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409B1 -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 Google Patents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409B1
KR102221409B1 KR1020200120859A KR20200120859A KR102221409B1 KR 102221409 B1 KR102221409 B1 KR 102221409B1 KR 1020200120859 A KR1020200120859 A KR 1020200120859A KR 20200120859 A KR20200120859 A KR 20200120859A KR 102221409 B1 KR102221409 B1 KR 10222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hole
discharge valve
waterproof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섭
Original Assignee
소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윤섭 filed Critical 소윤섭
Priority to KR102020012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7Materials used as gas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에 설치되는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밸브의 내부에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기능성 부직포를 추가하여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하고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함과 동시에 포장재 내부의 수분이 가스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포장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방향을 단순한 구조로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에 활용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One-way gas discharge valve for packaging materials with waterproof breathable function}
본 발명은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에 설치되는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밸브의 내부에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기능성 부직포를 추가하여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하고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함과 동시에 포장재 내부의 수분이 가스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포장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방향을 단순한 구조로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에 활용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유통 및 보관 중에는 온도나 습도, 열, 빛, 식품자체의 화학적 변화, 미생물 등을 비롯한 다양한 내.외부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식품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식품으로서의 기능 및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상실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소정 식품의 유통 및 보관 시에는 식품의 종류 및 형태,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을 갖는 포장재가 적용되는데, 포장재 내부와 외부 공기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는 밀봉 구조 또는 포장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포장재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포장재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포장재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여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자하는 종래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10-2040443호(등록일: 2019년 10월 29일)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는, 내부에 수용물이 보관되는 포장재 일측에 형성된 통공에 부착되어 포장재 내부의 가스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는, 상기 포장재의 외면에 부착되며 통공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점착되는 강점착층과, 상기 강점착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공의 상부면에 점착되는 저점착층를 포함하며, 여기서, 포장재 내부에 가스가 발생시 압력에 의하여 가장자리의 강점착층은 포장재에 점착된 상태에서 저점착층이 부풀어오르며 일부분 개방되어 가스를 배출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저점착층이 원상복귀하여 통공을 밀폐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1395609호(등록일: 2014년 05월 09일) 밀페용기의 가스배출용 체크밸브는, 디스크와 밸브커버를 수용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삽입 설치되는 탄성체의 디스크와,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를 가압 지지하는 밸브커버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의 가스배출용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면을 수용하는 디스크 수용 요홈과,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중앙부과 밸브커버의 누름부에 의해 디스크가 압축되는 반경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과, 상기 디스크 수용 요홈과 연이어져 형성되고, 밸브커버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원주홈과, 상기 원주홈과 연이어져 형성되고, 밸브커버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밸브커버 이탈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중앙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배출되는 디스크 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커버는 상기 돌출부에서 중심의 안쪽으로는 디스크의 평탄면을 누르기 위한 평탄면을 갖는 누름부와, 상기 평탄면의 끝단에서 중앙으로는 상기 평탄면의 단면두께보다는 얇은 프레임과, 중앙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와, 외측에 마련되는 반원형상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장재용 밸브의 경우 외부에서 공기나 빗물, 습기에 의한 침투수는 강점착층과 저점착층의 구성이나 디스크의 구성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으나, 포장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식품이 김치와 같이 수분과 액즙이 포함된 발효식품인 경우 김치가 발효되며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내부의 수분이 밸브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수분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액즙과 같은 이물질이 밸브의 밀폐부분을 훼손시켜 외부공기의 유입 또는 침투수와 같은 이물질이 포장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포장재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즉석식품의 경우, 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하여 취식자가 화상을 입거나 또는 급격한 공기의 배출에 의하여 포장재가 손상되거나 조리과정에서 쓰러져 내부 음식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40443호(등록일: 2019년 10월 29일)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등록특허공보 제10-1395609호(등록일: 2014년 05월 09일) "밀폐용기의 가스배출용 체크밸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원두 또는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등이 포장되는 포장재에 부착되어 운송중 포장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는 원활하게 배출되고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포장된 식품의 수분이나 액즙의 배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포장된 식품의 상품가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포장재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취식하기 위하여 열원을 사용하는 즉석조리식품의 포장재에 설치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원하는 일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식자가 고온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화상을 입거나 또는 급격한 공기의 배출에 의하여 포장재가 손상되거나 조리과정에서 쓰러져 내부 음식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는, 내부에 식품과 같은 수용물이 보관되는 포장재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에 부착되어 포장재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는, 포장재의 외면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구멍의 외측에 공개배출구멍을 덮는 형태로 밀착되는 기능성 부직포와, 상기 기능성 부직포의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공기배출구멍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통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포장재에 부착되는 제1강점착필름과, 상기 제1강점착필름의 제1통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는 저점착필름과, 상기 저점착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중앙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저점착필름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이 제1강점착필름에 부착되는 제2강점착필름을 포함하며, 여기서, 포장재 내부에 가스가 발생시 압력에 의하여 수분이 혼합된 가스가 기능성 부직포에 의하여 수분이 분리된 상태로 기능성 부직포를 통과하고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저점착필름이 들어올려져 가스를 배출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저점착필름이 원상복귀하여 제1통공을 밀폐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부직포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는 미세다공성 부직포로써 폭발방사법으로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의 극세사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점착필름의 제1통공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 형태를 갖거나 또는 -, +, * 형태의 선 형태로 절단되는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강점착필름의 하면에 일면이 접착되고 이면이 포장재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구멍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통공이 형성된 제3강점착필름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포장재가 표면이 거친 재질이거나 또는 포장재가 접혀 평활면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도 포장재의 표면에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능성 부직포에 의한 수분의 배출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는, 커피원두 또는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등이 포장되는 포장재에 부착되어 운송중 포장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는 원활하게 배출되고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어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포장상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배출밸브 내부에 형성된 기능성 부직포의 구성에 의하여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의 경우 포장된 식품의 수분이나 액즙의 배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포장된 식품의 상품가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는 강점착층과 저점착층의 크기, 폭, 두께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포장재에 수용되는커피원두와 같은 식품의 각기 다른 가스배출량, 배출속도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 커피원두나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의 포장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밸브를 구성하는 저점착층에 형성되는 통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구멍 형태를 갖거나 또는 -, +, * 형태의 선 형태로 절단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포장재에 수용되는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량 또는 식품 포장재의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공을 제공할 수 있어 안정적인 내부공기의 배출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통공의 형태를 변형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적 구성이 있으며, 예를 들어 열원에 의하여 내부 식품이 조리되는 군대의 전투식량용 포장재로 사용되는 경우 조리시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를 지면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하여 열화상 카메라에 의하여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취사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는 고점착층 필름의 통공부분에 기능성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직접 포장재에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배출밸브의 슬림화를 통한 포장된 식품의 유통이나 판매시 배출밸브가 구불어지거나 접히더라도 안정적으로 배출밸브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포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가스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가스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포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중 통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일회용 포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포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가스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가스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포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중 통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가 일회용 포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배출밸브의 내부에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기능성 부직포를 추가하여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하고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함과 동시에 포장재 내부의 수분이 가스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포장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방향을 단순한 구조로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밀폐용기 또는 일회용 포장재에 활용될 수 있는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이하, '배출밸브' 라 한다)(100)는 포장재(1)의 외면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구멍(1a)의 외측에 공기배출구멍(1a)을 덮는 형태로 밀착되는 기능성 부직포(10)와, 상기 기능성 부직포(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공기배출구멍(1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통공(2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포장재(1)에 부착되는 제1강점착필름(20)과, 상기 제1강점착필름(20)의 제1통공(2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는 저점착필름(30)과, 상기 저점착필름(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중앙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저점착필름(3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이 제1강점착필름(20)에 부착되는 제2강점착필름(40)을 포함하며, 여기서, 포장재(1) 내부에 가스가 발생시 압력에 의하여 기능성 부직포(10)를 통과한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저점착필름(30)이 들어올려져 가스를 배출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저점착필름(30)이 원상복귀하여 제1통공(21)을 밀폐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기능성 부직포(10)의 구성에 의하여 포장재 내부에 수분을 함유하는 김치와 같은 식품이 수용되는 경우 수분은 기능성 부직포(10)에 의하여 배출이 차단되고 가스만이 기능성 부직포(10)를 통과하여 개방된 저점착필름(30) 사이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수분의 외부노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제1강점착필름(20)과 제2강점착필름(40)은 아크릴수지, 러버수지, 실리콘수지, 부틸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점착성을 갖는 필름형태의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점착필름(30)에는 상기 제1통공(21)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제2통공(31)을 형성하여 가스에 의하여 제1, 2강점착필름(20, 40) 사이에 위치된 저점착필름(30)의 상부 또는 하부가 자유롭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밸브(100)의 보다 원활하고 신속한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점착필름(30)은 저비중PE, 메탈로센,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PB, EMA, EAA, EMAA, EMMA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자기점착력을 갖는 필름 형태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점착필름(3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저점착필름(30)은 PE 또는 PP의 올레핀 수지에 가소제와 방담재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포장재와 밀착되는 면에 실리콘 박막층을 형성하여 점착성을 지속시킴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저점착필름(30)은 내부에 저분자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e, PIB)를 첨가하여 끈적끈적한 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e, PIB)이 외부로 전이되는 마이그레이션효과에 의하여 저점착필름(30)을 계속하여 끈적끈적한 겔형태로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제2통공(31)의 형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각형의 구멍 형태를 갖거나 또는 -, +, * 형태의 선 형태로 절단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포장재에 수용되는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량 또는 식품 포장재의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공을 제공할 수 있어 안정적인 내부공기의 배출을 보장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통공의 형태를 변형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적 구성이 있으며, 예를 들어 열원에 의하여 내부 식품이 조리되는 군대의 전투식량용 포장재로 사용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시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를 지면측으로 하향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하방으로 확장되는 부채골 형태로 형성하여 적의 열화상 카메라에 의하여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온의 증기를 하부 또는 상부로만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포장지의 측면을 잡고 조리시 고온의 증기가 측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기능성 부직포(10)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는 미세다공성 부직포로써 폭발방사법으로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의 극세사 부직포로 형성되어 포장재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수분이나 김치국물등이 배출밸브(100)를 통하여 가스와함께 배출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서 수분의 배출을 차단하여 내부의 식품 예를 들어 김치의 맛이 변화하거나 수분의 배출에 따라 신선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강점착필름(20)의 하면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형지(미도시)에 의하여 접착성이 보호될 수 있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일면이 이형지(미도시)에 의하여 보호되는 양면테이프의 일면을 부착하여 접착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쉽게 포장재에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1강점착필름(20)의 저면에 이형지 또는 양면테이프를 형성함으로써 제1강점착필름(20)의 내부에 형성된 기능성 부직포(1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배출밸브(100)를 자동화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재에 자동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수작업을 통하여 수동으로 부착하는 등 생산현장에 따른 다양한 사용환경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배출밸브(100) 전체가 슬림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포장재(1)에 배출밸브(100)가 부착된 후 배출밸브(100)가 접히거나 포장재(1)의 표면이 손상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배출밸브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예로 배출밸브(100)의 폭이 20mm인 경우 저점착플름(30)은 10mm이고, 상기 저점착필름(3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강점착필름(20, 40)은 20mm로 저점착필름(30)의 양측으로 5mm씩 확장되어 포장재(1)에 점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점착강도는 저점착필름(30)이 2gf ~ 200gf의 점착강도를 갖으며 강점착필름(20, 40)은 1,000gf ~3,000gf 의 점착강도를 갖는다.
한편, 도 4는 제1강점착필름(20)의 하면에 기능성 부직포(10)의 포장재와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강점착필름(20)의 하면에 일면이 접착되고 이면이 포장재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구멍(1a)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통공(51)이 형성된 제3강점착필름(50)을 형성하여 포장재가 종이 등과 같이 표면이 거친 재질이거나 또는 포장재가 접혀 평활면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도 포장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제3강점착필름(50)에 의하여 기능성부직포(10)와 제1강점착필름(20) 사이공간으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수분의 배출 없이 안정적인 포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의 동작상태를 도 2a 내지 도 3b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재(1)의 공기배출구멍(1a)이 형성된 상부에 배출밸브(100)의 기능성 부직포(10)를 위치시키고 상면에 제1통공(21)이 형성된 제1강점착필름(20)을 포장재에 부착하여 기능성 부직포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제1강점착필름(20)의 상부에 저점착필름(30)을 적층하고 다시, 저점착필름(30)의 상부에 제2강점착필름(40)을 적층하여 가장자리측에서 제1, 2강점착필름(20, 40)이 접착된 형태로 포장재에 점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가스 배출밸브(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포장재 내부에 수용된 커피원두 또는 김치와 같이 수분이 포함된 발효식품과 같이 식품자체의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포장재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재가 가스 압력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게 되며, 이때 기능성 부직포(10)에 의하여 식품에 함유된 수분의 배출은 차단되고 가스만이 기능성 부직포(10)를 통과하여 제1강점착필름(20)측으로 이동하여 부풀어 올라 저점착필름(30)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제2통공(31)에 의하여 저점착필름(30)과 제2강점착필름(40) 사이를 이격시켜 개방부분(C)을 형성하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방부분(C)에 의하여 포장재 내부의 가스압력이 제거된 후에는 부풀어 오른 포장재가 안정되며 내부 압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부풀어 올랐던 저점착필름(30)이 안정되며 제1, 2강점착필름(20, 40)과 밀착되어 개방부분(C)이 폐쇄됨으로써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포장재 내부에 수용된 커피원두 또는 발효식품 등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는, 커피원두 또는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등이 포장되는 포장재에 부착되어 운송중 포장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는 원활하게 배출되고 외부공기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어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포장상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배출밸브 내부에 형성된 기능성 부직포의 구성에 의하여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의 경우 포장된 식품의 수분이나 액즙의 배출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포장된 식품의 상품가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상기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는 강점착층과 저점착층의 크기, 폭, 두께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포장재에 수용되는커피원두와 같은 식품의 각기 다른 가스배출량, 배출속도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 커피원두나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의 포장품질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배출밸브를 구성하는 저점착층에 형성되는 통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구멍 형태를 갖거나 또는 -, +, * 형태의 선 형태로 절단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포장재에 수용되는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량 또는 식품 포장재의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공을 제공할 수 있어 안정적인 내부공기의 배출을 보장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통공의 형태를 변형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적 구성이 있으며, 예를 들어 열원에 의하여 내부 식품이 조리되는 군대의 전투식량용 포장재로 사용되는 경우 조리시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를 지면측으로 하향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하방으로 확장되는 부채골 형태로 형성하여 열화상 카메라에 의하여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리시 사용자의 화상 등의 부상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취사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는 고점착층 필름의 통공부분에 기능성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직접 포장재에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배출밸브의 슬림화를 통한 포장된 식품의 유통이나 판매시 배출밸브가 구불어지거나 접히더라도 안정적으로 배출밸브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기능성 부직포
20 : 제1강점착필름 21 : 제1통공
30 : 저점착필름 31 : 제2통공
40 : 제2강점착필름
50 : 제3강점착필름 51 : 제3통공
1 : 포장재 1a : 공기배출구멍

Claims (4)

  1. 내부에 식품과 같은 수용물이 보관되는 포장재(1)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1a)에 부착되어 포장재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100)는,
    포장재(1)의 외면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구멍(1a)의 외측에 공기배출구멍(1a)을 덮는 형태로 밀착되는 기능성 부직포(10)와, 상기 기능성 부직포(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공기배출구멍(1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통공(21)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포장재(1)에 부착되는 제1강점착필름(20)과, 상기 제1강점착필름(20)의 제1통공(2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층되는 저점착필름(30)과, 상기 저점착필름(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중앙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저점착필름(3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이 제1강점착필름(20)에 부착되는 제2강점착필름(40)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부직포(10)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는 미세다공성 부직포로써 폭발방사법으로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의 극세사 부직포로 구성하고,
    상기 저점착필름(30)은 제1통공(21)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 형태를 갖거나 또는 -, +, * 형태의 선 형태로 절단되는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통공(31)을 형성하여, 포장재(1) 내부에 가스가 발생시 압력에 의하여 수분이 혼합된 가스가 기능성 부직포(10)에 의하여 수분이 분리된 상태로 기능성 부직포(10)를 통과하고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저점착필름(30)의 상면 또는 하면을 들어올려 가스를 배출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저점착필름(30)이 원상복귀하여 제1통공(21)과 제2통공(31)을 밀폐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되,
    상기 제2통공(31)을 하방으로 확장되는 부채골 형태로 형성하여 가스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군대의 전투식량 포장재에 사용시 조리시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를 지면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적의 열화상 카메라에 의하여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시 사용자의 화상 등의 부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점착필름(20)의 하면에 일면이 접착되고 이면이 포장재에 부착되며, 공기배출구멍(1a)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통공(51)이 형성된 제3강점착필름(50)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포장재가 표면이 거친 재질이거나 또는 포장재가 접혀 평활면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도 포장재의 표면에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능성 부직포(10)에 의한 수분의 배출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KR1020200120859A 2020-09-18 2020-09-18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KR10222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59A KR102221409B1 (ko) 2020-09-18 2020-09-18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59A KR102221409B1 (ko) 2020-09-18 2020-09-18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409B1 true KR102221409B1 (ko) 2021-02-26

Family

ID=7468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859A KR102221409B1 (ko) 2020-09-18 2020-09-18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5456A1 (en) * 2022-01-19 2023-07-26 MicVac AB One-way valve for food pack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701A (ko) * 2009-03-26 2010-10-06 (주) 보성인더스트리 적층 필름 형태의 원-웨이 밸브 및 그를 갖는 원두 커피 포장 백
KR101395609B1 (ko) 2012-08-20 2014-06-27 소프트팩(주) 밀폐용기의 가스배출용 체크밸브
KR102040443B1 (ko) 2019-06-03 2019-11-04 소윤섭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KR20200038400A (ko) * 2018-10-03 2020-04-13 소윤섭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701A (ko) * 2009-03-26 2010-10-06 (주) 보성인더스트리 적층 필름 형태의 원-웨이 밸브 및 그를 갖는 원두 커피 포장 백
KR101395609B1 (ko) 2012-08-20 2014-06-27 소프트팩(주) 밀폐용기의 가스배출용 체크밸브
KR20200038400A (ko) * 2018-10-03 2020-04-13 소윤섭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KR102040443B1 (ko) 2019-06-03 2019-11-04 소윤섭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5456A1 (en) * 2022-01-19 2023-07-26 MicVac AB One-way valve for food packages
WO2023138991A1 (en) * 2022-01-19 2023-07-27 Micvac Ab One-way valve for food pack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623B2 (en) Pressure-relief one-way valve applicable to a package containing a gas-releasing product, wherein there coexist a fluid medium and an air bubble, and a package including said valve
ES2443077T3 (es) Válvula de ventilación unidireccional para un recipiente estanco al aire
US6663284B2 (en) Pressure sensitive one-way valve
CA2459738C (en) Container covering system
US7637283B2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stiff support
JPH07208626A (ja) 芳香性製品用ガス抜きバルブ
KR102040443B1 (ko) 포장재용 가스 배출밸브
KR102221409B1 (ko) 방수투습기능을 갖는 포장재용 단방향 가스 배출밸브
KR102331469B1 (ko) 종이 가방
US20040099666A1 (en) Sealable container cover
AU2012216343A1 (en) Flexible, self-venting retortable container
IL166865A (en) Method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perishable agricutural products and/or food
JP2006290395A (ja) 電子レンジ用袋体及び該袋体を用いた加熱加圧調理方法
CA2976208A1 (en) Ostomy appliance
JP5887745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US8261735B2 (en) Flameless portable heating kit
JP2000309350A (ja) ブレンド機能パウチ
JPH01279073A (ja) ガス抜き可能な包装体
CN116583463A (zh) 压力调节装置及包括其的密封盛装系统
KR200485989Y1 (ko) 지속적인 밀봉과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식품용기
WO2004014522A2 (fr) Dispositif etanche pour l'absorption de l'humidite
JP3172918B2 (ja) 食品等保存容器のシール用蓋部材
JP2004331184A (ja) 包装袋及び包装袋を用いた調理方法
KR20060108386A (ko) 발효식품 용기
KR20230162887A (ko) 스티커 타입의 전자레인지용 증기배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