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667B1 - 흑채 자동분사기 - Google Patents
흑채 자동분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2667B1 KR101722667B1 KR1020150077834A KR20150077834A KR101722667B1 KR 101722667 B1 KR101722667 B1 KR 101722667B1 KR 1020150077834 A KR1020150077834 A KR 1020150077834A KR 20150077834 A KR20150077834 A KR 20150077834A KR 101722667 B1 KR101722667 B1 KR 1017226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cil
- wind
- nozzle
- flow hole
- r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는, 리필통 교환이 가능하고, 송풍에 의해 흑채 분말이 분사되는 흑채 자동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리필통은, 하부 유동홀이 형성된 리필통 몸체; 상부 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필통 몸체와 결합하는 리필통 캡; 및 상단부에 상기 하부 유동홀과 연결되는 바람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바람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형태는 흑채 자동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과거에 중년층이나 장년층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및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 등과 같은 이유로 20~30대와 같은 젊은 층에서도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양방과 한방에 근원을 둔 수많은 종류의 탈모방지제나 발모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제시된 제품들은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또는 효과가 있다 하여도 신체적인 부작용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화장과 유사한 기법을 이용해 머리 숱이 없거나 숱이 가늘어져서 두피가 드러나 보이는 부분에 검은색의 분말을 뿌려 커버해주는, 소위 흑채라고 불리는 모발도포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흑채는 저장용기에 분말 형태로 저장된 상태에서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머리에 도포된다. 즉, 저장용기를 손에 쥐고 머리 위에서 흔들기 때문에 흑채 분말을 머리의 특정 부분에 정확히 뿌리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여기저기 비산되는 분말 가루가 발생되어 흑채 분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463718호와 같이, 흑채 자동분사기가 소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흑채 자동분사기는 흑채의 잔량이 소량일 때, 흑채의 분출이 잘 되지 않던 문제가 있었다.
실시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흑채의 잔량이 소량일 때도 흑채의 분출이 용이한 흑채 자동분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는, 리필통 교환이 가능하고, 송풍에 의해 흑채 분말이 분사되는 흑채 자동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리필통은, 하부 유동홀이 형성된 리필통 몸체; 상부 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필통 몸체와 결합하는 리필통 캡; 및 상단부에 상기 하부 유동홀과 연결되는 바람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바람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람 흡입구가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바람 토출구가 형성되는 방향은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필통 캡의 상단 일부에는 흑채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흑채 투입구를 개폐하는 러버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람 토출구는 다수개 형성되고, 행렬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람 토출구의 개수는 하부로 갈수록 밀집도가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리필통 몸체와 상기 노즐간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에 의하면, 리필통 몸체 내부에 배치된 노즐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흑채의 잔량이 소량일 때도 흑채의 분출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에 의하면, 바람 흡입구가 형성되는 방향과 바람 토출구가 형성되는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기 때문에, 리필통 몸체 내부 구석에 있는 흑채의 분출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에 의하면, 리필통 캡에 흑채 투입구가 형성되고, 러버 덮개를 포함하기 때문에, 리필통을 바디와 분리하지 않아도, 러버 덮개를 열어 흑채를 리필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에 의하면, 노즐의 바람 토출구가 하부로 갈수록 밀집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 노즐이 리필통의 중심에 편향되도록 배치되는 것, 리필통 몸체의 내벽과 노즐 간의 간격이 설정되는 것 및 리필통 몸체의 내벽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 때문에, 리필통 내부의 흑채의 잔량이 소량일 때도 흑채의 분출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필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필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필통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필통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러버 덮개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통의 공기 순환 예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리필통의 공기 순환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필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필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필통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필통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러버 덮개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통의 공기 순환 예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리필통의 공기 순환 예시도이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10)는 하우징(100), 리필통(200), 송풍팬유닛(300) 및 배터리(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흑채 자동분사기(10)의 외형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한 리필통(200)나 송풍팬유닛(300) 및 배터리(400) 등을 내장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전면커버(110), 바디(120) 및 개폐커버(130)를 포함한다.
전면커버(110)는 중앙 부분에 다수의 조작버튼(111)이 구비된다. 조작버튼(111)은 배터리(400)로부터 송풍팬유닛(30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다수의 조작버튼(111) 중 어느 하나의 조작버튼(111)을 누르면 송풍팬유닛(300)이 작동되고, 다른 조작버튼(111)을 누르면 송풍팬유닛(300)의 작동이 멈춘다.
바디(120)는 전면커버(110)의 후방에 설치된다. 바디(120)는 하우징(1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리필통(200), 송풍팬유닛(300) 및 배터리(4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바디(120)는 상단에 배출구(121)가 결합됨과 아울러 하측에 흡입구(122)가 형성되고, 리필통(200)의 하부 유동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관통관(미도시)이 형성된다.
배출구(121)는 전방을 향하여 바디(120)의 상단에 위치한 상부 관통관(123)의 일측과 연통되는 것으로서, 이 배출구(121)의 일단을 통해 공기에 의해 분무되는 흑채 분말이 외부로 배출된다.
흡입구(122)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으로서, 송풍팬유닛(300)이 작동될 때 송풍팬유닛(30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구(122)로 유입된다.
상부 관통관(123)은 바디(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리필통(20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파이프와 같은 형태로 제조되어 배출구(121)와 연통된다. 이러한 상부 관통관(123)은 그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리필통(200)이 바디(120)에 설치될 때 리필통(200)에 형성된 막혀 있던 상부 유동홀(221)을 관통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상부 관통관(123)이 막혀 있던 상부 유동홀(221)을 관통하여 리필통(200)의 내부공간과 배출구(121)는 상부 관통관(123)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하부관통관은 바디(12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리필통(200)의 하부 유동홀(21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파이프와 같은 형태로 제조되어 흡입구(122)와 연통된다. 이러한 하부관통관은 그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리필통(200)이 바디(120)에 설치될 때 리필통(200)에 형성된 막혀 있던 하부 유동홀(211)을 관통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하부관통관이 막혀 있던 하부 유동홀(211)을 관통하여 리필통(200)의 내부공간과 흡입구(122)는 하부관통관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개폐커버(130)는 바디(120)에 설치된다. 개폐커버(130)는 바디(120)의 후방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리필통(20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필통(200)은 내부 공간에 흑채 분말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하우징(100) 내부의 후방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필통(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게 될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송풍팬유닛(300)은 하우징(100) 내부 중간에 설치되어 흡입구(122)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하부 유동홀(211)을 통해 리필통(2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리필통(200) 내부에 저장된 흑채가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송풍팬유닛(300)은 모터(310) 및 모터(310)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송풍팬(320)을 포함한다.
모터(310)는 배터리(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송풍팬(320)은 모터(310)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모터축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흡입구(122)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한다. 이렇게 송풍팬(320)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하부관통관을 통해 리필통(200) 내부로 공급된다.
배터리(400)는 송풍팬유닛(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바닥판(140)이 바디(12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바닥판(140)을 바디(120)에서 분리한 후 배터리(400)를 바디(120) 내부에 끼운다. 그리고, 바닥판(140)을 바디(120)에 결합시켜 배터리(400)의 노출을 막는다.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전면커버(110)의 조작버튼(111)을 눌러 송풍팬유닛(300)에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310)가 작동되어 송풍팬(320)이 회전한다.
송풍팬(320)이 회전하면 흡입력이 발생되어 바디(120)의 흡입구(12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된다.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바디(120)의 하부관통관을 통해 리필통(200) 내부로 들어간다.
리필통(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바디(120)의 상부 관통관(123)을 통해 배출구(121)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에 실려 흑채가 분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동분사기는 하우징(100) 내부에 흑채 분말을 저장한 후 이것을 분사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흑채가 아닌 다른 분말 형태를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한 후 이것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우징(100) 내부에 저장되는 것이 흑채 분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종류의 분말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통(2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필통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필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필통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필통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통(200)은 리필통 몸체(210), 리필통 캡(220) 및 노즐(230)을 포함한다.
리필통 몸체(210)는 내부 공간에 흑채 분말을 저장할 수 있다. 리필통 몸체(210)에는 하부 유동홀(211)이 형성된다. 또한, 리필통 몸체(210)의 측면 상단부에는 제1 연결부(212)가 형성될 수 있고, 리필통 몸체(210)의 상측에는 제1 돌출부(213)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유동홀(211)은 상부 유동홀(221)의 바로 아래, 즉 리필통(200)의 상측에 해당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하부 유동홀(211)은 리필통(200) 내부에 저장된 흑채 분말이 새지 않도록 처음에는 막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필통(200)이 하우징(100)에 설치될 때 막혀 있던 하부 유동홀(211)은 하부관통관에 의해 관통된다.
리필통 캡(220)에는 상부 유동홀(221)이 형성되고, 측면 하단부에는 리필통 몸체(210)의 제1 연결부(212)에 대응되는 제2 연결부(222)가 형성되고, 상단의 적어도 일부에는 흑채 투입구(223) 및 삽입부 수용공(2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필통 캡(220)은 흑채 투입구(223) 및 삽입부 수용공(224)을 막는 러버 덮개(2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러버 덮개(225)는 리필통 캡(220)과 연결되도록 삽입부 수용공(224)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통(200)은 리필통(200)을 바디(120)와 분리하지 않아도, 러버 덮개(225)를 열어 흑채를 리필할 수 있다.
상부 유동홀(221)은 리필통(200)의 측면 상단에 위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흑채 분말이 새지 않도록 처음에는 막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필통(200)이 하우징(100)에 설치될 때 막혀 있던 상부 유동홀(221)은 상부 관통관(123)에 의해 관통된다.
리필통 캡(220)은 리필통 몸체(210)의 상단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12)와 제2 연결부(222)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노즐(230)은 리필통 몸체(210) 내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노즐(230)에 형성된 끼임공(233)에 리필통 몸체(210)의 제1 돌출부(213)가 끼워지고, 노즐(230)의 하단에 형성된 제2 돌출부(234)가 리필통 몸체(210)의 내부 하면에 형성된 수용홈(214)에 끼워짐으로 노즐(230)이 리필통 몸체(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230)은 제1 노즐(231) 및 제2 노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즐(231)과 제2 노즐(232)은 서로 분리 가능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즐(231)과 제2 노즐(232)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노즐(230)에 문제가 발생할 때, 쉽게 수리를 할 수 있으며, 노즐(230)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문제가 있는 제1 노즐(231) 또는 제2 노즐(232)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231) 또는 제2 노즐(23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노즐(23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노즐(230)은 일 예로,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231)의 상단부에는 바람 흡입구(2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즐(231)의 바람 흡입구(236)는 리필통 몸체(210)의 하부 유동홀(211)과 연결되고, 하부 유동홀(211)을 통해 흡입구(122)와 연통된다.
제2 노즐(232)은 제1 노즐(231)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제2 노즐(232)의 하단부에는 바람 토출구(23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즐(231)의 바람 흡입구(236)가 형성되는 방향과 제2 노즐(232)의 바람 토출구(235)가 형성되는 방향은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리필통 몸체(210) 내부 구석에 있는 흑채의 분출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바람 토출구(235)가 노즐(230)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 토출구(235)는 노즐(230)의 하단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 토출구(235)는 제1 노즐(231)의 하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 토출구(235)는 다수개 형성되고, 행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바람 토출구(235)의 개수는 도면과 같이, 하부로 갈수록 밀집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높이에서 바람이 토출될 수 있어 흑채의 분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필통 몸체(210) 내부 구석에 있는 흑채의 분출이 용이할 수 있다.
노즐(230)은 리필통(200)의 중심에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30)의 중심선(C2)은 리필통(200)의 중심선(C1)에 위치하지 않고, 하부 유동홀(211) 및 하부 유동홀(221) 방향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노즐(230)이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은 리필통 몸체(210)의 내벽(215)과 노즐(230) 간의 간격이 설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람 토출구(235)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리필통 몸체(210)의 내벽(215)과 노즐(230) 간의 간격이 설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리필통 몸체(210)의 내벽(215)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리필통 몸체(210)의 내부 폭이 줄어들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230)의 바람 토출구(235)가 하부로 갈수록 밀집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 노즐(230)이 리필통(200)의 중심에 편향되도록 배치되는 것, 리필통 몸체(210)의 내벽(215)과 노즐(230) 간의 간격이 설정되는 것 및 리필통 몸체(210)의 내벽(215)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 때문에, 리필통(200) 내부의 흑채의 잔량이 소량일 때도 흑채의 분출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러버 덮개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리필통(200)의 러버 덮개(225)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리필통(200)의 러버 덮개(225)를 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러버 덮개(225)는 리필통 캡(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삽입부(226)가 삽입부 수용공(224)에 삽입되는 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러버 덮개(225)의 삽입부(226)의 먼 쪽을 당기면, 흑채 투입구(223)가 개방되고, 리필통(200)에 흑채를 리필할 수 있다. 따라서, 러버 덮개(225)가 리필통 캡(220)에 결합된 상태로 리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를 사용 시, 러버 덮개(225)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통의 공기 순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통(200)은 바람 흡입구(236)로 흡입된 바람이 바람 토출구(235)로 토출되기 때문에, 리필통(200) 내부 하단측 구석에 남아 있는 흑채를 쉽게 분출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리필통의 공기 순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카트리지는 바람 흡입구로 흡입된 바람이 카트리지 하단측 내부 하단측 구석에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흑채의 잔량이 소량일 때, 흑채의 분출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른 흑채 자동분사기(10)는 흑채의 잔량이 소량일 때 흑채의 분출 잘 되지 않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상에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전면커버
111: 조작버튼 120: 바디
121: 배출구 122: 흡입구
123: 상부 관통관 130: 개폐커버
140: 바닥판 200: 리필통
210: 리필통 몸체 211: 하부 유동홀
220: 리필통 캡 221: 상부 유동홀
225: 러버 덮개 230: 노즐
300: 송풍팬유닛 310: 모터
111: 조작버튼 120: 바디
121: 배출구 122: 흡입구
123: 상부 관통관 130: 개폐커버
140: 바닥판 200: 리필통
210: 리필통 몸체 211: 하부 유동홀
220: 리필통 캡 221: 상부 유동홀
225: 러버 덮개 230: 노즐
300: 송풍팬유닛 310: 모터
Claims (6)
- 리필통 교환이 가능하고, 송풍에 의해 흑채 분말이 분사되는 흑채 자동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리필통은,
하부 유동홀이 형성된 리필통 몸체;
상부 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필통 몸체와 결합하는 리필통 캡; 및
상단부에 상기 하부 유동홀과 연결되는 바람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바람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는, 흑채 자동분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흡입구가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바람 토출구가 형성되는 방향은 동일한 방향인, 흑채 자동분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통 캡의 상단 일부에는 흑채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흑채 투입구를 개폐하는 러버 덮개를 포함하는, 흑채 자동분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토출구는 다수개 형성되고, 행렬로 배열되는, 흑채 자동분사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토출구의 개수는 하부로 갈수록 밀집도가 높아지는, 흑채 자동분사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834A KR101722667B1 (ko) | 2015-06-02 | 2015-06-02 | 흑채 자동분사기 |
PCT/KR2016/004300 WO2016195243A1 (ko) | 2015-06-02 | 2016-04-25 | 흑채 자동분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7834A KR101722667B1 (ko) | 2015-06-02 | 2015-06-02 | 흑채 자동분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033A KR20160142033A (ko) | 2016-12-12 |
KR101722667B1 true KR101722667B1 (ko) | 2017-04-04 |
Family
ID=5744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7834A KR101722667B1 (ko) | 2015-06-02 | 2015-06-02 | 흑채 자동분사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2667B1 (ko) |
WO (1) | WO20161952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4803B1 (ko) * | 2017-01-20 | 2017-05-11 | 강완준 | 흑채 자동분사기 |
KR102222498B1 (ko) * | 2019-07-31 | 2021-03-03 | (주)알토디자인 | 흑채 자동 분사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9818B2 (ja) | 1992-12-25 | 2000-08-21 | 富士電機株式会社 | プラズマ処理装置 |
JP2009082158A (ja) | 2007-09-27 | 2009-04-23 | Nippon Fuirin Kk | 粉末状擬毛散布器 |
KR101463718B1 (ko) | 2014-09-16 | 2014-11-26 | (주) 송학 | 흑채 자동분사기 |
KR101511766B1 (ko) | 2014-10-21 | 2015-04-14 | (주) 송학 | 배출 및 리필이 가능한 흑채분말 보관용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5049A (en) * | 1994-09-21 | 1998-07-28 | Inhale Therapeutic Systems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on of dry powder medicaments |
US6328714B1 (en) * | 1999-01-29 | 2001-12-11 | Powderject Research Limited | Particle delivery device |
JP3079818U (ja) * | 2001-02-23 | 2001-08-31 | 倫正 戸木 | パウダー振り掛け容器 |
-
2015
- 2015-06-02 KR KR1020150077834A patent/KR1017226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4-25 WO PCT/KR2016/004300 patent/WO20161952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9818B2 (ja) | 1992-12-25 | 2000-08-21 | 富士電機株式会社 | プラズマ処理装置 |
JP2009082158A (ja) | 2007-09-27 | 2009-04-23 | Nippon Fuirin Kk | 粉末状擬毛散布器 |
KR101463718B1 (ko) | 2014-09-16 | 2014-11-26 | (주) 송학 | 흑채 자동분사기 |
KR101511766B1 (ko) | 2014-10-21 | 2015-04-14 | (주) 송학 | 배출 및 리필이 가능한 흑채분말 보관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033A (ko) | 2016-12-12 |
WO2016195243A1 (ko) | 2016-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61462B2 (ja) |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補給容器 | |
KR101493035B1 (ko) | 사용자가 스스로 잉크 충전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 | |
CN109927414A (zh) | 打印装置和液体存储容器 | |
JP2621923B2 (ja) | 通気孔とインク・カートリッジ | |
KR101463718B1 (ko) | 흑채 자동분사기 | |
KR101722667B1 (ko) | 흑채 자동분사기 | |
JPH10250098A (ja) | インク供給装置及びインク充填方法 | |
JP6676920B2 (ja) | インクタンク | |
JP3967287B2 (ja) | インクカートリッジ | |
KR101660128B1 (ko) |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 |
JP2018039144A (ja) | 廃液収容体及び液体噴射装置 | |
JP7192076B2 (ja) | 液体吐出装置 | |
JP2005145074A (ja) | 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ヘッド | |
JP2009131806A (ja) | 噴出ヘッド | |
JPH09123469A (ja) |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記録装置 | |
JP2005288777A (ja) | インクカートリッジ | |
US7261398B2 (en) | Inkjet ink tank with integral priming piston | |
JP7269077B2 (ja) | 液体吐出装置 | |
KR102066853B1 (ko) | 재충전용 잉크 카트리지 | |
US11833833B2 (en) |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 |
KR20160039493A (ko) | 잉크젯프린터용 잉크공급탱크 | |
KR101628315B1 (ko) | 프린터용 잉크 공급탱크 | |
CN211617053U (zh) | 一种墨水补充容器 | |
KR102079488B1 (ko) |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 |
CN211808467U (zh) | 注墨筒、墨罐和喷墨打印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