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261B1 - 네트워크 기기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기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261B1
KR102221261B1 KR1020180014312A KR20180014312A KR102221261B1 KR 102221261 B1 KR102221261 B1 KR 102221261B1 KR 1020180014312 A KR1020180014312 A KR 1020180014312A KR 20180014312 A KR20180014312 A KR 20180014312A KR 102221261 B1 KR102221261 B1 KR 10222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ata
network device
mesh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784A (ko
Inventor
사토시 타카자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meta-data, objects or commands for format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네트워크 기기는, 지시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가 배치되는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게 하고,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해서,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모드를 유효화하게 하고,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 이외의 네트워크 기기에, 입력된 데이터를 분배하게 하는 지시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기와 그 방법{NETWORK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화상 처리장치 등의 네트워크 기기의 관리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처리장치나 네트워크 카메라, 디지탈 의료기기 등 네트워크 기기를 고객이 구입하여 신규로 도입할 때, 고객의 작업 환경에서 행해지는, 그 환경에 따른 초기 설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면, 펌웨어 등의 소프트웨어의 커스터마이즈나 유효화와, 화상 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설정과 고객에 특유한 속성정보에 대응하는 설정값에 대한 설정이 행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에 따라 설정이 필요하다.
그러한 설치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수고가 걸린다. 그 때문에, 설치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는, 설치 작업에 필요한 펌웨어 등의 소프트웨어와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이하, "설치 데이터"라고 한다)를 미리 준비해 두고, 준비한 데이터를 네트워크 기기에 작업 지시 정보와 함께 임포트한다. 이러한 작업은, 고객처나, 고객처에 납품하기 직전의 설치 작업을 위해 사용된 영역에서 설치 작업자에 의해 실시된다.
일본국 특개 2016-110339호 공보에는, 작업자가, 고객환경의 화상 처리장치에 대하여, 이 고객 환경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나 universal serial bus(USB) 메모리를 거쳐 설치 데이터를 임포트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 2016-110339호 공보에 개시된 USB메모리를 사용한 설치 작업에 대해서는,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설치 데이터 등을 임포트하는 작업을 행하게 되어, 설치하려고 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대수가 많으면, 이 네트워크 초기 설정을 위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또한, 복수의 작업자가 설치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고객의 퍼스널 정보를 기억하는 USB메모리를 복수 준비하는 것에 의해, 코스트나 시큐리티의 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16-110339호 공보에 개시된 고객환경의 로컬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설치 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는, 설치하려고 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적어도 네트워크의 초기 설정, 예를 들면, internet protocol(IP) 어드레스의 할당 등이 미리 필요하다. 그렇지만, 설치하려고 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대수가 많으면, 이 네트워크 초기 설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 더구나, 고객환경에서의 설치를 행할 경우에, 그 고객의 요구로 인해, 설치 작업을 위해 고객환경의 로컬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케이스도 있다. 예를 들면, 시큐리티 때문에 인터넷에의 접속 금지나, 통신 부하 증대를 회피하기 위해서 인트라네트의 사용 금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한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환경에 존재하는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수단과, 무선통신의 기능을 이용해서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상기 기존 네트워크와는 다르다-에 참가하기 위한 모드를 유효화하는 유효화 수단과,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 이외의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분배된 데이터의 적용 결과를, 상기 기존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상정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화상 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화상 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확장 프로그램의 데이터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universal serial bus(USB)스토리지(204)의 설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설치용의 스크립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자동 설치 서포트 기능의 전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메쉬 모드의 개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설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메쉬 모드 해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휴대 단말로부터 메쉬 모드 개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메쉬 모드 해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치 상태의 이상판단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1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가 상정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로서, 고객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설치 작업을 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네트워크 기기의 예로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처리장치(101)를 들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능과 네트워크 설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의 임포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기기이면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주변 장치, 감시 카메라 등으로서 이용되는 네트워크 카메라나, 디지탈 의료기기, 디지탈 가전제품, 3차원(3D) 프린터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네트워크(100)는,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에 특유한 절차에 따라 구축되는 무선 네트워크다. 특히,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화상 처리장치(101)끼리를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이며, 예를 들면, 무선통신 규격(즉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8)902.15.4)에 준거한 메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고객환경에 미리 준비되어 있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근거리통신망(LAN) 등의 기간 네트워크와는 다른 네트워크 체계를 갖는다. 네트워크(100)를 거쳐 화상 처리장치(101)사이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해 진다.
화상 처리장치(101)는,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의 종별은 상관없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universal serial bus(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이 인터페이스에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를 접속함으로써,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에 대하여 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행할 수 있다.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에 대해서는, 호스트가 되는 기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기억장치이면 모든 종별의 기억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를 실장하는 USB스토리지(204)를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는, 네트워크 설정 또는 각종 동작 파라미터 등의 설정값과 펌웨어 등의 소프트웨어 등의 설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에 외부 기기와 통신가능한 subscriber identity module(SIM) 등을 이동통신을 위한 모듈이 탑재되어도 되어, 필요에 따라 외부와의 통신에 의해 설치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 이 통신은, 설치 데이터의 제공원과 시큐어한 virtual private net재가(VPN)를 구축함으로써 실현한다.
도 1에서는, 고객환경에서의 설치 작업을 상정하고 있지만, 고객환경 이외의 환경에서 네트워크(100)를 거친 설치 작업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장치(101)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다.
화상 처리장치(101)는, 제어 유닛(200), 조작부(201), 스캐너(202), 프린터(203), USB스토리지(204)를 구비한다. USB스토리지(204)는,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외부기억장치이며, 도 1의 이동가능한 기억장치(102)와 같은 의미이다. 또한 USB스토리지(204)는,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I/F)(215)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제어 유닛(200)은, 조작부(201) 관련의 처리부로서, 중앙처리장치(CPU)(210),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11), 조작부 I/F(212), 네트워크 I/F-1(213), 네트워크 I/F-2(214), USB 호스트 I/F(215)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 유닛(200)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216),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17), 화상 버스 I/F(218), 시스템 버스(218)를 구비한다. HDD(217) 또는 ROM(216)에는, 후술하는 CPU(210)에 의해 실행가능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특유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더구나, 제어 유닛(200)은, 인쇄, 스캔 관련의 처리부로서, 화상 버스(220), 디바이스 I/F(221), 스캐너 화상처리부(222), 프린터 화상처리부(223)를 구비한다. 스캐너(202),및 스캐너 화상처리부(222)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구비하게 된다. 또한 USB스토리지(204)도 필요에 따라 착탈하게 된다.
CPU(210)은, 제어 유닛(200)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다. RAM(211)은, 화상 데이터나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필요한 처리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다.
조작부 I/F(212)는, 조작부(201)와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며, 조작부(201)에서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조작부(201)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 I/F(212)는, 유저가 조작부(201)를 거쳐 입력한 정보를 CPU(210)에 전달한다.
네트워크 I/F-1(213)은, 예를 들면,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등의 기간 네트워크와의 접속에 이용되고, 프린트 잡이나 고객처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통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네트워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치 데이터를 사용한 설치 작업이 완료할 때 이용 가능하게 되는 네트워크 통신에 이용된다. 또한,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I/F-1(213)에 접속 가능하다.
네트워크 I/F-2(214)는, 메쉬 네트워크용의 네트워크(100)와 접속하고 있고, 네트워크(100)를 거쳐, 무선통신에 의한 외부의 장치와 정보의 교환을 한다.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로 알려진 무선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이 이것에 해당한다. 또한, 외부의 장치는, 예를 들면, 자신의 화상 처리장치(101) 이외의 화상 처리장치(101)이어도 된다.
USB 호스트 I/F(215)는, USB스토리지(204)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CPU(210)에 USB스토리지(204)에 격납되어 있었던 데이터를 전해준다. 또한, USB 호스트 I/F(215)는, USB스토리지(204)나 화상 처리장치(101)에 접속된 것 다른 외부기억장치에 대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USB 호스트 I/F(215)에는, USB스토리지(204)를 포함하는 복수의 USB디바이스가 접속가능하다. ROM(216)은 부트 ROM으로서 기능하며, 시스템의 부트 프로그램이 여기에 격납되어 있다. HDD(217)은, 외부기억장치이며, 시스템 소프트웨어, 화상 데이터, 설정 정보를 격납한다.
화상 버스 I/F(218)는, 시스템 버스(218)와 화상 버스(220)를 접속하여, 데이터변환을 행하는 버스 브리지다. 시스템 버스(218)는, 제어 유닛(200)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의 공통 데이터 교환 경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화상 버스(220)는,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PCI)버스, 또는 IEEE1394 표준에 준거한 버스로 구성되어 있고,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경로다.
디바이스 I/F(221)는, 화상 입출력 디바이스인 스캐너(202) 및 프린터(203)와 제어 유닛(200)을 접속하고, 화상 데이터의 동기계/비동기계의 변환을 행한다. 스캐너 화상처리부(222)는, 입력 화상에 대하여, 보정, 가공, 편집을 행한다. 프린터 화상처리부(223)는, 프린트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터(203)의 성능에 따른 보정, 해상도의 변환등을 행한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은 일례이며, 필요에 따라 구성요소의 증감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2개 존재하고 있지만,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을 분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2개보다 많아도 된다. 또한 USB 호스트 I/F도 1개보다 많이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화상 처리장치(101) 이외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 네트워크 기기에의 기능에 특유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카메라나 특수한 센서)가, 화상 버스(220)에 접속되는 구성 요소에 대체하는 형태로 실현되게 된다.
도 3a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CPU(21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서 실현되는 모듈(서비스)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대해 설명한다. 운영체계(OS)(300) 위에서는, 기본 프로그램(301)과 확장 프로그램 실행 플랫폼(302)이 동작하고 있다. 기본 프로그램(301)은,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화상 처리장치(101)에 원래 갖추어져 있는 기능의 제어용 프로그램이다. 확장 프로그램 실행 플랫폼(302)은, 화상 처리장치(101)에 기능을 추가하는 확장 프로그램의 실행 플랫폼이다.
기본 프로그램(301) 위에서는, 펌웨어 갱신 서비스(303), 옵션 유효화 서비스(304), 설정 관리 서비스(305)가 동작하고 있다. 또한, 확장 프로그램 실행 플랫폼(302) 위에서는, 확장 프로그램 시스템 서비스(306)와 확장 프로그램(307)이 동작하고 있다.
펌웨어 갱신 서비스(303)는, 펌웨어를 갱신하기 위한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예를 들면, 펌웨어 갱신 서비스(303)는, 지시된 펌웨어를 참조하여, 이 펌웨어의 갱신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펌웨어 갱신 서비스(303)는, 기본 프로그램(301)에 대하여, 또는 기본 프로그램(301)을 거쳐, 화상 처리장치(101)의 펌웨어를 갱신한다. 옵션 유효화 서비스(304)는, 기본 프로그램(301)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옵션 기능(이하, "임베디드 옵션 프로그램"으로 표기한다)을 유효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옵션 유효화 서비스(304)는, 지시된 옵션 라이센스 파일에 의해 특정되는 옵션 기능을 식별하여 유효화한다. 설정 관리 서비스(305)는, 네트워크 설정과 프린터나 팩시밀리 등의 동작 파라미터 등의 각종 설정값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설정 관리 서비스(305)는, 예를 들면, 1개 또는 복수의 설정, 또는 복수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이 지정되면, 기본 프로그램(301)의 설정 정보를 바꾸어 쓰는 기능을 제공한다.
확장 프로그램 시스템 서비스(306)는, 확장 프로그램(307)에 공통적으로 유용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유틸리티 라이브러리이다. 확장 프로그램(307)으로부터 확장 프로그램 시스템 서비스(306)의 기능을 호출하는 것에 의해, 확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확장 프로그램(307)은, 확장 프로그램 실행 플랫폼(302) 또는 각 서비스 303 내지 306을 거쳐서만, 다른 확장 프로그램(307) 등 화상 처리장치(101)의 각 모듈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가지는 확장 프로그램(307)은, 화상 처리장치(101)의 조작부(201)에 표시되는 메인 메뉴 화면(미도시)에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구성은, 기본적인 부분 뿐이며, 실시 환경에 따라서는, 화상 처리장치(101)가 다른 서비스를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설정을 제한하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해 불필요하게 되는 서비스를, 화상 처리장치(101)가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3b는, 화상 처리장치(101)에서 동작하는 자동 설치 서포트 기능(350)(이하, "서포트 기능")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포트 기능(350)은, CPU(210)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특유한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이다. 이때, 이 특유한 프로그램은, 도 3a의 기본 프로그램(301) 또는 확장 프로그램(307)으로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다.
서포트 기능(350)은, USB스토리지(204)로부터 취득한 설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필요한 데이터를,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하여 자동(또는, 반자동)으로 적용한다. 서포트 기능(350)은, UI 제어부(351), 스토리지 관리부(352), 처리 실행부(353), 스크립트 관리부(354), 결과 관리부(355)를 가진다.
UI 제어부(351)는, 서포트 기능(3500을 조작하기 위한 UI를, 조작부(201)를 거쳐 유저에게 제공하고, 유저의 조작을 접수한다. 스토리지 관리부(352)는, USB스토리지(204)에 격납된 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행한다. 또한, 스토리지 관리부(352)는, USB스토리지(204)의 접속 또는 제거의 상태변화를 검지한다.
처리 실행부(353)는, UI 제어부(351), 스토리지 관리부(352), 스크립트 관리부(354)와 연계해서 설치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처리 실행부(353)는, 전술한 펌웨어 갱신 서비스(303), 옵션 유효화 서비스(304), 설정 관리 서비스(305), 확장 프로그램 시스템 서비스(306)를 적절히 이용하여, 설치 데이터에 따른 설정의 반영이나 소프트웨어의 유효화를 실현한다.
스크립트 관리부(354)는, 스토리지 관리부(352)가 USB스토리지(204)로부터 취득하거나, 처리 실행부(353)가 네트워크 I/F-2(214)를 거쳐 취득한 작업 지시 정보(스크립트)를 해석한다. 또한 스크립트 관리부(354)는, 처리 실행부(353)가 실행해야 할 처리와 처리 순서를 결정하고, 실행해야 할 처리를 처리 실행부(353)에게 지시한다.
결과 관리부(355)는, 처리 실행부(353)가 실시한 설치 처리의 결과의 관리를 행한다. 결과 관리부(355)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상태, 즉,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가 완료되었는지 또는 실행중인지, 또는 설치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았는지 등의 관리도 행한다. 또한 처리 실행부(35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결과 관리부(355)는, 네트워크 I/F-2(214)를 거쳐 설치 처리의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의 설치 상태의 문의에 대해 응답을 행한다. 또한 결과 관리부(355)가 외부 기기로부터의 결과통지를 수신하면, 결과 관리부(355)는 수신한 통지를 판독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에 수신한 결과를 반영하고, 수신한 결과의 다른 외부장치에의 전송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결과 관리부(355)는, 처리 실행부(353)가 설치 처리중이어도 동작가능하고, 복수의 외부기기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확장 프로그램(307)의 데이터 영역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확장 프로그램(307)의 데이터 영역은 HDD(217)에 할당되어 있고, 확장 프로그램(307)에 의해 독자적으로 관리된다. data 폴더(400)는 확장 프로그램(307)의 각종 설정 정보를 격납하는 폴더다. data 폴더(400)는 확장 프로그램(307)이 인스톨되었을 때에 확장 프로그램 실행 플랫폼(302)이 작성한다. data 폴더(400) 내부에는, config 폴더(401), log 폴더(403), data 폴더(405)가 존재한다.
config 폴더(401) 내부에는, config.txt 파일(402)이 격납되어 있다. config.txt 파일(402)은, 확장 프로그램(307)이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확장 프로그램(307)의 기능이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플래그 정보 등의 설정값)를 영속화한 파일이다. log 폴더(403) 내부에는, log.txt 파일(404)이 격납되어 있다. log.txt 파일(404)은, 확장 프로그램(307)이 실행한 처리의 기록을 영속화한 파일이다. data 폴더(405) 내부에는, data1.dat 파일(406), data2.dat파일(407)이 격납되어 있다. data1.dat 파일(406) 및 data2.dat파일(407)은, 확장 프로그램(307)이 처리하는 정보이며, 설치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카피나, 처리 대상의 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data1.dat 파일(406) 및 data2.dat파일(407)은, 자동 설치의 진척 관리 파일 등도 포함한다.
도 5는, 서포트 기능(350)이 사용하는 USB스토리지(204) 내부의 설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루트 폴더(500) 내부에는, firmware 폴더(501), app 폴더(503), embeddedFunc 폴더(506), devConfig 폴더(508)가 존재한다. 또한 루트 폴더(500) 내부에는 log 폴더(511), script.xml 파일(513)이 더 존재한다. firmware 폴더(501)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갱신해야 할 펌웨어를 격납하는 폴더다. 도 5에서는, firmware 폴더(501) 내부에 펌웨어 군을 zip 형식으로 아카이브한 firm_typeA_101.zip 파일(502)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펌웨어 군을 zip 형식의 파일로 표현하고 있지만,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한 파일을 firmware 폴더(501) 아래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zip 형식의 펌웨어의 파일을 복수 배치해도 된다.
app 폴더(503)는, 설치 처리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인스톨해야 할 확장 프로그램, 및 확장 프로그램의 인스톨에 필요한 라이센스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다. 도 5에서는, app 폴더(503)에 확장 프로그램 appX_102.jar(504), 및 라이센스 파일 appX_102_lic.xml(505)이 존재하고 있다. 이때, 라이센스 파일은 extensible markup language(XML)로 표현되어 있지만, 라이센스 파일은 텍스트 형식으로 표현해도 된다. embeddedFunc 폴더(506)는, 네트워크 기기의 임베디드 옵션 프로그램을 유효화하기 위한 라이센스 파일을 격납하는 폴더다. 도 5에서는, embeddedFunc 폴더(506) 내부에 라이센스 파일 embeddedFunc_lic.xml(507)이 존재하고 있다.
devConfig 폴더(508)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값이 정리된 설정값 데이터를 격납하는 폴더다. 도 5에서는, devConfig 폴더(508)에, zip 형식으로 아카이브한 설정값 파일 "devConfig_common.zip(509)"(이후, "공통 설정값 파일(509):)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devConfig 폴더(508)에 devConfig_individual.zip(510)(이후, "개별 설정값 파일(510)"이 존재하고 있다. 개별 설정값 파일(510)에는, 개개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설정값, 예를 들면, 기기명, 설치 장소, 또는 internet protocol(IP) 어드레스의 개별의 네트워크 설정이 격납되어 있다. 공통 설정값 파일(509)에는, 복수의 화상 처리장치(101)에서 공통되어서 적용하는, 고객환경이나 임포트 기종의 설치 환경의 각 조건에서 통일된 설정(예를 들면, 슬립 시간 설정)의 설정값이 격납되어 있다. 공통 설정값 파일(509)과 개별 설정값 파일(510)에는, 예를 들면, 설정 항목과 이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정의한 XML 형식의 파일이 하나 또는 복수 포함되어 있다.
log 폴더(511)는, 서포트 기능(350)이 실행한 결과의 파일(이후, "로그")을 격납하기 위한 폴더다. 도 5에서는, log 폴더(511)에 log.txt(512)이 격납되어 있지만, 서포트 기능(350)을 실행하기 전에는, log 폴더(511), 및 log.txt(512)는 존재하지 않는다. 서포트 기능(350)의 실행중, 또는 실행후에 서포트 기능(350)이 처음으로 log 폴더(403), 및 log.txt(404)에 작성하고, log 폴더(403) 및 log.txt(404)를 복사함으로써 log 폴더(511), 및 log.txt(512)를 작성한다.
script.xml(513)(이후, "스크립트(513)")은, 설치 처리를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설치 내용이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지시이다. 스크립트(513)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에 있어서, 스크립트(513)는 1개만 기재되어 있지만, 실시형태는 상기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스크립트(513)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스크립트와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분할해도 된다. 스크립트(513)는 설치 처리의 순서와 사용 데이터를 정의하는 파일이지만, 스크립트 파일(513)의 존재 유무에 의해 서포트 기능(350)의 실행 가부를 결정해도 된다. 즉, 사용중인 USB스토리지(204)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트 기능(350)용의 USB스토리지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로서 스크립트(513)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구성은 일례이며, 이 구성은 임의의 폴더, 및 파일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공통으로 사용하는 설치 데이터를 1개의 폴더로 관리하는 한편,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설치 데이터를 다른 폴더로 관리해도 된다. 또한 설치 데이터를 나타내는 파일에 관해서도, 필요에 따라 1개보다 많은 수의 파일이 설치되거나, 파일이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네트워크 기기(즉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하여, 서포트 기능(350)이 설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설정값을 자동으로 반영하기 위한 설치 절차를 기술한 설치 처리용의 스크립트(513)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크립트(513)는, 서포트 기능(350)의 스토리지 관리부(352)나 처리 실행부(353)가 취득하고, 스크립트 관리부(354)에 의해 해석된다. 스크립트 관리부(354)에 의해 해석된 스크립트(513)의 기술에 따라, 처리 실행부(353)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나 설정값의 적용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설치용의 스크립트(513)는, XML로 기재되어 있고, 디바이스 식별부(600)와 처리 기재부(60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XML에 의해 스크립트(513)를 표현하고 있지만, 스크립트(513)는 XML 대신에 쉘 스크립트에 의해 작성되어도 된다.
디바이스 식별부(600)는, 설치 대상인 네트워크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식별자 D111이 기재되어 있고, "<deviceId>" 태그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 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들을 각각을 특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기기의 시리얼 번호가 이용된다.
처리 기재부(601)에는, 설치 작업을 위해 필요한 처리 군이 기재된다. 처리 기재부(601)는, 펌웨어 갱신 처리부(602), 확장 프로그램 인스톨 처리부(603), 확장 프로그램 개시 처리부(604)가 존재한다. 처리 기재부(601)는 임베디드 옵션 유효화 처리부(605), 공통 설정 데이터 임포트 처리부(606), 개별 설정 데이터 임포트부(607)를 더 구비한다. 각 처리를 나타내는 태그는, Order 속성을 포함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Order 속성의 값에 따라 처리의 순서가 결정된다.
펌웨어 갱신 처리부(602)는, 펌웨어 갱신 서비스(303)를 거쳐 펌웨어를 갱신하는 처리를 기술한다. 펌웨어 갱신 처리부(602)는, <updateFirmwareCommand> 태그를 기술함으로써 처리를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elativeDirPath> 태그와 <fileName>에 의해 USB스토리지(204)에 격납된 파일을 지정하고 있다. <relativeDirPath> 태그에는, USB스토리지(204)의 루트 폴더(500)로부터 사용할 펌웨어까지의 상대 패스가 기재되어 있다. <fileName> 태그에 의해 사용할 펌웨어 파일이 지정되어 있다. 도 6에서는 zip 형식으로 아카이브된 펌웨어가 지정되어 있다.
확장 프로그램 인스톨 처리부(603)는, 지정된 확장 프로그램을 인스톨하기 위한 처리를 기술하며, <installApplicationCommand> 태그에 의해 처리를 정의한다. 확장 프로그램 인스톨 처리부(603)는, <relativeDirPath> 태그, 및 <appFileName> 태그로 구성되어 있다. <relativeDirPath> 태그에 의해, USB스토리지(204)의 루트 폴더(500)로부터 인스톨 대상인 확장 프로그램의 실체까지의 상대 패스가 기재되어 있다. <appFileName> 태그에 의해, 인스톨 대상인 확장 프로그램의 실체가 지정되어 있다. 도 6에서는, Jar 파일 형식의 확장 프로그램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확장 프로그램의 형식은 Jar 파일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스톨 대상인 확장 프로그램에 대한 라이센스는 <licRelativeDirPath> 태그, 및 <licFileName> 태그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 <licRelativeDirPath> 태그에 의해 USB스토리지(204)의 루트 폴더(500)로부터 확장 프로그램의 라이센스 파일까지의 상대 패스가 기재되어 있다. <licFileName> 태그에 의해 확장 프로그램의 라이센스의 실체가 지정되어 있다. 도 6에서는, XML 형식의 라이센스 파일이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라이센스 파일의 파일 형식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라이센스 파일은 텍스트 형식이어도 된다.
확장 프로그램 개시 처리부(604)에서는, <startApplicationCommand> 태그의 기재에 의해 처리를 정의하고 있고, <appId> 태그에 의해 개시 대상인 확장 프로그램을 지정하고 있다. <appId> 태그에 의해, 개시 대상인 확장 프로그램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identification(ID)이 지정되어 있다.
옵션 유효화 처리부(605)에서는, <activateOptionCommand> 태그의 기재에 의해 임베디드 옵션 프로그램을 유효화하기 위한 처리를 정의하고 있다. 옵션 유효화 처리부(605)는, <relativeDirPath> 태그, 및 <fileName> 태그에 의해 유효화할 임베디드 옵션 프로그램을 지정하고 있다. <relativeDirPath> 태그에는, USB 스토리지(204)의 루트 폴더(500)로부터 임베디드 옵션 프로그램용의 라이센스 파일까지의 상대 패스가 기재되어 있다. <fileName> 태그에는, 임베디드 옵션 프로그램을 유효화하기 위한 라이센스의 실체가 지정되어 있다. 도 6에서, XML 형식의 라이센스 파일이 지정되어 있지만, 라이센스 파일의 파일 형식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상 처리장치(101)에 프리 인스톨되지 않고 있거나 유효화하지 않은 임베디드 옵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이 설치 처리의 기재는 불필요하다.
공통 설정 데이터 임포트 처리부(606), 개별 설정 데이터 임포트 처리부(607)(이후, 처리부 606, 607이라고 한다)는, <importDeviceConfigCommand> 태그의 기재에 의해 처리를 정의하고 있다. 처리부 606, 607은, <relativeDirPath> 태그, 및 <fileName> 태그에 의해 임포트할 설정 데이터를 지정하고 있다. <relativeDirPath> 태그에 의해, USB 스토리지(204)의 루트 폴더(500)로부터 임포트 대상인 설정 데이터의 실체까지의 상대 패스가 기재되어 있다. <fileName> 태그에 의해, 임포트 대상인 설정 데이터의 실체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설치 처리용의 스크립트(513)의 기술은,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에 필요한 처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처리의 중복, 증감, 다른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펌웨어의 갱신을 2단계로 행하는 경우에는, 펌웨어 갱신 처리가 2번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재기동이 필요하면 재기동 처리의 정의를 추가해도 된다. 또한, 도 6의 스크립트(513)에서는, 디바이스 식별부(600)에 의해 실행할 스크립트와 대상의 화상 처리장치(101)를 유일하게 특정하고 있지만, 구성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화상 처리장치의 종류에 의해 대상의 화상 처리장치(101)를 특정해도 된다. 또한, 설치 장소 등의 스크립트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기재하여, 화상 처리장치(101)에서 설치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작업자가 스크립트를 실행할지를 아닌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플로우의 일례>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기기의 새로운 초기 설치를 행하기 위한 방법의 동작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화상 처리장치(101)의 초기 설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전제로서, 작업자는 설치 대상이 되는 각 화상 처리장치(101)에 적용해야 할 설치 데이터를, USB 스토리지(204)에 격납한다. 이동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USB 스토리지(204)는, 그 통신망를 거쳐 설치 데이터 제공원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격납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설치 환경(도 1의 예에서는, 고객처의 환경)에 있어서, 이후의 설치 작업을 행한다.
작업 1로서, 작업자는, 고객으로부터 요망된 장소에 화상 처리장치(101)를 배치한다. 본 작업에서는, 간단히 화상 처리장치(101)를 배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피니셔, 급지 장치, 또는 인증용 기기 등의 옵션의 하드웨어의 접속도 행한다.
작업 2로서, 화상 처리장치(101)의 배치가 완료하면, 화상 처리장치(101)에 전원이 투입되고, 작업자는, 설치 작업을 위한 동작 모드를 기동한다. 여기에서 설치를 위한 동작 모드는, 전술한 무선통신 규격(IEEE802.15.4)에 준거한 메쉬 네트워크에 구축 또는 참가하기 위한 모드(메쉬 모드)를 포함한다. 더구나, 설치 데이터의 적용을 이 모드에서 실행하거나 동작한다. 이 기동 처리는, 설치 대상의 화상 처리장치(101)의 모두에 대하여 행해지게 된다. 여기에서, 작동자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조작부(201)를 거쳐, 또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을 near field radio communication(NFC)을 거쳐, 기동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메쉬 모드를 유효화한다. NFC을 사용한 휴대 단말의 입력 화면의 예를, 도 11a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작업 3으로서, 작업자는, 1대 이상의 화상 처리장치(101)의 배치를 완료하면, 배치후의 어느 한개의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하여, 설치 데이터를 기억하는 USB 스토리지(204)를 접속한다. 화상 처리장치(101)의 서포트 기능(350)은, 접속된 USB 스토리지에 기억된, 도 5 및 도 6에서 예시한 설치 데이터를 사용해서 설치 처리를 개시한다. 서포트 기능(350)을 확장 프로그램(307)으로서 실현할 경우에는, USB 스토리지(204)를 접속하는 화상 처리장치(101)에, 서포트 기능(350)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하게 된다. 서포트 기능(350)에 의해 실행된 설치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작업 4로서, 특정한 화상 처리장치(101)에 USB 스토리지(204)를 접속한 작업자는, 나머지의 설치 대상의 화상 처리장치(101)가 있으면, 상기한 작업 2에서 설명한 배치 작업을 계속해서 행한다. 나머지의 설치 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하여는, 작업 3에서 설명한 USB 스토리지(204)의 접속 작업을 행할 필요는 없다.
작업 5로서, 작업자는, 모든 설치 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의 배치를 완료하고, 어느 한 개의 화상 처리장치(101)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화상 처리장치(101) 부근에서 모든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처리의 완료를 대기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USB 스토리지(204)를 접속한 화상 처리장치(101)의 부근으로 되돌아와 대기하는 것을 상정한다. 대기 기간 중에는, 선택된 화상 처리장치(10)의 표시 패널에, 설치 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도 12에서 후술)이 제공된다.
작업 6으로서, 모든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처리가 완료한 것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USB 스토리지(204)를 화상 처리장치(101)로부터 제거하고, 전체의 설치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이, 작업자가 납품처인 고객처에서 행하는 설치 작업이다. 전술한 설치 작업에 의해, 후술하는 개별 설정값 파일이 반영되기 때문에, 설치 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의 모두는 네트워크 I/F-1(213)을 거쳐 LAN 등의 기간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는, 설치 대상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한 작업 2, 3 및 5에 따른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제어로서, 설치 대상 네트워크 기기가 각각 메쉬 모드를 개시하고, 이들 설치 대상 네트워크 기기와 설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이후, "메쉬 그룹")을 구축한다.
또한, 상기한 작업 3에서 USB 스토리지(204)를 접속한 네트워크 기기(화상 처리장치(101))를 설치 데이터의 분배를 위한 리더 디바이스(이후, 간단히 "리더"로 부른다)로 지정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화상 처리장치 101a가 리더다. 또한 USB 스토리지(204)를 접속하지 않고, 메쉬 그룹내의 어느 한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거쳐 설치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멤버 디바이스(이후, 간단히 "멤버"로 부른다)로 지정한다. 더구나, 부하 분산이나 병행 작업을 목적으로, 멤버 중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설치 데이터의 분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서브리더 디바이스 101b(이후, 간단히 "서브리더"로 부른다)로 지정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화상 처리장치 101b가 서브리더다.
또한, 복수의 USB 스토리지(204)를 복수대의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한 경우에는, 먼저 리더가 되는 네트워크 기기가 리더로서 동작하고, USB 스토리지(204)가 나중에 접속한 네트워크 기기가 서브리더로서 동작한다(즉, 이미 메쉬 그룹으로부터 리더가 검출되었을 경우), 또한,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한 설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설치 처리를 완료한 멤버로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기기가 서브리더로서 동작한다. 메쉬 그룹내의 서브리더의 대수는, 후술하는 메쉬 그룹마다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브리더의 대수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리더에 의해서만 설치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설치 데이터가 적용되지 않은(즉, 설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네트워크 기기가 메쉬 그룹내에 있을 경우에는, 임의의 멤버가 서브리더로서 동작하여 설치 데이터를 분배한다.
여기에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상기한 작업 2에서 작업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해서 행하는 메쉬 모드의 개시 지시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단말로부터 개시 지시를 제공하기 위해 NFC을 이용해도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하여 메쉬 모드 개시 지시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1100)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설치 데이터 등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원이 소유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도 11a는 메쉬 모드 개시 지시가 제공되기 전에 표시된 지시 작성 화면이며, 도 11b는 메쉬 모드 개시 지시가 제공된 후 표시된 결과 통지 화면이다.
도 11a 및 도 11b의 각각의 화면은, 메시지 표시부(1101), 메쉬 그룹 ID 표시부(1102), 설치 장소 입력부(1103), 기기의 시리얼 번호 표시부(1104)로 구성되어 있다.
메시지 표시부(1101)에는, 메쉬 모드 개시에 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11a에 도시된 예에서는, 메쉬 그룹 ID 표시부(1102)에 표시된 값을 확인하고, 휴대 단말(1100)을 터치하거나 대상의 화상 처리장치(101)에 근접하도록 작업자에게 지시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메쉬 그룹 ID 표시부(1102)에는, 화상 처리장치(101)들 사이에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쉬 그룹 ID를 표시한다. 메쉬 그룹 ID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속성정보의 일종이며 IEEE802.15.4 표준에 의해 정의된 "PAN ID"가 메쉬 그룹 ID로 사용되어도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한 개의 작업 플로우를 거쳐 설치 처리 대상이 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같은 네트워크 그룹에 소속시켜 그룹화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메쉬 그룹 ID를 사용하고 있다. 메쉬 그룹 ID가 동일한 경우에는 메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1개의 그룹을 구축가능하고, 이 그룹내에서 설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해 진다.
또한, 메쉬 그룹 ID 표시부(1102)에 표시되는 값으로서, 최초부터 고정값이 입력되거나, 휴대 단말(1100)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에 따라 값을 자동생성해도 된다. 또한 값을 유저에 의해 입력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메쉬 그룹 ID 표시부(1102)에 표시된 값은, 같은 메쉬 네트워크의 그룹에 대해 설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1100)에서 영속화해도 된다.
작업자는 설치 장소 입력부(1103)에 설치 장소를 식별하기 위한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 입력은 필수적이지 않다. 설치 장소 입력부(1103)에 입력된 값은, 메쉬 모드의 개시에 따라, 화상 처리장치(101)에 적용된다.
시리얼 번호 표시부(1104)에는, 도 1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쉬 모드를 개시한 화상 처리장치(101)의 시리얼 번호가 표시된다. 시리얼 번호 표시부(1104)에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휴대 단말(1100)을 화상 처리장치(101)에 근접시켜 메쉬 모드의 개시 지시를 제공할 때에, 화상 처리장치(101)로부터 취득한 값을 표시한다.
도 7은, 서포트 기능(350)의 설치에 관련되는 처리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본처리는, 설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기기(화상 처리장치(101))의 CPU(210)에 의해 서포트 기능(350)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본처리는, 화상 처리장치(101)가 서포트 기능(350)을 기동한 후, 작업자에 의해 메쉬 모드 개시 지시를 입력하거나, 또는 USB 스토리지(204)의 접속을 트리거로서 행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700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처리를 개시한 화상 처리장치(101)가 현재 설치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처리 실행부(353)는, 처리중인지의 판단을, 설치 처리중에 작성한 진척 파일의 유무에 근거하여 판단하거나, 내부에서 메모리에 의해 관리하고 있는 플래그의 온/오프 상태에 근거하여 판단해도 된다. 설치 처리가 실행중인 경우에는(스텝 S700에서 YES), 본 처리를 종료하고, 이미 행해지고 있는 설치 처리를 계속시킨다. 설치 처리가 실행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700에서 NO), 스텝 S701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701에서, 처리 실행부(353)이, 네트워크 I/F-2(214)나 스토리지 관리부(35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처리 실행부(353)는 수신한 데이터가 메쉬 모드의 개시 지시인지 설치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처리 실행부(353)가, 메쉬 모드의 개시 지시를 수신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701에서 NO), 스텝 S702로 처리를 이행한다. 처리 실행부(353)가 설치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701에서 YES), 스텝 S704로 처리를 이행한다. 설치 데이터는 USB 스토리지(204), 또는, 네트워크 I/F-2(214)를 거쳐 수신된다.
스텝 S702에서, 서포트 기능(350)에 의한 메쉬 모드를 개시하는 처리(도 8을 참조하여 후술)가 실행된다.
스텝 S703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설치 데이터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 단계에서, 작업자에 의한 USB 스토리지(204)의 접속을 대기하거나, 또는 설치 처리를 완료한 리더(101a) 또는 서브리더(101b)가 설치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대기하게 된다.
스텝 S704에서, 처리 실행부(353)는 자신의 기기가 메쉬 모드를 개시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자신의 기기가 메쉬 모드를 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704에서 YES) 스텝 S707로 처리를 이행한다. 자신의 기기가 메쉬 모드를 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04에서 NO) 스텝 S705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705로 처리가 천이하는 경우에는,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 작업을 작업자가 행하기 전에, USB 스토리지(204)가 접속된 것으로 상정된다.
스텝 S705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유저로부터의 메쉬 모드 개시 지시를 대기한다. 본 스텝중에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로부터 NFC를 거쳐 메쉬 모드 개시 지시(도 11a 참조)를 송신하도록 작업자에게 촉구하기 위해, 화상 처리장치(101)의 표시부에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201)에, 메쉬 그룹 ID나 메쉬 모드 개시 지시를 입력하도록 작업자에게 촉구하는 UI(미도시)을 표시시켜도 된다. 스텝 S706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메쉬 모드 개시 지시가 캔슬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메쉬 모드 개시 지시가 캔슬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706에서 YES) 스텝 S707로 처리를 이행한다. 메쉬 모드 개시 지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06에서 NO) 스텝 S708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707에서, 서포트 기능(350)에 의해, USB 스토리지(204) 내에 기억된 설치 데이터를 기초로 설치 처리(도 9a를 참조하여 후술)가 실행된다.
스텝 S708에서는, 스텝 S702의 처리와 유사한 메쉬 모드를 개시하는 처리(도 8을 참조하여 후술)를 행한다.
스텝 S709에서, 서포트 기능(350)에 의해, 메쉬 그룹에 참가한 네트워크 기기의 설치 처리(도 9b를 참조하여 후술)가 실행된다.
스텝 S710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구축된 메쉬 그룹내에 설치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화상 처리장치(101)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자신의 기기가 메쉬 그룹의 리더(101a)가 아닌 경우에는, 리더(101a)에 대하여 문의함으로써 처리 실행부(353)가 이 확인 처리를 실현한다. 그리고, 문의 결과, 설치 처리가 미완료인 화상 처리장치(101)가 있을 경우에는(스텝 S710에서 YES) 스텝 S711로 처리를 이행한다. 설치 처리가 미완료인 화상 처리장치(101)가 없을 경우에는(스텝 S710에서 NO) 본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710에서의 확인 처리는, 리더(101a)나 자신의 기기에 의해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판단이 리더(101a)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에는, 처리 실행부(353)가 자신의 기기에 의해 통신가능한 화상 처리장치(101)의 리스트를 리더(101a)에게 통지하고, 그것을 기초로 리더(101a)가 판단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판단이 자신의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에는, 처리 실행부(353)가 리더(101a)로부터 메쉬 그룹의 설치 상태를 포함하는 멤버의 리스트를 취득하고, 자신의 기기에 의해 통신가능한 화상 처리장치(101)와 멤버 리스트로부터 분배 대상이 되는 화상 처리장치(101)를 선택해도 된다.
스텝 S711에서, 처리 실행부(353)이 네트워크 I/F-2(214)를 거쳐, 설치 처리가 미완료인 분배 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에 설치 데이터를 분배한다. 자신의 기기가 리더(101a)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 실행부(353)가 서브리더(101b)로서 동작하여 설치 데이터를 분배하게 된다.
또한, 스텝 S711에서, 처리 실행부(353)는, 리더(101a)로부터 분배대상의 화상 처리장치(101)의 스크립트(513)를 취득하고, 스크립트 관리부(354)에게 스크립트(513)의 해석을 의뢰한다. 해석한 결과에 따라, 처리 실행부(353)는, 필요하게 되는 설치 데이터를 분배대상의 화상 처리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분배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의 스크립트(513)의 설치 데이터 격납처, 예를 들면, 설정 데이터 처리부(606)의 <relativeDirPath> 태그를 바꾸어 쓰고, 분배 대상의 격납처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메쉬 모드용으로 데이터 격납용 폴더를 준비하고, 그것의 고정 장소 또는 고정의 링크 이름만 지정해도 된다.
상기한 처리에서 분배하는 설치 데이터는, 대상 기기가 설치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자신의 기기가 유지하고 있는 공통의 설정값 파일이다. 분배대상의 설치 데이터를 자신의 기기가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 실행부(353)가 리더(101a)로부터 직접 취득, 또는 서브리더(101b)를 거쳐 설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설치 데이터를 자신의 기기에 격납한 후에 분배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에 설치 데이터를 분배한다. 또한, 분배대상의 설치 데이터의 취득 타이밍은, 설치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는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고, 처리 실행부(353)가 리더(101a)에게 설치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화상 처리장치(101)의 존재를 확인한 타이밍에서 설치 데이터를 사전에 취득해도 된다. 또한 설치 데이터를 사전에 취득하는 경우에는, 용량에 따라 복수의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화상 처리장치(101) 사이의 거리나 통신 속도에 따라 취득할 설치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도 8은, 스텝 S702 및 S708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쉬 모드의 개시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이 처리를 통해, 설치 대상의 네트워크 기기가 메쉬 모드를 개시하여, 메쉬 네트워크의 구축이나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게 된다.
스텝 S800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메쉬 모드 개시 지시의 입력와 동시에 메쉬 그룹 ID가 지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메쉬 그룹 ID가 지정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800에서 NO) 스텝 S802로 처리를 이행하고, 메쉬 그룹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800에서 YES) 스텝 S801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801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메쉬 모드 개시 지시의 입력과 동시에 지정된 메쉬 그룹 ID를 화상 처리장치(101)에 적용한다.
스텝 S802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메쉬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IPv6 어드레스를 media access control(MAC) 어드레스로부터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생성 방법으로서 스테이트레스(stateless) 자동설정을 들 수 있다. 스텝 S803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스텝 S802에서 생성한 IPv6 어드레스를 자신의 기기에 적용한다. 스텝 S804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자신의 기기가 메쉬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 또한, 메쉬 모드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처리 실행부(353)는, 인증 처리나 메쉬 네트워크 내의 라우터 디바이스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있다.
이상이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참가하기 위한 처리의 설명이다. 도 8에서 나타내는 처리는, 네트워크 기기가 메쉬 네트워크를 사용 가능하게 되기 위한 사전처리의 예이며, 서포트 기능(350)이 설정을 실행하지 않아도 해당 기능이 동작할 경우에는 본처리의 일부, 또는 모두를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S804에서 메쉬 모드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하는 것 만으로 메쉬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또한, 본처리의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서 화상 처리장치(101)의 재기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재기동 처리를 추가해도 된다.
도 9a 및 도 9b는, 스텝 S707 및 S709에 있어서, 설치 데이터를 자신의 기기에 대하여 적용하기 위한 설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9a는,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고, USB 스토리지(204)로부터 취득한 설치 데이터를 적용하는 처리다.
스텝 S900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스크립트 관리부(354)에 대하여 설치 처리의 지시인 스크립트(513)의 해석을 의뢰하고, 해석한 결과를 RAM(213)에 판독한다. 스텝 S901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스텝 S900에서 판독한 설치 처리 군 중에서 다음에 실행해야 할 처리를 판독한다. 스텝 S902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스텝 S900에서 판독한 설치 처리가 모두 완료했는지(또는 에러로서 종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처리 실행부(353)가 스텝 S901에서 다음에 실행해야 할 처리의 유무나, 이전의 처리 결과가 에러로서 종료했는지 여부의 판단을 상정하고 있지만, 판단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 실행부(353)가, 모든 설치 처리가 완료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902에서 YES) 도 7로 처리가 되돌아가, 자신의 기기에 대한 설치 처리가 완료하게 된다. 이때에는, 설치 처리 완료를 조작부(201)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스텝 S902에서, 설치 처리가 모두 완료되지 않았고 다음에 실행해야 할 처리가 있다고 처리 실행부(353)가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902에서 NO), 스텝 S90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903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실제로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하여 설치 데이터를 적용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본처리에 있어서, 스크립트(513)에 기재된 설치 데이터를, 예를 들면, USB 스토리지(204)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904에서는, 스텝 S903에서 설치 처리를 실시한 결과, 처리 실행부(353)가, 설치 데이터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화상 처리장치(101)의 시스템 재기동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처리 실행부(353)가 재기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904에서 YES), 스텝 S905로 처리를 이행한다. 처리 실행부(353)가 재기동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904에서 NO), 스텝 S901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905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설치 처리의 진척 상황을 기록하고, 화상 처리장치(101)를 재기동한다. 본처리에 의한 진척 상황은, 예를 들면, data1.dat(406)의 형식의 파일로서 기록해도 된다. 스텝 S905에 의한 재기동후, 처리 실행부(353)는, 스크립트(513) 및 진척 상황을 판독함하고, 재차, 스텝 S90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9b는,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메쉬 그룹에 참가한 화상 처리장치(101)에 의한 실행되는 설치 데이터를 적용하는 처리이다. 특히, 도 9a의 처리에 대하여, 스텝 S906에서 나타내는 처리가 추가되어 있다. 도 9a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처리에는 같은 스텝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b의 스텝 S903에서는, 처리 실행부(353)가,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다른 화상 처리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설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설정값의 반영의 진척을, 화상 처리장치(101) 내에 일시 파일을 작성해서 기록한다.
스텝 S906에서는, 처리 실행부(353)가, 결과 관리부(355)를 거쳐 모든 설치 처리가 완료한 취지를 리더(101a)에게 설치 상태로서 통지한다. 설치 상태로서는, "완료", "에러 종료"가 포함된다. 이 통지 처리에서는, 리더(101a)에게 최종 결과가 통지되면 된다., 따라서, 직접 리더(101a)에 처리 결과를 통지해도 되고, 서브리더(101b)를 경유하여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서브리더(101b) 경유로 통지해도 된다. 또한, 자신의 장치가 리더(101a)인 경우에는, 처리 실행부(353)가, 그 자신의 장치가 관리하는 설치 상태를 갱신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처리를 단순히 완료한다. 리더(101a)에의 통지는, 자신의 장치가 소속하는 메쉬 그룹의 네트워크의 리더(101a)의 어드레스 정보를 사용해서 행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스텝 S906에서는, 처리 실행부(353)가 설치 상태를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리더(101a)에게 통지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설치 데이터를 모두 적용하고, 설치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는, 네트워크 I/F-1(213)을 사용한 기존의 LAN 등의 네트워크를 거친 통신도 가능하다. 따라서, 처리 실행부(353)가 설치 데이터의 분배원에 대하여, 네트워크 I/F-1(213)을 이용해서 설치 상태(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치처리의 완료 확인 이외에, 고객환경에 있어서의 기존 네트워크의 접속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리더(101a)의 서포트 기능(350)이 조작부(201) 상에서 표시하는 설치 상태의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표시하는 정보는, 리더(101a)가 관리하는 설치 대상인 화상 처리장치(101), 즉 메쉬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가능한 화상 처리장치(멤버)의 설치 상태의 통지를 기초로 생성한다. 또한 리더(101a)가 관리하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정보는,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에 멤버로부터 취득, 또는 통지된다.
도 12의 확인 화면에서는, 설치 작업을 위해 구축한 메쉬 네트워크 그룹에 속하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일람(1200)(이후, "디바이스 일람(1200)")을 표시하고 있다. 디바이스 일람(1200)은, 시리얼 번호(1201), 기종(12020, 설치 상태(1203)로 구성되어 있다. 시리얼 번호(1201)는, 메쉬 그룹에 속하는 화상 처리장치(101)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다. 기종(1202)은, 화상 처리장치(101)의 종류이며, 이용 가능한 설치 데이터의 판별에 이용한다.
설치 상태(1203)은, 멤버의 설치의 상태, 즉 "미분배" "설치중" "완료" "에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미분배"는, 설치 데이터가 미분배이거나 설치가 완료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설치중" 상태는, 완료를 나타내는 상태 통지가 수신되지 않았더라도, 설치 데이터를 분배한 상태를 가리킨다. "완료" 상태는, 설치 처리가 완료하고 상태 통지를 수신한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설치 상태가 "완료"인 경우, 멤버는 서브리더로 승격가능하여 다른 멤버에 설치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 "에러"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12에서 나타내는 설치 상태 확인 화면은 일례이며, 필요하면 표시해야 할 다른 항목을 추가해도 되고, 불필요하면 항목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리더나 서브리더를 판별가능한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설치 상태 확인 화면은,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세 버튼을 준비하고, 디바이스 일람(1200)에서 선택한 화상 처리장치(101)의 상세한 설치 상태가 유저가 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서 화상 처리장치(101)에 설치 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설치 처리를 설명하였다. 또한, 스텝 S903에 있어서, 스크립트(513)에 기재된 설치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기재하고 있지만,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설치 데이터를 격납해 두는 특정한 폴더를 화상 처리장치(101) 내에 준비하고, 그 특정한 폴더에 격납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된다. 또한 리더(101a)에의 통지 처리에서는, 스텝 S906의 설치 처리 완료 통지 이외에, 설치 처리 진척을 통지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에서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처리를 통해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설치 데이터를 분배함으로써, 모든 설치 대상의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처리를 동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했다. 이 처리에 따라, 고객이 화상 처리장치(101)의 운용을 개시한 후에도, 메쉬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고객, 혹은 판매 회사의 사정에 의해, 메쉬 네트워크를 계속해서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케이스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에서 구축한 메쉬 네트워크를 해제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9는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리더(101a)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리더(101a)에 대하여 직접 메쉬 모드 해제 지시가 입력된다. 또한, 작업자가 메쉬 그룹내의 다른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메쉬 모드 해제의 지시를 리더(101a)에 대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a 및 도 13b는, 리더(101a)가 조작부(201)에서 표시하는 메쉬 모드 해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다.
도 13a는, 도 12에서 나타낸 설치 상태의 확인 화면의 확장 화면이며, 메쉬 모드 해제 버튼(1300)이 추가되어 있다.
메쉬 모드 해제 버튼(1300)은, 유저가 메쉬 네트워크 해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트리거이다. 메쉬 모드 해제 버튼(1300)을 누르면, 도 13b에 나타내는 다이아로그를 표시한다.
도 13b는, 유저가 메쉬 모드 해제 지시를 입력하기 전의 확인 다이아로그(1301)이다. 확인 다이아로그(1301)에 있어서 유저가 YES 버튼을 누르면, 리더(101a)의 서포트 기능(350)이 서브리더(101b)를 포함하는 모든 멤버에 대하여 메쉬 모드 해제 지시를 송신한다. 유저가 NO 버튼을 누르면 메쉬 모드 해제 지시를 중지한다.
도 10은, 서포트 기능(350)에 의해 실행된 메쉬 네트워크의 삭제, 즉 메쉬 모드의 해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본처리는, 설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기기(화상 처리장치(101))의 CPU(210)에 의해 서포트 기능(350)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처리는, 조작부(201)에 표시되는 화면(도 13a 및 도 13b)을 거쳐, 작업자가 메쉬 모드 해제 지시를 입력하는 것으로 개시된다.
스텝 S1000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리더(101a)가 관리하는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멤버의 설치 처리를 완료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모든 멤버의 설치 처리가 완료하고 있을 경우에는(스텝 S1000에서 YES) 스텝 S1001로 처리를 이행한다. 설치 처리가 완료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000에서 NO) 본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01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메쉬 그룹에 포함되는 멤버인 모든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하여, 메쉬 모드의 해제 지시를 송신한다. 이 처리에 따라, 멤버인 화상 처리장치(101)는 메쉬 모드를 무효화(즉, 메쉬 모드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도 8의 처리에서 생성된 IPv6 어드레스의 설정이 파기된다. 리더(101a)는, 모든 멤버가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할 수 없게 된 후에, 자신의 메쉬 모드를 무효화한다.
또한, 도 10에서 나타내는 흐름도에서, 도 13의 UI를 거쳐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해제 지시를 트리거로 하고 있지만, 리더(101a)가, 전체 멤버에 대해 설치 처리가 완료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모든 멤버에 대하여 해제 지시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설치 처리에서 사용한 메쉬 네트워크를 무효화하는 처리의 일례로서, 메쉬 모드의 해제 지시를 통해 메쉬 모드의 무효화 및 그 메쉬 네트워크용의 파라미터 삭제에 의해 메쉬 네트워크 자체를 삭제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전술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 대신에, 메쉬 모드의 무효화만을 행하여, 메쉬 모드를 이용할 수 없게 하는 방법을 통해, 실시형태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치 처리가 완료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화상 처리장치(101)의 조작부(201)를 거쳐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설치 처리가 에러로 종료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설치 상태의 확인 화면을 사용해서 에러 종료를 확인하고 싶은 케이스도 있다. 예를 들면, 설치 처리가 에러로 종료했을 경우에, 작업자는, 해당하는 화상 처리장치(101)에 대해서만,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USB 스토리지(204)에 격납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도 9a에서 설명한 처리에 의해 리커버리 처리를 실시하고 싶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설치 처리의 에러 종료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9는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리더(101a)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도 14는, 리더(101a)에서 표시하는 설치 상태 확인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도 12의 디바이스 일람(1200)에 설치 장소(1400)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 1200 내지 1202는 도 12의 설치 상태 확인 화면과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설치 장소(1400)는, 작업자가 화상 처리장치(101)를 배치한 장소를 가리키고 있고, 메쉬 모드 개시 지시가 입력될 때, 도 11a의 설치 장소 입력부(1103)에 입력된 값이 표시된다. 또한, 설치 장소(1400)는, 화상 처리장치(101)의 설정값의 일부로서 관리되고 있어도 되고, 설치 처리에 의해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에 이 값이 리더(101a)에게 통지하여 바꾸어 써도 된다.
도 12에서 설명한 설치 상태(1203)에 표시된 항목 이외에, 설치 상태(1401)에는 설치 처리에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 "네트워크 고장", "타임아웃"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도 15는, 서포트 기능(350)에 의해 실행된, 설치 상태에서 에러 종료 등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본처리는, 설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면, 리더(101a))의 CPU(210)에 의해 서포트 기능(350)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본처리는, 서포트 기능(350)의 기동후, 반복해서 실시되고, 서포트 기능(350)이 정지할 때 이 처리를 정지한다.
스텝 S1500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멤버로부터 에러 종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상태 통지를 수신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에러 종료의 통지를 수신하고 있었던 경우에는(스텝 S1500에서 YES) 스텝 S1501로 처리를 이행한다. 통지를 수신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스텝 S1500에서 NO) 스텝 S1502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501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에러 종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상태 통지를 송신하는 멤버의 설치 상태를 "에러"로서 관리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확인 화면에 설치 상태를 반영시킨다.
스텝 S1502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리더(101a)가 설치 상태를 관리하는 멤버 중에서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을 할 수 없어진 멤버가 새롭게 검출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통신할 수 없게 된 멤버를 새롭게 검출했을 경우에는(스텝 S1502에서 YES) 스텝 S150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통신할 수 없게 된 멤버를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스텝 S1502에서 NO) 스텝 S1504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503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해당하는 멤버의 설치 상태를 "네트워크 고장"(즉, 통신 불능)로서 관리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확인 화면에 설치 상태를 반영시킨다.
스텝 S1504에서, 처리 실행부(353)가, 멤버마다 설치 데이터를 분배후 경과한 시간(설치 처리 시간)과, 미리 정의된 설치 처리 예정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값을 비교하여, 설치 처리 시간이 소정값을 초과한 멤버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설치 처리 시간이 소정값을 초과한 멤버가 존재할 경우에는(스텝 S1504에서 YES) 스텝 S1505로 처리를 이행한다. 설치 처리 시간이 소정값을 초과한 멤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504에서 NO)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505에서는, 처리 실행부(353)가, 해당하는 멤버의 설치 상태를 "타임아웃"으로서 관리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확인 화면에 설치 상태를 반영시킨다. 또한, 스텝 S1504의 판단에 있어서 사용되는 소정값은, 설치 처리가 완료한 복수의 멤버의 설치 시간의 평균값을 기초로 동적으로 정해도 된다.
또한, 에러를 갖는 멤버가 자동으로 에러로부터 복귀할 수 있을 경우, 복귀한 타이밍에서 복귀, 또는 정상종료의 통지를 멤버로부터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처리 실행부(353)가, 수신한 통지에 따라서 설치 상태의 확인 화면을 갱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통신불가능한 멤버가 통신 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 처리 실행부(353)가, 멤버가 통신 가능하게 된 타이밍에서 설치 상태 확인 화면을 갱신해도 된다.
도 15에서는, 서포트 기능(350)이 처리를 반복하여 실시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설치 상태의 변경 이벤트(예를 들어, 멤버로부터의 통지 수신, 또는 네트워크 고장의 검출)시에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작업자는 멤버의 설치 처리의 이상을 리더(101a)의 조작 화면을 거쳐 그 멤버의 설치 장소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곧바로 설치 처리의 리커버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응용예>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는, 리더(101a)의 조작 화면 상에서, 도 12 내지 도 14의 확인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을 메쉬 그룹에 참가시킴으로써, 도 12 내지 도 14의 확인 화면을 작업자의 휴대 단말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화면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리더(101a)로부터 이 화면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리더(101a) 대신에, 리더(101a)를 포함하는 모든 멤버로부터 상태 통지를 취득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확인 화면을 제공해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을 리더(101a)의 네트워크 I/F-2(214)를 거쳐 직접 통신하게 함으로써, 설치 상태의 확인 화면을 작업자의 휴대 단말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9)

  1.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한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환경에 존재하는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수단과,
    무선통신의 기능을 이용해서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상기 기존 네트워크와는 다르다-에 참가하기 위한 모드를 유효화하는 유효화 수단과,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 이외의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분배된 데이터의 적용 결과를, 상기 기존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된 데이터의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적용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용 수단을 더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적용 결과를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공 수단을 더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수단은,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설치 장소와 함께, 상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완료", "미분배", "에러", "타임아웃" 및 "통신 불능"의 상태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분배된 후에, 상기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삭제하기 위한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
  8. 삭제
  9. 무선통신의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메쉬 모드를 유효화하는 유효화 수단과,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해야 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으로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한 환경에 존재하는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용을 실행하는 적용 수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적용의 결과를, 상기 메쉬 네트워크와는 다른 상기 기존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데이터의 분배원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의 결과는, 적용의 완료 또는 적용의 에러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네트워크 기기들 중에서, 적용해야 할 데이터가 적용되지 않은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수단을 더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
  12.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한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 단계로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환경에 존재하는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단계와,
    무선통신의 기능을 이용해서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상기 기존 네트워크와는 다르다-에 참가하기 위한 모드를 유효화하는 유효화 단계와,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 이외의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 단계와,
    상기 분배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분배된 데이터의 적용 결과를, 상기 기존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된 데이터의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적용을 실행하는 적용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삭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분배 후에, 상기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삭제하기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방법으로서,
    무선통신의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메쉬 모드를 유효화하는 유효화 단계와,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해야 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로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한 환경에 존재하는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용을 실행하는 적용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적용의 결과를, 상기 메쉬 네트워크와는 다른 상기 기존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데이터의 분배원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네트워크 기기들 중에서, 적용해야 할 데이터가 적용되지 않은 네트워크 기기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한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 단계로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환경에 존재하는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단계와,
    무선통신의 기능을 이용해서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상기 기존 네트워크와는 다르다-에 참가하기 위한 모드를 유효화하는 유효화 단계와,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 이외의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 단계와,
    상기 분배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분배된 데이터의 적용 결과를, 상기 기존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9. 무선통신의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메쉬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메쉬 모드를 유효화하는 유효화 단계와,
    상기 메쉬 네트워크를 거쳐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해야 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로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한 환경에 존재하는 기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용을 실행하는 적용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적용의 결과를, 상기 메쉬 네트워크와는 다른 상기 기존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데이터의 분배원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80014312A 2017-02-16 2018-02-06 네트워크 기기와 그 방법 KR102221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7293A JP6896449B2 (ja) 2017-02-16 2017-02-16 ネットワーク機器とその方法
JPJP-P-2017-027293 2017-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784A KR20180094784A (ko) 2018-08-24
KR102221261B1 true KR102221261B1 (ko) 2021-03-02

Family

ID=6127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312A KR102221261B1 (ko) 2017-02-16 2018-02-06 네트워크 기기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23241B2 (ko)
EP (1) EP3364287B1 (ko)
JP (1) JP6896449B2 (ko)
KR (1) KR102221261B1 (ko)
CN (1) CN108449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0566A1 (en) * 2022-05-18 2023-11-22 Telia Company AB Connecting device to a mesh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7802A (ja) * 2008-02-27 2011-06-16 フィッシャー−ローズマウント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物理的空間においてワイヤレス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の設計および組織を視覚化するシステム
US20140123123A1 (en) * 2012-11-01 2014-05-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Distribution of software updates in wireless multihop networks
JP2015522963A (ja) * 2012-05-03 2015-08-06 アイト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効率的なデバイスハンドオーバ/移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5630B1 (en) * 1999-10-06 2004-05-11 Sensoria Corporation Method for collecting data using compact internetworked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ensors (WINS)
US20030095500A1 (en) 2001-10-23 2003-05-22 Sycamore Networks, Inc. Methods for distributed shared mesh restoration for optical networks
US7610366B2 (en) * 2001-11-06 2009-10-27 Canon Kabushiki Kaisha Dynamic network device reconfiguration
KR100485974B1 (ko) * 2002-10-10 2005-05-03 엔에이치엔(주)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6287746A (ja) * 2005-04-01 2006-10-1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7157086A (ja) 2005-12-08 2007-06-21 Ricoh Co Ltd 画像入出力装置遠隔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画像入出力装置及び画像入出力装置遠隔管理方法
MY140789A (en) 2006-04-25 2010-01-15 Interdigital Tech Corp High-throughput channel operation in a mes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10211469A (ja) * 2009-03-10 2010-09-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44865B2 (ja) * 2009-06-16 2014-03-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371585B2 (ja) * 2009-07-03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727749B1 (ko) * 2010-07-01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예약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JP2014068320A (ja) * 2012-09-27 2014-04-17 Nec Access Technica Ltd 無線lan通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362102B2 (ja) * 2014-08-04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90020730A1 (en) * 2014-12-03 2019-01-17 Suresh Kumar Singamsetty Method of transferring software files in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JP6355542B2 (ja) 2014-12-04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34678A1 (en) * 2015-02-10 2016-08-11 Texas Instruments Incororated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s
CN104703193B (zh) * 2015-03-25 2018-11-09 新华三技术有限公司 网格网络部署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7802A (ja) * 2008-02-27 2011-06-16 フィッシャー−ローズマウント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物理的空間においてワイヤレス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の設計および組織を視覚化するシステム
JP2015522963A (ja) * 2012-05-03 2015-08-06 アイト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効率的なデバイスハンドオーバ/移動
US20140123123A1 (en) * 2012-11-01 2014-05-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Distribution of software updates in wireless multihop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4287B1 (en) 2022-08-31
CN108449519A (zh) 2018-08-24
US10623241B2 (en) 2020-04-14
US20180234292A1 (en) 2018-08-16
KR20180094784A (ko) 2018-08-24
JP2018133002A (ja) 2018-08-23
EP3364287A1 (en) 2018-08-22
CN108449519B (zh) 2020-06-09
JP6896449B2 (ja)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833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9906400B2 (en) Management system, control method in the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9696948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service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5151526A1 (en) Printer registr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er registration
US905284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from a device driver
US9703969B2 (en) Image forming system, service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mage form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9139591A (ja) 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JP2007122093A (ja)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ならびに印刷制御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2015138297A (ja) 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004175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076161A (ja) 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6018339A (ja) システム、及び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9045904A (ja) 管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35937B2 (en) Management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s thereof
CN112954128B (zh) 图像处理装置和由图像处理装置执行的控制方法
KR102221261B1 (ko) 네트워크 기기와 그 방법
KR20120074321A (ko)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201803571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manages data on client, backup method therefo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639363B2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7303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614987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052777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49084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アップデー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16361A (ja) 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6148949A (ja) 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