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802B1 - 조적벽돌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적벽돌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802B1
KR102219802B1 KR1020190082390A KR20190082390A KR102219802B1 KR 102219802 B1 KR102219802 B1 KR 102219802B1 KR 1020190082390 A KR1020190082390 A KR 1020190082390A KR 20190082390 A KR20190082390 A KR 20190082390A KR 102219802 B1 KR102219802 B1 KR 10221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erial
masonry
fastening
bracket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589A (ko
Inventor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이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구 filed Critical 이승구
Priority to KR102019008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8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단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100)의 일측면에 상기 판재(10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판재(1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재(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판재(100)와의 사이에 홈부(111)를 형성한 체결 부재(1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판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메인 브라켓(10)과, 배면(200)과 상하면(201,202)이 일체로 구비되고 정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브라켓(10)의 홈부(111)에 끼움형식으로 체결토록 배면(200) 외주부에는 한쌍의 끼움 부재(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면(201,202) 내측면에는 센터를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간격유지판(22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정면 양단은 외측으로 확개되어 경사면(203)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이 있는 체결브라켓(20)을 포함하는 조적벽돌 결합구조와,
상기 끼움 부재(210)는 체결브라켓(20)의 배면(200) 외주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 고정된 고정면(211)와 상기 고정면(211)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곡되어 상기 배면(200)과 간격을 유지한 삽입면(212)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면(212)이 서로 마주 보게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적벽돌 결합구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메인 브라켓을 일정 간격으로 외벽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메인 브라켓에 체결브라켓을 설치한 후 수평으로 설치된 체결브라켓 간에 조적벽돌인 적벽돌을 끼움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단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지며, 단순 간편하게 조적벽돌인 적벽돌를 체결브라켓 간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서 별도로 모르타르를 추가 시공할 필요가 없으며, 메인 브라켓의 설치만으로서 조적벽돌인 적벽돌이 수평 및 수직적으로 일정하게 체결 가능하여 작업후 적벽돌이 자연적으로 반듯하게 체결 설치됨으로서 추가 작업이 없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적벽돌 결합구조{Masonry brick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단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 공사시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벽돌이 사용된다. 벽돌은 그 형태가 다양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것은 직각 육면체 모양의 벽돌이며 그 재질에 있어서는 시멘트, 점토, 플라스틱, 나무 등이고, 시멘트 블록으로는 직육면체 모양에 가운데 구멍을 형성하여 경량화 등을 시도하고 있다.
상기 벽돌의 종류로는 보통 벽돌, 내화 벽돌, 특수 벽돌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벽돌은 붉은 보통벽돌과 시멘트 벽돌이다.
즉, 내력벽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이 단열재의 외측에 치장을 위한 다수의 조적벽돌을 조적하여 외장처리를 하는 방법이 주로 시행되어 있다.
이때 조적벽돌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모르타르를 통해 접합되면서 고정되는 이러한 형태의 시공을 통상적으로 습식시공이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시공 방법은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 및 바람 등의 환경적 원인에 의해 수축 및 팽창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건조되기 전에 외력이 작용하면 조적된 벽돌이 무너지거나 비뚤어져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벽돌의 위치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반듯하게 조적하는 작업이 고도의 숙련을 요구하는 것으로 초보자에게는 쉬운 작업이 아니었으며, 모르타르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이 장시간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습식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앵커 또는 브라켓 및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벽돌을 고정하는 건식시공 방법이 시공되고 있으나, 너무 많은 볼트 너트의 조임을 통해 벽돌들을 연결함으로써 시공이 번거로워 시공기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0228556호 "건축물의 벽체 연결구"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내벽과 치장벽돌에 의해 조적되는 외벽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벽체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치장 벽돌의 몸체 구멍에 삽입되는 2개의 'U' 자형 고리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있고 타단부는 하나로 연결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 타단부 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봉으로 이루어지는 결속구; 및 상기 결속구의 몸체봉이 삽입되기 위한 수개의 조정홀을 일단부에 형성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일체로 형성되되 다수의 고정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콘크리트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연결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콘크리트 내벽과 치장벽돌에 의해 조적되는 외벽을 지지해주는 연결구로 작용할 뿐이고 구성이 복잡하여 연결구의 결합 및 시공이 어려Ÿm으며,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을 정확한 위치에 빠른 시간안에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부 벽돌과 하부 벽돌간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특허공개 제2015-0024458호 "벽돌 조적용 연결구"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결합공 통공된 벽돌의 조적시 수직으로 인접한 벽돌과 벽돌 사이에 끼워지는 연결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벽돌의 결합공과 동일한 위치에 결합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트의 결합공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엇갈리도록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결합기둥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결합기둥의 단면의 크기가 일정하여 벽돌의 결합공에 삽입이 어렵다. 결합공의 제작 특성상 원형이 찌그러지거나 단면크기의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지만, 상기 배경기술의 결합기둥은 단면의 크기가 동일하여 결합공(2a)의 오차에 대응하지 못한다.
즉, 결합기둥의 단면의 크기를 결합공의 단면과 동일하게 구성하면 결합기둥의 외주면 전체가 결합공의 내주면에 면접하며 결합되기에 결합기둥의 삽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합공의 제작 오차에 대응하지 못하며, 결합기둥의 단면의 크기를 결합공의 단면보다 작게 구성하면 유격이 발생하여 삽입 이후에 조적된 벽돌이 흔들려 분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장 큰 문제점은 벽돌의 조적시에는 벽돌과 벽돌사에에 모르타르를 발라 시공하도록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결합 플레이트가 벽돌의 상부면 전체를 덮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르타르 시공시에 모르타르가 침투할 공간이 전단 연결공으로만 존재하여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이 모르타르에 의하여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는 구조를 갖게되며, 특히,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는 판 형사으이 결합 플레이트 만이 존재하여 모르타르가 정착될 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줄눈의 두께 자체도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228556호 한국 특허공개 제2015-00244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우선, 메인 브라켓을 일정 간격으로 외벽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메인 브라켓에 체결브라켓을 설치한 후 수평으로 설치된 체결브라켓 간에 조적벽돌인 적벽돌을 끼움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단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적벽돌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단순 간편하게 조적벽돌인 적벽돌를 체결브라켓 간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서 별도로 모르타르를 추가 시공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메인 브라켓의 설치만으로서 조적벽돌인 적벽돌이 수평 및 수직적으로 일정하게 체결 가능하여 작업후 적벽돌이 자연적으로 반듯하게 체결 설치됨으로서 추가 작업이 없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적벽돌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100)의 일측면에 상기 판재(10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판재(1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재(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판재(100)와의 사이에 홈부(111)를 형성한 체결 부재(1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판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메인 브라켓(10)과, 배면(200)과 상하면(201,202)이 일체로 구비되고 정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브라켓(10)의 홈부(111)에 끼움형식으로 체결토록 배면(200) 외주부에는 한쌍의 끼움 부재(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면(201,202) 내측면에는 센터를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간격유지판(22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정면 양단은 외측으로 확개되어 경사면(203)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이 있는 체결브라켓(20)을 포함하는 조적벽돌 결합구조와,
상기 끼움 부재(210)는 체결브라켓(20)의 배면(200) 외주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 고정된 고정면(211)와 상기 고정면(211)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곡되어 상기 배면(200)과 간격을 유지한 삽입면(212)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면(212)이 서로 마주 보게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적벽돌 결합구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브라켓을 일정 간격으로 외벽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메인 브라켓에 체결브라켓을 설치한 후 수평으로 설치된 체결브라켓 간에 조적벽돌인 적벽돌을 끼움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단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지며, 단순 간편하게 조적벽돌인 적벽돌를 체결브라켓 간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서 별도로 모르타르를 추가 시공할 필요가 없으며, 메인 브라켓의 설치만으로서 조적벽돌인 적벽돌이 수평 및 수직적으로 일정하게 체결 가능하여 작업후 적벽돌이 자연적으로 반듯하게 체결 설치됨으로서 추가 작업이 없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체결 브라켓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체결 브라켓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및 체결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이 외벽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벽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외벽에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적벽돌이 상기 체결 브라켓간에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외벽에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적벽돌이 상기 체결 브라켓간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체결 브라켓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체결 브라켓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및 체결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이 외벽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벽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외벽에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적벽돌이 상기 체결 브라켓간에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조적벽돌 결합구조에 있어서 외벽에 메인 브라켓에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적벽돌이 상기 체결 브라켓간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지시부호 10은 메인 브라켓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브라켓(10)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100)의 일측면에 상기 판재(10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판재(1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재(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판재(100)와의 사이에 홈부(111)를 형성한 체결 부재(1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판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메인 브라켓(10)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적벽돌인 적벽돌(B)를 시공하고자 하는 외벽(W)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 시공하되 그 방식은 고정구(F)를 이용하여 외벽(W)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설치 및 시공방식은 일반적인 기술이다.
지시부호 20은 체결 브라켓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 브라켓(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200)과 상하면(201,202)이 일체로 구비되고 정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브라켓(10)의 홈부(111)에 끼움형식으로 체결토록 배면(200) 외주부에는 한쌍의 끼움 부재(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면(201,202) 내측면에는 센터를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간격유지판(22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정면 양단은 외측으로 확개되어 경사면(203)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다.
상세히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부재(210)는 체결브라켓(20)의 배면(200) 외주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 고정된 고정면(211)와 상기 고정면(211)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곡되어 상기 배면(200)과 간격을 유지한 삽입면(212)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면(212)이 서로 마주 보게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 브라켓(10)과 체결 브라켓(20)이 외벽(W)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메인 브라켓(10)을 외벽(W)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구(F)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고정 설치 시공한 다음 상기 체결 브라켓(20)의 삽입면(212)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브라켓(10)의 홍부(111)에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기타 어떠한 추가 작업이 필요치 아니하므로 매우 간편하고 누구나 설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W)에 메인 브라켓(10)을 고정구(F)를 이용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다수개를 설치 시공한 연후에 상기 메인 브라켓(10)의 홈부(111)에 체결 브라켓(20)의 배면에 구비된 끼움 부재(210)의 삽입면(21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체결 브라켓(20)을 메인 브라켓(10)에 결합되어 설치 시공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벽돌인 적벽돌(B)를 메인 브라켓(10) 간에 설치된 체결 브라켓(20)간에 간격유지판(220)간의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체결하면 상기 체결 브라켓(20)의 상하면(201,202)의 경사면(203)의 경계선에 억지 끼움식으로 적벽돌(B)가 체결되며 상기 체결 브라켓(20)의 탄성력에 의해 적벽돌(B)이 이탈되지 아니하고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함으로서, 메인 브라켓(10)을 일정 간격으로 외벽(W)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메인 브라켓(10)에 체결브라켓(20)을 설치한 후 수평으로 설치된 체결브라켓(20) 간에 조적벽돌인 적벽돌(B)을 끼움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간단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지며, 단순 간편하게 조적벽돌인 적벽돌(B)를 체결브라켓(20) 간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서 별도로 모르타르를 추가 시공할 필요가 없으며, 메인 브라켓(10)의 설치만으로서 조적벽돌인 적벽돌(B)이 수평 및 수직적으로 일정하게 체결 가능하여 작업후 적벽돌(B)이 자연적으로 반듯하게 체결 설치됨으로서 추가 작업이 없이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메인 브라켓 20 : 체결 브라켓
100 : 판재 110 : 체결 부재
111 : 홈부 200 : 배면
201 : 상면 202 : 하면
203 : 경사면 210 : 끼움 부재
211 : 고정면 212 : 삽입면
220 : 간격유지판 B : 적벽돌
F : 고정구

Claims (2)

  1.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100)의 일측면에 상기 판재(10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판재(1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재(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판재(100)와의 사이에 홈부(111)를 형성한 체결 부재(1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판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메인 브라켓(10)과,
    배면(200)과 상하면(201,202)이 일체로 구비되고 정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브라켓(10)의 홈부(111)에 끼움형식으로 체결토록 배면(200) 외주부에는 한쌍의 끼움 부재(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면(201,202) 내측면에는 센터를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간격유지판(22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정면 양단은 외측으로 확개되어 경사면(203)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이 있는 체결브라켓(20)을 포함하는 조적벽돌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부재(210)는 체결브라켓(20)의 배면(200) 외주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 고정된 고정면(211)와 상기 고정면(211)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곡되어 상기 배면(200)과 간격을 유지한 삽입면(212)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면(212)이 서로 마주 보게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적벽돌 결합구조.
KR1020190082390A 2019-07-09 2019-07-09 조적벽돌 결합구조 KR10221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0A KR102219802B1 (ko) 2019-07-09 2019-07-09 조적벽돌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0A KR102219802B1 (ko) 2019-07-09 2019-07-09 조적벽돌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589A KR20210006589A (ko) 2021-01-19
KR102219802B1 true KR102219802B1 (ko) 2021-02-24

Family

ID=7423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390A KR102219802B1 (ko) 2019-07-09 2019-07-09 조적벽돌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382A (ko) 2022-07-25 2024-02-01 김찬열 벽돌 조적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6672B1 (fr) 1996-04-02 1998-04-24 Atochem Elf Sa Composante catalytique et son utilisation en polymerisation des olefines
KR20100103020A (ko) * 2009-03-12 2010-09-27 진성산업 주식회사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KR200459437Y1 (ko) * 2009-12-29 2012-03-23 이장수 외장 조립판넬
KR101691690B1 (ko) 2013-08-26 2017-01-02 유세환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2271453B1 (ko) * 2019-03-05 2021-07-01 세라코(주)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382A (ko) 2022-07-25 2024-02-01 김찬열 벽돌 조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589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292B2 (en) Masonry cavity wall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422445B1 (ko) 벽돌 건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19802B1 (ko) 조적벽돌 결합구조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599748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U2007270162B2 (en)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KR20210017506A (ko) 조적벽돌 결합구조
KR20110086311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15918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4177718B2 (ja) タイル取付けパネル、金属板へのタイル取付け工法並びに内装又は外装施工方法
KR19990035156U (ko) 건축용거푸집고정장치
KR100504137B1 (ko)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KR101532709B1 (ko) 치장벽돌 고정용 단열 앵커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26149Y1 (ko) 거푸집용 라인 빔
JPH11131794A (ja) 伸縮自在鋼製デッキプレート
KR200400388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CN210067431U (zh) 免拆保温模板锚固件及包含其的免拆保温系统
KR200215306Y1 (ko) 알루미늄패널과 지지대를 결합하는 체결구
CN114837368B (zh) 一种防水保温拼装大板结构及其施工方法
CN211817214U (zh) 一种提高轻质隔墙板稳定性的装置
KR200236801Y1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KR100579448B1 (ko) 건축 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측면 보강장치
KR200400389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KR102005663B1 (ko) 석재판 고정구가 설치되는 석재판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