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832A -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832A
KR20220101832A KR1020210003803A KR20210003803A KR20220101832A KR 20220101832 A KR20220101832 A KR 20220101832A KR 1020210003803 A KR1020210003803 A KR 1020210003803A KR 20210003803 A KR20210003803 A KR 20210003803A KR 20220101832 A KR20220101832 A KR 20220101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pipe
setting step
pipeline
buri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국
Original Assignee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술정보 (주) filed Critical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to KR102021000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1832A/ko
Publication of KR2022010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4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5/00Data processing: presentation processing of document, operator interface processing, and screen saver display processing
    • Y10S715/961Operator interface with visual structure or function dictated by intended use
    • Y10S715/964CAD or CAM, e.g. interactive design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모바일앱을 구동하고 표지수단을 태깅하여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를 로딩하는 앱실행단계(S10)와, 매설관로의 종류 및 매설형태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종류설정단계(S20)와,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매설관로의 위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위치설정단계(S30)와, 매설관로의 위치를 기준으로 매설관로의 매설형태에 따른 진행 방향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방향설정단계(S40)와,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매설관로와의 이격 거리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숫자로 입력하는 이격거리설정단계(S50)와, 매설관로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표면에서 매설관로의 상단 까지의 심도와, 해당 매설관로의 관경, 및 재질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하는 관로정보설정단계(S60)와,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정보설정단계(S20~S6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면도 및 평면도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도면생성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모바일앱을 이용해 간편하게 매설관로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AUTOMATICALLY CREATE METHOD FOR DREAWING OF UNDERGROUND PIP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등에서 활용 가능한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태그를 내장하는 매설관로 표지수단과 모바일앱을 연동하여 해당 매설관로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숫자 등으로 입력하면 해당 관로에 대한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지중에는 상·하수관로, 가스관로, 전기·통신선로 등 각종 매설관로가 다양한 경로를 형성하며 매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설관로는 주변 지역의 토목공사 또는 관로의 보수 작업 등을 시행시 안전사고 방지 및 원활한 공사 진행을 위해서 사전에 매설관로의 종류나 진행방향, 매설심도 등의 정보를 공사자가 면밀하게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매설관로의 매립 위치의 지상에는 소정의 표지수단을 설치하도록 법제화하여 매설관로에 관한 간략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도로를 일일이 굴착하지 않고 지상에서 손쉽게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앵커타입의 표지기는 매설관로의 종류와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헤드와 못 형태의 핀을 구비하여 매설관로가 매립된 도로나 보도의 지표상에 헤드가 노출되도록 핀을 매립하여 설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앵커타입 표지기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헤드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므로 획득할 수 있는 정보가 매우 한정적이고 불명확한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NFC와 같은 전자태그를 내장하여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표지수단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자태그를 내장하는 표지수단에 관해 공지된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07 - 0092374 호에는 지하매설물에 관련된 정보를 지상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하여 지표에 설치되는 표시못으로서, 그 하단부는 테이퍼지고 상단부는 홈형태의 안착부를 이루고 지하에 매설하기 위한 핀과, 안착부에 장착되는 전자태그와, 핀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안착부 둘레에 삽입되며 안착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는 헤드와, 헤드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 전자태그가 안착된 공간을 밀봉하는 헤드커버를 포함하고, 헤드커버의 표면에는 지하매설물의 종류와 방향을 지시하는 정보가 음각 또는 양각된 기호 및 인쇄된 색깔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되고, 전자태그에는 무선으로 태깅가능한 고유한 식별부호가 내장되는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75044 호에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확인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있어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고 상면에 큐알코드가 각인되며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체결되고 RFID, UHF, NFC 중 하나로 이루어져 정보가 저장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정보저장부와,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홈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지중에 삽입설치되는 봉체부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31402 호에는 둥근 형상의 본체 중앙에 형성되는 상향 개방형의 설치홈과, 설치홈의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 형성되는 걸림홈과, 설치홈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 캡을 포함하고, 캡의 저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는 UHF 태그 및 NFC 태그와, 캡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과, 걸림턱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본체의 저부면 중앙에 형성되고 시설물의 구멍에 결합된 다음 너트로 체결되는 하향 돌출형 나봉을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및 공간정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정보표지를 구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07 - 0092374 호 (2007.09.1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75044 호 (2014.10.31)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31402 호 (2015.06.25)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4 - 0005028 호 (2014.09.22)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매설관로 표지수단은 상단 헤드에 소정의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NFC와 같은 전자태그를 내장하도록 형성하며 전자태그에는 매설관로의 정보를 저장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자태그를 내장하는 매설관로 표지수단은 설치 지역에 따라서 매설관로의 직상이나 포장도로의 좌, 우측에 설치하는 표지기, 경계석에 설치하는 표지판, 및 국도나 지방도, 고속도로 등의 길어깨나 비탈면에 설치하는 표지주의 형태로 그 설치 기준이 법제화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매설관로 표지수단은 매설관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지수단과 매설관로의 상관관계가 표시된 도면이나 매설관로가 어떠한 형태로 얼마 만큼의 깊이에 매설되어 있는지 등의 도면을 추가적으로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취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매설관로에 대한 지중 매립 상태나 표지수단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여 매립 위치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그려지는 매설관로 도면은 통상적으로 매설관로를 시공 시 도면 작업자가 그려서 생성하므로 도면 작업을 위한 전문 인력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매설관로 및 매설관로 표지수단 각각의 설치 및 관리, 유지보수 과정에서 실제 현장 조건이나 변동 사항을 도면 작업자가 작업시마다 신속,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려우므로 도면 정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정확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한다.
아울러, 그려진 도면을 매설관로 표지수단에 내장된 전자태그에 저장하고자 하여도 전자태그의 메모리에 한계가 있어 이미지화 된 도면을 저장이 불가능한 형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매설관로의 인근 지상에 설치하고 전자태그를 내장하는 매설관로 표지수단과, 매설관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하는 모바일앱을 연동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있어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모바일앱을 구동하고 표지수단을 태깅하여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를 로딩하는 앱실행단계(S10)와,
상기 매설관로의 종류 및 매설형태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종류설정단계(S20)와,
상기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위치설정단계(S30)와,
상기 관로위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매설형태에 따른 진행 방향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방향설정단계(S40)와,
상기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위치설정단계(S20~S30)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와의 이격 거리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숫자로 입력하는 이격거리설정단계(S50)와,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표면으로부터 매설관로의 상단 까지의 심도와, 해당 매설관로의 관경, 및 재질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숫자나 문자로 입력하는 관로정보설정단계(S60)와,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정보설정단계(S20~S6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면도 및 평면도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도면생성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모바일앱을 이용해 간편하게 매설관로에 대한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정보설정단계(S20~S60)를 거치지 않더라도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모바일앱을 실행한 후 매설관로 표지수단을 태깅하여 표지수단에 저장된 숫자나 문자 등의 정보를 읽어와 상기 도면생성단계(S70)를 거침으로써 스마트기기에 도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매설관로의 매립 및 매설관로 표지수단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매설관로 표지수단에 내장되는 전자태그와 모바일앱을 연동하여 해당 매설관로의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매설관로의 도면을 매설관로 시공 시 도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그려서 제공하였던 방식과 차별하여, 실제 매설관로 및 매설관로 표지수단이 설치된 현장에서 매설관로 및 표지수단 관리자가 모바일앱을 이용해 간편하게 도면을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매설관로 도면 작업에 소요되는 전문 인력 및 시간을 현저히 감축하여 효율화할 수 있고, 단순 숫자나 문자만을 입력함으로써 표지수단과 매설관로의 상관관계가 표시된 도면이나 매설관로가 어떠한 형태로 얼마만큼의 깊이에 매설되어 있는지 등의 도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매설관로 및 매설관로 표지수단 각각의 설치 및 관리, 유지보수 과정에서 실제 현장 조건이나 변동사항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자가 현장에서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정확도 및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도면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 이미지.
이하, 본 발명의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은 전자태그를 내장하는 매설관로 표지수단과 모바일앱을 연동하여 해당 매설관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해당 관로와 표지수단에 대한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매설관로의 인근 지상에 설치하고 전자태그를 내장하는 매설관로 표지수단과, 매설관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하는 모바일앱을 연동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매설관로 표지수단은 설치 지역에 따라서 표지기, 표지판, 표지주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자태그를 내장한다. 표지기는 매설관로의 직상이나 포장도로의 좌, 우측에 설치하며, 표지판은 보, 차도 사이의 경계석에 설치하며, 표지주는 국도나 지방도, 고속도로 등의 길어깨나 비탈면에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 차도 경계석에 설치하는 표지판을 상기 표지수단의 예로 적용하여 설명하는바, 다른 종류의 표지수단에 대해서도 본원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전자태그는 일반적인 스마트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NFC모듈과 연동하도록 NFC태그로 구성한다. NFC태그는 근거리에서 무선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전자태그로서 스마트기기의 NFC모듈을 활성화 한 후 태깅만 하면 자동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져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는바, 이에 관해서는 주지된 기술을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바일앱은 매설관로를 설치하거나 관리하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NFC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지며 앱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매설관로 및 해당 매설관로를 표지하는 표지수단이 설치되면 관리자는 모바일앱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실행단계(S10)와, 관로종류설정단계(S20)와, 관로위치설정단계(S30)와, 관로방향설정단계(S40)와, 이격거리설정단계(S50)와, 관로정보설정단계(S60)와, 도면생성단계(S70)를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매설관로에 대한 도면을 형성한다.
상기 앱실행단계(S10)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모바일앱을 구동하고 표지수단을 태깅하여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를 로딩하는 단계이다.
상기 앱실행단계(S10)에서는 관리자가 매설관로 표지수단이 설치된 현장에서 모바일앱을 구동하여 실행하고 도면데이터가 숫자나 문자 형태로 저장되어 있지 않은 표지수단의 NFC태그를 태깅한다. 해당 매설관로에 대한 도면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모바일앱에 탑재되어 있는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로딩한다.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는 상기 매설관로의 종류 및 형태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에서는 매설관로의 종류별로 다수의 선택지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관리자가 택일하여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매설관로의 종류에는 예컨대 도시가스, 상·하·오수관로, 전기·통신관로, 난방·유류관로, 케이블 등이 있으며 상기 모바일앱의 업데이트를 통해 리스트를 추가 및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에서는 매설관로의 평면상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다수의 선택지를 제공하여 후술하게 될 도면생성단계(S70)에서 평면도 상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에서는 매설관로의 평면상 형태에 따른 다수의 선택지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관리자가 택일하여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매설관로의 형태에는 예컨대 직진형, T분기형, 엘보형, 135°엘보형, 관말형 등이 있으며 상기 설정된 매설관로의 종류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여 설정 가능한 형태의 선택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는 상기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에서는 매설관로가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 하 및 좌, 우 위치로 구분되는 다수의 선택지를 미리 만들어진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여 후술하게 될 도면생성단계(S70)에서 평면도 및 단면도 상에 반영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에서는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매설관로의 평면상 위치에 따른 다수의 선택지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고 관리자가 택일하여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매설관로의 위치는 경계석에 설치되는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예컨대 차도방향에서 좌측차도, 정면차도, 우측차도에 위치하거나, 보도방향에서 좌측보도, 후면보도, 우측보도에 위치하는 등이 있으며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종류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여 설정 가능한 위치의 선택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로방향설정단계(S40)는 상기 관로위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형태에 따른 진행 방향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로방향설정단계(S40)에서는 매설관로의 진행방향에 따라 분류되는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를 제공하여 후술하게 될 도면생성단계(S70)에서 평면도 상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로방향설정단계(S40)에서는 매설관로의 평면상 진행방향 또는 분기방향에 따른 다수의 선택지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고 관리자가 택일하여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매설관로의 방향은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 및 관로위치설정단계(S30)에 의해 설정된 위치 및 형태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여 설정 가능한 방향의 선택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설정단계(S50)는 상기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위치설정단계(S20~S30)에서 설정된 매설관로까지의 이격 거리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격거리설정단계(S50)에서는 표지수단에서 매설관로까지의 가로 및 세로 이격거리를 수치로 입력하여 후술하게 될 도면생성단계(S70)에서 평면도 및 단면도 상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거리설정단계(S50)에서는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매설관로의 형태 및 위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고 표지수단과 매설관로 사이의 이격거리를 관리자가 수치로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로정보설정단계(S60)는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표면에서 매설관로의 상단 까지의 심도와, 해당 매설관로의 관경, 및 재질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로정보설정단계(S60)에서는 매설관로의 심도, 관경, 재질을 수치 및 문자로 입력하여 후술하게 될 도면생성단계(S70)에서 단면도 상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진다. 관로정보설정단계(S60)에서는 기타 관련 정보로 매설관로에 대한 관리기관 정보나 관리기관의 연락처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도면생성단계(S70)는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정보설정단계(S20~S6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면도 및 평면도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도면생성단계(S70)에서는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매설관로 및 표지수단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와, 평면을 도시하는 평면도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정보조회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도면생성단계(S70)에 의해 생성되는 단면도는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 및 이격거리설정단계(S50)에 의해 설정된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매설관로의 위치 및 이격거리와, 상기 관로정보설정단계(S60)에 의해 설정된 매설관로의 심도, 관경, 재질을 단면도 상에 표시하도록 생성한다.
상기 도면생성단계(S70)에 의해 생성되는 평면도는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 및 관로방향설정단계(S40)에 의해 설정된 매설관로의 형태 및 진행방향과,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 및 이격거리설정단계(S50)에 의해 설정된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매설관로의 위치 및 이격거리를 평면도 상에 표시하도록 생성한다.
한편, 상기 도면생성단계(S70) 이후에는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정보설정단계(S20~S6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입력된 정보와 도면생성단계(S70)에서 생성된 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면데이터로 생성하고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도면데이터저장단계(S80)를 포함한다.
상기 도면데이터저장단계(S80)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거쳐 생성되는 매설관로 도면을 도면데이터 파일로 생성하고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를 시공하거나 관리하는 업체 등에서 운영하는 매설관로관리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저장되는 도면데이터는 도면데이터조회단계(S11)에서 상기 모바일앱에 탑재되어 있는 정보조회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도면데이터검색단계(S12)에서 상기 모바일앱에 탑재되어 있는 주변관로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 도면데이터조회단계(S11)는 정보조회 인터페이스를 로딩하여 상기 도면데이터가 기 생성된 매설관로의 도면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이다.
상기 도면데이터조회단계(S11)에서는 관리자가 스마트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모바일앱을 실행하여 표지수단을 태깅함으로써 표지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도면데이터를 리딩하여 해당 매설관로 및 표지수단에 대한 단면도 및 평면도를 조회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면데이터검색단계(S12)는 관리자가 스마트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모바일앱을 실행하여 관리자의 현재 위치 주변이나 특정위치 주변에 대한 주변관로 검색 기능을 실행하면 모바일앱은 주변관로검색 인터페이스를 로딩하여 도면데이터가 기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매설관로관리서버에 무선으로 접근하여 관리자 주변에 위치하는 매설관로를 검색하고 조회하는 단계이다.
상기 도면데이터검색단계(S12)에서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통신모듈 및 GPS모듈과 매설관로관리서버를 연동하여 모바일앱이 요청하는 해당 위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에 대한 도면데이터를 검색하고 임의의 매설관로 및 표지수단에 대한 단면도 및 평면도를 조회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매설관로, 또는 해당 매설관로에 관한 정보를 표지하도록 관로 주변 지상에 설치되는 표지수단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에 도면 자동 생성을 위한 모바일앱을 설치한다.
앱실행단계(S10)를 통해 관리자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앱을 구동하고 스마트기기의 NFC모듈을 활성화하여 표지수단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태그를 태깅하게 되면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는 로딩되어 실행된다.
상기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는 태깅한 표지수단에 도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도면데이터를 리딩하여 도면생성단계(S70)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여주게 되며, 태깅한 표지수단에 도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관로종류설정단계(S20) 내지 도면생성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를 계속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바일앱은 매설관로 및 표지수단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자동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는바, 단면도의 생성을 위해서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매설관로의 위치 및 이격거리와, 매설관로의 심도, 관경, 재질을 포함한 정보를 등록하고, 평면도의 생성을 위해서 매설관로의 형태 및 진행방향과,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매설관로의 위치 및 이격거리를 포함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수행한다.
관로종류설정단계(S20)를 통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보등록 인터페이스에서 관로종류를 터치하면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설관로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지로 이루어진 리스트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그 중 하나를 택일한다. 또한, 도 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설관로의 형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지로 이루어진 리스트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매설관로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지에 포함되는 매설관로의 형태는 다르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관로종류설정단계(S20)에서 설정되는 매설관로의 형태는 하기 관로방향설정단계(S40)에 연계된다.
관로위치설정단계(S30)를 통해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설관로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지로 이루어진 이미지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평면상에서 표지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매설관로가 매립된 위치를 택일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보도방향 후면에 위치하는 매설관로를 선택하였다.
관로방향설정단계(S40)를 통해 도 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위치설정단계(S30)의 도 3의 (e)에서 선택한 위치에서 매설관로의 진행 또는 분기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지로 이루어진 이미지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에서 선택한 매설관로의 형태에 따라서 평면상에서 방향을 택일하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에서 'T분기형'을 설정하면 관로방향설정단계(S40)에서는 도 3의 (f)에서와 같이 'T분기형' 매설관로로부터 설정 가능한 방향의 다수의 선택지를 이미지로 제공하여 도 3의 (g)에서와 같이 택일하도록 한다.
이격거리설정단계(S50)를 통해 도 3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방향설정단계(S40)의 도 3의 (g)에서 선택한 도면을 보여주고 표지수단과 매설관로 사이의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상기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설정된 정보들에 의해 평면상에서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를 표시하여 도 4의 (i)에서와 같이 그 이격거리를 수치로 입력하도록 이루어진다.
관로정보설정단계(S60)를 통해 도 4의 (j) 내지 도 5의 (n)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설관로의 매설 심도, 관경, 및 재질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수치 및 문자로 입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단면도 및 평면도 생성에 필요한 정보가 등록되면 도면생성단계(S70)를 통해 상기 모바일앱은 내장된 도면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단면도 및 평면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도 5의 (o)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보조회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조회 인터페이스에는 관로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거나, 도 5의 (p) 및 도 6의 (q)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형태로 생성된 단면도 및 평면도를 제공한다. 상기 단계들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토대로, 단면도 상에는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의 위치, 이격거리, 심도, 재질, 관경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며, 평면도 상에는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의 위치, 형태, 이격거리, 방향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생성된다.
아울러, 도면데이터저장단계(S80)를 통해 상기 도면생성단계(S70)에서 생성된 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면데이터 파일로 생성하여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스마트기기로 표지수단을 직접 태깅하거나 사용자 주변이나 특정지역 주변에 위치하는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의 도면데이터를 전송받아 정보조회 인터페이스 및 주변관로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은 매설관로 및 매설관로 표지수단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표지수단에 내장되는 전자태그와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모바일앱을 연동하여 해당 매설관로의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설관로 및 매설관로 표지수단이 설치된 현장에서 관리자가 모바일앱을 이용해 간편하게 도면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매설관로의 도면을 매설관로 시공 시 도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그려서 제공하였던 방식에 비해 도면 작업에 소요되는 전문 인력 및 시간을 현저히 감축하여 효율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설관로 및 매설관로 표지수단 각각의 설치 및 관리, 유지보수 과정에서 실제 현장 조건이나 변동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자가 현장에서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정확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는 매설관로 도면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S10: 앱실행단계
S11: 도면데이터조회단계
S12: 도면데이터검색단계
S20: 관로종류설정단계
S30: 관로위치설정단계
S40: 관로방향설정단계
S50: 이격거리설정단계
S60: 관로정보설정단계
S70: 도면생성단계
S80: 도면데이터저장단계

Claims (3)

  1. 매설관로의 인근 지상에 설치하고 전자태그를 내장하는 매설관로 표지수단과, 매설관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하는 모바일앱을 연동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있어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모바일앱을 구동하고 표지수단을 태깅하여 정보등록 인터페이스를 로딩하는 앱실행단계(S10)와,
    상기 매설관로의 종류 및 매설형태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종류설정단계(S20)와,
    상기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위치설정단계(S30)와,
    상기 관로위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선택단계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매설형태에 따른 진행 방향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만들어진 다수의 선택지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택일하는 관로방향설정단계(S40)와,
    상기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위치설정단계(S20~S30)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와의 이격 거리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숫자로 입력하는 이격거리설정단계(S50)와,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매설관로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표면으로부터 매설관로의 상단 까지의 심도와, 해당 매설관로의 관경, 및 재질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숫자나 문자로 입력하는 관로정보설정단계(S60)와,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정보설정단계(S20~S6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면도 및 평면도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도면생성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종류설정단계(S20) 및 관로방향설정단계(S40)에서는 매설관로의 평면상 형태 및 진행방향에 따라 분류되는 다수의 선택지를 리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여, 상기 도면생성단계(S70)에서 평면도 상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관로위치설정단계(S30)에서는 매설관로가 표지수단을 기준으로 상, 하 및 좌, 우 위치로 구분되는 다수의 선택지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이격거리설정단계(S50)에서는 표지수단에서 매설관로까지의 가로 및 세로 이격거리를 수치로 입력하여, 상기 도면생성단계(S70)에서 평면도 및 단면도 상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관로정보설정단계(S60)에서는 매설관로의 심도, 관경, 재질을 수치 및 문자로 입력하여, 상기 도면생성단계(S70)에서 단면도 상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생성단계(S70) 이후에는,
    관로종류설정단계 내지 관로정보설정단계(S20~S6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입력된 정보와 도면생성단계(S70)에서 생성된 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면데이터로 생성하고 표지수단 및 매설관로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도면데이터저장단계(S80)를 포함하고,
    상기 앱실행단계(S10)에서는,
    정보조회 인터페이스를 로딩하여 상기 도면데이터가 기 생성되어 표지수단에 저장된 매설관로의 도면데이터를 조회하는 도면데이터조회단계(S11)와,
    사용자 주변이나 특정지역 주변의 도면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하여 주변관로검색 인터페이스를 로딩하여 기 생성되어 매설관로관리서버에 저장된 매설관로를 검색하고 조회하는 도면데이터검색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KR1020210003803A 2021-01-12 2021-01-12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KR20220101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03A KR20220101832A (ko) 2021-01-12 2021-01-12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03A KR20220101832A (ko) 2021-01-12 2021-01-12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32A true KR20220101832A (ko) 2022-07-19

Family

ID=8260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803A KR20220101832A (ko) 2021-01-12 2021-01-12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18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870A (ko) * 2021-05-14 2022-11-22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관로 시설정보 표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4A (ko)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20140005028U (ko) 2013-03-12 2014-09-22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관로표지기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4-10-3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KR101531402B1 (ko) 2014-06-20 2015-06-25 주식회사 스마트지오 시설물 관리 및 공간정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정보표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4A (ko)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20140005028U (ko) 2013-03-12 2014-09-22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관로표지기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4-10-3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KR101531402B1 (ko) 2014-06-20 2015-06-25 주식회사 스마트지오 시설물 관리 및 공간정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정보표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870A (ko) * 2021-05-14 2022-11-22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관로 시설정보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614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onsite linking to location-specific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operations
US20120330849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erforming installations of engineered systems and generating site visit manifests for same
AU2010214066B2 (en)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visibility, quality control and capability for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or making operations
CA2815998C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generation and assessment of engineering plans
US85892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processing facilities map information and/or other image information on a marking device
US917740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electronic marking information on facilities map information and/or other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a marking device
US20120066273A1 (en) System for and methods of automatically inserting symbols into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operations
KR101677943B1 (ko) 매설관로 표지판
KR20070078826A (ko) Rfid 태그 내장형 지중표시기 및 그 운용 시스템
KR20220101832A (ko)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KR101789208B1 (ko) 공급자와 수용가 경계지점 간의 지상·지하시설물 측량·탐사를 통한 지상·지하시설물 데이터 db 관리플랫폼 형성장치 및 방법
KR101767406B1 (ko)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KR102647846B1 (ko) 매설관로 시설정보 표시 방법
CA2750908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processing facilities map information and/or other image information on a marking device
KR101442016B1 (ko) 근거리 무선 태그 커넥터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맨홀 또는 변실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철개의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또는 변실의 유지 관리 방법
JP3233343U (ja) 標示具
KR20220143312A (ko) 지하시설물 정보 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54869A (ko)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US20130307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surveying points along a property boundary
JPWO2010007779A1 (ja) 工事情報管理装置及び工事情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