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417B1 -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417B1
KR102219417B1 KR1020170095814A KR20170095814A KR102219417B1 KR 102219417 B1 KR102219417 B1 KR 102219417B1 KR 1020170095814 A KR1020170095814 A KR 1020170095814A KR 20170095814 A KR20170095814 A KR 20170095814A KR 102219417 B1 KR102219417 B1 KR 10221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engine
cartridg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665A (ko
Inventor
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9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for auto-setting of process parameters, lifetime, us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79Controller construction, e.g. aspects of the interface hard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41J2029/3937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ter and the cartridge, carriage or printh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프린터 콘트롤러는,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프린터 엔진을 소정의 스테이트로 천이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고, 소정의 스테이트로 천이한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로우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한편, 프린터 콘트롤러가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프린터 콘트롤러는 예측값을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취득하고, 예측값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에는, 유저 자신이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는, 카트리지 내의 토너의 잔량(이하, "토너 잔량"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을 검지하고, 토너 잔량을 유저에게 표시하는 유닛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일부의 화상 형성장치는, 이와 같은 토너 부족이 발생할 때 토너 잔량이 적어지거나 토너가 떨어진 것을 표시하는 경고를 유저에게 표시하는 유닛을 구비한다. 이들 유닛에 의해, 인쇄의 품질 저하가 발생하기 전에, 유저에게 카트리지 교환을 촉구할 수 있다.
화상 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화상 출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프린터 엔진과, PC 등의 단말, 표시부, 또는 조작부와 프린터 엔진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와 디바이스 정보의 입출력의 제어를 행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콘트롤러에 통지하는 토너 잔량에는 2종류, 즉 센서값과, 계산값이 있다. 센서값은, 광학 센서 등으로 카트리지 내의 토너 잔량을 읽어내어 얻어진다. 계산값은, 센서값과 화상 형성장치의 사용상황 등을 기초로 특정한 로직에 의해 산출된다. 계산값은 센서값과는 다르고, 리바운드하지 않는데, 즉, 전회 산출한 값을 상회하지 않는다. 토너를 한번 다 써버린 후 토너로 재충전된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토너를 한번 다 써버렸기 때문에, 즉, 토너 잔량이 0으로 되었기 때문에, 계산값은 항상 0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계산값은 실제의 토너 잔량에 따른 값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재충전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계산값이 아니라 센서값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특개 2002-287583호 공보에는, 카트리지의 토너 용량, 화소 카운터 및 토너 엔드 센서로부터 정보를 사용해서 상세한 토너 잔량을 통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 이상의 측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엔진과, 상기 프린터 엔진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프린터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프린터 엔진은, 슬립으로부터 복귀될 때마다 실행되는, 기록재의 소비량에 근거한 계산에 의해 예측이 완료되었을 때 예측에 의해 얻어진 예측값을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통지하고, 슬립으로부터의 복귀의 발생으로부터 상기 예측값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예측값 대신에, 센서를 사용해서 취득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통지하는 제1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는,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조건에서, 상기 예측값을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예측값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제2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이,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로우 데이터의 이전 취득으로부터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이 카운트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정한 조건에서, 상기 제 2 통지 수단은, 상기 프린터 엔진을 슬립으로 한 후 상기 프린터 엔진을 슬립으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 후에, 상기 프린터 엔진에 대한 요구를 실행하여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상기 로우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인쇄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퍼스널 컴퓨터(PC)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프린터 엔진이 행하는 정보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는 콘트롤러가 행하는 정보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부분 1)이다.
도 6은 콘트롤러가 행하는 정보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부분 2)이다.
도 7은 토너 잔량과 카운트 임계값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토너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도 1은, 인쇄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쇄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PC)(102)와 디바이스(103)를 포함한다. 디바이스(화상 형성장치)(103)는 PC(102)과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또는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다. 유저(101)는, PC(102)의 조작부(206),또는 디바이스(103)의 조작/표시부(316)를 조작함으로써 디바이스(103)에 임의의 설정이나 지시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바이스(103)의 일례로서 본체에 조작/표시부(316)를 갖는 프린터를 설명하지만, 디바이스(103)는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고 복합기(MFP) 등의 다른 화상 형성장치이어도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디바이스(103)에서 프린터 엔진(314)이 센서값과 계산값에 대응한 독립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고, 토너 잔량에 대응하는 한개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PC(102)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앙처리장치(CPU)(201)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한 개 이상의 프로세서, 한 개 이상의 메모리,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해도 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2)는, CPU(201)이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이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03)는, 데이터 기억영역이다. 조작부 인터페이스(I/F)(204)는, 조작부(206)와의 인터페이스부이고, 조작부(206)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접수한다. 또한 조작부 I/F(204)는, 조작부(206)를 거쳐 유저가 입력한 정보를, CPU(201)에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 I/F(209)는, 표시부(210)와의 인터페이스부이고, CPU(201)의 제어하에서 표시부(210)에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USB I/F(208)는, USB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 유닛으로, USB 디바이스를 거쳐 다른 디바이스의 스테이터스를 취득하고 스테이터스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I/F(207)는, LAN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 유닛으로, LAN를 거쳐 다른 디바이스의 스테이터스를 취득하고 스테이터스를 반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상의 디바이스가 시스템 버스(205)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을 통해 기술된 유닛들은 본 발명에서 설명한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이거나 및/또는 바람직한 모듈이다. 이들 모듈은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디지털 신호 처리기, 주문형 집적회로 등의) 하드웨어 유닛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상기한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들을 위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특정한 처리를 행하는 스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이 존재하여도 된다. 전술한 단계들의 모든 조합과 이들 단계에 대응하는 유닛들에 의한 기술적인 해결책이 본 발명이 포함된다.
CPU(201)이 RAM(202) 또는 HDD(2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PC(102)의 기능이 실현된다.
도 3은, 디바이스(103)의 콘트롤러(313) 및 콘트롤러(313)와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콘트롤러(313)는, 화상 출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프린터 엔진(314)과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해, 콘트롤러(313)는, PC(102)과 프린터 엔진(314)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와 디바이스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또한 콘트롤러(313)는, 조작/표시부(316)와 접속됨으로써 유저로부터의 임의의 설정과 지시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CPU(301)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한 개 이상의 프로세서와 한 개 이상의 메모리를 구비한다. RAM(303)은, CPU(301)이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이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와,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록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이기도 한다. 불휘발성 메모리(NVMEM)(304)는, 설정 정보 등을 기록한다. 플래시 판독 전용 메모리(ROM)(302)는, 고쳐쓰기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조작/표시부 I/F(315)는, 조작/표시부(316)과의 인터페이스부이고, 조작/표시부(316)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접수한다. 또한 조작/표시부 I/F(315)는, 조작/표시부(316)를 거쳐 유저가 입력한 정보를, CPU(301)에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작/표시부 I/F(315)는, CPU(301)의 제어에 따라 조작/표시부(316)에의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조작/표시부(316)는 터치패널이다. USB I/F(306)는, PC(102)과의 USB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LAN I/F(311)는, PC(102)과의 LAN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디바이스가 시스템 버스(305) 위에 배치된다. 이미지 버스 I/F(307)는, 시스템 버스(305)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화상 버스(312)를 접속하고, 데이터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리지다. 화상 버스(312)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버스 또는 IEEE1394 버스로 구성된다. 이미지 버스(312) 위에는 이하의 디바이스가 배치된다.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308)는, 페이지 기술 언어(PDL)코드와 같은 벡터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로 전개한다. 프린터 I/F(310)는, 프린터 엔진(314)과 콘트롤러(313)를 접속하고, 화상 데이터의 동기계/비동기계의 변환과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화상처리부(309)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보정, 가공, 편집하고, 프린트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 프린터의 보정, 해상도변환 및 기타 처리를 등을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309)는, 화상 데이터의 회전과, 다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처리, 2값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JBIG(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 MMR(Modified Modified Read), MH(Modified Huffman) 등의 압축/신장 처리를 행한다. 프린터 엔진(314)은, 래스터 이미지 데이터를 용지 위의 화상으로 변환한다. 그 변환방식은 감광체 드럼이나 감광체 벨트를 사용한 전자사진방식, 미소 노즐 어레이로부터 잉크를 토출해서 용지 위에 직접 화상을 인자하는 잉크젯 방식을 포함하며, 어느 방식이어도 된다. 프린트 동작의 기동은, CPU(30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개시한다. 급지부(320)에는 기록재가 격납된다.
프린터 엔진(314)은, 프린터 엔진(314), 카트리지나 급지부(320)의 스테이터스 등의 정보를 취득하고, 프린터 I/F(310)를 거쳐 정보를 콘트롤러(313)에 통지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 엔진(314)이 센서값과 계산값에 대응한 독립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고, 토너 잔량에 대응하는 한개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콘트롤러(313)가 프린터 엔진(314)으로부터 토너 잔량을 취득할 때, 프린터 엔진(314)이 센서값 또는 계산값의 어느 쪽을 반환하는지는, 프린터 엔진(314)의 상태에 의존한다. 프린터 엔진(314)이 콘트롤러(313)에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반환하는 것은 계산값이 확정되지 않았을 때이고, 계산값을 반환하는 것은 그 이외일 때, 즉 계산값이 확정되었을 때이다. 계산값이 확정되지 않을 때는, 전원 투입, 카트리지 교환시에 액세스하는 커버의 폐쇄와, 슬립 모드로부터의 프린터 엔진(314)의 복귀를 포함하는 어느 한개의 이벤트 발생후, 수매의 용지의 인쇄가 완료할 때까지의 한정된 시간 간격이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 엔진(314)이 센서값과 계산값의 어느쪽을 통지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은 상기한 것과 같지만, 본 실시형태의 처리의 적용 범위는 상기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린터 엔진(314)은 엔진 상태가 소정의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다는 조건에서 기록재의 소비량에 대해 예측된 예측값을 프린터 콘트롤러(313)에 통지하고, 엔진 상태가 소정의 상태를 만족한다는 조건에서, 예측값 대신에, 센서를 사용하여 취득한 로우 데이터를 프린터 콘트롤러(313)에 통지한다. 프린터 콘트롤러(313)는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디바이스(103)에 장착되어 있는지 판정한다. 프린터 콘트롤러(313)는,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디바이스(103)에 장착된 것으로 판정단계에서 판정되었다는 조건에서 프린터 엔진(314)을 소정의 스테이트로 천이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고, 소정의 스테이트로 천이된 프린터 엔진(314)으로부터 로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어를 행하고, 취득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하고,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디바이스(103)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단계에서 판정되었다는 조건에서 프린터 엔진(314)을 소정의 스테이트로 천이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지 않고, 예측값을 프린터 엔진(314)으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예측값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상기 유저에게 통지한다.
프린터 엔진(314)은, 적어도 센서를 사용해서 취득한 로우 데이터와, 기록재의 소비량에 근거하여 예측값을 산출한다. 프린터 콘트롤러(313)는, 프린터 엔진(314)을 재기동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프린터 엔진(314)을 소정의 스테이트로 천이시킨다. 프린터 콘트롤러(313)는, 프린터 엔진(314)에 대하여 토너 잔량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고, 프린터 엔진(314)은, 엔진 상태가 소정의 스테이트를 만족하지 않고 있다는 조건에서, 취득 요구의 응답으로서 예측값을 프린터 콘트롤러(313)에 통지하고, 엔진 상태가 소정의 스테이트를 만족하고 있다는 조건에서, 로우 데이터를 프린터 콘트롤러(313)에 통지한다. 실행해야 할 인쇄 잡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동안,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디바이스(103)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되고 실행해야 할 잡이 있다고 판정된 조건에서도, 프린터 콘트롤러(313)는 인쇄 잡의 실행이 완료한 후에, 프린터 엔진(314)을 소정의 스테이트로 천이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CPU(301)이 NVMEM(304) 또는 RAM(30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콘트롤러(313)의 기능 및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의 흐름도의 처리가 실현된다.
도 4는, 콘트롤러(313)가 프린터 엔진(314)에 토너 잔량의 취득 요구를 행했을 때에, 프린터 엔진(314)이 행하는 정보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의 흐름도의 정보처리의 목적은, 프린터 엔진(314)이 콘트롤러(313)로부터의 토너 잔량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토너 잔량을 통지하는 것이다.
스텝 S801에 있어서, 프린터 엔진(314)은, 콘트롤러(313)로부터 토너 잔량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토너 잔량의 취득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스텝 S801에 있어서 NO), 스텝 S801의 판정 처리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토너 잔량의 취득 요구를 수신한 있을 경우(스텝 S801에 있어서 YES), 스텝 S80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802에 있어서, 프린터 엔진(314)은, 토너 잔량으로서 계산값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본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 엔진(314)은, 계산값이 확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계산값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스텝 S802에 있어서 YES), 스텝 S8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803에 있어서, 프린터 엔진(314)은, 콘트롤러(313)에게 토너 잔량으로서 계산값을 통지하고,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계산값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스텝 S802에 있어서 NO), 스텝 S8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804에 있어서, 프린터 엔진(314)은, 콘트롤러(313)에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통지하고,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의 목적은, 콘트롤러(313)가 재충전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파악하고, 토너 잔량이 없어진 타이밍에서 그것을 검지하여, 이 결과의 경고를 유저에게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환경에서 행해지는 정보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정보처리는,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디바이스(103)가 인쇄 잡을 수신할 때부터, 토너 잔량이 없어진 사실을 유저에게 표시할 때까지이다.
디바이스(103)는, USB I/F(306) 또는 LAN I/F(311)를 거쳐, PC(102)로부터 인쇄 잡을 수신한다. 콘트롤러(313)는, 인쇄가 완료되어 기기 내에서 인쇄 잡이 없어지고, 전회, 콘트롤러(313)가 프린터 엔진(314)로부터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취득한 이후에 카운트한 인쇄 용지의 매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프린터 엔진(314)을 슬립 모드로 한 후, 즉시 프린터 엔진(314)을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프린터 엔진(314)은,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통지하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까지의 처리의 상세를, 후술하는 도 5에서 설명한다.
그후에, 콘트롤러(313)는, 프린터 엔진(314)로부터 토너 잔량을 취득한다. 여기에서 프린터 엔진(314)로부터 통지되는 토너 잔량은 센서값이다. 콘트롤러(313)는,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0이면, 토너 잔량이 떨어졌다는 것을 유저에게 표시한다. 여기까지의 처리의 상세를 후술하는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디바이스(103)에 의해 인쇄 잡이 완료했을 때에 콘트롤러(313)가 행하는 정보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의 흐름도의 정보처리의 목적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경우에 프린터 엔진(314)의 상태를,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통지하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다.
스텝 S401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기기 내(화상 형성장치 내)에 인쇄 잡이 없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기기 내에서 인쇄 잡이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스텝 S401에 있어서 YES),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기기 내에서 인쇄 잡이 더 이상 없는 경우(스텝 S401에 있어서 NO), 스텝 S40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콘트롤러(313)는,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카트리지의 메모리 태그에 카트리지가 재충전 카트리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행하지만, 그 밖의 방법으로 판정해도 된다.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고 있을 경우(스텝 S402에 있어서 NO),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스텝 S402에 있어서 YES), 스텝 S4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가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는, 콘트롤러(313)가, 재충전 카트리지의 토너 엔드를 검지하면 ON으로 되고, 카트리지가 다른 것으로 교환되면 OFF로 클리어하는 정보다.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는 RAM(303)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 플래그는 디바이스(103)의 전원 재기동에 의해서도 OFF로 클리어된다.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가 ON일 경우(스텝 S405에 있어서 YES),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가 ON이 아닌 경우(스텝 S405에 있어서 NO), 스텝 S4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이 카운트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은, 전회, 프린터 엔진(314)로부터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취득한 이후에 카운트한 인쇄 매수다. 카운트 임계값은, 인쇄 매수 카운트 값에 대해 설정된 임계값이다. 카운트 임계값은 도 6의 스텝 S505의 처리에 결정되고, 카운트 임계값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7에서 설명한다.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이 카운트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지 않을 경우(스텝 S403에 있어서 NO),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이 카운트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을 경우(스텝 S403에 있어서 YES), 스텝 S4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프린터 엔진(314)을 슬립 모드로 한 후, 프린터 엔진(314)을 즉시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시켜, 그 후에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프린터 엔진(314)이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했을 경우, 일정 기간 동안 프린터 엔진(314)은 계산값을 확정할 수 없으므로(즉, 스텝 S802에서 NO가 되므로), 스텝 S804로 처리가 진행한다. 그리고, 프린터 엔진(314)은, 콘트롤러(313)로부터의 토너 잔량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센서값을 통지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렇게, 콘트롤러(313)에 의해 행해지는 스텝 S404의 처리에 의해, 프린터 엔진(314)은 일시적으로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통지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 엔진(314)을,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통지하는 상태로 설정하는 처리는, 프린터 엔진(314)을 슬립 모드로 한 후 프린터 엔진(314)을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것이지만,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다른 처리를 행해도 된다.
도 5의 흐름도의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은 인쇄 잡이 완료했을 때로 설정되고, 또한 스텝 S401의 조건이 설치된다. 이것은, 스텝 S404의 처리를 기기 내에 인쇄 잡이 없을 때 행함으로써, 인쇄의 퍼포먼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스텝 S402 및 스텝 S403의 조건은, 스텝 S404의 처리를 행하는 빈도를 최소로 하여, 프린터 엔진(314)의 내구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6은, 디바이스(103)의 이하의 타이밍에서 콘트롤러(313)가 행하는 정보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상기 타이밍은, 콘트롤러(313)로부터의 토너 잔량 요구에 응답하여, 프린터 엔진(314)이 센서값 및 계산값 중에서 센서값을 반환하는 타이밍이다. 예를 들면, 이 타이밍은,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카트리지 교환시에 액세스하는 커버가 폐쇄될 때, 및 프린터 엔진(314)이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할 때 중에서 어느 한개이다. 도 6의 흐름도의 정보처리의 목적은, 콘트롤러(313)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경우에 토너 잔량으로서 센서값을 취득하고, 재충전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검지하는 것이다. 토너 잔량이 없으면 토너 부족을 표시하는 경고가 유저에게 표시된다.
스텝 S501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재충전 카트리지가 기기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고 있을 경우(스텝 S501에 있어서 NO),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스텝 S501에 있어서 YES), 스텝 S50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502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가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가 ON일 경우(스텝 S502에 있어서 YES),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가 ON가 아닌 경우(스텝 S502에 있어서 NO), 스텝 S5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503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프린터 엔진(314)로부터 토너 잔량을 취득한다. 여기에서 프린터 엔진(314)에 의해 통지되는 토너 잔량은 센서값이다. 스텝 S504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0이 아닐 경우(스텝 S504에 있어서 NO), 스텝 S5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505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로부터 카운트 임계값을 결정한다. 카운트 임계값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506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을 초기화한다. 스텝 S507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인쇄 매수 카운트를 개시하고,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0일 경우(스텝 S504에 있어서 YES), 스텝 S508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508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유저에게 재충전 카트리지의 토너 엔드를 통지한다. 콘트롤러(313)는, 토너 엔드를 통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도 8에서 설명하는 UI 화면을 디바이스(103)의 조작/표시부(316)에 표시한다. 스텝 S509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RAM(303)에 기억되어 있는 재충전 카트리지 토너 엔드 판정 완료 플래그를 온으로 한다. 스텝 S506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을 초기화한다. 스텝 S507에 있어서, 콘트롤러(313)는 인쇄 매수 카운트를 개시하고,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은, 토너 잔량(센서값)과 카운트 임계값의 대응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대응 테이블은, 콘트롤러(313)의해 프린터 엔진(314)으로부터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에 근거하여 스텝 S505에서 카운트 임계값을 결정할 때 사용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센서값은 광학 센서에 의해 카트리지 내의 토너 잔량을 읽어내어 얻어진 값을, 100, 40, 20, 10 및 0의 어느 한 개로 절상(rounding up)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광학 센서에서 읽어낸 값이 41일 경우, 센서값은 41을 절상하여 얻어진 100이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신품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1000매의 인쇄에 해당하는 토너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콘트롤러(313)는, 스텝 S503에서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예를 들면 100일 경우, 대응 테이블(601)에 근거하여, 카트리지 용량의 30% 상당의 인쇄 매수, 즉 300매를 카운트 임계값으로 설정한다. 콘트롤러(313)는, 스텝 S503에서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예를 들면 10인 경우에는, 카트리지 용량의 3% 상당의 인쇄 매수, 즉 30매를 카운트 임계값으로 설정한다.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높을 때는, 토너 엔드 이전에 남아 있는 충분한 양이 아직 존재하기 때문에 카운트 임계값을 높게 설정한다. 반대로, 취득한 토너 잔량(센서값)이 낮을 때는, 이 양이 토너 엔드에 근접하므로 카운트 임계값을 낮게 설정한다. 이것은, 스텝 S404의 처리를 행하는 빈도를 최소화하여, 프린터 엔진(314)의 내구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도 8은, 인쇄의 도중에 토너 엔드로 인해 인쇄가 멈추고 있을 때 디바이스(103)의 조작/표시부(316)에 표시되는 UI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메인 메시지부(802)와 보조 메시지부(804)에는, 카트리지의 교환을 권장하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스테이터스 화면부(803)에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을 설명하는 일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인쇄 잡 정보부(805)에는, 인쇄가 멈추고 있는 인쇄 잡의 정보(도큐먼트 명, 유저명, 컴퓨터 명)가 표시되어 있다. 실행중인 인쇄 잡을 캔슬하고 싶은 유저는, 잡 캔슬 버튼(806)을 선택함으로써, 실행중인 인쇄 잡의 인쇄를 캔슬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를 교환한 후에서 실행중인 인쇄 잡의 인쇄를 재개하고 싶은 유저는, 잡 캔슬 버튼(806)을 선택하지 않고, 이 화면의 표시에 따라 카트리지를 교환함으로써 에러를 해제하고 실행중인 인쇄 잡의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카트리지를 교환하지 않고 실행중인 인쇄 잡의 인쇄를 재개하고 싶은 유저는, 에러 스킵 버튼(807)을 선택함으로써 에러를 스킵하고, 실행중인 인쇄 잡의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정보처리를 행함으로써, 프린터 엔진(314)이 토너 잔량에 대응하는 한개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재충전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도, 콘트롤러(313)는 토너 잔량을 적절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콘트롤러(313)는, 토너 잔량이 떨어진 타이밍에서 그것을 검지하고 이 결과의 경고를 유저에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콘트롤러(313)는, 이것들을 인쇄의 퍼포먼스나 프린터 엔진의 내구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현 가능해 진다.
본 실시형태의 한 개 이상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재충전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적절히 파악 가능하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련되는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전술한 각 실시형태의 한 개 이상의 측면의 처리에 의하면, 재충전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8)

  1. 화상 형성장치로서,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엔진과,
    상기 프린터 엔진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프린터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프린터 엔진은,
    슬립으로부터 복귀될 때마다 실행되는, 기록재의 소비량에 근거한 계산에 의해 예측이 완료되었을 때 예측에 의해 얻어진 예측값을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통지하고, 슬립으로부터의 복귀의 발생으로부터 상기 예측값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예측값 대신에, 센서를 사용해서 취득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통지하는 제1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는,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조건에서, 상기 예측값을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예측값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제2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이,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로우 데이터의 이전 취득으로부터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이 카운트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정한 조건에서, 상기 제 2 통지 수단은, 상기 프린터 엔진을 슬립으로 한 후 상기 프린터 엔진을 슬립으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 후에, 상기 프린터 엔진에 대한 요구를 실행하여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상기 로우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엔진은, 적어도 상기 센서를 사용해서 취득한 상기 로우 데이터와, 상기 기록재의 소비량에 근거하여 상기 예측값을 산출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실행해야 할 인쇄 잡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이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 조건에서도, 상기 제2 통지수단은 상기 제2 판정수단이 실행해야 할 인쇄 잡이 있다고 판정한 조건에서 상기 인쇄 잡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어를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6.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재를 사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엔진과,
    상기 프린터 엔진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프린터 콘트롤러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프린터 엔진에 의해, 슬립으로부터 복귀될 때마다 실행되는, 기록재의 소비량에 근거한 계산에 의해 예측이 완료되었을 때 예측에 의해 얻어진 예측값을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통지하고, 슬립으로부터의 복귀의 발생으로부터 상기 예측값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예측값 대신에, 센서를 사용해서 취득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의해,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에 의해, 상기 판정 단계에서,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조건에서, 상기 예측값을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예측값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 단계에서, 기록재로 재충전된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로우 데이터의 이전 취득으로부터 인쇄 매수 카운트 값이 카운트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정한 조건에서,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린터 엔진을 슬립으로 한 후 상기 프린터 엔진을 슬립으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 후에, 상기 프린터 엔진에 대한 요구를 실행하여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부터 상기 로우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트리지의 소모도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70095814A 2016-08-01 2017-07-28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19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1271A JP6789713B2 (ja) 2016-08-01 2016-08-01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JPJP-P-2016-151271 2016-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65A KR20180014665A (ko) 2018-02-09
KR102219417B1 true KR102219417B1 (ko) 2021-02-24

Family

ID=6095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14A KR102219417B1 (ko) 2016-08-01 2017-07-28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6768B2 (ko)
JP (1) JP6789713B2 (ko)
KR (1) KR102219417B1 (ko)
CN (1) CN107678703B (ko)
DE (1) DE10201700695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3767B2 (ja) * 2018-03-14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24555A (ko) * 2018-04-26 2019-11-0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의 리필 동작을 가이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CN108828919A (zh) * 2018-07-20 2018-11-16 宜春小马快印科技有限公司 碳粉余量监测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打印机
US10789029B2 (en) * 2018-10-17 2020-09-2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one or more incomplete jobs in a multi-function device
US10606186B1 (en) * 2018-12-21 2020-03-3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includes at least two toner cartridge housing sections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the same
EP3701938B8 (en) 2019-03-01 2024-02-21 Medivis S.R.L. Ophthalmic formulations based on atrop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4995A1 (en) 2007-08-03 2009-02-0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Device
US20090041480A1 (en) 2007-08-10 200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0072387A (ja) 2008-09-19 2010-04-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2227621A (ja) 2011-04-15 2012-11-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50062634A1 (en) 2013-08-30 2015-03-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5049329A (ja) 2013-08-30 2015-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4442B1 (en) * 1997-10-16 2002-04-02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resetting the printing apparatus
EP1080912A3 (en) * 1999-08-31 2001-09-05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management system, printer, and ink cartridge
JP2002287583A (ja) * 2001-03-23 2002-10-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717038B1 (ko) * 2005-10-1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 물성 측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 및잉크 상태의 감지 방법
JP5446943B2 (ja) * 2010-01-29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
CN102180022B (zh) * 2011-03-11 2013-08-14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成像盒、成像装置和成像控制方法
JP6391224B2 (ja) * 2013-08-30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9691B2 (ja) * 2014-07-30 2017-07-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収容体
US9372438B2 (en) * 2014-10-17 2016-06-21 Eci Software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evel of toner in a replacement toner cartrid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4995A1 (en) 2007-08-03 2009-02-0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Device
US20090041480A1 (en) 2007-08-10 200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0072387A (ja) 2008-09-19 2010-04-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2227621A (ja) 2011-04-15 2012-11-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50062634A1 (en) 2013-08-30 2015-03-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5049329A (ja) 2013-08-30 2015-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006955B4 (de) 2021-03-25
JP6789713B2 (ja) 2020-11-25
KR20180014665A (ko) 2018-02-09
US20180032017A1 (en) 2018-02-01
JP2018021960A (ja) 2018-02-08
US10386768B2 (en) 2019-08-20
DE102017006955A1 (de) 2018-02-01
CN107678703A (zh) 2018-02-09
CN107678703B (zh)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417B1 (ko)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30176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213372B1 (ko)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RU2573111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программа
US94112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set an initial value of an amount of recording material remaining in a containing unit, associate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979804B2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9037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1130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fixing a failure relating to image formation
JP2006239944A (ja) 親展印刷機能付きプリンタ、プリンタ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839353B1 (ko)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US95884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455103B2 (en) Power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US100574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US95576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determining a remaining amount of recording material
US93303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cursive memory configured for selectively storing print error logs
US2015037020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9011387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9031023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922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storage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an instruction to write data to a storage a number of times
JP678423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0688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wer control method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0031072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forms image of source document on recording sheet
JP6929101B2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90866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102631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