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020A -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020A
KR20100103020A KR1020090021385A KR20090021385A KR20100103020A KR 20100103020 A KR20100103020 A KR 20100103020A KR 1020090021385 A KR1020090021385 A KR 1020090021385A KR 20090021385 A KR20090021385 A KR 20090021385A KR 20100103020 A KR20100103020 A KR 2010010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ale
partition
fema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노
Original Assignee
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020A/ko
Publication of KR2010010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1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립설치장치는,
한 쌍의 고정판에는 대응되는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각각 형성하여 삽탈(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이 형성된 암체결구와 수체결구를 메인벽체와 간벽에 각각 장착하여 간벽을 메인벽체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설치장치(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거의 조금만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상태를 단정하게 유지시키고, 칸막이의 설치 상태(외관)를 미려하고 심플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건물벽체. 조립식화장실. 격벽. 격벽설치장치. 암장착수단,. 암장착구. 고정판. 수장착수단. 숫장착구.

Description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A FOUNDATION EQUIPMENT FOR PARTITION AND FOUNDATION METHOD USED IT}
본 발명은 간벽(칸막이패널)을 메인벽체(건물벽 또는 칸막이벽체)에 직각으로 설치할 때에 메인벽체와 간벽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고정판에는 대응되는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각각 형성하여 삽탈(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이 형성된 암체결구와 수체결구를 메인벽체와 간벽에 각각 장착하여 간벽을 메인벽체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간(면적)이 넓은 실내를 여러 개의 방으로 분할하거나 공중화장실과 같이 공간을 여러 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때에는 주로 조립식 칸막이를 설치하여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 또는 공간을 여러 개의 공간(방)을 구획할 때에 종래에는 주로 'L'자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평판의 일면 중앙에 'U'자형의 장착편이 일체로 된 'T'자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설치하였다.
즉, 'L'자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간벽(칸막이패널)을 메인벽체(건물벽 또는 칸막이벽체)에 접속하여 설치할 때에는, 메인벽체(건물벽 또는 칸막이벽체)에 연설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간벽(칸막이패널)의 단면을 연접시킨(지지한) 상태에서 메인벽체(건물벽 또는 칸막이벽체)와 간벽(칸막이패널)의 양면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양측 모서리에 'L'자형으로 형성된 브래킷을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하여 설치하였다.
또 'T'자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간벽(칸막이패널)을 메인벽체(건물벽 또는 칸막이벽체)에 접속하여 설치할 때에는, 메인벽체(건물벽 또는 칸막이벽체)에 'T'자형브래킷의 평판을 먼저 고정시키고, 메인벽체(건물벽 또는 칸막이벽체)에 고정된 'T'자형브래킷의 'U'자형 장착편에 간벽(칸막이 패널)의 단부를 삽입하고 'U'자형 장착편의 측면에서 볼트스크루를 나사 결합하여 장착(고정)하여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L'자형 브래킷 또는 'T'자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간벽(칸막이패널)을 설치하는 방법(구성)은, 'L'자형 브래킷을 일정한 고정시키거나 'T'자형 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볼트스크루를 고정(나사 결합)시켜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작업성(작업능률)이 떨어지며, 따라서 인건비 등이 상승하면서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L'자형 브래킷 또는 'T'자형 브래킷이 외부로 노출되고 볼트스크루도 외부로 노출되므로 설치(외관)가 단정하지 못하고, 심플하지도 못하여 미관을 해치 게 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고정판에는 대응되는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각각 형성하여 삽탈(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이 형성된 암체결구와 수체결구를 메인벽체와 간벽에 각각 장착하여 간벽을 메인벽체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치(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거의 조금만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상태를 단정하게 유지시키고, 칸막이의 설치 상태(외관)를 미려하고 심플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메인벽체에 간벽을 고정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판에는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대응되게 각각 형성한 암장착구 및 숫장착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설치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메인벽체에 간벽을 고정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판에는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대응되게 각각 형성한 암장착구 및 숫장착구와;
상기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이 각각 형성된 암체결구와 수체결구를 메인벽체와 간벽에 대응되게 각각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설치장치(10)를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은,
한 쌍의 고정판에는 삽탈(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대응되는 암결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암체결수단이 형성된 암장착구와 숫체결수단이 형성된 숫장착구를 메인벽체와 간벽에 각각 장착하여 간벽 을 메인벽체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설치장치(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거의 조금만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상태를 단정하게 유지시키고, 칸막이의 설치 상태(외관)를 미려하고 심플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며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는 도 1a 내지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암장착구(20)와 숫장착구(30)로 크게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암장착구(20)와 숫장착구(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암장착구(20)는, 길이가 긴 고정판(21)의 양단에 가이드지지면(22)을 서로 대향 하도록 나란하게 형성하였다.
고정판(21)의 양단에 가이드지지면(22)을 형성하는 방법은, 고정판(21)을 성 형할 때에 가이드지지면(22)을 일체로 성형하거나, 고정판(21)과 가이드지지면(22)을 철판에 의해 형성하되 철판의 양측을 절곡하여 중앙부분을 고정판(21)으로 형성하고 양측의 절곡 부분을 가이드지지면(2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판(21)과 가이드지지면(22)에서 가이드지지면(22)의 사이에는 암장착수단(25)을 장착하였다.
상기 암장착수단(25)은 고정판(21)의 길이를 짧게 하였을 경우에는 하나 이상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선택적으로 형성하였고, 고정판(21)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암장착수단(25)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고정판(21)에 형성되는 암장착수단(25)은 고정판(21)을 일정한 폭과 길이로 프레싱하여 억류편(26)이 가이드지지면(22)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였고, 억류편(26)과 고정판(21)과의 사이에 삽탈공(27)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억류편(26)의 높이를 가이드지지편(22)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숫장착구(30)를 장착하였을 때에 숫장착구(30)의 고정판(31)이 가이드지지면(22)의 상단과 일치하거나 미미하게 돌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암장착구(2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가이드지지면(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정판(21)에 프레싱억류편(2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암장착구(20)에서 고장판(21)에는 장착공(33)을 소정의 간격으로 뚫어 볼트스크루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상기 장착공(33)은 볼트스크루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 확개되는 V형상으로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암장착구(20)에 착탈(장착)되는 숫장착구(30)는 다음과 같이 형성 하였다.
고정판(31)는 그의 폭을 암장착구(20)에 형성된 가이드지지면(22)과의 사이로 삽입시킬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였고, 고정판(31)에는 숫장착수단(35)을 형성하였다.
상기 숫장착수단(35)은, 고정판(31)의 길이를 짧게 하였을 경우에는 하나 이상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고정판(31)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암장착수단(35)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숫장착수단(35)은 고정판(31)을 소정의 간격과 폭으로 프레싱하여 삽탈편(36)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였으며, 숫장착수단(35)의 삽탈편(36)을 암장착구(20)의 삽탈공(27)에 삽입시켰을 때에는 숫장착수단(35)의 상단 절곡부가 억류편(26)의 상단에 얹혀지도록 하였다.
상기 숫장착수단(35)이 형성된 숫장착구(3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고정판(31)의 양측에 가이드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31)의 양측에 가이드지지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암장착구(20)는 가이드지지면(22)을 배제시키고, 고정판(21)의 폭을 숫장착구(30)의 고정판(31)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가이드지지면(22)이 배제된 암장착구(20)의 고정판(21)을 고정판(3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지지면(22)과의 사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의 사용상태(설치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는 실내 또는 방을 구획하기 위하여 격벽(4)을 설치할 때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는 도 3과 같이 조립식화장실(2)을 설치할 때에 도어(5)가 설치되는 전면판(3)과 건물벽체(1)와의 사이 또는 조립식패널과 조립식패널과의 사이에 격벽(4)을 설치할 때에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는 도 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암장착구(20)과 숫장착구(30)를 격벽(4)과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고정(장착)시킨다.
예컨데, 암장착구(20)를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각각 고정시키되, 고정판(21)에 형성된(뚫어진) 장착공(23)을 통해 볼트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판(21)을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고정시킨다.
고정판(21)의 길이가 짧은 암장착구(20)일 경우에는 짧은 길이의 암장착구(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선단면과 후단면에 각각 고정시키고, 고정판(21)의 길이가 긴 암장착구(20)일 경우에는 길이가 긴 암장착구(20)를 선단면과 후단면에 각각 고정시킨다.
숫장착구(30)는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의 소정 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장착)시킨다.
숫장착수단(35)의 삽탈편(36)이 상측을 향하도록 삽탈편(36)이 상측을 향하도록 고정(장착)시키되, 고정판(31)에 형성된(뚫어진) 장착공(32)을 통해 볼트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하여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고정시킨다.
고정판(31)의 길이가 짧은 숫장착구(30)일 경우에는 짧은 길이의 숫장착구(30)를 전술한 상기 암장착구(2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시켜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각각 고정시키고, 고정판(21)의 길이가 긴 숫장착구(30)일 경우에는 길이가 긴 숫장착구(30)를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암장착구(20)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고정(장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암장착구(20)를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고정시키고, 숫장착구(30)를 전면판(3) 및 건물벽체(1)에 장착(고정)시킨 후에, 전면판(3)과 건물벽체(1)와의 사이에서 선단면과 후단면에 암장착구(20)가 각각 장착(고정)된 격벽(4)을 들어 암장착수단(25)의 억류편(26)을 숫장착수단(35)의 삽탈편(36)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상측으로 들려져 있는 격벽(4)을 하향시키면서 도 1b와 도 1c 및 도 2b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암장착수단(25)의 억류편(26)을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숫장착수단(35)의 삽탈편(37)에 삽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는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장착된 암장착구(20)의 억류편(26)을 전면판(3) 및 건물벽체(1)에 장착(고정)된 숫장착수단(35)의 삽탈편(37)에 삽입시켜 줌으로서 격벽(4)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암장착구(20)와 숫장착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설치)하는 것 외에 전면판(3) 및 건물벽체(1)와 격벽(4)에 상호 교차하여 장착할 수 있다.
예컨데, 암장착구(20)를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고정(장착)하고, 숫장착구(30)를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각각 장착(고정)하되 숫장착수단(35)의 삽탈편(36)이 하향하도록 장착(고정)한다.
상기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장착된 숫장착구(30)를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고정(장착)된 암장착수단(25)의 억류편(26)에 걸어 설치할 때에 숫장착수단(35)의 삽탈편(36)이 암장착수단(25)의 삽탈공(27)으로 삽입되고, 숫장착수단(35)의 고정편(36)이 암장착수단(25)의 억류편(26)의 상단에 얹혀지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설치장치(10)의 다른 사용(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암장착구(20)과 숫장착구(30)를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4)과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고정(장착)시키는 상태를 보인 실시 예이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는 암장착구(20)의 고정판(21)과 가이드지지면(22)을 충분히 수용(장전)할 수 있는 깊이의 장착홈(4-1)을 수직으로 길게 각각 형성하고, 각 장착홈(4-1)에 암장착구(20)의 고정판(21)과 가이드지지면(22)을 삽입(장전)시켜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암장착구(20)의 고정판(21)과 가이드지지면(22)을 장착홈(4-1)에 삽입시켜 장착하는 것 외에는 도 1a 내지 도 1c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격벽(4)을 설치하며, 암장착구(20)를 격벽(4)의 장착홈(4-1)에 삽입시켜 장착하여 격벽(4)을 설치하게 되면 암장착구(20)와 숫장착구(30)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격벽(4)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숫장착구(30)를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각각 장착(고정)할 때에도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장착홈(4-1)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장착홈(4-1)의 깊이를 숫장착구(30)의 고정판(31)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숫장착구(30)를 격벽(4)의 선단면과 후단면에 형성된 장착홈(4-1)에 삽입하여 장착하고, 암장착구(20)를 전면판(3) 또는 건물벽체(1)에 장착(고정)하여 결합시키면, 암장착구(20)의 가이드지지면(2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립설치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립설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립설치장치에 의해 간벽을 메인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건물벽체 2: 조립식화장실 3: 전면판
4: 격벽 5: 도어 10: 격벽설치장치
20: 암장착구 21. 31: 고정판 22: 가이드지지면
25: 암장착수단 30: 숫장착구 35: 수장착수단

Claims (8)

  1. 메인벽체에 간벽을 고정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판에는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대응되게 각각 형성한 암장착구 및 숫장착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2. 메인벽체에 간벽을 고정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판에는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대응되게 각각 형성한 암장착구 및 숫장착구와;
    상기 암체결수단과 숫체결수단이 형성된 암장착구와 숫장착구를 메인벽체와 간벽에 대응되게 각각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를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판에 형성되는 암체결수단은;
    고정판을 프레싱하여 삽탈공이 상하로 연통되도록 억류편을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판에 형성되는 숫체결수단은;
    고정판을 프레싱하여 삽탈편을 상하 일면이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반대 면이 개방되며 고정판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암장착구와 숫장착구는;
    암장착구를 형성하는 고정판의 양측에 가이드지지편을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과;
    숫장착구의 고정판을 암장착구의 양측 가이드지지편 사이로 삽입시키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암장착구와 숫장착구는;
    숫장착구를 형성하는 고정판의 양측에 가이드지지편을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과;
    암장착구의 고정판을 상기 숫장착구의 양측 가이드지지편 사이로 삽입하여 숫장착수단을 암장착수단에 걸어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암장착구와 숫장착구는;
    각 고정판에 암장착수단과 숫장착수단을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암장착구와 숫장착구를 메인벽체와 간벽에 대응되게 각각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격벽의 선단면 및 후단면에 장착홈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과;
    상기 격벽의 선단면 및 후단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암장착구 또는 숫장착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립설치장치를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KR1020090021385A 2009-03-12 2009-03-12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KR20100103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385A KR20100103020A (ko) 2009-03-12 2009-03-12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385A KR20100103020A (ko) 2009-03-12 2009-03-12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20A true KR20100103020A (ko) 2010-09-27

Family

ID=4300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385A KR20100103020A (ko) 2009-03-12 2009-03-12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3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589A (ko) * 2019-07-09 2021-01-19 이승구 조적벽돌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589A (ko) * 2019-07-09 2021-01-19 이승구 조적벽돌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2777A (ko)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CA2656394C (en) Quick install canopy
KR20100103020A (ko) 칸막이 조립설치장치 및 이용한 간벽 설치방법
CN211058187U (zh) 一种装饰板用装配结构
CN211984600U (zh) 一种抽屉
JP5545473B2 (ja) 照明装置
CN107461619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KR20200117133A (ko) 무지주 선반
CN218346531U (zh) 一种吊顶连接件及蜂窝板吊顶结构
CN219976845U (zh) 一种便于快速安装的镜柜冰箱
CN217128839U (zh) 厕所装配式背面墙
CN213691804U (zh) 一种微动开关安装支架
CN212109171U (zh) 一种用于家电门体的门板、冰箱门体、冰箱
CN217924594U (zh) 用于墙面的连接结构
CN110805200A (zh) 一种隔墙后置底盒构件及其安装方法
CN209981964U (zh) 一种隔墙后置底盒
US6315428B1 (en) Light fixture mounting for suspended ceiling
CN218622770U (zh) 一种装配式墙板的龙骨系统
CN215015309U (zh) 柜体连接件
CN215716330U (zh) 一种装配式幕墙组装结构
CN211779750U (zh) 一种led显示屏的底座结构及led显示屏
CN217812042U (zh) 一种假梁包梁结构
CN218096253U (zh) 穿墙空调安装结构及穿墙空调器
KR200227921Y1 (ko) 통신장비 고정용 브라켓트
US10234109B1 (en) Single-piece end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