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921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921B1
KR102218921B1 KR1020200075596A KR20200075596A KR102218921B1 KR 102218921 B1 KR102218921 B1 KR 102218921B1 KR 1020200075596 A KR1020200075596 A KR 1020200075596A KR 20200075596 A KR20200075596 A KR 20200075596A KR 102218921 B1 KR102218921 B1 KR 10221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ane
driving mode
input unit
inpu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444A (ko
Inventor
황병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9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30Artificial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조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가이드 베인을 개별 구동시킬 수 있고, 공조 공간에 회전 기류 및 고정 기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및 난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실외기(O) 및 상기 실외기(O)와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I: I11 내지 I19) 및 상기 실외기(O)와 실내기들(I: I11 내지 I19)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RC)를 포함한다.
또한, 실내공간의 천정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천정형 공기조화장치(I: I11 내지 I19)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천정형 공기조화장치(I: I11 내지 I19)는 실내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넓은 범위의 실내공간에 대한 공조가 가능하다.
상기 천정형 공기조화장치(I: I11 내지 I19)는 복수 개의 토출구를 가지며, 각 토출구에는 가이드 베인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기류의 토출각도 및 토출거리가 달라진다.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의 경우, 개별 실내기의 공조능력을 고려하여 단일 공조공간에 복수의 실내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공조공간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작동온도로 실내기들을 작동시키거나, 특정 실내기의 가이드 베인들의 개방각도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쾌적한 공조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재실자의 위치와 공조공간의 온도분포 등 공조공간의 특성에 맞추어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공조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가이드 베인을 개별 구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 공간에 회전 기류 및 고정 기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베이스 패널;과 각 토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해당 토출구에 대한 개방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 및 가이드 베인이 소정의 개방 각도로 유지되는 제1 구동모드 및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가 변화하는 제2 구동모드로 각각 구동되도록,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이드 베인의 구동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부가 각각 마련된 원격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가이드 베인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부;와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부; 및 개방 각도 또는 각도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범위는 출발각과 리턴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선택되면, 표시부에는 상기 가이드 베인의 구동정보 및 공조공간의 상태정보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베이스 패널;과 각 토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해당 토출구에 대한 개방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과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가 변화하는 제1 구동모드 및 제1 각도 범위가 다른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가 변화하는 제2 구동모드로 각각 구동되도록,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각도 범위와 제2 각도 범위는 출발각 및 리턴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이드 베인의 구동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부가 각각 마련된 원격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가이드 베인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부;와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부; 및 각도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선택되면, 표시부에는 상기 가이드 베인의 구동정보 및 공조공간의 상태정보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공조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가이드 베인을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공조 공간에 회전 기류 및 고정 기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원격 제어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원격 제어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원격 제어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00)는 실내공간(S)의 천정(C)에 마련되는 천정형 공기조화장치일 수 있으며, 미설명 부호 W는 실내공간(S)의 측벽을 나타내고, B는 실내공간의 바닥면(B)을 나타낸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101)와 실내 열교환기(105)와 실외 열교환기(106)와 팽창밸브(102) 및 냉매배관(10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냉방 또는 난방 시 냉매의 유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예를 들어, 사방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송풍팬(140)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140)은 실내 열교환기(105) 측에 마련되는 제1 송풍팬(141)과 실외 열교환기(106) 측에 마련되는 제2 송풍팬(14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천정형 공기조화장치(100)라 함은 실내기만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실내기에는 실내 열교환기(105)와 제1 송풍팬(141) 및 팽창밸브(102)가 마련될 수 있고, 실외기에는 압축기(101)와 실외 열교환기(106) 및 제2 송풍팬(14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복수 개의 토출구(111 내지 114)가 각각 마련된 베이스 패널(110)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패널(110)은 실내 공간으로 노출되는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패널(110)에는 흡입 그릴(115)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각 토출구(111 내지 114)에 각각 마련되며, 해당 토출구에 대한 개방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복수 개의 토출구 및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통해 공조 공간(S)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기류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각 가이드 베인을 개별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구동부(131 내지 134)를 포함하며, 각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의 개수는 가이드 베인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정형 공기조화장치(100)는 제1 내기 제4 토출구를 갖는 베이스 패널(110)과 각 토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 및 각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구동부(131 내지 134)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천정(C)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110)에 장착되는 하우징(116)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내 열교환기(105)와 제1 송풍팬(141)은 상기 베이스 패널(110)과 상기 하우징(116)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압축기(101)와 송풍팬(140: 141, 142)과 밸브(102)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에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81)가 마련되고, 설정정보 및 스케줄 정보 등이 저장된 메모리부(18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공조 공간의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일 실시태양으로, 인체 감지 센서(185), 조도 센서(186) 및 온도 센서(1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은 공조 공간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기류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각 영역의 인체 감지 정보와 조도 정보 및 온도 정보는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을 각각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가이드 베인이 소정 개방각도로 유지되거나, 특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회전풍 모드)되는 경우, 재실자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각도범위 내에 재실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재실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베인의 개방각도 또는 각도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 공간의 특정 영역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와 차이가 큰 경우, 해당 영역으로 기류가 발생하도록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가이드 베인의 개방각도 또는 각도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복수 개의 토출구(111 내지 114)가 각각 마련된 베이스 패널(110)과 각 토출구(111 내지 114)에 각각 마련되며, 해당 토출구(111 내지 114)에 대한 개방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가이드 베인이 소정의 개방 각도로 유지되는 제1 구동모드 및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가 변화하는 제2 구동모드로 각각 구동되도록,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한편, 제1 구동모드는 가이드 베인이 소정의 개방 각도로 유지되는 고정풍 모드로 지칭할 수도 있고, 제2 구동모드는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 베인이 왕복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가 변화하는 회전풍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은 공조 공간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기류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각 영역의 공조 특성은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킴으로써, 공조 공간의 서로 다른 2개의 영역에 대하여 상이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어느 한 가이드 베인을 고정풍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고, 다른 가이드 베인을 회전풍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집중 공조가 요구되는 영역으로 기류를 제공하는 가이드 베인을 고정풍 모드로 구동시키고, 간헐적 공조가 요구되는 영역으로 기류를 제공하는 가이드 베인을 회전풍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재실자가 밀집된 영역으로 기류를 제공하는 가이드 베인을 고정풍 모드로 구동시키고, 재실자가 넓게 분포된 영역으로 기류를 제공하는 가이드 베인을 회전풍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2 가이드 베인(122)을 소정의 개방 각도로 유지시키는 고정풍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4 가이드 베인(124)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개방 각도가 변화하도록 회전풍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설치 공간에 따른 제약사항이나 기류 도달 목적지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공조 공간의 특성이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을 개별 구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쾌적한 공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어느 한 가이드 베인이 고정풍 모드로 구동되고, 다른 가이드 베인이 회전풍 모드로 구동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복수 개의 토출구(111 내지 114)가 각각 마련된 베이스 패널(110)과 각 토출구(111 내지 114)에 각각 마련되며, 해당 토출구(111 내지 114)에 대한 개방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가 변화하는 제1 구동모드 및 제1 각도 범위가 다른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가이드 베인의 개방 각도가 변화하는 제2 구동모드로 각각 구동되도록,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즉, 2개의 가이드 베인이 모두 자동풍 모드로 개별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동풍 모드에서 각 가이드 베인의 각도 범위가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100)는 경우에 따라 공조공간의 측벽(W)에 가깝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모든 가이드 베인이 동일한 각도범위 내에서 자동풍 모드로 구동되면, 공조공간의 측벽(W)에 가까운 가이드 베인의 경우,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공조공간의 측벽(W)으로만 기류를 제공하게 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가이드 베인이 모두 자동풍 모드로 개별 구동되는 경우, 각 가이드 베인의 각도 범위가 서로 다르게 결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각도범위는 2가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첫째, 상기 각도범위는 시작각과 리턴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제2 가이드 베인(122)의 경우 1번 각(1) 내지 7번 각(7) 중 2개의 각도가 각각 출발각과 리턴각으로 결정됨으로써, 각도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각도범위는 전체 회전영역(A4)에 대하여 복수의 회전구역(A1 내지 A3)이 각각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선택된 회전구역(A1 내지 A3)이 각도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문서에서 각도범위가 다르게 결정된다는 의미는 2개의 가이드 베인의 회전구역이 상이한 경우뿐만 아니라, 2개의 가이드 베인의 출발각과 리턴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제2 가이드 베인(122)은 30˚ 내지 60˚의 범위에서 자동풍 모드로 구동될 수 있고, 제4 가이드 베인(124)은 60˚ 내지 90˚의 범위에서 자동풍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2 가이드 베인(122)은 30˚ 내지 45˚의 범위에서 자동풍 모드로 구동될 수 있고, 제4 가이드 베인(124)은 30˚ 내지 60˚의 범위에서 자동풍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미리 설정된 값 또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따라 제어부(180)가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가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개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원격 제어기(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상기 제어부(18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의 구동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0) 및 가이드 베인(121 내지 124)의 구동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부(220)가 각각 마련된 원격 제어기(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는, 어느 한 가이드 베인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부(221)과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부(222) 및 개방 각도 또는 각도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부(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부는 동일한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범위는 출발각과 리턴각을 포함할 수도 있고, 회전구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출발각과 리턴각을 각각 선택할 수도 있고, 특정 회전구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선택되면, 표시부(220)에는 상기 가이드 베인의 구동정보 및 공조공간의 상태정보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바람각 조절" 버튼을 통해 어느 한 가이드 베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 버튼을 통해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고정풍 모드, 회전풍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 버튼의 상, 하 방향키를 통해 개방각도 또는 각도범위를 입력할 수 있으며, "설정해제" 버튼을 통해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시부(220)에는 감지된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조공간의 상태정보에 따라 효과적으로 가이드 베인의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입력부(220)과 표시부(210)가 별도로 마련된 원격 제어기(200)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원격 제어기(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상기 원격 제어기(300)는 입력부와 표시부가 단일의 디스플레이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기(300)에는 가이드 베인의 식별 정보(301 내지 304)와 각 가이드 베인의 구동 상태(311 내지 313) 및 가이드 베인의 구동 모드(321 내지 323)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기(300)에는 가이드 베인의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개방 각도 또는 각도 범위(331 내지 333)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어느 한 가이드 베인의 식별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가이드 베인의 구동 상태와 구동 모드 및 구동 모드에 따른 개방 각도 또는 각도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번 가이드 베인(304)을 선택하면, 상기 원격 제어기(300)에는 상기 가이드 베인(304)의 구동모드(351, 352) 및 구동모드(351, 352)에 따른 개방각도(361) 또는 각도 범위(362)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가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는 문자, 숫자, 및/또는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기(40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공조공간의 상태 정보(371) 및 공기조화장치의 구동정보(372)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시부(220)에는 감지된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조공간의 상태정보에 따라 효과적으로 가이드 베인의 구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원격 제어기(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원격 제어기(400)는 표시부(410)와 입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410)와 입력부(420)는 별도의 바디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 제어기(400)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또는 폴더(folder) 타입으로 연결된 2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원격 제어기(400)는 바(bar) 타입의 단일 바디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410)와 입력부(420)는 단일의 디스플레이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410)에는 희망온도(411)와 바람세기(412) 및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413)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420)는 어느 한 가이드 베인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부(423)과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부(422) 및 개방 각도 또는 각도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부(4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부(예를 들어, 제2 및 제3 입력부)는 동일한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범위는 출발각과 리턴각을 포함할 수도 있고, 회전구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출발각과 리턴각을 각각 선택할 수도 있고, 특정 회전구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능설정" 버튼(421)을 통해 바람각 설정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실내 온도"의 좌/우 방향키를 통해 어느 한 가이드 베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실내온도"의 상/하 방향키를 통해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고정풍 모드, 회전풍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내온도" 버튼의 상/하 방향키를 통해 개방각도 또는 각도범위를 입력할 수 있으며, "설정해제" 버튼(424)을 통해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공조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가이드 베인을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공조 공간에 회전 기류 및 고정 기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베이스 패널
111 내지 114: 제1 내지 제4 토출구
115: 흡입 그릴
131 내지 134: 제1 내지 제4 구동부
121 내지 124: 제1 내지 제4 가이드 베인
180: 제어부
200, 300, 400: 원격 제어기

Claims (12)

  1. 복수 개의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베이스 패널;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에 각각 마련되며, 해당 토출구에 대한 개방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를 제1 방법으로 설정하는 제1 구동모드 및 상기 제1 방법과 다른 제2 방법으로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를 설정하는 제2 구동모드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이드 베인의 구동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부가 마련된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베인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입력부;
    선택된 가이드 베인의 구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부; 및
    구동 모드가 선택된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를 설정하는 제3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부에서 상기 제1 구동모드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구역 중 상기 제3 입력부에서 선택된 회전구역으로 가이드 베인을 구동시키며,
    상기 제2 입력부에서 상기 제2 구동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3 입력부에서 입력된 출발각 및 리턴각에 의해 형성된 회전 범위로 가이드 베인을 구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이 구동되는 회전 범위는 독립적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모드 또는 상기 제2 구동모드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 각각의 회전 범위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은,
    제1 가이드 베인, 제2 가이드 베인, 제3 가이드 베인 및 제4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 상기 제2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 상기 제3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 및 상기 제4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모드가 입력된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와 상기 제1 구동모드가 입력된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는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에서 상기 제1 구동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3 입력부는 기 설정된 복수의 회전구역 중 하나의 회전구역을 입력 받고,
    상기 제2 입력부에서 상기 제2 구동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3 입력부는 출발각 및 리턴각을 각각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는 상기 가이드 베인의 구동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표시부와 입력부는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선택된 상기 가이드 베인의 구동정보 및 공조공간의 상태정보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공조 공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을 각각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법으로 설정된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는 제1 각도 범위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방법으로 설정된 가이드 베인의 회전 범위는 제2 각도 범위를 형성하며,
    상기 제1 각도 범위와 상기 제2 각도 범위는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모드가 입력된 가이드 베인과 상기 제2 구동모드가 입력된 베인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200075596A 2020-06-22 2020-06-22 공기조화장치 KR10221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96A KR102218921B1 (ko) 2020-06-22 2020-06-22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96A KR102218921B1 (ko) 2020-06-22 2020-06-22 공기조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696A Division KR20140132854A (ko) 2013-05-08 2013-05-08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44A KR20200078444A (ko) 2020-07-01
KR102218921B1 true KR102218921B1 (ko) 2021-02-23

Family

ID=7160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596A KR102218921B1 (ko) 2020-06-22 2020-06-22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593A (ja) *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605A (ja) * 1998-02-13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01476437B1 (ko) * 2007-12-21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 공조장치의 베인제어장치, 및 공조장치의베인제어방법
KR20120099323A (ko) * 2011-02-08 2012-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593A (ja) *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44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2854A (ko) 공기조화장치
US11175052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72907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50943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AU2016330447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696307B2 (ja) 空気調和機
JP2007147120A (ja) 空気調和機
JP2001174028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方法
KR102180544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5372671B2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吹出気流制御方法
JP5123680B2 (ja) 空気調和機のエリア空調方法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476437B1 (ko) 공조장치, 공조장치의 베인제어장치, 및 공조장치의베인제어방법
JP2018059675A (ja) 空気調和機
US10941954B2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218921B1 (ko) 공기조화장치
JP4480667B2 (ja) 空気調和機
EP3208550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H1183121A (ja) 空気調和機
WO2017077732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90132994A (ko) 환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2164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868829B2 (ja) 空気調和機
JPH05296548A (ja) 空気調和装置
JP659288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785655B1 (ko) 공기조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