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498B1 - 흑채 자동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흑채 자동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498B1
KR102222498B1 KR1020190093229A KR20190093229A KR102222498B1 KR 102222498 B1 KR102222498 B1 KR 102222498B1 KR 1020190093229 A KR1020190093229 A KR 1020190093229A KR 20190093229 A KR20190093229 A KR 20190093229A KR 102222498 B1 KR102222498 B1 KR 10222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ukchae
container
air
main body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019A (ko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알토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토디자인 filed Critical (주)알토디자인
Priority to KR102019009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4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1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는, 내부에 흑채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흑채용기; 상기 흑채용기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흑채용기 내 흑채를 외부로 자동 분사하기 위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 및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흑채용기를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용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흑채용기 내 흑채가 모두 소모된 경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용기커버를 분리시킨 후, 흑채가 모두 소모된 흑채용기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흑채용기의 교체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흑채 자동 분사 장치 {Hair powder automatic injector}
본 발명은 흑채 자동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는 과거에 중년층이나 장년층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및 인스턴트식품의 섭취 등과 같은 이유로 20~30대와 같은 젊은 층에서도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양방과 한방에 근원을 둔 수많은 종류의 탈모방지제나 발모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제시된 제품들은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또는 효과가 있더라도 신체적인 부작용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화장과 유사한 기법을 이용해 머리숱이 없거나 숱이 가늘어져서 두피가 드러나 보이는 부분에 검은색의 분말을 뿌려 커버해주는, 소위 흑채라고 불리는 모발도포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흑채는 용기에 분말 형태로 저장된 상태에서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머리에 도포된다. 즉, 저장용기를 손에 쥐고 머리 위에서 흔들기 때문에 흑채 분말을 머리의 특정 부분에 정확히 뿌리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여기저기 비산되는 분말 가루가 발생되어 흑채 분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63718호 및 제10-1526174호에서 흑채 분말의 도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흑채 분말이 여기저기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흑채 자동 분사 장치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흑채 자동 분사 장치는 용기(카트리지)에 저장된 흑채를 모두 소모한 경우, 용기의 내부로 흑채를 다시 채워 넣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저장용기에 저장된 흑채가 소량으로 남아 있을 경우,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흑채가 저장된 흑채용기에 흑채를 모두 소모한 경우, 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흑채용기에 흑채가 소량으로 남아있더라도 흑채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흑채의 분사방식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분사가 정확하고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흑채 자동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는, 내부에 흑채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흑채용기; 상기 흑채용기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흑채용기 내 흑채를 외부로 자동 분사하기 위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 및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흑채용기를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용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흑채용기 내 흑채가 모두 소모된 경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용기커버를 분리시킨 후, 흑채가 모두 소모된 흑채용기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흑채용기의 교체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흑채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기가 투입되도록 공기투입구가 형성된 공기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공기와 상기 흑채용기 내의 흑채를 상기 분사노즐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와 흑채용기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압축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고,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탄성재질의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흑채용기는 상기 공기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공기의 이동이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기노즐이 형성된 부분의 폭보다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더 좁아지면서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는 상기 흑채용기 내 흑채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의 직경은 상기 분사구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의 분사구의 직경보다 더 좁은 직경을 가지는 튜브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흑채가 저장된 흑채용기에 흑채를 모두 소모한 경우, 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체의 하부와 흑채용기의 사이에 탄성재질의 댐퍼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압축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흑채용기에 흑채가 소량으로 남아있더라도 흑채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부로 분사되는 흑채의 양 및 분사 범위 등의 분사방식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가 적합한 것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흑채용기 내 공기 흐름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흑채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 및 분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여러 분사부재 및 그 분사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분사부재 및 튜브관의 결합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흑채용기 내 공기 흐름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흑채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 및 분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여러 분사부재 및 그 분사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의 분사부재 및 튜브관의 결합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는, 내부에 흑채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흑채용기(100); 상기 흑채용기(100)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흑채용기(100) 내 흑채를 외부로 자동 분사하기 위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210) 및 분사노즐(230)을 포함하는 본체(200); 및 상기 흑채용기(100)를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용기커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흑채용기(100) 내 흑채가 모두 소모된 경우, 상기 본체(200)로부터 상기 용기커버(300)를 분리시킨 후, 흑채가 모두 소모된 흑채용기(100)를 상기 본체(20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흑채용기(100)의 교체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흑채용기(100)는 내부에 흑채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성으로, 본체(2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200)는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며, 내부에 모터(220), 공기압축기(210) 및 분사노즐(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압축기(210)는 모터(220)에 의해 작동하여 흑채용기(100)에 강한 압력의 공기를 투입시킴으로써 흑채용기(100) 내의 흑채를 분사노즐(230)을 거쳐 외부로 자동 분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용기커버(300)는 흑채용기(100)를 커버하면서 본체(200)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흑채용기(1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용기커버(300)는 본체(200)의 외측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흑채용기(100) 내에 흑채를 모두 소모할 경우, 용기커버(300)를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본체(200)로부터 흑채용기(100)도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흑채용기(10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흑채용기(100) 내에 흑채를 모두 소모할 경우, 흑채용기(100)에 흑채를 충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흑채용기(100)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압축기(210)로부터 공기가 투입되도록 공기투입구(111)가 형성된 공기노즐(110)이 흑채용기(100) 상부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어 하방으로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공기와 상기 흑채용기(100) 내의 흑채를 상기 분사노즐(230)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4를 참조하면, 흑채용기(100)의 상부에 공기투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20)가 모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00)로부터 흑채용기(100)를 분리시키더라도 흑채용기(100) 내에 소량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잔류 흑채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본체(200)의 하부와 흑채용기(10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압축기(21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고,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탄성재질의 댐퍼(240)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체(200)의 하부와 흑채용기(100)의 사이에 배치된 댐퍼(240)에는 실시하기에 따라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흑채를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공기압축기(210)와 공기투입구(111) 사이를 연결하는 투입연결관(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사노즐(230)과 공기 공기배출구(120)를 연결하는 배출연결관(24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흑채용기(100)는 상기 공기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공기의 이동이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기노즐(110)이 형성된 부분의 폭보다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더 좁아지면서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기노즐(110)은 일정 길이를 가지고 흑채용기(10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축기(210)를 통해 공기투입구(111)로 투입된 공기가 흐름 방향(R)을 따라 흑채용기(100)의 저면까지 전달됨에 따라 흑채용기(100) 내 흑채가 공기투입구(111) 또는 공기압축기(210) 쪽으로 역행하지 않도록 설계됨으로써 흑채가 분사노즐(23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흑채용기(100)가 공기노즐(110)이 형성된 부분의 폭보다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더 좁아지면서 곡선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공기압축기(210)를 통해 공기투입구(111)로 투입된 공기가 흐름 방향(R)을 따라 흑채용기(100)의 저면까지 더욱 잘 전달되면서 흑채가 분사노즐(230) 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를 사용자가 80도 정도 기울인 상태로 사용할 때에, 흑채용기(100) 내에 투입된 공기가 흐름 방향(R)을 따라 흐르지 않는 사각지대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흑채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30)에는 상기 흑채용기(100) 내 흑채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구(231)가 형성된 분사부재(232)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232)의 직경은 상기 분사구(231)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5를 참조하면, 분사부재(232)의 직경은 분사구(231)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분사노즐(230) 또는 분사부재(232)에 남아있을 수 있는 잔류 흑채가 외부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23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분사부재(232)와 결합되고, 타측이 공기배출구(120)가 결합됨으로써 흑채용기(100) 내의 흑채가 공기압축기(210)에서 발생되는 강한 압력의 공기에 의해 공기배출구(120)에 결합된 분사노즐(230)을 거쳐 분사구(23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실시하기에 따라 분사부재(232)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분사부재(232) 또는 제2분사부재(232) 또는 제3분사부재(232)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분사부재(232a), 제2분사부재(232b) 및 제3분사부재(232c)의 직경과 이에 각각 형성된 제1분사구(231a), 제2분사구(231b) 및 제3분사구(231c)의 분사각도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분사되는 흑채의 양 및 분사 범위 등의 분사방식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가 적합한 것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채 자동 분사 장치(10)는, 상기 분사부재(232)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232)의 분사구(231)의 직경보다 더 좁은 직경을 가지는 용기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7을 참조하면, 용기커버(300)를 이용하여 흑채를 분사할 경우, 분사구(231)를 통해 분사 대상에 흑채를 분사시키는 것보다 더욱 가까운 위치에서 분사 대상에 흑채를 분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사 대상에 정확하고 세밀한 흑채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흑채 자동 분사 장치
100 : 흑채용기
110 : 공기노즐
111 : 공기투입구
120 : 공기배출구
200 : 본체
210 : 공기압축기
220 : 모터
230 : 분사노즐
231 : 분사구
232 : 분사부재
240 : 댐퍼
300 : 용기커버
400 : 튜브관
R : 흐름 방향

Claims (6)

  1. 내부에 흑채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흑채용기(100);
    상기 흑채용기(100)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흑채용기(100) 내 흑채를 외부로 자동 분사하기 위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210) 및 분사노즐(230)을 포함하는 본체(200); 및
    상기 흑채용기(100)를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용기커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흑채용기(100) 내 흑채가 모두 소모된 경우, 상기 본체(200)로부터 상기 용기커버를 분리시킨 후, 흑채가 모두 소모된 흑채용기(100)를 상기 본체(20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흑채용기(100)의 교체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기 흑채용기(100)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압축기(210)로부터 공기가 투입되도록 공기투입구(111)가 형성된 공기노즐(110)이 흑채용기(100) 상부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어 하방으로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공기와 상기 흑채용기(100) 내의 흑채를 상기 분사노즐(230)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본체(200)의 하부와 흑채용기(10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압축기(21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고,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탄성재질의 댐퍼(2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댐퍼(240)에는 공기압축기(210)와 공기투입구(111) 사이를 연결하는 투입연결관(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노즐(230)과 공기 공기배출구(120)를 연결하는 배출연결관(2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흑채용기(100)는 상기 공기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공기의 이동이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기노즐(110)이 형성된 부분의 폭보다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더 좁아지면서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230)에는 상기 흑채용기(100) 내 흑채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구(231)가 형성된 분사부재(232)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232)의 직경은 상기 분사구(231)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부재(232)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232)의 분사구(231)의 직경보다 더 좁은 직경을 가지는 튜브관(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채 자동 분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93229A 2019-07-31 2019-07-31 흑채 자동 분사 장치 KR10222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29A KR102222498B1 (ko) 2019-07-31 2019-07-31 흑채 자동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29A KR102222498B1 (ko) 2019-07-31 2019-07-31 흑채 자동 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19A KR20210015019A (ko) 2021-02-10
KR102222498B1 true KR102222498B1 (ko) 2021-03-03

Family

ID=7456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29A KR102222498B1 (ko) 2019-07-31 2019-07-31 흑채 자동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724B1 (ko) * 2022-01-28 2023-07-26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공기펌핑부 및 공기배출부를 구비한 파우더 배출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054Y1 (ko) * 2005-05-13 2005-08-31 최창환 국부 분사가 가능한 헤어 스프레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8274B2 (ja) * 2014-04-11 2018-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アダプター、ならびに液体噴射装置
KR101722667B1 (ko) * 2015-06-02 2017-04-04 주식회사 포에버 흑채 자동분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054Y1 (ko) * 2005-05-13 2005-08-31 최창환 국부 분사가 가능한 헤어 스프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724B1 (ko) * 2022-01-28 2023-07-26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공기펌핑부 및 공기배출부를 구비한 파우더 배출용기
WO2023146029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공기펌핑부 및 공기배출부를 구비한 파우더 배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19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20B1 (ko) 멀티컨테이너를 갖는 화장수 분사장치
KR101127411B1 (ko)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KR102222498B1 (ko) 흑채 자동 분사 장치
KR101599519B1 (ko) 액상분사장치
JP2004503366A (ja) 圧搾噴射器用可変排出噴射ヘッド
KR101956363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휴대형 구강 세정기
CN203693807U (zh) 口腔冲洗器
KR101280865B1 (ko)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JP6018412B2 (ja) 化粧水噴霧器及び化粧水噴霧装置
JP2014207956A (ja) 洗浄用の吐出製品
JP6427785B2 (ja) 噴霧器
JP7076909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及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KR100946284B1 (ko) 물총완구
JP2007326579A (ja) 噴出器の内容物混合装置、および噴出器
CN109823085B (zh) 吹笔
JP7228926B1 (ja) 蓄圧式洗浄液吹付け機
KR20160142033A (ko) 흑채 자동분사기
KR101470137B1 (ko) 휴대용 액체 분사장치
US20190307226A1 (en) Atomizer
JP2002035653A (ja) 広域噴射ノズルを備える容器
KR101546753B1 (ko) 듀얼 모드 액체 분사 용기의 구조
JP6427784B2 (ja) 噴霧器
JP2019043594A (ja) 吐出容器
KR101708749B1 (ko) 미세 분사 노즐을 갖는 용액 분사 유닛
KR101527204B1 (ko) 쉴드부재를 구비한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