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70Y1 -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70Y1
KR200493370Y1 KR2020190002711U KR20190002711U KR200493370Y1 KR 200493370 Y1 KR200493370 Y1 KR 200493370Y1 KR 2020190002711 U KR2020190002711 U KR 2020190002711U KR 20190002711 U KR20190002711 U KR 20190002711U KR 200493370 Y1 KR200493370 Y1 KR 200493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connector
manhole cover
identification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030U (ko
Inventor
전해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셈즈
전해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셈즈, 전해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셈즈
Priority to KR2020190002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7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4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freezing the soi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홀뚜껑 또는 맨홀뚜껑 받침대에 형성된 홀에 삽입 설치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관로표지기에 있어서, 상기 홀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기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여 외력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Identification device of pipe indicator}
본 고안은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뚜껑이나 맨홀뚜껑 받침대의 상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유동,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고, 원거리에서 맨홀뚜껑의 위치와 지하매설물의 종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차 산업시대로 접어들면서 사물인터넷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지하에 매설된 각종 시설물도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관리하려는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매설물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또는 원형의 맨홀뚜껑 표면에 통신, 전기, 가스, 상수도, 하수도 등으로 그 종류를 표시하여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맨홀뚜껑 표면에 글자를 형성하여 지하매설물을 표시하면 글자 위로 지나가는 자동차나 보행자에 의해 지속적인 압력과 마찰이 가해지면서 글자가 점차 마모되어 지하매설물의 종류를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긴급상황 또는 야간작업시 작업자가 산포된 다수의 맨홀 중에서 작업 대상 맨홀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연동되는 RFID 태그를 통해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가 내장된 관로표지기(10)를 맨홀뚜껑(M)의 홀에 삽입하여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차량 이동에 따른 지반의 진동과 맨홀 자체의 유격으로 관로표지기(10)가 홀에서 유동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어 맨홀뚜껑(M)과 관로표지기(10)를 일체로 운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관로표지기와 맨홀뚜껑의 소재가 서로 상이할 경우 이종 소재의 물성 차이로 인해 관로표지기가 파손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소재의 맨홀뚜껑은 여름철 온도 상승시 부피가 팽창하고, 이로 인해 홀에 밀착하여 삽입된 관로표지기가 맨홀뚜껑의 팽창 압력을 받아 파손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 상태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맨홀뚜껑의 위치와 그 아래에 매설된 시설물의 종류를 원거리에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맨홀뚜껑 또는 맨홀뚜껑 받침대에 형성된 홀에 삽입 설치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관로표지기에 있어서, 상기 홀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기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고무링은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무링은 야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는 상기 표시기와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 그리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표시기의 나사 결합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구의 일단부는 상기 홀 밖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에 고정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홀 사이로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고정돌기 주변에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맨홀뚜껑 또는 맨홀뚜껑 받침대의 홀에 삽입 설치되는 표시기의 테두리에 고무링이 결합됨으로써 표시기가 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이로 인해 차량 운행으로 외력이 가해지거나 맨홀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관로표지기가 홀에서 유동하거나 이탈 또는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고무링이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야광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주간 및 야간 작업시 원거리에서도 맨홀뚜껑의 위치와 그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의 종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관로표지기가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풀리거나 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맨홀뚜껑에 관로표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맨홀뚜껑의 저면부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는 표시기(110)와 고무링(120)을 포함한다.
표시기(110)는 맨홀뚜껑(M) 아래에 매설된 시설물의 정보를 지상에서 육안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으로, 맨홀뚜껑(M)이나 맨홀뚜껑 받침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삽입 설치되며, 몸체부(111)와 헤드부(112)로 구성된다.
몸체부(111)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수나사산(111a)이 형성된다.
헤드부(112)는 몸체부(11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몸체부(111)의 상단에 형성된다. 헤드부(112)의 경우에도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빈 공간에 RFID 태그(도면 미도시)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RFID 태그는 헤드부(112)에 표시하기 어려운 지하매설물의 세부 정보, 예컨대, 지하매설물의 매설 시기, 깊이, 직경, 재질, 주변 시설물, 설치 상태 등이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는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관리자나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RFID 태그는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헤드부(112)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에폭시수지 외에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헤드부(112)의 상부면에는 지하매설물의 간략한 정보, 예를 들면, 지하매설물의 종류(상수도관), 관리자(인천광역시) 등이 표시된다. 헤드부(112)의 상부면에 지하관로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작업자가 지상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신주 주물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112)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공구홈(112a)이 형성된다. 공구홈(112a)은 표시기(110)의 높낮이 조절에 사용되는 지그(도면 미도시)의 삽입을 위한 것으로, 지그를 삽입하여 표시기(11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대칭되게 형성된다.
고무링(120)은 표시기(110),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112)의 테두리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무링(120)은 헤드부(112)의 측면을 감싸는 환상의 측면부(120a)와, 측면부(120a)의 하부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헤드부(112)의 테두리 하부를 감싸는 하면부(120b)를 포함한다.
이 경우, 고무링(120)은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국가 안전 5대 지하시설물로서 상수도는 청색, 하수도는 회색, 도시가스는 노란색, 전기선은 적색, 통신선은 주황색 등으로 다른 색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원거리에서도 맨홀뚜껑(M)의 위치와 지하매설물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고무링(120)은 상술한 주간 식별력과 더불어 야간 식별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야광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야광 물질에 의해 야간 식별력이 확보되면 야간작업이나 비상상황 발생시 맨홀뚜껑(M)의 위치와, 그 아래에 매설된 시설물, 그리고 시설물의 관리주체 등을 빠르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링(120)이 식별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고무링(120)이 헤드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부(120a)의 상부면이 헤드부(112)의 상부면과 적어도 동일한 평면을 이룰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측면부(120a)의 상부면이 헤드부(112)의 상부면보다 낮게 형성되면 측면부(120a)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가 측면부(120a)의 직상방에서 보지 않는 한 고무링(120)의 색상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면부(120b)와 마찬가지로 측면부(120a)의 상부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헤드부(112)의 테두리 상부를 감싸는 상면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면부가 형성되면 고무링(120)이 상면부와 하면부(120b)에 의해 헤드부(112)의 상하부에 동시에 걸리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고무링(120)은 표시기(110)를 맨홀뚜껑(M)의 홀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맨홀뚜껑(M)의 유격이나 차량 운행 등으로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가 유동하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의 유동이나 풀림으로 인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온도 상승으로 맨홀뚜껑(M)이 팽창하더라도 고무링(120)의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맨홀뚜껑(M)의 팽창력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가 맨홀뚜껑(M)의 팽창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는 연결구(130)와 고정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130)는 대략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연결구(130)의 내측에는 표시기(110)의 수나사산(111a)에 대응하는 암나사산(130a)이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기(110)의 수나사산(111a)을 연결구(130)의 암나사산(130a)에 가결합하고, 지그를 헤드부(112)의 공구홈(112a)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암나사산(130a)과 수나사산(111a)이 맞물리면서 표시기(110)가 상하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표시기(110)의 높이를 맨홀뚜껑(M)의 표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연결구(1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30b)가 상하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130)의 표면에 다수의 고정돌기(130b)를 형성하면 연결구(130)를 맨홀뚜껑(M)이나 맨홀뚜껑 받침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연결구(130)를 맨홀뚜껑(M) 또는 맨홀뚜껑 받침대의 홀에 삽입하고, 연결구(130) 주변에 에폭시수지를 충진하면 에폭시수지가 고정돌기(130b) 사이로 침투하여 홀 내부에 고착되기 때문에 우수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맨홀뚜껑(M)의 설계 오차로 발생하는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의 유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구(130)의 외측에는 고무 재질의 오링(131)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수단(140)은 표시기(110)와 연결구(130)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표시기(110)와 연결구(130)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구(130)의 일측으로부터 나사 결합부, 즉, 암나사산(130a)과 수나사산(111a)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표시기(110)와 연결구(130)가 고정수단(1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맨홀 주변의 공사 등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결합 상태가 풀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고정수단(140)으로는 핀 또는 나사못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구(130)의 일단에는 체결부(130c)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부(130c)의 돌출 길이는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의 설치 상태에서 맨홀뚜껑(M) 등의 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다. 이러한 체결부(130c)에는 고정수단(141)이 결합된다. 체결부(130c)를 고정수단(141)으로 고정하면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100)가 전체적으로 맨홀뚜껑(M) 등의 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141)으로는 오링(142), 스냅링(143), 와셔(144), 너트(145) 등을 적절한 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110 : 표시기
111 : 몸체부 111a : 수나사산
112 : 헤드부 112a : 공구홈
120 : 고무링 120a : 측면부
120b : 하면부 130 : 연결구
130a : 암나사산 130b : 고정돌기
130c : 체결부 131 : 오링
140. 141 : 고정수단 142 : 오링
143 : 스냅링 144 : 와셔
145 : 너트 M : 맨홀뚜껑

Claims (6)

  1. 맨홀뚜껑 또는 맨홀뚜껑 받침대에 형성된 홀에 삽입 설치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관로표지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기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야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무링은 상기 헤드부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부의 테두리 하부를 감싸는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상부면이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과 적어도 동일한 평면을 이루어 상기 고무링의 색상이 용이하게 확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와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 그리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표시기의 나사 결합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일단부는 상기 홀 밖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에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홀 사이로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고정돌기 주변에 충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KR2020190002711U 2019-06-27 2019-06-27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KR200493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11U KR200493370Y1 (ko) 2019-06-27 2019-06-27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11U KR200493370Y1 (ko) 2019-06-27 2019-06-27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30U KR20210000030U (ko) 2021-01-06
KR200493370Y1 true KR200493370Y1 (ko) 2021-03-18

Family

ID=7413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11U KR200493370Y1 (ko) 2019-06-27 2019-06-27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693B1 (ko) * 2021-03-19 2022-11-04 대진기술정보 (주) 맨홀정보제공칩 코킹장치
KR102378747B1 (ko) * 2021-07-29 2022-03-25 김태우 맨홀 명찰 및 그 부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24Y1 (ko) * 1999-08-19 2000-02-15 이명상 맨홀뚜껑의 완충구조
KR200487137Y1 (ko) * 2017-03-07 2018-08-09 이에스피 주식회사 관로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034A (ko) * 2008-11-04 2010-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표시가 가능한 맨홀
KR20180119992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은진전력 맨홀 위치에 대한 관리번호 표시기 및 이를 포함하는 맨홀 뚜껑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24Y1 (ko) * 1999-08-19 2000-02-15 이명상 맨홀뚜껑의 완충구조
KR200487137Y1 (ko) * 2017-03-07 2018-08-09 이에스피 주식회사 관로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30U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370Y1 (ko)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US6945731B1 (en) Subterranean utility marker
KR200487137Y1 (ko) 관로표시장치
KR101447095B1 (ko) 지중선로 표지기
US6807987B2 (en) Location marker
US10705249B2 (en) Electronic marker with integral level indicator
KR20110008452U (ko) 개량된 덮개부를 갖는 표시못
WO2020134186A1 (zh) 一种可调式电缆标志装置
US20190169806A1 (en) Apparatus for marking the location of a utility fixture
KR102222454B1 (ko)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63371B1 (ko)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KR20180100742A (ko) 표지주 설치형 표지판 및 이의 설치방법
KR20220101832A (ko)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US6053207A (en) Valve cover and its related system
KR20050121651A (ko) 제수변용 맨홀의 철개
KR102365251B1 (ko) 야간 식별성을 갖는 매설 관로 표지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70073327A (ko) 매설 관로 표지기 및 그 제조 방법
JP6827669B2 (ja) 埋設物表示構造
KR200414007Y1 (ko) 상수도,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매설위치 표시기
KR200433764Y1 (ko) 식별기능이 개선된 측량 표주
KR200314493Y1 (ko) 매설 관로 표시기
KR20180044098A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장착형 rfid 마커 홀더
JP2013142241A (ja) 視線誘導標識の脚部取付け構造及び視線誘導標識
KR101741782B1 (ko) 지중매설물 위치감지 식별장치
KR101702848B1 (ko) 다방향 상하수관로 표시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