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330B1 -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330B1 KR102222330B1 KR1020190073239A KR20190073239A KR102222330B1 KR 102222330 B1 KR102222330 B1 KR 102222330B1 KR 1020190073239 A KR1020190073239 A KR 1020190073239A KR 20190073239 A KR20190073239 A KR 20190073239A KR 102222330 B1 KR102222330 B1 KR 102222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heating pipe
- fixing structure
- pipe fixing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2—Constructional details of supporting means for radiators
- F24D19/023—Radiators having fixed suspension means for connecting the radiator to the support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방진층의 상부에 시공되는 축열층의 골조를 이루면서 온수온돌 파이프 혹은 난방배관을 고정 지지함으로써 축열층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방진층의 상부에 시공되는 축열층의 골조를 이루면서 온수온돌 파이프 혹은 난방배관을 고정 지지함으로써 축열층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등의 건물의 바닥 난방을 위한 온돌시공방법으로는 골조공사에 의해서 완성된 슬라브층 위에 단열방진층이 형성되면서 단열방진층의 상부에 온수 순환을 위한 난방배관(일예로는 온수온돌 파이프, 온수배관 등)를 설치한 다음, 축열층인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양생기간을 거쳐 최종적으로 상면에 장판지나 장식패널 등을 적층하여 마감하는 습식온돌공법과, 슬라브면 위에 건식온돌패널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건식온돌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습식온돌공법에서 단열방진층의 상부에 배열된 난방배관은 축열층의 시공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U핀 등의 여러 형태의 고정수단과 못 등올 사용하여 단열방진층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습식온돌공법에서의 축열층을 포함하는 바닥층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리트슬라브 위에, 단열방진층을 설치하고, 단열방진층 위에 경량기포층을 설치한 후에, 경량기포층 위에 난방배관을 배치한다.
이후, 난방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U핀을 상기 난방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경량기포층측으로 삽입하여, 난방배관을 고정한 후에, 모르타르를 양생하여, 축열층을 시공한다. 이후, 시공된 축열층 위에 바닥재층을 시공 혹은 배치함으로써, 건물의 바닥을 1차적으로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열방진층, 경량기포층, 및 축열층 각각이 약 30mm, 40mm, 40mm 정도의 두께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난방배관을 단열방진층 위에 고정한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일정두께의 축열층을 양생할 경우, 난방배관은 축열층의 하부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난방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열이 축열층을 거쳐 방바닥으로 복사되는 시간이 상당히 지체됨으로써 난방효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더욱이, 난방배관을 단열방진층 위에 고정한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경우, 모르타르의 타설과정에서 모르타르의 하중에 의해 온수온돌 파이프가 꺾이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축열층은 모르타르만을 양생시켜 만들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균열이나 크랙 등이 발생되고, 내구성의 확보를 위해 상당한 두께의 축열층을 만들 경우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U핀 등은 건물이 노후화되거나, 외부의 환경변화, 외부의 충격, 모르타르의 양생 과정 등에 의하여 난방배관을 필요이상으로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난방배관이 파열되어 난방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열방진층의 상부에 시공되는 축열층의 골조를 이루면서 온수온돌 파이프 혹은 난방배관을 고정 지지함으로써 축열층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서로 교차하는 2 이상의 프레임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기 2 이상의 프레임요소가 형성하는 평면과 상기 스토퍼링이 형성하는 평면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기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스토퍼링은 3차원 철망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의 최단 거리는 매설하고자하는 난방배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링 중 1 이상이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 외부이면서, 상기 스토퍼링의 상측에 위치하는 난방배관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난방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지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난방배관 고정어셈블리로서,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지구조물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인입부; 상기 고정핀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을 고정시,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를 상기 지지구조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격시키는 프레임이격부;를 포함하는, 난방배관 고정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이격부는 상기 지지구조물과 접촉할 수 있는 바닥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는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지지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핀은, 2개의 프레임이격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의 일부, 및 상기 프레임이격부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핀은, 2개의 프레임이격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에는 V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입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부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슬라브; 상기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배치되는 단열방진층;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배치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난방배관;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모르타르를 양생하여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상기 난방배관을 내부에 포함하는 축열층; 및 상기 축열층 위에 배치되는 바닥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건물 바닥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슬라브는, 골조슬라브를 포함하는 골조슬라브층; 상기 골조슬라브층 위에 배치되고, 수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수평슬라브층; 및 상기 골조슬라브층 위에 배치되는 드레인홈;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방진층은 상기 수평슬라브층 및 드레인홈 위에 배치되고, 상기 건물 바닥구조체는 상기 골조슬라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홈에 수용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의 축열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열방진층 위에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위에 난방배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난방배관을 상기 단열방진층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난방배관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내부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모르타르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건물 바닥구조체의 축열층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상기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에 인접하게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기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를 동시에 상기 단열방진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자가 축열층에서의 난방배관 배치 및 매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할때 콘크리트에 의해 배관고정장치와 배관이 부양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바닥의 두께를 약 70mm까지 절감할 수 있고, 표준 차음재 30mm 기준으로는 40mm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 층의 두께를 50%이상 줄여서 예열 시간을 단축하여 예열에 필요한 시간과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이 포설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난방되는 표면에 균일한 난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방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누름 모르타르가 가장 얇게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철망이 철근 역할을 하여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철망 형상을 갖는 스토퍼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배관의 포설시 발로 밟아서 끼울 수 있어 종래의 U핀시공과 비교시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고정핀으로 상호 및 단열방진층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철망 형태의 난방배관고정구조체와 난방배관의 부양을 방지하고, 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망과 망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불균일한 표면을 수평모르타르형의 기포층을 시공하여 수평이 잘 맞은 상태에서 어느 정도 강성이 있은 차음재를 시공할 수 있어, 차음재 밑에 생길 수 있는 공간을 없애므로 균일한 안정적인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층의 높이를 감소시켜 추가적으로 차음재를 추가적으로 시공하여 층간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건물 바닥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에서 난방배관이 매설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고정핀을 포함하는 난방배관고정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A-A로 표시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방진층 위에 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에서 난방배관이 매설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고정핀을 포함하는 난방배관고정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A-A로 표시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방진층 위에 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는 콘크리트슬라브; 상기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배치되는 단열방진층;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배치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내부에 배치 혹은 매설되는 난방배관(200);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모르타르를 양생하여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및 상기 난방배관(200)을 내부에 포함하는 축열층; 및 상기 축열층 위에 배치되는 바닥재층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건물 바닥구조체와 비교시 본 발명은 경량기포층이 없이 축열층을 구성할 수 있어서 보다 바닥구조체의 높이를 저감할 수 있고, 따라서, 저감된 높이만큼 추가적인 단열방진층 등을 추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열층은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에 매설된 난방배관(200), 및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들을 상기 단열방진층에 고정하는 고정핀(300), 및 이들 위에 타설되어 양생된 마감모르타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이용하여 난방배관(200)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모르타르가 양생되어 축열층이 제조되기 때문에, 난방배관(200)의 위치를 축열층 내부에서 균일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고정핀(300)을 이용함으로써 난방배관(200)을 균일하게 단열방진층 상측에 일부 이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고정핀(300) 등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는 제1지지프레임(110);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120);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은 복수의 금속 선형부재가 접합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금속 선형부재가 교차시키고, 교차지점을 용접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금속 선형부재는 하나의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프레임(110)은 상호 교차하는 복수의 금속 선형부재에 의하여 사각 형태의 테두리 부분 및 상기 테두리 부분 내부에 위치하는 격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제1지지프레임(110)은 사각형태의 테두리 부분 내부에 복수의 격자 부분을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금속이 아닌 다른 탄성 변형이 가능한 선형부재로도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도 마찬가지로 금속 선형부재를 절곡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프레임(120)은 4부분이 절곡이 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2점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용접되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프레임(120)의 일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이 형성하는 평면상에 놓이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이 형성하는 평면에 일정 각도(예를 들어 60도 내지 90도)를 가지는 가상의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지지프레임(120)이 절곡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스토퍼링(130)이 이루는 평면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이 이루는 평면을 이격시켜 난방배관(200)이 수용되는 높이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제2지지프레임(120)은 4회 절곡된 U자형 형상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금속이 아닌 다른 탄성 변형이 가능한 선형부재로도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링(13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을 통하여 제1지지프레임(130)에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링(130)은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원형 형태임이 바람직하지만, 난방배관(200)을 구속할 수 있는 평면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평면형태, 예를 들어, 타원형, 대칭 다각형, 비대칭 다각형 구조, 혹은 폐루프가 아닌 일부가 개방된 평면을 구현하는 구조체 역시 스토퍼링(13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링(130)은 금속 선형부재에 의하여 구현이 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금속이 아닌 다른 탄성 변형이 가능한 선형부재로도 상기 스토퍼링(130)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130)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2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난방배관(200)의 하면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에 의하여 구속되고, 난방배관(200)의 측면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의 일부에 의하여 구속되고, 난방배관(200)의 상면은 상기 스토퍼링(130)의 일부에 의하여 구속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은 서로 교차하는 2 이상의 프레임요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은 가상의 3차원 평면에서 X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요소(111), Y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요소(112)가 서로 교차하고, 교차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요소접합부(113)에서 서로 용접되는 방식으로 제1지지프레임(110)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프레임(120)은 각각의 대칭형태를 가지고, 양측 단부측에 있어서 XY평면상에서 절곡이 되는 제1절곡부(122), XZ평면상 혹은 YZ평면상 혹은 XY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평면상에서 절곡이 되는 제2절곡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제1프레임요소(111) 혹은 상기 제2프레임요소(112)의 일부에서 지지프레임접합부(121)를 통하여 용접 등을 통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고정 및 접합된다.
한편, 지지프레임접합부(121)은 제1프레임요소(111) 및 제2프레임요소(11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XY평면상에서 상기 스토퍼링(130)의 외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스토퍼링(130)과 제2지지프레임(120)이 접합된 상태에서, 스토퍼링의 외부(즉 스토퍼링의 원 안이 아니라 원 밖에서)의 지점에서 제2지지프레임과 제1지지프레임을 용접등으로 접합하여 지지프레임접합부(121)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의 구조는 이와 같은 용접 등에 의한 제조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이다.
각각의 스토퍼링(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4개의 제2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지지 및 고정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스토퍼링(130)은 제2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8개의 지점의 스토퍼링접합부(131)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상기 2 이상의 프레임요소에 해당하는 X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요소(111) 및 Y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요소(112)가 형성하는 평면과 상기 스토퍼링(130)이 형성하는 평면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는 제2지지프레임(120)의 일부는 XY평면에 놓여지지만, 다른 일부가 절곡되어 XZ평면 혹은 YZ평면상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 상기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복수의 스토퍼링(130)은 3차원 철망구조체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철망구조체 내부에 상기 난방배관(200)이 매설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 등의 선형부재로 3차원 철망구조체가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130)의 최단 거리는 매설하고자 하는 난방배관(200)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스토퍼링(130) 중 1 이상이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이면서, 상기 스토퍼링(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난방배관(200)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요소(들)이 탄성변형을 하여 난방배관(200)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에서 난방배관(200)이 매설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130)의 최단 거리는 매설하고자 하는 난방배관(200)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시공자는 단열방진층 위에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배치하고,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위에 매설하고자 하는 난방배관(200)을 배치한다. 도 5의 (A)는 이와 같은 난방배관(200)의 배치형태를 도시한다.
이후, 시공자는 난방배관(200)을 밟거나 하는 등으로 하측으로 가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선형부재 등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130)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공간 내부로 상기 난방배관(20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서와 같은 가압에 의하여 난방배관(200)이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내부로 안착한 형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이용하는 경우 U핀 고정 작업 등의 번거로운 절차 없이 시공자는 단순히 난방배관(200)을 발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난방배관(200)을 정확한 위치에 매설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스토퍼링(130) 중 1 이상이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 외부이면서, 상기 스토퍼링(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난방배관(200)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난방배관(200)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및 고정핀(300)을 포함하는 난방배관고정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는, 도 3, 4, 5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10);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120);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130)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2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핀(3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상호 위치를 고정하고, 동시에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하측에 위치하는 층, 예를 들어 단열방진층에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핀(300)은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완전히 단열방진층에 접촉하도록 붙이는 것이 아니라,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가 단열방진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함으로써, 난방배관(200) 역시 단열방진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한다.
이와 같은 고정핀(300)에 의하여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단열방진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균일하게 이격시킴으로써 난방배관(200)의 난방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고정하는 형태가 아닌 단일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고정하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300)의 입체형상을 도시하고,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도 7의 (A)에 도시된 고정핀(300)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00)은, 양단부측에 상기 지지구조물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인입부(310); 상기 고정핀(300)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을 고정시,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를 상기 지지구조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격시키는 프레임이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이격부(320) 를 연결하는 이음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이격부(320)는 단열방진층 등의 지지구조물과 접촉할 수 있는 바닥지지부(321);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는 프레임지지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지지부(321)와 상기 프레임지지부(322)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따라서, 고정핀(300)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핀(3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프레임(110)의 요소가 도 7의 (B)에 a로 표시된 거리 이상으로 단열방진층 등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음부(330)는 2개의 프레임이격부(320)를 연결하고, 상기 이음부(330)의 일부, 및 상기 프레임이격부(320)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프레임수용공간(340)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가 지지 및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부(330)에는 V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고정핀(300)을 상기 단열방진층 등에 고정하면서,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고정핀(300)의 변형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부(310)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부분, 예를 들어 뾰족한 부분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00)을 단열방진층에 꼽는 경우에, 제1지지프레임(110)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선형부재는 초기에는 인입부(31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프레임이격부(320)의 돌출된 형상의 내면을 따라 탄성변형을 하면서 이동하다가, 상기 프레임수용공간(34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핀(300)의 구조는 난방배관(200)을 균일하게 단열방진층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핀(300)의 시공 역시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300)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00)은 인접하는 2개의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제1지지프레임(110)의 각각의 일부를 상호 고정하는 형태로 단열방진층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A-A로 표시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고정핀(300)은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제1프레임요소(111) 혹은 제2프레임요소(112)의 일부 및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제1프레임요소(111) 혹은 제2프레임요소(112)를 상기 프레임수용공간(340)에 수용하면서, 이들을 단열방진층 등의 하부 구조체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격하고,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및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상호 간격 및 단열방진층에 대한 상대적 평면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핀(3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핀(300)은 복수의 프레임요소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고정핀(300)이 단열방진층 등에 고정되더라도 프레임요소를 단열방진층으로부터 높이방향 이격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의 (C) 및 (D)에서와 같이, 이음부(330)에는 절곡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단열방진층으로의 인입 및 프레임요소의 수용과정에서의 고정핀(300)의 변형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100에서는 슬라브 위에 단열방진층을 시공한다.
단계 S200에서는 단열방진층 위에 전술한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배치한다.
단계 S300에서는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위에 난방배관(200)을 배치한다.
단계 S400에서는 상기 난방배관(200)을 상기 단열방진층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난방배관(200)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 내부로 매설 혹은 삽입한다.
단계 S500에서는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마감모르타르를 양생하여, 축열층을 완성한다.
단계 S600에서는 마감모르타르층 위에 바닥재층을 시공한다.
위의 단계 S100 내지 S600을 통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는, 제1지지프레임(110);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120);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130)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2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방진층 위에 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단계 S300에 해당하는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배치하는 단계(S310);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상기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에 인접하게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를 배치하는 단계(S320); 및 고정핀(3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제1지지프레임(110)의 일부와 상기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100)의 제2지지프레임(120)의 일부를 동시에 상기 단열방진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고정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건물 바닥구조체는 도 2에 도시된 건물 바닥구조체의 개량 및 개선형태로서, 이하에서는 도 2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바닥구조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축열층은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에 매설된 난방배관, 및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들을 상기 단열방진층(도 13에서는 차음재)에 고정하는 고정핀, 및 이들 위에 타설되어 양생된 마감모르타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도 2와 동일하다.
다만, 도 13에서는 슬라브 구조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서의 건물 바닥구조체는 골조슬라브를 포함하는 골조슬라브층; 상기 골조슬라브층 위에 배치되고, 수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수평슬라브층 및 상기 골조슬라브층 위에 배치되는 드레인홈; 상기 골조슬라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홈에 수용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부; 상기 수평슬라브층 및 상기 드레임홈 위에 배치되는 차음재 혹은 단열방진층;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배치되는 축열층; 상기 축열층 위에 배치되는 바닥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홈은 골조슬라브층 위의 일부에 수평슬라브가 없게 함으로써 구현되거나, 혹은 수평슬라브의 일부를 오목홈 형태로 구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난방배관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물 등의 액체가 상기 드레인홈으로 모이게 되고, 모인 액체가 상기 드레인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슬라브의 수직면과 상기 건물 바닥구조체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단열재 위에 걸레받이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자가 축열층에서의 난방배관 배치 및 매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할때 콘크리트에 의해 배관고정장치와 배관이 부양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바닥의 두께를 약 70mm까지 절감할 수 있고, 표준 차음재 30mm 기준으로는 40mm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 층의 두께를 50%이상 줄여서 예열 시간을 단축하여 예열에 필요한 시간과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이 포설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난방되는 표면에 균일한 난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방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누름 모르타르가 가장 얇게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철망이 철근 역할을 하여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철망 형상을 갖는 스토퍼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배관의 포설시 발로 밟아서 끼울 수 있어 종래의 U핀시공과 비교시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고정핀으로 상호 및 단열방진층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철망 형태의 난방배관고정구조체와 난방배관의 부양을 방지하고, 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망과 망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불균일한 표면을 수평모르타르형의 기포층을 시공하여 수평이 잘 맞은 상태에서 어느 정도 강성이 있은 차음재를 시공할 수 있어, 차음재 밑에 생길 수 있는 공간을 없애므로 균일한 안정적인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층의 높이를 감소시켜 추가적으로 차음재를 추가적으로 시공하여 층간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 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의 최단 거리는 매설하고자하는 난방배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링 중 1 이상이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 외부이면서, 상기 스토퍼링의 상측에 위치하는 난방배관을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난방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XY평면상에서 절곡이 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서로 교차하는 2 이상의 프레임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기 2 이상의 프레임요소가 형성하는 평면과 상기 스토퍼링이 형성하는 평면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기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스토퍼링은 3차원 철망구조체를 형성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 삭제
-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지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난방배관 고정어셈블리로서,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지구조물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인입부;
상기 고정핀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을 고정시,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를 상기 지지구조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격시키는 프레임이격부;를 포함하고,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의 최단 거리는 매설하고자하는 난방배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링 중 1 이상이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 외부이면서, 상기 스토퍼링의 상측에 위치하는 난방배관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난방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XY평면상에서 절곡이 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난방배관 고정어셈블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격부는 상기 지지구조물과 접촉할 수 있는 바닥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는 프레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지지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난방배관 고정어셈블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2개의 프레임이격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의 일부, 및 상기 프레임이격부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난방배관 고정어셈블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2개의 프레임이격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에는 V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입부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난방배관 고정어셈블리.
- 콘크리트슬라브;
상기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배치되는 단열방진층;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배치되는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난방배관;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모르타르를 양생하여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상기 난방배관을 내부에 포함하는 축열층; 및
상기 축열층 위에 배치되는 바닥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의 최단 거리는 매설하고자하는 난방배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링 중 1 이상이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 외부이면서, 상기 스토퍼링의 상측에 위치하는 난방배관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난방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XY평면상에서 절곡이 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건물 바닥구조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슬라브는,
골조슬라브를 포함하는 골조슬라브층;
상기 골조슬라브층 위에 배치되고, 수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수평슬라브층; 및
상기 골조슬라브층 위에 배치되는 드레인홈;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방진층은 상기 수평슬라브층 및 드레인홈 위에 배치되고,
상기 건물 바닥구조체는 상기 골조슬라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홈에 수용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바닥구조체.
- 건물의 축열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열방진층 위에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위에 난방배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난방배관을 상기 단열방진층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난방배관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내부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모르타르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위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 및
일부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접합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스토퍼링;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1 이상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 및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링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난방배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스토퍼링의 최단 거리는 매설하고자하는 난방배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링 중 1 이상이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 외부이면서, 상기 스토퍼링의 상측에 위치하는 난방배관을 상기 난방배관고정구조체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난방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XY평면상에서 절곡이 되는 제1절곡부를 포함하는, 건물 바닥구조체의 축열층을 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단열방진층 위에 상기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에 인접하게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기 제1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제1지지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제2난방배관고정구조체의 제2지지프레임의 일부를 동시에 상기 단열방진층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바닥구조체의 축열층을 시공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239A KR102222330B1 (ko) | 2019-06-20 | 2019-06-20 |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239A KR102222330B1 (ko) | 2019-06-20 | 2019-06-20 |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5910A KR20200145910A (ko) | 2020-12-31 |
KR102222330B1 true KR102222330B1 (ko) | 2021-03-19 |
Family
ID=7408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3239A KR102222330B1 (ko) | 2019-06-20 | 2019-06-20 |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33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8908A (ja) * | 2003-03-17 | 2004-10-07 | Atsuyoshi Mantani | 床暖房放熱体の骨格躯体ユニツ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放熱体 |
JP2011219954A (ja) | 2010-04-07 | 2011-11-04 | Sumitomo Kinzoku Kozan Siporex Kk | アンカープレートと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
KR101406287B1 (ko) | 2014-03-13 | 2014-06-12 | 김용대 | 공동주택용 방음 및 방수패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2642A (ko) | 2007-04-13 | 2008-10-16 | 윤인수 | 층간소음차단 습식온수온돌 |
KR20100071581A (ko) * | 2008-12-19 | 2010-06-2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마그네슘 방열판, 상기 마그네슘 방열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및 상기 온돌 패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시스템 |
KR101467553B1 (ko) | 2013-08-13 | 2014-12-01 | 이금재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
KR20140132257A (ko) | 2013-05-07 | 2014-11-17 | 최준한 | 건식온돌 시공구조 및 건식온돌 시공용 판넬 |
KR101501170B1 (ko) | 2014-10-15 | 2015-03-12 | 지대환 |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
-
2019
- 2019-06-20 KR KR1020190073239A patent/KR1022223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8908A (ja) * | 2003-03-17 | 2004-10-07 | Atsuyoshi Mantani | 床暖房放熱体の骨格躯体ユニツ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放熱体 |
JP2011219954A (ja) | 2010-04-07 | 2011-11-04 | Sumitomo Kinzoku Kozan Siporex Kk | アンカープレートと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
KR101406287B1 (ko) | 2014-03-13 | 2014-06-12 | 김용대 | 공동주택용 방음 및 방수패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5910A (ko) | 2020-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3254B1 (ko) | 공동주택의 피씨형 발코니 구조 | |
EA034519B1 (ru) | Конструкция из сборных легких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и колонн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 |
KR101608944B1 (ko) | 건축용 스틸 거푸집 폼 및 이를 사용한 건축 구조물 형성 공법 | |
KR102142625B1 (ko) |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 |
KR20210038684A (ko) | 프리캐스트 건축물 시공 시스템 | |
KR102222330B1 (ko) | 난방배관고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축열층 시공방법 | |
KR101386415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 |
KR20170013009A (ko) |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및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 |
JP5091835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1547685B1 (ko) | Eps벽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478406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프리패브 바닥 시스템 | |
KR101758596B1 (ko) | 단열 하프피씨 슬래브 | |
KR101234614B1 (ko) | 조립식 건축물의 경량복합 바닥판 시공방법 | |
KR101086058B1 (ko) | 건축용 바닥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 |
KR20170060769A (ko) | 더블 월 피씨에 의한 구조물의 복수 층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0540643B1 (ko) | 건축물의 벽체 | |
KR100597214B1 (ko) | 다방향 데크 플레이트 | |
KR102513855B1 (ko) | 온돌바닥 미장 모르타르와 일체화되고, 난방효율 확보를 위해 모르타르 두께에 따른 배관 높이 고정이 가능한 고정패드 | |
JP4746781B2 (ja) |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 |
JPH1025840A (ja) | プレキャスト耐震壁を有する建物躯体の構築方法 | |
KR101024692B1 (ko) | 건축용 실내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
WO2005042865A1 (en) | Plural direction deck plate. | |
KR100504350B1 (ko) | 건축물의 시공방법 | |
KR200345725Y1 (ko)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경사 지붕 건축물 | |
KR101718103B1 (ko) | 완충층을 구비한 중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5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17 Effective date: 20201231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