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382A - 벽돌 조적 구조 - Google Patents

벽돌 조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382A
KR20240014382A KR1020220092057A KR20220092057A KR20240014382A KR 20240014382 A KR20240014382 A KR 20240014382A KR 1020220092057 A KR1020220092057 A KR 1020220092057A KR 20220092057 A KR20220092057 A KR 20220092057A KR 20240014382 A KR20240014382 A KR 20240014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masonry
hole
bricks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열
Original Assignee
김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열 filed Critical 김찬열
Priority to KR102022009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382A/ko
Publication of KR2024001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등이 필요 없이 누구나 간단한 방법을 통해 빠른 속도로 견고하게 조적(組積)할 수 있는 벽돌 조적 구조를 개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 구조는 상면과 하면에 2개 이상의 제1수용홈부(11)가 각각 양측으로 구비되는 벽돌(10)과, 상면과 하면에 제1삽입돌부(21)가 상기 제1수용홈부(11)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1수용홈부(11)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조적용 중간부재(20)와, 상기 벽돌(10)과 조적용 중간부재(20)를 번갈아 조적(組積)한 상태에서 상기 벽돌(10)의 제1결합공(11A)과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관통공(23)에 각각 삽입되는 조적용 칼브럭(30)과,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 간 또는 조적된 상하 벽돌 간을 서로 결합시키는 제1결합볼트(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돌 조적 구조{Masonry brick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벽돌 조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 등이 필요 없이 누구나 간단한 방법을 통해 빠른 속도로 견고하게 조적(組積)할 수 있는 벽돌 조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벽돌을 쌓아올리는 벽돌 조적 시공 방법으로, 벽돌 또는 콘크리트 블록 등을 시멘트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차근차근 적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 벽돌 조적 방법이나 조적 구조는 벽돌 사이사이에 시멘트를 바르면서 조적하기 때문에, 시멘트를 별도로 조성하여 준비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을 맞추지 못하게 되면 벽이 기울어지거나 무너질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장 작업이 어렵고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에 숙련 인력에 의한 의존도가 높으며, 시공 기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벽돌과 벽돌 간을 결합시키는 시멘트가 별도로 필요하여, 필요 시멘트를 조성하여 별도로 준비해야 하며, 일단 시멘트가 준비되면 그 시멘트가 굳어지기 전에 벽돌 조적 시공을 다 완료해야 하기 때문에 중간에 다른 작업을 하거나 장시간 휴식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최근 나홀로 집짓기, 보수공사 및 인테리어 시공 등에 직접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므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시멘트 미장 등의 경험이 없는 초보자 누구나 쉽게 조립 또는 조적할 수 있는 벽돌 시공 또는 벽돌 조적 구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221980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멘트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누구나 간단한 결합 방법을 통해 빠른 속도로 견고하게 벽돌을 쌓아올려 조적할 수 있는 벽돌 조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 구조는,
상면과 하면에 2개 이상의 제1수용홈부가 각각 양측으로 구비되고, 제1결합공이 상기 제1수용홈부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공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1수용홈부와 하면의 제1수용홈부가 각각 연통된 벽돌과; 상기 벽돌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면과 하면에 제1삽입돌부가 상기 제1수용홈부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1수용홈부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돌부의 중앙부에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되 제1관통공이 상기 제1안착홈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1삽입돌부와 하면의 제1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된 조적용 중간부재와; 상기 벽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조적용 중간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벽돌의 제1결합공과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의 제1관통공에 각각 삽입되는 조적용 칼브럭과; 헤드부가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의 제1안착홈에 배치되면서 상기 조적용 칼브럭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적용 칼브럭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를 번갈아 조적(組積)한 상태에서 상기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 간 또는 조적된 상하 상기 벽돌과 벽돌 간을 서로 결합시키는 제1결합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벽돌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제2수용홈부가 또는 상기 벽돌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에 제3수용홈부가 각각 더 구비되고, 제2결합공이 상기 제2수용홈부의 내측 중앙부에서 벽돌 내측으로 형성되고, 제3결합공이 상기 제3수용홈부의 내측 중앙부에서 벽돌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좌우용 중간부재를 결합시켜 상기 좌우용 중간부재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벽돌은 전면 또는 후면에 전후용 중간부재를 결합시켜 상기 전후용 중간부재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좌우용 중간부재는 상면과 하면에 제2삽입돌부가 상기 제2수용홈부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2수용홈부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돌부의 중앙부에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되 제2관통공이 상기 제2안착홈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2삽입돌부와 하면의 제2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전후용 중간부재는 상면과 하면에 제3삽입돌부가 상기 제3수용홈부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3수용홈부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삽입돌부의 중앙부에는 제3안착홈이 형성되되 제3관통공이 상기 제3안착홈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3관통공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3삽입돌부와 하면의 제3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좌우용 중간부재는 좌우용 칼브럭을 상기 제2관통공과 제2결합공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결합볼트를 헤드부가 상기 제2안착홈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칼브럭의 내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벽돌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용 중간부재는 전후용 칼브럭을 상기 제3관통공과 제3결합공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3결합볼트를 헤드부가 상기 제3안착홈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전후용 칼브럭의 내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벽돌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에 의하면,
첫째, 시멘트 등을 조성하여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시공 초보자라도 누구나 간단한 결합 방법을 통해 빠른 속도로 견고하게 벽돌을 쌓아올릴 수 있다.
둘째,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 미장이 필요 없어 시멘트 불균일에 의한 벽돌간 수평이 맞지 않는 일이 없다. 따라서, 벽돌 조립체 또는 벽돌 조적 구조체가 구조적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지 않는다.
셋째, 요철 결합 방식과 칼브럭을 통한 볼트 결합 방식을 적용하여 초보자라도 누구나 시간 제약이 없이 벽돌 조적 시공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에 적용되는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에 적용되는 벽돌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벽돌의 A-A선에 따른 벽돌의 종단면도를, (b)는 도 2에 도시된 벽돌의 A1-A1선에 따른 벽돌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조적용 중간부재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에 적용되는 벽돌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본 발명에 따른 벽돌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좌우용 중간부재와 전후용 중간부재를 나타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벽돌의 A2-A2선에 따른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용 중간부재의 일 실시예를, (b)는 (a)에 도시된 좌우용 중간부재의 B1-B1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후용 중간부재의 일 실시예를, (b)는 (a)에 도시된 전후용 중간부재의 B2-B2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에 적용되는 칼브럭의 실시예를, (b)는 결합볼트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를 조적용 칼브럭과 제1결합볼트를 통해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벽돌 사이사이에 조적용 중간부재를 개재시킨 가운데 벽돌을 여러 개 조적하고 조적용 칼브럭을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벽돌 조적 구조에 따라 조적용 칼브럭과 제1결합볼트를 통해 다수의 벽돌을 조적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적용 칼브럭과 제1결합볼트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벽돌과 좌우용 중간부재를 좌우용 칼브럭과 제2결합볼트를 통해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벽돌 사이사이에 좌우용 중간부재를 개재시킨 가운데 좌우용 칼브럭과 제2결합볼트를 통해 다수의 벽돌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벽돌과 전후용 중간부재를 전후용 칼브럭과 제3결합볼트를 통해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벽돌 사이사이에 전후용 중간부재를 개재시킨 가운데 전후용 칼브럭과 제3결합볼트를 통해 다수의 벽돌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 구조의 일 실시예로서, 벽돌 사이사이에 조적용 중간부재와 좌우용 중간부재를 개재시킨 가운데 다수의 벽돌을 조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에 적용되는 벽돌과 좌우연결용 중간부재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a는 도 18에 도시된 벽돌과 좌우연결용 중간부재를 종단면도로 표현하여 제4수용홈부가 형성된 벽돌과 좌우연결용 중간부재의 결합 관계 또는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9는 제4수용홈부가 형성된 벽돌과 좌우연결용 중간부재를 좌우연결용 칼브럭과 제4결합볼트를 통해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특수한 구조를 가진 벽돌과 이러한 벽돌을 시멘트 등이 필요 없이 볼트와 칼브럭을 이용하여 손쉽게 쌓아올려 조적(組積)하는 방법과 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돌(10)은 상면과 하면에 2개 이상의 제1수용홈부(11)가 각각 양측으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벽돌(10)의 좌측 상하면과 우측 상하면에 각각 2개 이상의 제1수용홈부(11)가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벽돌(10)의 좌측 상하면과 우측 상하면에 각각 4개의 제1수용홈부(11)가 서로 대칭적으로 총 8개의 제1수용홈부(11)가 벽돌(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제1수용홈부(11)의 갯수가 대칭적으로 총 4개 이상이면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1수용홈부(11)는 후술할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삽입돌부(2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면의 제1수용홈부(11)는 제1결합공(11A)을 통해 서로 연통되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도 3의 (a) 도면 등에 도시된 제1결합공(11A)은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면의 제1수용홈부와 하면의 제1수용홈부가 각각 연통시킨다.
상기 제1결합공(11A)은 후술할 조적용 칼브럭(3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적용 중간부재(20)는 벽돌(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어 벽돌(10) 간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10)이 조적된 상태에서는 각 층마다 상부 벽돌(10)과 하부 벽돌(10)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미장 효과를 주면서 벽돌 조적 구조체에 대한 안정감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삽입돌부(21)는 도 9와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홈부(11)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1수용홈부(11)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즉, 제1삽입돌부의 갯수와 위치가 제1수용홈부에 대응되게 형성됨), 그 결과, 조적용 중간부재(20)는 벽돌(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맞대이면서 결합되게 된다.
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벽돌(10)의 제1수용홈부(1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각각 총 8개가 형성된 경우 제1삽입돌부(21)도 이에 대응되게 8개가 형성되고 조적용 중간부재(20)를 벽돌(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시켰을 때 제1삽입돌부(2!)가 제1수용홈부(11) 내에 맞물리면서 삽입되어 조적용 중간부재(20)와 벽돌(10)이 완전히 맞대이게 된다.
즉, 도 1에서 조적용 중간부재(20)를 화살표 방향으로 내리면 하면에 형성된 제1삽입돌부(21)가 벽돌(10) 상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부(11)에 완전히 삽입되어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용 중간부재(20)와 벽돌(10)이 서로 대응되면서 맞대이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삽입돌부(21)의 중앙부에는 제1안착홈(22)이 형성되되 제1관통공(23)이 상기 제1안착홈(22)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23)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1삽입돌부와 하면의 제1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된다.
도 4를 참조하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제1삽입돌부(21)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제1결합볼트(40)의 헤드부(40A)가 안착 배치되는 제1안착홈(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면의 제1안착홈(22)이 제1관통공(23)을 서로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제1안착홈(22)의 내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볼트(40)의 헤드부(40A)가 걸쳐지도록 걸림턱(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23)은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볼트(40)와 조적용 칼브럭(3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조적용 중간부재(20)가 벽돌(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맞대이면서 배치되었을 때 제1결합공(11A)과 연통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관통공(23)과 제1결합공(11A)의 직경은 후술할 조적용 칼브럭(3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20)를 벽돌(10)의 상면에 배치시킨 다음 도 10과 같이 이웃하는 벽돌(10) 상층에 올려지는 벽돌이 바로 하층 벽돌 상부에 각각 반반씩 배치시키는 방식으로 조적시킨 상태에서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를 이용하여 상층 벽돌과 하층 벽돌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적용 칼브럭(30)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돌(10)과 조적용 중간부재(20)를 번갈아 조적(組積)한 상태에서 상기 벽돌(10)의 제1결합공(11A)과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관통공(23)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구조는 공지의 칼브럭(screw anchor 또는 rawl plug 또는 wall plug)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결합볼트(40)가 삽입되어 내부에서 나사 결합되면 외측으로 팽창하여 벽돌(10)의 제1결합공(11A)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결합볼트(40)는 헤드부(40A)가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안착홈(22)에 배치되면서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 간 또는 조적된 상하 벽돌 간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결합볼트(40)는 조적용 칼브럭(30)의 내부에 삽입되되 나사산(S)이 형성되어 조적용 칼브럭(30)의 내부에서 나사 결합하여 조적용 칼브럭(30)의 팽창부(K)를 외측으로 팽창시키고, 그 결과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를 벽돌(1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볼트(40)는 헤드부(40A)가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안착홈(22)에 배치되면서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벽돌(10)과 조적용 중간부재(20)를 번갈아 조적(組積)한 상태에서 상기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 간 또는 조적된 상하 벽돌 간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벽돌 조적 방법과 그것에 따른 벽돌 조적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10과 같이 조적용 중간부재(20)를 벽돌(10)의 상면에 각각 배치시키고, 이웃하는 벽돌 A와 벽돌 D의 상측에 벽돌 C를 벽돌 A와 벽돌 D에 반반씩 걸쳐서 배치시키는 방식으로 벽돌 한 층을 조적한 다음, 조적용 칼브럭(30)을 제1관통공(23)과 제1결합공(11A)에 각각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은 벽돌(10)을 2층으로 쌓아올렸을 때 2개층의 벽돌 모두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이 상하 2개층의 벽돌에 삽입 배치되면 제1결합볼트(40)를 조적용 칼브럭(30)의 내부에 삽입시켜 헤드부(40A)가 걸림턱(22A)에 걸쳐지며 제1안착홈(22)에 안착 배치될 때까지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도 10에서 벽돌 A, 벽돌 A의 조적용 중간부재, 벽돌 C, 벽돌 C의 조적용 중간부재가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된다.
도 11을 통해 다시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는, 제일 아래 1층에 배치된 이웃하는 벽돌 D와 벽돌 E 위에 벽돌 A가 벽돌 D와 벽돌 E에 반반씩 걸쳐지면서 배치되고, 2층에서 벽돌 A의 이웃하는 벽돌이 같은 방식으로 벽돌 D와 벽돌 E 위에 각각 배치되며, 3층에서 벽돌 B와 벽돌 C가 벽돌 A와 그 이웃하는 벽돌 위에서 같은 방식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벽돌 조적 구조는 벽돌(10)의 일측(또는 좌측)과 타측(또는 우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11A) 각각에 대해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가 상층 벽돌과 하층 벽돌에 모두 삽입되는 방식 즉, 도 11과 같이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가 1층과 2층을 결합시키는 동시에 2층과 3층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방식에 대해 도 1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층 사이에 배치되는 조적용 중간부재(2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2와 같이 1층에 벽돌A와 벽돌B를 배치하고 2층에 벽돌C, 벽돌D, 벽돌E를 각각 배치시켰을 경우, 우선, 벽돌D의 좌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 및 이 제1결합공과 연통되어 있는 벽돌A의 우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의 제1결합공에 조적용 칼브럭(30)을 삽입하고, 또한, 벽돌D의 우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 및 이 제1결합공과 연통되어 있는 벽돌B의 좌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의 제1결합공에 조적용 칼브럭(30)을 삽입한다.
도 12에서는 1층 벽돌과 2층 벽돌 사이에 조적용 중간부재(20)를 생략하였지만,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이 1층과 2층 벽돌에 삽입될 때 그 사이에 배치된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관통공(23)도 각각 관통하게 된다.
이어서, 벽돌D 등 2층에 배치된 벽돌 상면에는 조적용 중간부재(20)가 배치된 상태이므로, 삽입된 조적용 칼브럭(30)에 제1결합볼트(40)를 삽입시켜 헤드부(40A)가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안착홈(22) 내에 배치될 때까지 나사 결합하면, 칼브럭(30)은 팽창하여 벽돌A 및 벽돌B와 결합하고 제1결합볼트(40)는 벽돌D 상면의 조적용 중간부재(20)와 벽돌D를 결합함으로써 벽돌A, 벽돌B, 벽돌D, 및 벽돌D 상면의 조적용 중간부재(20)가 결합되게 된다.
같은 방식으로, 벽돌C의 우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 및 이 제1결합공과 연통되어 있는 벽돌A의 좌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의 제1결합공에 조적용 칼브럭(30)을 삽입한 다음 제1결합볼트(40)를 나사 결합하고, 벽돌E의 좌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 및 이 제1결합공과 연통되어 있는 벽돌B의 우측 1번과 2번 제1수용홈부의 제1결합공에 조적용 칼브럭(30)을 삽입한 다음 제1결합볼트(40)를 결합함으로써, 2층 벽돌을 연속해서 조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통해 3층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과 그 구조를 설명하면, 2층에 배치된 벽돌C, 벽돌D, 벽돌E 위에 도 12와 같이 벽돌F와 벽돌G를 배치하고,
벽돌F의 우측 3번과 4번 제1수용홈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 및 이 제1결합공과 연통되어 있는 벽돌D의 좌측 3번과 4번 제1수용홈부의 제1결합공에 조적용 칼브럭(30)을 삽입하고, 또한, 벽돌G의 좌측 3번과 4번 제1수용홈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 및 이 제1결합공과 연통되어 있는 벽돌D의 우측 3번과 4번 제1수용홈부의 제1결합공에 조적용 칼브럭(30)을 삽입한다.
마찬가지로, 도 12에서는 2층 벽돌과 3층 벽돌 사이에 조적용 중간부재(20)를 생략하였지만,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이 2층과 3층 벽돌에 삽입될 때 그 사이에 배치된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관통공(23)도 각각 관통하게 된다.
이어서, 벽돌F와 벽돌G 등 3층에 배치된 벽돌 상면에는 조적용 중간부재(20)가 배치된 상태이므로, 삽입된 조적용 칼브럭(30)에 또 다른 제1결합볼트(40)를 삽입시켜 헤드부(40A)가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안착홈(22) 내에 배치될 때까지 나사 결합하면, 조적용 칼브럭(30)이 팽창하여 벽돌D와 결합함과 동시에 벽돌F측의 제1결합볼트(40)는 벽돌F 상면의 조적용 중간부재(20)와 벽돌F를 결합시키고 벽돌G측의 제1결합볼트(40)는 벽돌G 상면의 조적용 중간부재(20)와 벽돌G를 결합시킴으로써, 벽돌D, 벽돌F, 벽돌G, 및 벽돌F와 벽돌G 상면의 조적용 중간부재가 결합되면서 결과적으로 1층의 벽돌A, 벽돌B과 2층의 벽돌D과 3층의 벽돌F, 벽돌G가 일체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벽돌(10)은 좌측(또는 일측)과 우측(또는 타측)에 각각 2개 이상의 제1수용홈부(11)와 제1결합공(11A)이 형성되어 있어, 벽돌의 좌측(또는 일측)과 우측(또는 타측)은 각각 바로 아래층 벽돌 및 바로 위층 벽돌과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도 11의 벽돌 A 참조), 벽돌의 좌측 또는 우측의 제1결합공(11A) 중 하나가 아래층으로 향하는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로 채워졌다면 나머지 제1결합공은 비어있게 되고 위층 벽돌 결합시에 그 나머지 제1결합공에 위층에서 삽입되어 내려온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벽돌을 계속해서 위층으로 쉽게 조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칼브럭(30) 삽입 방법을 1번과 2번, 그리고 3번과 4번을 세트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번과 4번, 그리고 2번과 3번을 세트로 해서 칼브럭(30)을 삽입할 수도 있고, 제1수용홈부(11)와 제1결합공(11A)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만 형성되어 하나의 제1결합공으로 1층과 2층 벽돌, 2층과 3층 벽돌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벽돌D의 좌측 1번 제1결합공과 벽돌A의 우측 1번 제1결합공에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가 삽입되고, 벽돌D의 좌측 2번 제1결합공과 벽돌F의 우측 2번 제1결합공에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가 삽입되면서 1층, 2층, 3층 벽돌이 결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조적용 중간부재(20), 조적용 칼브럭(30), 및 제1결합볼트(40)를 이용하여 벽돌(10)을 상측으로 쌓아올리는 조적 방법과 그것에 따른 조적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벽돌(10)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시키거나 벽돌(10)을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벽돌(10)은 도 2와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과 우측면에 제2수용홈부(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부(12)는 후술할 좌우용 중간부재(50)의 제2삽입돌부(51)가 수용되고 벽돌(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좌우용 중간부재(5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수용홈부(12)의 내측 중앙부에는 제2결합공(12A)이 상기 제2수용홈부(12)의 내측 중앙부에서 벽돌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벽돌(10)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좌우용 중간부재(50)를 결합시켜 상기 좌우용 중간부재(50)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될 수 있는 바, 도 5a, 도 6,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좌우용 중간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제2삽입돌부(51)가 상기 제2수용홈부(12)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2수용홈부(12)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다. 즉, 제2삽입돌부의 갯수와 형성 위치가 제2수용홈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2삽입돌부(51)가 제2수용홈부(12)에 삽입되어 수용되었을 때에는 벽돌(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과 좌우용 중간부재(50)가 서로 맞대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삽입돌부(51)의 중앙부에는 제2안착홈(52)이 형성되되 제2관통공(53)이 상기 제2안착홈(52)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공(53)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2삽입돌부와 하면의 제2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된다. 상기 제2관통공(53)은 좌우용 칼브럭(70)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벽돌(10)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좌우용 중간부재(5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좌우용 칼브럭(70)과 제2결합볼트(71)를 이용하여 좌우용 중간부재(50)를 벽돌(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서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벽돌(10)의 제2수용홈부(12)에 좌우용 중간부재(50)의 제2삽입돌부(51)를 삽입 수용하여 벽돌(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좌우용 중간부재(50)를 배치시키면 제2관통공(53)과 제2결합공(12A)이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좌우용 칼브럭(70)을 상기 제2관통공(53)과 제2결합공(12A)에 삽입시킨 다음 제2결합볼트(71)를 헤드부(71A)가 상기 제2안착홈(52)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좌우용 칼브럭(70)의 내부에 나사 결합시키면, 좌우용 칼브럭(70)은 팽창하여 제2결합공(12A)과 결합하고 제2결합볼트(71)의 헤드부(71A)가 제2안착홈(52)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52A)에 걸쳐지면서 제2안착홈(52) 내에 배치되어 제2결합볼트(71)에 의해 좌우용 칼브럭(70)이 벽돌(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좌우용 칼브럭(70)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된 벽돌(10)은 좌우용 칼브럭(70)에 의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제2삽입돌부(51)를 구비하게 되고, 이 제2삽입돌부(5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웃하는 벽돌의 제2수용홈부(12)에 다시 삽입 수용시켜 이웃하는 두 벽돌을 결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즉, 벽돌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구비된 제2삽입돌부(51)와 이웃하는 벽돌의 제2수용홈부(12)의 요철 결합을 통해 좌우로 이웃하는 두 벽돌을 결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14와 같이 벽돌을 연속해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결합 배치시킬 수 있다.
이제, 벽돌(10)을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벽돌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10)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에 제3수용홈부(13)가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수용홈부(13)는 후술할 전후용 중간부재(60)의 제3삽입돌부(61)가 수용되고 벽돌의 전면과 후면에 전후용 중간부재(6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3수용홈부(13)의 내측 중앙부에는 제3결합공(13A)이 상기 제3수용홈부(13)의 내측 중앙부에서 벽돌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벽돌(10)은 전면 또는 후면에 전후용 중간부재(60)를 결합시켜 상기 전후용 중간부재(60)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될 수 있는 바, 도 7,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전후용 중간부재(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제3삽입돌부(61)가 상기 제3수용홈부(13)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3수용홈부(13)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다. 즉, 제3삽입돌부의 갯수와 형성 위치가 제3수용홈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3삽입돌부(61)가 제3수용홈부(13)에 삽입되어 수용되었을 때에는 벽돌(10)의 전면 또는 후면과 전후용 중간부재(60)가 서로 맞대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삽입돌부(61)의 중앙부에는 제3안착홈(62)이 형성되되 제3관통공(63)이 상기 제3안착홈(62)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3관통공(63)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3삽입돌부와 하면의 제3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된다. 상기 제3관통공(63)은 전후용 칼브럭(80)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벽돌(10)은 전면 또는 후면에 전후용 중간부재(6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전후용 칼브럭(80)과 제3결합볼트(81)를 이용하여 전후용 중간부재(60)를 벽돌(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서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벽돌(10)의 제3수용홈부(13)에 전후용 중간부재(60)의 제3삽입돌부(61)를 삽입 수용하여 벽돌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전후용 중간부재(60)를 배치시키면 제3관통공(63)과 제3결합공(13A)이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전후용 칼브럭(80)을 상기 제3관통공(63)과 제3결합공(13A)에 삽입시킨 다음 제3결합볼트(81)를 헤드부(81A)가 상기 제3안착홈(62)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전후용 칼브럭(80)의 내부에 나사 결합시키면, 전후용 칼브럭(80)은 팽창하여 제3결합공(13A)과 결합하고 제3결합볼트(81)의 헤드부(81A)가 제3안착홈(62)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62A)에 걸쳐지면서 제3안착홈(62) 내에 배치되어 제3결합볼트(81)에 의해 전후용 칼브럭(80)이 벽돌의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 결합된다.
전후용 칼브럭(80)이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된 벽돌(10)은 전후용 칼브럭(80)에 의해 전면 또는 후면에 제3삽입돌부(61)를 구비하게 되고, 이 제3삽입돌부(6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웃하는 벽돌의 제3수용홈부(13)에 다시 삽입 수용시켜 이웃하는 두 벽돌을 결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즉, 벽돌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된 제3삽입돌부(61)와 이웃하는 벽돌의 제3수용홈부(13)의 요철 결합을 통해 전후로 이웃하는 두 벽돌을 결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16과 같이 벽돌을 연속해서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결합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좌우용 칼브럭(70)과 전후용 칼브럭(80)은 상기 조적용 칼브럭(30)과 마찬가지로 공지의 칼브럭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각각 제2결합볼트(71)와 제3결합볼트(81)의 나사 결합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 구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벽돌(10)을 쌓아올려 조적하면서 좌우 방향으로도 벽돌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과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벽돌 각 층 사이사이에 조적용 중간부재(20)가 배치되면서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에 의해 각 층의 벽돌들이 서로 연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좌우용 칼브럭(70)과 제2결합볼트(71)에 의해 결합된 좌우용 중간부재(50)가 좌우로 이웃하는 벽돌 사이사이에 배치되면서 이웃하는 벽돌들이 좌우용 중간부재(50)를 통해 서로 요철 결합함으로써, 벽돌 조적 구조 전체가 매우 견고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벽돌(10)에 제4수용홈부(14)가 형성되고, 이 제4수용홈부(14)에 삽입되고 벽돌(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좌우연결용 중간부재(90)가 맞대이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수용홈부(14)는 벽돌(10)의 양측면에 각각 4개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수용홈부(11)와 유사하게 내측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4결합공(14A)을 통해 좌우측 제4수용홈부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4결합공(14A)은 좌우연결용 칼브럭(94)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좌우연결용 중간부재(90)는 상기 제4수용홈부(14)가 형성된 벽돌(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면(또는 좌측면)과 하면(또는 우측면)에 제4삽입돌부(91)가 상기 제4수용홈부(14)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4수용홈부(14)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돌부(21)와 마찬가지로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제4안착홈(92)이 형성되되 제4관통공(93)을 통해 제4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되어 있다.
좌우연결용 칼브럭(94)은 벽돌(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좌우연결용 중간부재(90)이 배치된 상태에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10)의 제4결합공(14A)과 좌우연결용 중간부재(90)의 제4관통공(93)에 각각 삽입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벽돌 조적 구조에서는, 제4결합볼트(95)의 헤드부(95A)가 상기 좌우연결용 중간부재(90)의 제4안착홈(92)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4결합볼트(95)가 상기 좌우연결용 칼브럭(94)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고, 또한, 도 19b와 같이 상기 조적용 칼브럭(30)과 제1결합볼트(40)의 결합 방식과 마찬가지로, 좌우연결용 칼브럭(94)을 4개 이상의 제4수용홈부(14)에 지그재그로 하나 걸러 하나씩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좌우연결용 중간부재(90)를 통해 벽돌(10)들을 좌우 방향으로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 또는 조적할 수도 있다.
물론, 제1수용홈부(11)와 제4수용홈부(14) 또는 제3수용홈부(13)가 형성된 벽돌(10)에 조적용 중간부재(50)와 좌우연결용 중간부재(90) 또는 전후용 중간부(60)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벽돌을 견고하게 조적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벽돌, 11: 제1수용홈부, 11A: 제1결합공,
12: 제2수용홈부, 12A: 제2결합공, 13: 제3수용홈부,
13A: 제3결합공, 20: 조적용 중간부재, 21: 제1삽입돌부,
22: 제1안착홈, 22A: 제1안착턱, 23: 제1관통공,
30: 조적용 칼브럭, 40: 제1결합볼트,
40A: 제1결합볼트의 헤드부, 50: 좌우용 중간부재,
51: 제2삽입돌부, 52: 제2안착홈, 53: 제2관통공,
60: 전후용 중간부재, 61: 제3삽입돌부, 62: 제3안착홈,
63: 제3관통공, 70: 좌우용 칼브럭, 71: 제2결합볼트,
71A: 제2결합볼트의 헤드부, 80: 전후용 칼브럭,
81: 제3결합볼트, 81A: 제3결합볼트의 헤드부,
90: 좌우연결용 중간부재, 91: 제4삽입돌부,
92: 제4안착홈, 93: 제4관통공,
94: 좌우연결용 칼브럭, 95: 제4결합볼트,
95A: 제4결합볼트의 헤드부, 14: 제4수용홈부, 14A: 제4결합공.

Claims (2)

  1. 상면과 하면에 2개 이상의 제1수용홈부(11)가 각각 양측으로 구비되고, 제1결합공(11A)이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공(11A)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1수용홈부와 하면의 제1수용홈부가 각각 연통된 벽돌(10)과;
    상기 벽돌(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면과 하면에 제1삽입돌부(21)가 상기 제1수용홈부(11)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1수용홈부(11)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돌부(21)의 중앙부에는 제1안착홈(22)이 형성되되 제1관통공(23)이 상기 제1안착홈(22)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23)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1삽입돌부와 하면의 제1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된 조적용 중간부재(20)와;
    상기 벽돌(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조적용 중간부재(2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벽돌(10)의 제1결합공(11A)과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관통공(23)에 각각 삽입되는 조적용 칼브럭(30)과;
    헤드부(40A)가 상기 조적용 중간부재(20)의 제1안착홈(22)에 배치되면서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적용 칼브럭(30)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벽돌(10)과 조적용 중간부재(20)를 번갈아 조적(組積)한 상태에서 상기 벽돌과 조적용 중간부재 간 또는 조적된 상하 벽돌 간을 서로 결합시키는 제1결합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제2수용홈부(12)가 또는 상기 벽돌(10)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에 제3수용홈부(13)가 각각 더 구비되고, 제2결합공(12A)이 상기 제2수용홈부(12)의 내측 중앙부에서 벽돌 내측으로 형성되고, 제3결합공(13A)이 상기 제3수용홈부(13)의 내측 중앙부에서 벽돌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10)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좌우용 중간부재(50)를 결합시켜 상기 좌우용 중간부재(50)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벽돌(10)은 전면 또는 후면에 전후용 중간부재(60)를 결합시켜 상기 전후용 중간부재(60)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용 중간부재(50)는 상면과 하면에 제2삽입돌부(51)가 상기 제2수용홈부(12)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2수용홈부(12)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돌부(51)의 중앙부에는 제2안착홈(52)이 형성되되 제2관통공(53)이 상기 제2안착홈(52)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공(53)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2삽입돌부와 하면의 제2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전후용 중간부재(60)는 상면과 하면에 제3삽입돌부(61)가 상기 제3수용홈부(13)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제3수용홈부(13)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삽입돌부(61)의 중앙부에는 제3안착홈(62)이 형성되되 제3관통공(63)이 상기 제3안착홈(62)의 내측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3관통공(63)을 통해 상기 상면의 제3삽입돌부와 하면의 제3삽입돌부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좌우용 중간부재(50)는 좌우용 칼브럭(70)을 상기 제2관통공(53)과 제2결합공(12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결합볼트(71)를 헤드부(71A)가 상기 제2안착홈(52)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좌우용 칼브럭(70)의 내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벽돌(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용 중간부재(60)는 전후용 칼브럭(80)을 상기 제3관통공(63)과 제3결합공(13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3결합볼트(81)를 헤드부(81A)가 상기 제3안착홈(62)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전후용 칼브럭(80)의 내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벽돌(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 구조.
KR1020220092057A 2022-07-25 2022-07-25 벽돌 조적 구조 KR20240014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57A KR20240014382A (ko) 2022-07-25 2022-07-25 벽돌 조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57A KR20240014382A (ko) 2022-07-25 2022-07-25 벽돌 조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382A true KR20240014382A (ko) 2024-02-01

Family

ID=8985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057A KR20240014382A (ko) 2022-07-25 2022-07-25 벽돌 조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3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802B1 (ko) 2019-07-09 2021-02-24 이승구 조적벽돌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802B1 (ko) 2019-07-09 2021-02-24 이승구 조적벽돌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9440A (en) Building blocks, wall structur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950137B2 (en) Composite insulated foam panel
US5855102A (en) Molded brick module
EP0551276A1 (en) Modular panel of expanded synthetic material provided with staggered longitudinal "t"-shaped channels, receiving "t"-shaped wooden posts useful for erecting walls
US9410313B1 (en) Building block system
US20100162649A1 (en) Building block system
US9890531B2 (en) Modular building system with adhesive-joined spline connections between wall sections
CN110616846A (zh) 一种装配式砌块、装配式砌块锁锚墙体建筑体系及其施工方法
US4794749A (en) Building system
KR20240014382A (ko) 벽돌 조적 구조
EP2766536B1 (en) Modular system for precise construction of walls
US10612234B2 (en) Dry stack construction block system and method
CN214461465U (zh) L型基础组合构件
CN105201122A (zh) 一种建筑墙体所用的横孔砌块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EP1094166A2 (en) Improved brick for construction
CN220704899U (zh) 一种标准化砖体及其堆砌的砖砌体
GB2591907A (en) Building block (variants)
EP1054114A2 (fr) Système de construction modulaire pour maçonnerie avec des briques aux façades, murs, cloisons, piliers, linteaux et conduites intérieures, verticales et horizontales
KR102588711B1 (ko) 공동주택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적공사에 사용되는 조적구조체
CA2446384C (en) Building blocks with integrated assembling design
KR101838216B1 (ko) 내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돌 쌓기 방법
US20220178137A1 (en) Masonry block anchor system
CN220080094U (zh) 一种混凝土连锁砌块砌筑的重力式挡墙
CN210002613U (zh) 预制条板内隔墙构造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