10-27 이재영 측량 기준점 표지구
KR20210010070A (ko) 2019-07-19 2021-01-27 대진기술정보 (주)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RU206697U1 (ru) * 2021-05-24 2021-09-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Казан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ланового и высотного положения переходных точек на местност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676B1 (ko) * 2019-07-16 2020-10-27 이재영 측량 기준점 표지구
KR20210010070A (ko) 2019-07-19 2021-01-27 대진기술정보 (주)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RU206697U1 (ru) * 2021-05-24 2021-09-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Казан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ланового и высотного положения переходных точек на местност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551B1 (ko)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US20150104254A1 (en) Manhole marker
KR101586755B1 (ko) 정확한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측량 장치
US650800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horizontal foundation for a masonry wall
KR101203711B1 (ko) 차선 표시블록
US8887406B2 (en) Footer square apparatuses
KR101010333B1 (ko) 수준측량에 사용되는 조립식 수준점 설치장치
KR200487137Y1 (ko) 관로표시장치
US20030047226A1 (en) Location marker
KR200493370Y1 (ko)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KR20110106727A (ko) 경사 규준틀
WO2020134186A1 (zh) 一种可调式电缆标志装置
CN109616029B (zh) 一种可调式电缆标志装置
KR100913547B1 (ko) 배수재 매설시공장비
KR100793696B1 (ko) 쓰레기매립장의 폐기물층 침하 계측기기
KR20120000929U (ko) 지하매설물 위치표시용 파일구조
CN205664836U (zh) 一种土木工程施工放样定位桩
CN106087982B (zh) 一种灌注桩桩位保护及护筒安全防护设备
KR20180100742A (ko) 표지주 설치형 표지판 및 이의 설치방법
CN1091521C (zh) 位置标示系统及用于此系统的位置标示器
KR100609507B1 (ko) 측지기준 표주
RU145484U1 (ru) Межевой знак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точек опорной межевой сети и опорных межевых знаков со встроенным информационно-индификационном чипом
KR101658028B1 (ko) 표척의 정밀 계측을 위한 측량측지 설치장치
CN101639356A (zh) 测量器具
KR200368824Y1 (ko) 측지기준 표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