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044Y1 -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044Y1
KR200475044Y1 KR2020130004266U KR20130004266U KR200475044Y1 KR 200475044 Y1 KR200475044 Y1 KR 200475044Y1 KR 2020130004266 U KR2020130004266 U KR 2020130004266U KR 20130004266 U KR20130004266 U KR 20130004266U KR 200475044 Y1 KR200475044 Y1 KR 200475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in body
facility information
screw thread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도명식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30004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확인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있어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고, 상면에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가 각인되며, 중앙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통신부가 포함되는 정보저장부 및 상부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제1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지중에 삽입설치되는 봉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봉체부에서 본체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나사산의 일부에는 제1래칫(Ratchet)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의 일부에는 제2래칫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은 표지못의 내부에 RFID, UHF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로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UNDERGROUND FACILITIES POSITIONAL INFORMATION MARKER}
본 고안은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표지못에 내장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적측량이나 토목측량과 같은 측량작업에서 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작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필요로 하고, 기준점이 되는 표지구를 매립하여 이를 이용해 측량작업을 행하고 있다.
하지만, 차도나 인도 등에 주로 설치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 수도관이나 도시가스관 등의 설치나 교체, 도로의 포장 및 확장 등으로 인하여 망실 또는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측량 작업시 측량장비에 기준점 좌표를 입력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종이로 된 표지점 관리대장에 기록된 좌표값을 보고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입력하는 수기(手記) 방식이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측량 결과물의 처리 및 관리도 비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므로 효율이 낮고, 자료의 갱신이나 보완 작업 또한 상당히 불편하고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관, 통신케이블, 송전케이블, 송유관, 상하수도관, 맨홀 및 방공호 등과 같은 각종 지하 매설물이나 교량시설물, 토목시설물 및 건축시설물 등에 관한 상세 정보들이 비(非)전자적인 형태로 간단하게만 제공되고 있어서, 정확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표지구의 일련번호를 참고하여 관리대장을 일일이 참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어서 각종 공사나 사고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자태그(RFID 태그)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지만 별도의 리더기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233호는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고안은 위치정보 표지구에 NFC와 QR코드를 병행 구성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NFC 리더/라이터기 등의 휴대 단말로 각종 지하 매설물이나 교량시설물, 토목/건축시설물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과 지적정보 등을 포함한 각종 위치 정보를 쉽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해당 고안은 정보저장부가 내재되고, 큐알코드가 각인되는 본체부와 봉체부를 결합한 후 봉체부를 지중으로 삽입설치하는 작업 방법과, 본체부 및 봉체부가 나사산을 통해 결합되는 결합 방법으로 인해 봉체부를 지중으로 삽입할 때 본체부가 파손되거나, 도로의 포장 및 확장 등에 의해 본체부가 망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23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표지못의 내부에 RFID, UHF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로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의 일부에 제1래칫이 형성되고, 봉체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의 일부에 제2래칫이 형성되어 봉체부로부터 본체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3목적은, 본체부의 상면에 각인되는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전자잉크로 각인하여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신부의 안테나로 활용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 1고안은,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확인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있어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고, 상면에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가 각인되며, 중앙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통신부가 포함되는 정보저장부 및 상부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제1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지중에 삽입설치되는 봉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봉체부에서 본체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나사산의 일부에는 제1래칫(Ratchet)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의 일부에는 제2래칫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봉체부는 측량 작업시 측량 장비의 기준점 좌표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기준점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통신부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HF(Ultra High Frequenc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고안은, 제 3고안에서, 상기 통신부에 내장되는 정보는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통신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정보저장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봉체부는 지면과의 마찰범위를 줄여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이 '+'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큐알코드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전자잉크로 각인되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신부의 안테나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은 표지못의 내부에 RFID, UHF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로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은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의 일부에 제1래칫이 형성되고, 봉체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의 일부에 제2래칫이 형성되어 봉체부로부터 본체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은 본체부의 상면에 각인되는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전자잉크로 각인하여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신부의 안테나로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의 A-A'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6은 도 1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실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의 A-A'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6은 도 1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실시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에 내장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은 본체부(110), 정보저장부(120) 및 봉체부(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은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에 내장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고, 상면에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111)가 각인되며, 중앙에 제1나사산(112a)이 형성된 결합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봉체부(130)는 측량 작업시 측량 장비의 기준점 좌표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기준점(133)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기준점(133)은 측량에서의 수준 기표와 같이 그곳에서부터 측정이 행하여지는 기준점(133)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후술되는 통신부(121)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정보저장부(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재(1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알코드(111)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에 전자잉크로 각인되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후술되는 통신부(121)의 안테나로써 활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에 체결되는 정보저장부(120)의 일체화에 의해 수신율에 문제가 발생되므로, 수신율이 보장되면서도 내구성이 보장되도록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체결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통신부(121)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통신부(121)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HF(Ultra High Frequenc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FC는 RFID에 관련된 근접 데이터 전송기술을 이용한다. 즉, 단일 주파수의 반송 주파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과 근접 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반송 주파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의 13.56㎒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은 10 ~ 99㎝ 이내에서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접촉하여 행해지는 통신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121)는 RF신호가 전파될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10)가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금속이나 금속합금(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통신부(121)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체결되므로, 10cm 이내의 거리에서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근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121)에 저장되는 정보는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봉체부(130)는 상부에 제2나사산(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2)의 제1나사산(112a)에 나사결합되고, 지중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봉체부(130)는 지면과의 마찰범위를 줄여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이 '+'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체부(130)의 형상은 지면과의 마찰범위를 줄여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봉체부(130)에서 본체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나사산(112a)의 일부에는 제1래칫(Ratchet)(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131)의 일부에는 제2래칫(132)이 형성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래칫(112b) 및 제2래칫(132)는 일반적으로 단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톱니바퀴를 말하고, 이러한 구조로 상기 본체부(110) 및 봉체부(13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나사산(112a) 및 제2나사산(131)의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봉체부(130)에서 본체부(110)가 이탈되기 위해서는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10)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상기 제1래쳇(112b) 및 제2래칫(132) 구조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봉체부(130)에서 본체부(1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로의 포장 및 확장 등으로 인하여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은 표지못(100)의 내부에 RFID, UHF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통신부(121)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10)로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은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12a)의 일부에 제1래쳇(112b)이 형성되고, 상기 봉체부(130)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131)의 일부에 제2래칫(132)이 형성되어 상기 봉체부(130)로부터 본체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100)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에 각인되는 큐알코드(111)를 전자잉크로 각인하여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121)의 안테나로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휴대 단말기
100 :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110 : 본체부 111 : 큐알코드
112 : 결합홈 112a : 제1나사산
112b : 제1래칫
114 : 완충재
120 : 정보저장부 121 : 통신부
130 : 봉체부 131 : 제2나사산
132 : 제2래칫 133 : 기준점

Claims (7)

  1.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확인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있어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고, 상면에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111)가 각인되며, 중앙에 제1나사산(112a)이 형성된 결합홈(112)이 형성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 체결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통신부(121)가 포함되는 정보저장부(120); 및
    상부에 제2나사산(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2)의 제1나사산(112a)에 나사결합되고, 지중에 삽입설치되는 봉체부(130);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봉체부(130)에서 본체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나사산(112a)의 일부에는 제1래칫(Ratchet)(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131)의 일부에는 제2래칫(132)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부(130)는
    측량 작업시 측량 장비의 기준점 좌표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기준점(133)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21)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HF(Ultra High Frequenc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21)에 내장되는 정보는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통신부(121)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정보저장부(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재(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부(130)는
    지면과의 마찰범위를 줄여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이 '+'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큐알코드(111)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에 전자잉크로 각인되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신부(121)의 안테나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KR2020130004266U 2013-05-28 2013-05-28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KR200475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66U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3-05-28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66U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3-05-28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044Y1 true KR200475044Y1 (ko) 2014-10-31

Family

ID=5228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266U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3-05-28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4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19B1 (ko) 2015-06-19 2016-07-13 유상호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KR102027203B1 (ko) 2018-04-05 2019-10-01 대진기술정보 (주) 지하 매설물 통합표지기 및 관리 방법
US10470809B1 (en) 2018-06-19 2019-11-1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671969B2 (en) 2017-05-03 2020-06-02 Summate Technologies, Inc. Operating room situated, parts-inventory control system and supervisory arrangement for accurately tracking the use of and accounting for the ultimate disposition of an individual component part of a complete implant which is then being surgically engrafted in-vivo upon or into the body of a living subject
US10909343B1 (en) 2019-07-12 2021-02-0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labeled pegs
KR20220053828A (ko) 2020-10-23 2022-05-02 (주)지비솔루션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KR20220101832A (ko) 2021-01-12 2022-07-19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KR20220116648A (ko) 2021-02-15 2022-08-23 (주)지비솔루션 표지병을 활용한 길 안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6B1 (ko) * 2008-09-16 2009-02-04 김성훈 위치 정보 표지구
KR2011009670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블루랜드 바코드 탐지용 관로 표지판
KR200462233Y1 (ko) * 2012-02-03 2012-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6B1 (ko) * 2008-09-16 2009-02-04 김성훈 위치 정보 표지구
KR2011009670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블루랜드 바코드 탐지용 관로 표지판
KR200462233Y1 (ko) * 2012-02-03 2012-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19B1 (ko) 2015-06-19 2016-07-13 유상호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US10671969B2 (en) 2017-05-03 2020-06-02 Summate Technologies, Inc. Operating room situated, parts-inventory control system and supervisory arrangement for accurately tracking the use of and accounting for the ultimate disposition of an individual component part of a complete implant which is then being surgically engrafted in-vivo upon or into the body of a living subject
KR102027203B1 (ko) 2018-04-05 2019-10-01 대진기술정보 (주) 지하 매설물 통합표지기 및 관리 방법
US10470809B1 (en) 2018-06-19 2019-11-1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909343B1 (en) 2019-07-12 2021-02-0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labeled pegs
KR20220053828A (ko) 2020-10-23 2022-05-02 (주)지비솔루션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KR20220101832A (ko) 2021-01-12 2022-07-19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KR20220116648A (ko) 2021-02-15 2022-08-23 (주)지비솔루션 표지병을 활용한 길 안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044Y1 (ko)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KR200462233Y1 (ko)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US858337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ompliance with marking specifications for dispensing marking material
US20120066273A1 (en) System for and methods of automatically inserting symbols into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operations
KR100564145B1 (ko)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KR20070092374A (ko)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101677943B1 (ko) 매설관로 표지판
KR100875690B1 (ko) Rfid 태그 내장형 지중표시기 및 그 운용 시스템
KR101731977B1 (ko) 스마트폰과 nfc태그를 이용한 표지기
JP2007047139A (ja) 標示杭
CA2777553A1 (en) Locator assembly for detecting, locating and identifying buried objects and method of use
KR101337722B1 (ko) 전자인식표시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20120064347A (ko)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CN106383358A (zh) 一种基于北斗卫星定位的隐蔽工程数字化标识与探测装置
KR20110096700A (ko) 바코드 탐지용 관로 표지판
CN105372622A (zh) 智能定位地板
KR101442016B1 (ko) 근거리 무선 태그 커넥터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맨홀 또는 변실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철개의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또는 변실의 유지 관리 방법
KR10084756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20060022109A (ko) 지하 매설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표시못
KR20220154870A (ko) 매설관로 시설정보 표시 방법
KR20220101832A (ko)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CN109669221B (zh) 一种油田地下金属管线探测系统
JP6418735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マッピングシステム
JP2004251859A (ja) 標識
CN104268492A (zh) 一种实现室内精确定位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