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919B1 -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 Google Patents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919B1
KR101637919B1 KR1020150087543A KR20150087543A KR101637919B1 KR 101637919 B1 KR101637919 B1 KR 101637919B1 KR 1020150087543 A KR1020150087543 A KR 1020150087543A KR 20150087543 A KR20150087543 A KR 20150087543A KR 101637919 B1 KR101637919 B1 KR 10163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ixed
radio frequency
frequency identification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호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유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호 filed Critical 유상호
Priority to KR102015008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락볼트나 어스앵커 및 앵커볼트와 같은 지반고정수단 중, 지반 밖으로 돌출되는 엔드부 끝에 고정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되는데,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는, 지반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에 따른 정보가 담긴 식별칩과, 엔드부 끝과 식별칩을 고착하는 고착부를 포함함으로써,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로 식별칩에 담긴 정보를 읽어 각각의 지반고정수단 정보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지반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ground fixing means includ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락볼트나 어스앵커 및 앵커볼트와 같은 지반고정수단 중, 지반 밖으로 돌출되는 엔드부 끝에 고정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되는데,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는, 지반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에 따른 정보가 담긴 식별칩과, 엔드부 끝과 식별칩을 고착하는 고착부를 포함함으로써,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로 식별칩에 담긴 정보를 읽어 각각의 지반고정수단 정보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지반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공사는, 터널을 굴착 후, 숏크리트, 락볼트, 강지보공, 콘크리트 라이닝을 시공하여, 터널의 붕괴를 방지하는데, 주로 터널 굴착 후, 또는 1차 숏크리트 발포 후, 굴착 또는 1차 숏크리트 발포된 터널에서 지반 내로 락볼트 시공되며, 이 락볼트 시공 후, 철망배치, 숏크리트 발포, 강지보공 설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등의 공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락볼트는, 철근과 같은 인장력이 우수한 강재로, 터널에서 천공된 지반에 삽입되어, 모르타르나 접착제 및 쇄기나 선단 확장에 의해 지반 내에 고정되는 일측의 앵커부와, 지반 밖(터널 안)으로 돌출되어 지압판이나 와셔에 볼트결합으로 고정되는 타단의 엔드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락볼트와 같이, 지반 내에 고정되는 앵커부와, 지반 밖에서 지압판이나 와셔에 고정되는 엔드부로 구성되는 어스앵커나 앵커볼트 및 네일링은, 지반고정수단으로, 지하시설물이나 지반 위 시설물 등을 지반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지반고정수단은, 시공되는 공사규모에 따라, 각 지반고정수단의 스테이션 넘버(Sta No., Station Number), 재질, 제원, 볼트길이, 시공일시, 일렬번호 등의 정보가 적힌 카드를 각 지반고정수단에 부착 및 연결하거나, 지반고정수단 주변에 각각의 정보가 적힌 표지판을 세워둔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식별기술, 즉, 알에프아이디(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은, 알에프아이디 칩(또는 테그)에서 발산한 전파를 원거리에서 알에프아이디 판독기에 의해 칩의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알에프아이디는 동력에 따라 수동형 방식과 반수동형 방식 및 능동형 방식으로 나눠지는데, 수동형 방식은, 오직 판독기의 동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방식이며, 반수동형 방식은, 칩 또는 테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이 내장된 건전지의 동력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판동기의 동력으로 통신하는 방식이며, 능동형 방식은, 칩의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통신하는데 모두 테그나 칩에 내장 및 연결된 동력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알에프아이디에서 주파수영역에 따라 120 내지 140khz의 엘에프아이디(LFID, Low-Frequency IDentification), 13.56Mhz의 에이치에프아이디(HFID, High-Frequency IDentification), 868 내지 956Mhz의 유에이치에프아이디(UHFID, 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로 나누어진다.
참고로, 엔에프씨(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주파수 대역의 에이치에프아이디 기술 중 하나이며, 주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능동형 방식으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데 사용되며, 이 엔에프씨의 활용도로 결제뿐만 아니라 마켓, 여행정보,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는,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는 알에프아이디 기술 중 하나이며, 주로 반경 10~100m 범위 안에서 능동형 방식으로 각종 전자, 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ㆍ제어하는데, 이는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피디에이(PDA) 등은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무선주파수식별기술이 건축 및 토목 공사에 적용되고 있는데, 그 예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7544호에서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고, 상면에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가 각인되며, 중앙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고, 정보가 저장되는 통신부가 포함되는 정보저장부 및 상부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제1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지중에 삽입설치되는 봉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봉체부에서 본체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나사산의 일부에는 제1래칫(Ratchet)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의 일부에는 제2래칫이 형성되어 결합되며, 표지못의 내부에 RFID, UHF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로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가 게시되어 있다.
등록번호/일자 2004750440000 (2014.10.27)
종래 터널공사에 사용되는 락볼트의 경우, 락볼트 시공 후, 숏크리트 공정 및 콘크리트 라이닝 공정에 의해 락볼트의 엔드부가 가려 보이지 않게 되는데, 이렇게 가려 보이지 않는 락볼트의 엔드부는, 지하 및 야간 작업에 의한 시각적 제한에 의해, 또는 야간 및 휴일 작업에 의한 작업의 불연속성에 의해 정상 시공되어야 할 락볼트가 누락 및 탈락되어도 확인인 용이하지 않아, 누락 및 탈락된 상태로 다음 공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락볼트가 누락 및 탈락되어 정상적으로 시공되지 못한 터널공사의 경우, 락볼트가 누락 및 탈락된 주변 지반에서 지반붕괴 및 지반침하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러한 지반붕괴 및 지반침하에 의해 터널이 붕괴되거나, 터널 위 지면에 싱크홀이 발생되는 등, 여러 사고를 유발하므로 락볼트 정상시공의 중요성을 알수있다.
이처럼 락볼트 정상시공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왔으나, 종래에는 지하 및 야간이라는 시각적 제한 속에서 눈으로 락볼트 정상시공여부를 판단하였으며, 락볼트 시공 후, 숏크리트 및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이 이루어질 경우, 락볼트의 시각적 파악이 매우 여러워졌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7544호의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및 이와 유사한 정보제공 수단에서도 개별 락볼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천공된 지반에 삽입되어 지반 내에 고정되는 일측의 앵커부와, 지반 밖으로 돌출되어 지압판에 고정되는 타단의 엔드부로 구성되는 지반고정수단 중, 돌출된 엔드부 끝에 고정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되며,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는, 지반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에 따른 정보가 담긴 식별칩과, 엔드부 끝과 식별칩을 고착하는 고착부를 포함함으로써,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로 식별칩에 담긴 정보를 읽어 각각의 지반고정수단 정보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엔드부 타단에 내부결합홈이 형성되면서, 타측에 식별칩이 고착되는 절연성 재질의 고착부는 일측에 엔드부의 내부결합홈에 대응되는 내부결합돌기가 돌출되어, 엔드부의 내부결합홈에 고착부의 내부결합돌기를 끼워 고착하거나, 이 고착부에 엔드부 테두리를 감싸는 외부결합턱이 돌출된 엔드캡 구조로 형성되어, 돌출된 엔드부 끝 부분이 고착부의 외부결합턱 내부로 끼워 고착함으로써, 엔드부와 무선주파수식별장치와의 고착이 용이할 뿐더러, 식별칩이 금속재질의 엔드부와 접촉하거나 간섭에 의해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 고착부는 절연성 접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엔드부와 식별칩 사이에서 층을 이루어 고착함으로써, 고착부 성형에 따른 별도의 가공 없이 쉽게 고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엔드부에 고착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에 의해,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에 저장된 정보, 즉 지반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에 따른 스테이션 넘버(Sta No., Station Number), 재질, 제원, 볼트길이, 시공일시, 일렬번호 등의 정보를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로 읽고 관리할 수 있어, 지하 및 야간 작업 등 시각적 제한된 조건의 작업환경 또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락볼트의 누락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락볼트 공정 후, 숏크리트 및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에 의해 락볼트의 시각적 파악이 불가해진다 하더라도,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에 의해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로 각각의 락볼트를 관리 할 수 있어, 락볼트 누락 및 탈락에 의해 야기되는 사고 및 재난을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식별칩과 엔드부 사이에서 고착해주는 고착부가 엔드부 타단의 내부결합홈에 대응되는 내부결합돌기가 형성되거나, 엔드부 테두리를 감싸는 외부결합턱이 형성됨으로써 간편한 끼움으로 식별칩과 엔드부 사이에서 고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고착부가 절연성 제질로 구성됨으로써, 식별칩이 금속재질의 엔드부와 접촉하거나 간섭에 의해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 고착부가 절연성 접착제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고착부 성형에 따른 별도의 가공 없어, 고착부 형성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의 단면도.
도 2와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에 따른 도 1 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의 사용실시상태도.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락볼트나 어스앵커 및 앵커볼트와 같은 지반고정수단 중, 지반 밖으로 돌출되는 엔드부 끝에 고정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되는데,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는, 지반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에 따른 정보가 담긴 식별칩과, 엔드부 끝과 식별칩을 고착하는 고착부를 포함함으로써,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로 식별칩에 담긴 정보를 읽어 각각의 지반고정수단 정보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지반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큰 특징은, 지반고정수단(1)의 엔드부(12)에 고착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이므로, 지반고정수단(1)에 대한 간단한 언급 후,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 및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에 따라 변형되는 엔드부(12)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앵커부(11)와 엔드부(12)는, 락볼트나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 및 앵커볼트와 같이, 천공된 지반(2)에 삽입되어 지반(2) 내에 고정되는 일측이 앵커부(11)이며, 지반(2) 밖으로 돌출되어 와셔나 지압판(13)에 고정되는 타단이 엔드부(12)이다.
이때, 앵커부(11)에서부터 엔드부(12)는 고인장강도가 필요함에 따라 주로, 철근 또는 강재의 파이프 및 앵커구조이며, 앵커부(11)는, 지반(2)에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 통상의 이형철근으로 구성되거나,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이되, 일정 길이간격마다 천공되어 주변 지반(2)으로 모르타르가 침투되는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엔드부(12)는, 락볼트나 앵커볼트의 경우와 같이, 수나사가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지압판(13)에 고정쐐기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는, 알에프아이디(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장치로, 원거리의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3)에서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전파(또는 주파수)를 발산하는 장치이며,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는, 지반(2)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1)에 따른 정보가 담긴 식별칩(110)과, 엔드부(12) 끝과 식별칩(110)을 고착하는 고착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식별칩(110)은, 수동형 방식, 반수동형 방식, 능동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수동형 방식은,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3)의 동력만으로 식별칩(110)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방식이며, 반수동형 방식은, 식별칩(110)에 동력이 구성 및 연결되어, 이 식별칩(110)의 동력으로 식별칩(110)의 정보를 읽고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3)의 동력으로 통신하는 방식이며, 능동형 방식은, 식별칩(110)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데 모두 식별칩(110)에 구성 또는 연결된 동력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본 발명에 적합한 식별칩(110)의 방식은, 별도의 동력원이 구성되지 않는 수동형 방식이 바람직하며, 이 식별칩(110)에 담길 정보는, 각 지반고정수단(1)의 스테이션 넘버(Sta No., Station Number), 재질, 제원, 볼트길이, 시공일시, 일렬번호 등인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의 여러 지반고정수단(1)의 식별정보를 파악하여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3) 또는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3)에 연결/통신된 디스플레이 내에서 지도와 연계되어 해당위치의 식별정보(3a)가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식별칩(110)은 120 내지 140khz의 엘에프아이디(LFID, Low-Frequency IDentification)나 엔에프씨(NFC,Near Field Communication), 13.56Mhz의 에이치에프아이디(HFID, High-Frequency IDentification), 868 내지 956Mhz의 유에이치에프아이디(UHFID, 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 2.45Ghz의 블루투스 등, 생산자 및 사용자에 맞는 해당 주파수대로 구성된다.
또, 식별칩(110)은, 외력에 의해 고착부(120)에서 쉽게 탈락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엔드부(12) 또는 고착부(120)에서 돌출되지 않는, 엔드부(12) 또는 고착부(120)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무선주파수 전송거리나 전송데이터 및 저장될 데이터에 따라 엔드부(12) 또는 고착부(120)의 직경보다 커도 무방하며, 고착부(120)의 형태에 따라 식별칩(110)의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고착부(120)는, 도 2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와 3의 (가), (나), (다), (라), (마)와 같이, 절연성 재질의 일정형태로 성형되어, 타단에 식별칩(110)이 고착되는 고착몸체(121)를 포함하는 고착부(120)가 일측으로 엔드부(12)에 끼워 고착되는 방식인데, 여기서 고착부(120)의 절연성 재질은 피브이씨(PVC), 에이비에스(ABS) 또는 실리콘이나 에폭시 계열로 성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와 (나)의 경우, 엔드부(12) 타단에 내부결합홈(12a)이 형성되면서, 고착부(120)에는 엔드부(12)의 내부결합홈(12a)에 대응되는 내부결합돌기(122)가 고착몸체(121)에서 일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내부결합홈(12a)과 내부결합돌기(122)는 일자형, 십자형, 나사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엔드부(12)의 내부결합홈(12a)에 고착부(120)의 내부결합돌기(122)가 끼워져 고착된다.
또한, 도 3의 (라)와 (마)의 경우, 고착부(120)는 앤드캡 구조로, 고착몸체(121)의 테두리를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어 엔드부(12)의 테두리를 감싸는 외부결합턱(123)이 형성되는데, 이 고착부(120)의 외부결합턱(123) 내로 엔드부(12)가 끼워져 고착된다.
또, 도 2의 (다)의 경우와 같이, 엔드부(12)에 내부결합홈(12a)이 형성되고, 고착부(120)에 내부결합돌기(122)와 외부결합턱(123)이 같이 형성되어, 이 고착부(120)의 외부결합턱(123) 내로 엔드부(12)가 끼워지는 동시에 엔드부(12)의 내부결합홈(12a)에 고착부(120)의 내부결합돌기(122)가 끼워져 고착된다.
덧붙여, 도 2의 (나)와 도 3의 (마)와 같이, 고착부(120)는 식별칩(110) 두께를 감싸는 칩보호테(124)가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식별칩(1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바)와 같이 엔드부(12)와 식별칩(110) 사이에서 접착제층(125)을 이루는 절연성 접착제로 구성되어, 고착부(120) 성형에 따른 별도의 가공 없이 엔드부(12)와 식별칩(110)이 고착될 수 있는데, 이 절연성 접착제는 실리콘계나 에폭시계 또는 고무계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1)은, 앵커부(11)를 지반(2)에 고정하고, 지반(2) 밖으로 돌출된 엔드부(12)에 고착부(120)를 손쉽게 끼우거나 접착하여 하나의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1)을 이루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주파수식별판독기(3)나,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무선주파수식별판독기(3), 또는, 무선주파수식별판독기(3)가 내장된 테블릿(또는 스마트폰)에서 인식거리 내의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들의 각 식별칩(110) 정보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에 인식된 식별칩(110)의 식별정보(3a), 즉 스테이션 넘버, 재질, 제원, 볼트길이, 시공일시, 일렬번호 등의 정보를 띄어 지반고정수단(1)의 관리 및 공사의 감리 감독에 활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엔드부(12)에 고착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에 의해,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에 저장된 정보, 즉 지반(2)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1)에 따른 스테이션 넘버, 재질, 제원, 볼트길이, 시공일시, 일렬번호 등의 정보를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3)로 읽고 관리할 수 있어, 지하 및 야간 작업 등 시각적 제한된 조건의 작업환경 또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락볼트의 누락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터널공사의 경우, 락볼트 공정 후, 숏크리트 및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에 의해 앞서 시공된 락볼트를 시각적으로 파악이 불가해진다 하더라도, 이 무선주파수식별장치(100)에 의해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3)로 각각의 락볼트를 관리 할 수 있어, 락볼트 누락 및 탈락에 의해 야기되는 사고 및 재난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식별칩(110)과 엔드부(12) 사이에서 고착해주는 고착부(120)가 엔드부(12) 타단의 내부결합홈(12a)에 대응되는 내부결합돌기(122)가 형성되거나, 엔드부(12) 테두리를 감싸는 외부결합턱(123)이 형성됨으로써 간편한 끼움으로 식별칩(110)과 엔드부(12) 사이에서 고착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 고착부(120)가 절연성 제질로 구성됨으로써, 식별칩(110)이 금속재질의 엔드부(12)와 접촉하거나 간섭에 의해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특히, 낙뢰나 고압전류가 지반(2)으로 흘러들어와 금속재질의 앵커부(11)를 타고 엔드부(12)를 지나 식별칩(110)을 파손 및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고착부(120)가 절연성 접착제층(125)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고착부(120) 성형에 따른 별도의 가공 없어, 고착부(120) 형성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1: 지반고정수단 2: 지반 3: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
3a: 식별정보 11: 앵커부 12: 엔드부
12a: 내부결합홈 13: 지압판 100: 무선주파수식별장치
110: 식별칩 120: 고착부 121: 고착몸체
122: 내부결합돌기 123: 외부결합턱 124: 칩보호테
125: 접착제층

Claims (4)

  1. 천공된 지반에 삽입되어 지반 내에 고정되는 일측의 앵커부와, 지반 밖으로 돌출되어 지압판에 고정되는 타단의 엔드부로 구성되는 지반고정수단에 있어서,
    돌출된 엔드부 끝에 고정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되며;
    무선주파수식별장치는, 지반에 고정되었거나 고정될 각각의 지반고정수단에 따른 정보가 담긴 식별칩과, 엔드부 끝과 식별칩을 고착하는 고착부를 포함하며;
    엔드부는, 타단에 내부결합홈이 형성되며;
    고착부는, 타단에 식별칩이 고착되는 절연성 재질의 고착몸체, 고착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내부결합홈에 대응되는 내부결합돌기, 고착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엔드부의 테두리를 감싸는 외부결합턱, 식별칩 두께를 감싸는 칩보호테가 형성되어,
    엔드부 끝 부분이 고착부의 외부결합턱 내부로 끼워지면서, 엔드부의 내부결합홈에 고착부의 내부결합돌기가 끼워져서 고착된 지반고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무선주파수식별판독장치로 식별칩에 담긴 정보를 읽어 각각의 지반고정수단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고착부는, 절연성 재질의 접착제층으로, 엔드부와 식별칩 사이에서 층을 이루어 고착함으로써,
    고착부 성형에 따른 별도의 가공 없이 용이하게 고착할 뿐더러, 식별칩이 금속재질의 엔드부와 접촉하거나 간섭에 의해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KR1020150087543A 2015-06-19 2015-06-19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KR10163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43A KR101637919B1 (ko) 2015-06-19 2015-06-19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43A KR101637919B1 (ko) 2015-06-19 2015-06-19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919B1 true KR101637919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543A KR101637919B1 (ko) 2015-06-19 2015-06-19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9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0809B1 (en) 2018-06-19 2019-11-1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671969B2 (en) 2017-05-03 2020-06-02 Summate Technologies, Inc. Operating room situated, parts-inventory control system and supervisory arrangement for accurately tracking the use of and accounting for the ultimate disposition of an individual component part of a complete implant which is then being surgically engrafted in-vivo upon or into the body of a living subject
US10909343B1 (en) 2019-07-12 2021-02-0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labeled pe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180A (ja) * 1995-12-01 1997-06-17 Shiina:Kk グラウンドアンカー装置
KR200465904Y1 (ko) * 2011-10-21 2013-03-18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4-10-3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180A (ja) * 1995-12-01 1997-06-17 Shiina:Kk グラウンドアンカー装置
KR200465904Y1 (ko) * 2011-10-21 2013-03-18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KR200475044Y1 (ko) 2013-05-28 2014-10-3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1969B2 (en) 2017-05-03 2020-06-02 Summate Technologies, Inc. Operating room situated, parts-inventory control system and supervisory arrangement for accurately tracking the use of and accounting for the ultimate disposition of an individual component part of a complete implant which is then being surgically engrafted in-vivo upon or into the body of a living subject
US10470809B1 (en) 2018-06-19 2019-11-1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909343B1 (en) 2019-07-12 2021-02-02 Summate Technologies, Inc. Automated screw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labeled pe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944B1 (ko) Rfid 와 자성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위치 식별자장치
KR101637919B1 (ko) 무선주파수식별장치가 구성된 지반고정수단
JP7049334B2 (ja) 岩石ボルト用の検知デバイス
US8444058B2 (en) Embedded RFID tag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CN103392126B (zh) 用于监视固体结构内的参数的集成电子设备和使用这样的设备的监视系统
US2008025244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lo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s-built plants of pipes, conduits, cables or hidden objects
EP2128801A1 (en) RFID tag for enforced concrete structure
JP4905976B2 (ja) 周波数シフト形rfidデバイス
WO2007111412A1 (en) Low power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of manhole
KR101996925B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인식시스템
KR20170112872A (ko) LPWA(Low-Power Wide-Area) 네트워크 기반의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맨홀 커버
WO2007111411A1 (en) A antenna structure for monitoring of manhole
KR101531402B1 (ko) 시설물 관리 및 공간정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정보표지
KR20150123755A (ko) 알에프아이디가 구성된 지반고정장치
US9589223B2 (en) Modular radio-identification system with passive RFID module and active RFID module
CN105372622A (zh) 智能定位地板
JP2003037522A (ja) Rfidの無線方式による情報処理システム
CN104681915B (zh) 耐恶劣环境的天线装置
KR101892596B1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장착형 rfid 마커 홀더
CN203950912U (zh) 一种特殊外形结构的天线装置
CN206293602U (zh) 一种座圈处的天线安装及防护结构
US20170039406A1 (en) Extinguisher with tracking device and monitoring installation for vehicles
KR20140079676A (ko) Rfid의 태그효율을 높이는 연장포스트를 갖는 지하매설물식별장치
CN105809221A (zh) 施工安全定位监控系统
CN104925094A (zh) 铁路铁鞋安全智能防护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