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544B1 -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544B1
KR102180544B1 KR1020180044529A KR20180044529A KR102180544B1 KR 102180544 B1 KR102180544 B1 KR 102180544B1 KR 1020180044529 A KR1020180044529 A KR 1020180044529A KR 20180044529 A KR20180044529 A KR 20180044529A KR 102180544 B1 KR102180544 B1 KR 10218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circulator
discharge
air cir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046A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5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균일하게 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와 통신 연결 가능한 공기 순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 토출방향이 입력되면, 상기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는 상기 공기 순환기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기는 전달받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기반하여 토출방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는 연동하여 운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NE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균일하게 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만을 구성요소로 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경우, 공기 조화기의 공기 토출량 및 공기 토출 방향의 조정 한계로 인하여, 실내공간 내에 공기 조화가 잘 이루어 지지 않는 음영구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음영구역 발생으로 인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가 불균일하게 조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내공간 내에 별도의 서큘레이터를 추가 배치하여, 음영구역를 줄이는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03243(등록일: 2017년11월23일)에는, 서큘레이터가 개시된다.
상기 서큘레이터(이하, 공기 순환기)는 기류를 발생시켜, 실내 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된 공기를 실내 공간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실내공간의 공기를 균일하게 조화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상기 공기 조화 작동 중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공기 순환기를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상기 공기 순환기의 제어를 위한 원격 리모컨 또는 상기 공기 순환기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의 풍향 및 풍속을 직접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기가 상기 공기 조화기와 함께 동작하고 있음에도, 공기 순환기의 공기 토출방향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의 배치에 따라 여전히 음영구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가 연동하여 운전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조화기에 대한 공기 순환기의 배치에 따라 음영구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순환기의 공기 토출방향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와 통신 연결 가능한 공기 순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 토출방향이 입력되면, 상기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는 상기 공기 순환기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기는 전달받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기반하여 토출방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는 연동하여 운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에 무선 통신 연결 가능한 공유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유기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상기 공유기에 무선 통신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 토출방향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실내공간 내의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따른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설정된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가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을 향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위치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입력된 토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동 제어로 인하여, 실내공간의 공기 순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의 온도가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가 상기 실내공간의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 위치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정면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정면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반대로,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공기 순환기는 회전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동 제어로 인하여, 실내공간의 공기 순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의 온도가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및 Y축을 구분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은 4개의 사분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좌측 상단을 제 1 사분면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우측 상단을 제 2 사분면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우측 하단을 제 3 사분면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좌측 하단을 제 4 사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4개의 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한 상기 공기 순환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4개의 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공기 조화기 및 다른 하나에 위치된 공기 순환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한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 표시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의 위치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공기 순환기와 일대일 통신 연결 가능하다.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인식할 수 있는 촬영부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가 서로 통신 연결될 때,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이 복수일 경우, 촬영부의 인식기능을 통해 공기 순환기가 공기 조화기가 동일한 공간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 순환기의 연동모드가 보다 정확하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공기 조화기에 토출방향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공기 조화기는 입력된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를 공기 순환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 순환기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입력받은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에 실내공간에서의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의 위치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는, 입력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는 통신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공기 순환기는 촬영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명령 또는 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는 연동하여 운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따른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설정된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실내공간의 공기 순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기설정된 방향으로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공기 순환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실내공간의 온도가 보다 효과적으로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순환기의 II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회전동작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드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드에 대응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드에 대응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드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3 모드에 대응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3 모드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제어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은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가전제품들(10, 30)과, 상기 가전제품들(10, 30)과 통신 연결되어 일네트워크(실내 네트워크)를 공유기(50)와, 상기 공유기(50)와 통신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10, 30)은 배치된 공간을 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열 교환시킨 뒤, 실내공간으로 다시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실내공간을 설정된 온도로 조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10, 30)은 배치된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순환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기(30)는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회전토출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순환기(30)는 상기 회전토출수단에 의해 좌우 360°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순환기(30)는 토출기류를 생성하는 기류생성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류생성수단은 공기를 모아서 멀리 전달해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류생성수단은 직진성 터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기(30)의 회전토출수단 및 기류생성수단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가 상기 공유기(50)에 통신 연결됨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로 구성되는 실내네트워크(실내 통신망)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실내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른 네트워크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가 상기 공유기(50)에 통신 연결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는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공기 순환기(30)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설정온도, 설정습도, 공기 토출방향, 및 토출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 및 토출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기기(70)는, 인터넷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 연결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모바일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가 서로 연동하여 운전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70)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 각각에는, 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구동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공기 토출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공기순화기(30)의 배치에 따라 서로 다른 구동모드도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순환기(30)는 서로 맞닿는 공기 면적이 증가하도록 공기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게 되어, 상기 실내공간 내에 조화된 공기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기설정된 온도에 보다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공기 순환이 이뤄지지 않는 음영구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이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음영구역이 줄어들게 되어, 공기 순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 외관구성>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II-II`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는,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12)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베이스(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면패널(13)과, 상기 전면패널(13)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후면패널(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전면패널(13) 및 상기 후면패널(19)의 양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패널(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3)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117)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양 측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1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후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케이스(1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장치(151, 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장치(150, 150`)는 상기 케이스(11)의 전방 상부, 즉, 상기 전면패널(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장치(150, 150`)는 상기 케이스(13)에 고정된 축을 기준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장치(150, 15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 다르게 표현하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토출장치(151, 151`)는 제 1 토출장치(151) 및 상기 제 1 토출장치(151)와 이격 설치되는 제 2 토출장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토출장치(151, 151`)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 좌우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장치(151) 및 상기 제 2 토출장치(151`) 사이에는 구획패널(1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장치(151) 및 상기 제 2 토출장치(151`)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장치(151) 및 상기 제 2 토출장치(151`)는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토출장치(151) 및 상기 제 2 토출장치(151`)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다른 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토출장치(151) 및 상기 제 2 토출장치(151`)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토출장치(15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 2 토출장치(15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구획패널(16)은,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명령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입출력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입출력부(181)는 입력기능 및 출력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센서 및 출력모듈이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조작명령에 대응되는 결과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구비되는 입출력 수단이 하나의 모듈인 것으로 설명되나, 다른 실시예로,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이 별도의 모듈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후면패널(19)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9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9a)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후방부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9a)에는 흡입그릴(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흡입부(19a)의 내측, 즉 상기 흡입부(19a)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3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20)는, 복수의 필터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8)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8)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8)의 전방에는, 상기 제 1 토출장치(110)와 제 2 토출장치(150)를 구획하는 구획부(16a)가 설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20)는 상기 흡입부(19a) 및 열교환기(18)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18)는 상기 필터어셈블리(20) 및 구획장치(16a)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 토출장치의 구성>
상기 제 1 토출장치(150)는, 제 1 토출유로(155)를 형성하는 제 1 토출본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장치(150)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52)의 전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토출부(153)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장치(150)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52)에 구비되는 제 1 송풍팬(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팬(130)은, 일례로 횡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팬(130)이 구동하면, 공기는 상기 제 1 송풍팬(130)의 일원주방향으로 흡입되어 타원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153)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52)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상하(수직) 방향(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153)에는, 제 1 토출베인(154)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토출본체(152)는 내부가 비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의 후방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157a)을 향하여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 형상의 전방에는, 상기 제 1 토출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유로(155)는 상기 제 1 토출본체(15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열교환기(18)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제 1 토출장치(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15)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57a)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팬모터(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57)는, 상기 제 1 송풍팬(157a)의 제1중심(R1)에 구비된 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15)는 상기 제 1 송풍팬(157a)가 상기 제 1 토출본체(152)의 제2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토록 하는 제 1 방향전환모터(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토출장치(151`)는, 제 2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 2 토출본체(152`)와, 상기 제 2 토출본체(152`)의 전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토출부(15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153`)에는 제 2 토출베인(1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본체(152`)의 내부에는, 제 2 송풍팬(157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팬(170)은 도시되지 않은 제 2 팬모터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는 토출장치 구성들의 동작>
상기 제 1 토출본체(15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송풍팬(157a)은 설정된 회전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송풍팬(157a)의 제 2 회전중심(R1)과 상기 제 1 토출본체(152)의 제 1 회전중심(C1)은 이격, 즉 편심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본체(152)가 상기 제 1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송풍팬(157a)은 상기 제 2 회전중심(R1)과 제 1 회전중심(C1)의 거리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팬모터(157)는 상기 제 1 송풍팬(157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송풍팬(157a)은, 상기 제 1 팬모터(157)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중심(R1)을 기준으로 자전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장치(151)에서, 상기 제 1 송풍팬(157a)은 상기 방향전환모터(158)에의해 상기 제 1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의해 공전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송풍팬(157a)은 상기 팬모터(157)의 구동에 의하여 자체 회전하여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부(153)가 개방하도록 상기 제 1 토출본체(152)가 회전한 상태(또는, 제 1 토출부(153)가 정면을 바라보도록 상기 제 1 토출본체(152)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송풍팬(130)만이 작동하여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토출본체(15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송풍팬(157a`)은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송풍팬(157a`)의 제 2 회전중심(R2) 및 상기 제 2 토출본체(152`)의 제 1 회전중심(C2)은 서로 이격 또는, 편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토출본체(152`)가 상기 제 1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2 송풍팬(170)은 상기 제 2 회전중심(R2) 및 제 1 회전중심(C2) 사이의 거리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공기 순환기의 외관 구성>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33, 35) 및 상기 송풍장치(33, 35)에서 발생된 공기 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전환장치(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33, 35)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33)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35)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35)가 생략되고, 상기 제 2 송풍장치(35)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36)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송풍장치(33) 및 상기 제 2 송풍장치(35)는 상하(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3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33)의 상측(중력방향과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31, 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31, 35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33)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331)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33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331)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332)는 상기 제 1 케이스(33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332)는 상기 제 1 케이스(331)의 외주면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33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33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하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이름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33)는 상기 제 1 케이스(331)의 하측에 제공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33)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333)에는 토출그릴(3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333) 및 상기 토출그릴(334)은 상기 제 1 송풍장치(33)의 상부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33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31, 35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35)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352)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33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331, 35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상기 케이스(331, 351)의 하단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351)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3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352)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352)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제 2 흡입부(352)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35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상측에는 제 2 토출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유로 관점에서, 상기 제 2 토출부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6)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송풍장치(3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6)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 2 토출부(372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장치(36)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에 대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구동 정지상태일 때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6)는 누워있는 제 1 위치(도 1 참조)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구동 상태일 때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워진 제 2 위치(도 3 참조)를 유지할 수 있다.
<공기순환기의 유동전환장치 구성: 토출가이드 장치>
상기 유동전환장치(36)는 상기 제 2 송풍장치(35)에 결합되는 토출가이드 장치(360)와, 상기 토출 가이드장치(360)에 대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는 팬어셈블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 장치(36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송풍장치(3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 장치(36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361)와, 상기 팬어셈블리(360)가 수용되는 장치수용부(362)와, 상기 팬어셈블리(37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들이 수용되는 모터수용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36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35)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36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35)의 상단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36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3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36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35)의 제 2 케이스(351) 상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2 송풍장치(35)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62)는 상기 바디(361)의 하부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62) 내부에는 상기 팬어셈블리(37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방향전환모터(364) 및 기어모터(3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모터(364) 및 상기 기어모터(366)는 방향 제어가 비교적 자유로운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모터(364)는 상기 팬어셈블리(370)가 상기 바디(361)에 대하여 좌우(수평)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향전환모터(361)의 회전축은 상기 팬어셈블리(370)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모터(361)는 상기 바디(361) 및 상기 제 2 송풍장치(35)의 제 2 케이스(351)에 고정설치 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모터(361)의 회전축은 상기 팬어셈블리(370)를 축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모터(361)의 회전축이 회전할 경우, 상기 팬어셈블리(370)는 상기 바디(361)에 대하여 좌우(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모터(366)는 상기 팬어셈블리(370)를 상기 바디(361)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모터어셈블리(370)의 저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어셈블리(370)의 저면은 상기 기어모터(36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기어모터(366)가 구동되면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가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가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토출가이드 장치(36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35)의 공기유로와 연통되는 토출부(36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362a)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370)에 의해 기류를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362a)에는 토출그릴(362b)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이 상기 제 2 송풍장치(35)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공기순환기의 유동전환장치 구성: 팬어셈블리>
상기 팬어셈블리(370)는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위한 팬(373a)과 상기 팬(373a)에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373)가 수용되는 팬하우징(3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71)은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라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71)은, 일례로,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71)는 토출그릴(372a)이 구비된 탑커버(37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372)가 상기 팬하우징(371)의 개구부에 장착되면 상기 팬하우징(371)은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372a)에는 상기 폐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373a)은 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373a)은 축방향으로 유입되어 공기를 축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373a)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토출공을 통과하는 직진성 터보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372)에는, 상기 공기순환기의 운전명령을 입력받고, 운전상태가 표시되는 제 2 입출력부(도 4의 381)를 포함할 수 있다. 성가 제 2 입출력부(381)는 입력기능 및 출력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센서 및 출력모듈이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조작명령에 대응되는 결과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순환기(30)에 구비되는 입출력 수단이 하나의 모듈인 것으로 설명되나, 다른 실시예로,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이 별도의 모듈로써 상기 공기순환기(3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는 상하(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기어모터(366)에 접촉되는 회전가이드부재(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74)는 상기 상하방향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팬하우징(371)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테두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테두리부는 다수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모터(366)는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테두리부와 교접할 수 있는 다수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모터(366)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 및 상기 테두리부의 이는 서로 교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는 상기 기어모터(366)에 의해 상하(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 상기 팬하우징(371) 및 상기 방향전환모터(364)의 회전축(365)에 결합되는 회전결합부(3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375) 및 상기 회전축(365)의 결합으로, 상기 팬하우징(371)은 상기 회전축과 교차되는 방향, 일례로 좌우(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동작>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회전동작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는 상기 팬모터(373)에 의해 직진성 터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는 상기 방향전환모터(364)에 의해 좌우(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70)는 상기 기어모터(36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기(30)의 팬모터 어셈블리(370)는 상기 방향전환모터(364) 및 상기 기어모터(366)에 의해 상하(수직) 방향 및 좌우(수평)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이 자유롭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공기 순환기(30)를 원하는 방향으로 직진성 터보 기류를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구성: 공기 조화기(10)>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제어 구성의 하나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입출력부(181)에 입력된 조작명령은 제 1 마이컴(189)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조작명령에 대응되는 결과정보를 상기 제 1 입출력부(181)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181)에는 상기 입력된 조작명령에 대응되는 결과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제어 구성의 하나로써, 상기 토출장치(151, 151`)를 구동시키는 상기 제 1 구동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15)는 상기 제 1 방향전환모터(158) 및 상기 제 1 팬모터(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에 토출방향에 대한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89)은 입력된 조작 명령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구동부(15)의 제 1 방향전환모터(158)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에 토출세기에 대한 조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89)은 입력된 조작 명령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구동부(15)의 팬모터(157)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공유기(50)에 통신 연결되는 제 1 통신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84)는 상기 공유기(50)에 무선 또는 유선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통신부(184)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기(5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84)가 상기 공유기(5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실내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운전 정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정보는, 토출방향 포함하는 조작명령에 대한 상기 제 1 방향전환모터(158)의 회전 수준, 토출세기를 포함하는 조작명령에 대한 상기 제 1 팬모터(157)의 회전 속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81), 상기 제 1 구동부(15), 상기 제 1 통신부(184), 및 상기 제 1 메모리(183) 등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 1 마이컴(189)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구성: 공기 순환기(30)>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어 구성의 하나로써, 상기 제 2 입출력부(3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입출력부(381)에 입력된 조작명령은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조작명령에 대응되는 결과정보를 상기 제 2 입출력부(381)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입출력부(381)에는 상기 입력된 조작명령에 대응되는 결과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어 구성의 하나로써, 상기 유동전환장치(36)를 구동시키는 상기 제 2 구동부(3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385)는, 상기 공기의 토출세기를 조절하는 상기 제 2 팬모터(3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385)는 상기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유동전환장치(36)의 회전을 조절하는 상기 제 2 방향전환모터(364) 및 상기 제 2 기어모터(3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전환모터(364)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6)의 좌우(수평) 방향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6)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6)의 상하(수직) 방향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토출세기에 대한 조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입력된 조작 명령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팬모터(373)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토출방향에 대한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입력된 조작 명령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구동부(385)의 제 2 방향전환모터(364) 및 제 2 기어모터(36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유기(50)에 통신 연결되는 제 2 통신부(3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84)는 상기 공유기(50)에 무선 또는 유선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통신부(384)는 상기 공유기(50)에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84)가 상기 공유기(5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실내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운전 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3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정보는, 토출방향 포함하는 조작명령에 대한 상기 제 2 방향전환모터(364) 및 제 2 기어모터(366)의 회전 수준, 토출세기를 포함하는 조작명령에 대한 상기 제 2 팬모터(373)의 회전 속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381), 상기 제 2 구동부(385), 상기 제 2 통신부(384), 및 상기 제 2 메모리(383) 등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 2 마이컴(389)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구성: 공유기(50)>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를 포함하는 실내 네트워크 및 상기 공유기(50)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를 서로 통신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네트워크는 일례로,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정보는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정보는 상기 공유기(50)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각각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입력되는 정보는 조작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구성: 모바일 기기(70)>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드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공유기(5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기기(70)에 입력된 조작명령은 상기 공유기(50)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외관을 형성하는 모바일기기 바디(71)와,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명령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 바디(71)에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부(75)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화면으로 복귀시키는 홈버튼(7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 바디(71)는 일례로, 대략 사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부(75)는 입력기능 및 출력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부(75)는 제 1 화면(750)과, 상기 제 1 화면(75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 3 화면(780)과, 상기 제 1 화면(750) 및 상기 제 3 화면(78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화면(7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화면(750), 상기 제 2 화면(760), 및 상기 제 3 화면(780)은 상하 방향(도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화면(750), 상기 제 2 화면(760), 및 상기 제 3 화면(780)은 좌우방향(도면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화면(750), 상기 제 2 화면(760), 및 상기 제 3 화면(780)은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화면(750)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상태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화면(750)에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 통신 네트워크 연결 여부,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그림 단추(또는, 아이콘(icon))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760)에는, 상기 구동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드는 수동 조작모드(이하, 수동모드) 및 연동 조작모드(연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모드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작동모드일 수 있다. 상기 수동모드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7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공기 토출방향, 토출세기, 설정온도, 및 설정 습도 등이 직접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모드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70)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 및 토출세기가 직접 조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모드에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70)에 입력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사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연동모드를 위한 모바일 기기(70)의 인터페이스 구성>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화면(760)은 X축 및 Y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화면(760)은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화면(760)의 좌측 상단이 제 1 사분면(A1)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화면(760)의 우측 상단이 제 2 사분면(A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760)의 우측 하단이 제 3 사분면(A3)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화면(760)의 좌측 하단이 제 4 사분면(A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760)의 4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표시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화면(760)의 4개의 영역에 표시된 공기 조화기(10) 및 공기 순환기(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모드 각각의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모드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때 구동되는 제 1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서로 나란할 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제 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제 4 사분면(A4)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2 사분면(A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모드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일측면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때 구동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상기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도(dgree)를 형성할 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제 4 사분면(A4)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제 1 사분면(A1)에 위치할 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모드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상기 일측면과 구분되는 타측면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때, 구동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 및 상기 공기 순환기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서로 교차되어 상기 타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도(degree)를 형성할 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0 가 제 4 사분면(A4)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제 3 사분면(A3)에 위치할 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 상기 제 2 모드, 및 상기 3 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 내지 제 3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방향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제 2 화면에는, 화면전환버튼(761, 762)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버튼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모드 중 현재 표시된 구동모드를 다른 구동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은 상기 제 2 화면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은 대략 삼각형 화살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을 이용하여, 이 현재 모바일 기기(70)에 표시된 화면을 다음 화면(다음 모드가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가 표시된 제 2 화면(760)에서 상기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이 선택되면, 상기 제 2 화면(760)에는 제 2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모드가 표시된 제 2 화면(760)에서 상기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이 선택되면, 상기 제 2 화면(760)에는 제 3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드가 표시된 제 2 화면(760) 또는 상기 제 3 모드가 표시된 제 2 화면(760)에는, 상기 제 2 모드 또는 제 3 화면이 표시된 화면을 이전 모드(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가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2 화면전환버튼(762)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전환버튼(762)은 상기 제 2 화면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전환버튼(762)은 대략 삼각형 화살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화면(780)에는, 상기 제 2 화면(760)에 표시된 구동 모드에 대한 안내 문구가 표시되는 안내문구 표시부(78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안내문구 표시부(781)에는, 제 1 내지 제 3 모드에 대한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문구 표시부(781)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내지 3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3 화면(780)에는, 상기 제 2 화면(760)에 표시된 제 1 내지 제 3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도록 하는 설정버튼(782)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설정버튼(782)이 선택되면, 상기 제 2 화면(760)에 표시된 구동모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공유기(50)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50)에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바일 기기(50)에 입력된 구동모드에 대한 정보(이하, 구동모드 정보)는 상기 공유기(50)를 경유하여, 각 가전제품(10, 30)의 통신부(184, 384)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통신부(184, 384)에 입력된 구동모드 정보는 각 가전제품(10, 30)의 마이컴(189, 389)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 및 제 2 마이컴(389)는, 입력된 구동모드 정보에 대응되는 토출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 1 구동부(15) 및 제 2 구동부(38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마이컴(189) 및 제 2 마이컴(389)은 각각 제 1 메모리(183) 및 제 2 메모리(383)를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설치위치에 기반하여 토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공간 내에 공기 순환 효율이 향상되어, 설정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연동 알고리즘>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연동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50)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들(10, 3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S100). 상기 디스플레이부(75)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공기 순환기(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동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구동모드에 대응되는 각 가전제품(10, 30)이 공기 토출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50)에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5)에 운전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설정된 구동모드 정보 및 입력된 운전시작명령 정보가 상기 공유기(5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순환기(30)는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S200).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구동모드에 기반하여 공기 토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은, 각 토출되는 공기가 부딪히는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S300). 또는, 공기 순환 효율이 낮은 음영구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공기 토출방향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공기 토출방향이 교차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이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순환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위치에 따라 공기 토출방향이 구분되는 복수의 구동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모드에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드에 대응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7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위치가 표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공간에 배치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위치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제 2 화면(760)에 표시된 제 1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제 1 모드 동작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운전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1).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공기 토출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S3).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제 1 모드에서의 토출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이 제 1 방향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S5). 상세히,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입력받은 토출방향이 제 1 방향(w1,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일 경우,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방향(w1)으로 조화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현재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제 1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84),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2 마이컴(389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이 제 1 방향(w1)일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1 방향(w1)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7). 상세히,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에 통신연결된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1 방향 토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1 방향 토출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은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 즉 제 1 방향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로부터 공기가 제 1 사분면(A1)으로 토출될 때,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3 사분면(A3)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공기가 실내 공간의 온도가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별도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계속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8, S3). 상기 모바일 기기(90)에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7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2 방향 토출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70)에서 입력된 제 2 방향(w2,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방) 토출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S9).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방향(w2)으로 조화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현재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제 2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유기(50)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이 제 2 방향(w2)일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2 방향(w2`)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7). 상세히,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유기(50)에 연결된 제 2 통신부(384)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2 방향 토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2 방향 토출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은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전방, 즉 제 2 방향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로부터 공기가 제 2 사분면(A2)으로 토출될 때,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4 사분면(A4)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각각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맞부딪히게 되면, 조환된 공기가 실내 공간에 균일하게 퍼질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3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7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3 방향(w3) 토출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1 통신부(184)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70)에서 입력된 제 3 방향(w3,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우측) 토출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S13).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이 제 3 방향(w3)일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3 방향(w3)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15). 상세히,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유기(50)에 연결된 제 2 통신부(384)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3 방향(w3) 토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3 방향(w3) 토출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은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전방을 기준으로 우측, 즉 제 3 방향(w3`)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모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로부터 공기가 제 3 사분면(A3)으로 토출될 때,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1 사분면(A1)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 내 공기 순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영구역이 줄어들게 되어, 실내 공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로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3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7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회전 토출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70)에서 입력된 회전 토출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S17).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조화된 공기를 회전 토출할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제 2 방향(w2)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15). 다른 예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조화된 공기를 회전 토출할 때,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단계 S3 내지 단계 S15를 반복하면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제 1 모드가 표시된 제 2 화면(760)에서, 상기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이 선택되면, 상기 제 2 화면(760)에는 상기 제 2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드에 대응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드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실내공간의 일측면에 배치된 상태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제 2 화면(760)에 표시된 제 2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제 4 사분면(A4)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순환기가 제 1 사분면(A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제 2 화면(760)에서 상기 제 2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설정 버튼(782)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70)에서 상기 제 2 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 버튼(782)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제 2 모드가 동작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운전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31).
상기 제 2 모드에 대한 명령이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공기 토출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S33).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제 2 모드에서의 토출방향을 기반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모바일 기기(70) 또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8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반하여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마이컴(189)에는, 제 1 방향(w1)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35).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방향(w1)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방향 토출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84),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이 제 1 방향(w1)일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본체를 기준으로 한 제 1 방향(w1`)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37).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조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배치된 제 1 사분면(10)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w1`)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제 1 방향(w1`)으로 토출된 공기는 조화된 공기와 함께 실내공간의 벽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실내공간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직진성 터보 기류를 형성하므로, 상기 실내공간 내에서 조화된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대한 공기 조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별도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계속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38, S33). 상기 모바일 기기(90)에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3 및 S39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로부터 제 2 방향(w2)으로의 공기 토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제 2 방향(w2)으로의 공기 토출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2 방향(w2)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방향 토출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84),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 토출정보가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인식되면,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본체를 기준으로 한 제 2 방향(w2`, 공기 순환기의 제 2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39).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조화된 공기는 제 2 사분면(A2)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3 사분면(A3)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된 공기와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된 공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대략 실내공간의 중심에서 부딪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조화된 공기의 일부는 실내공간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33 및 S43,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제 3 방향(w3)으로의 공기 토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3 방향(w3)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상기 제 3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방향 토출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84),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방향 토출정보가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인식되면,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공기를 회전 토출시킬 수 있다(S39). 일례로,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제 1 방향(w1`) 내지 제 3 방향(w3`) 또는 제 3 방향(w3`) 내지 제 1 방향(w1`)으로 팬어셈블리(3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상기 제 4 사분면(A4)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3 방향(w3)로 공기를 토출시킬 때,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조화된 공기는 제 1 사분면(A1) 및 제 2 사분면(A2)에 적게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직진성 터보 기류를 회전토출함으로써, 조화된 공기를 실내공간의 제 1 사분면(A1) 및 제 2 사분면(A2)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온도가 보다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다.
단계 S47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조화된 공기를 회전 토출시킬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2 방향(W2)으로 공기를 토출 시킬 수 있다(S47, S49).
한편,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제 2 모드가 표시된 제 2 화면(760)에서, 상기 제 1 화면전환버튼(761)이 선택되면, 상기 제 2 화면(760)에는 상기 제 3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제 3 모드에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3 모드에 대응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3 모드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실내공간의 타측면에 배치된 상태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제 2 화면(760)에 표시된 제 3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제 4 사분면(A4)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순환기가 제 3 사분면(A3)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의 제 3 화면(760)에서 상기 제 3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설정 버튼(782)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70)에서 상기 제 3 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 버튼(782)이 선택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70)는 상기 제 3 모드가 동작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운전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51).
상기 제 3 모드에 대한 명령이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공기 토출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S53).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제 3 모드에서의 토출방향을 기반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모바일 기기(70) 또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8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반하여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마이컴(189)에는, 제 1 방향(w1)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55).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방향(w1)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방향 토출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84),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1 방향 토출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회전 토출할 수 있다(S57). 상세히,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팬어셈블리(370)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제 1 방향(w1`)에서 제 3 방향(w3`)으로 또는, 제 3 방향(w3`)에서 제 1 방향(w1`)으로 공기를 회전 토출 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되어 제 1 사분면(A1)으로 유동하는 조화된 공기는, 상기 제 2 사분면(A2) 및 제 3 사분면(A3)에 적게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직진성 터보 기류를 회전 토출 시킴으로써, 조화된 공기를 상기 제 2 사분면(A2) 및 제 3 사분면(A3)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온도가 보다 균일하게 조화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53 및 S59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로부터 제 2 방향(w2)으로의 공기 토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제 2 방향(w2)으로의 공기 토출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2 방향(w2)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59).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 토출정보가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인식되면,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본체를 기준으로 한 제 2 방향(w2`, 공기 순환기의 제 2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61).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되어 제 2 사분면(A2)으로 토출된 조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되어 제 1 사분면(A1)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서로 부딪힐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된 공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대략 실내공간의 중심에서 부딪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조화된 공기는 상기 실내공간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53 및 S63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70)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제 3 방향(w3)으로의 공기 토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 3 방향(w3)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63).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제어하여, 상기 제 3 방향 토출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방향 토출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184),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방향 토출정보가 상기 제 2 마이컴(389)에 인식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제 3 방향(w3`)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S65).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된 조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배치된 제 4 사분면(A4)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의해 상기 제 3 방향(w3`)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제 3 방향(w3`)으로 토출된 공기는 조화된 공기와 함께 실내공간의 벽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실내공간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직진성 터보 기류를 형성하므로, 상기 실내공간 내에서 조화된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대한 공기 조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단계 S67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조화된 공기를 회전 토출시킬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 2 방향(W2)으로 공기를 토출 시킬 수 있다(S67, S69).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공간에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함께 배치될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맞닿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이 실내공간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대략 실내공간의 중심부에서 서로 부딪히게 되어, 상기 실내공간 내에 조화된 공기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목표로 설정한 온도에 보다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실내공간 내의 음영구역을 줄이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을 향해 조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전방을 기준으로 우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조화된 공기와 함께 실내공간의 벽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실내공간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직진성 터보 기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실내공간 내에서 조화된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대한 공기 조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공기조화기(10) 및 공기순환기(30)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서로의 위치 및 토출방향을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제 2 실시예: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의 배치관계를 인식하고, 인식한 배치관계에 따라 연동 제어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도 12는 제 2 실시에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공기 조화기(10) 및 공기 순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조화기(10)의 제어구성>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제1입출력부(181), 제1구동부(15), 제1메모리(183), 제1통신부(184), 및 제1마이컴(18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제 1 통신부(184)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30)와 일대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구동부(15)의 제 1, 2 토출장치(151, 151`)를 제어하여,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2 토출장치(151, 151`)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전방,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89)은, 상기 제 1, 2 토출장치(151, 151`)를 제어하여, 조화된 공기를 회전 토출 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순환기(30)의 제어구성>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제2입출력부(381), 제2구동부(385), 제2메모리(383), 제2통신부(384), 촬영부(388), 및 제 2 마이컴(38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88)는, 상기 공기 순환기(10)의 제 1 케이스(331) 및 제 2 케이스(35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377)는 상기 제 1 케이스(331)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정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촬영부(388)가 설치된 상기 제 1 케이스(331)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351)의 위치는 상기 공기 순환기(10)의 정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84)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상기 제 1 통신부(184)와 일대일 통신 연결 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와 함께 동작하는 연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촬영부(388)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88)에 의해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위치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제 2 메모리(383)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10)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모리(383)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이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상기 공기 순환기(30)와 통신연결 됐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촬영부(388)가 상기 공기 조화기(10)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정면부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정면부를 마주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마이컴(389)는 상기 제 2 입출력부(381)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공기 순환기(30)를 상기 공기 조화기(10)와 마주보게 배치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이컴(389)은, 상기 촬영부(388)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정면부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연동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상기 공기 순환기(30)와 통신연결 됐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촬영부(388)가 상기 공기 조화기(10)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동일한 실내공간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연동모드로 동작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한 토출방향 또는 기설정된 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연동모드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공기 조화 시스템 연동모드>
본 실시예에서의 연동모드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가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정면부를 기준으로 좌측(제 1 방향, w1)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는 제 1 방향 토출정보를, 제 1 통신부(184)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384)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1 방향 토출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는 상기 제 2 구동부(385)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10)의 정면부를 기준으로 좌측(제 1 방향, w1`)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정면부를 기준으로 우측(제 3 방향, w3)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는 제 3 방향 토출정보를, 제 1 통신부(184)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384)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3 방향 토출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는 상기 제 2 구동부(385)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10)의 정면부를 기준으로 좌측(제 3 방향, w3`)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 및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측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기류가 형성되도록, 공기를 토출하기 때문에 공기 순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설정된 온도로 상기 실내 공간이 보다 신속하게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 공기 조화기(10)가 정면(제 2 방향, w2)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89)는 제 2 방향 토출정보를, 제 1 통신부(184)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384)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84)를 통해 상기 제 2 방향 토출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제 2 마이컴(389)는 상기 제 2 구동부(385)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10)의 정면(제 2 방향, w2`)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10)에서 토출된 공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30)에서 토출된 공기가 서로 부딪히는 면적이 증가할 수록, 두 기류가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조화된 공기가 균일하게 퍼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공기 순환기(10) 및 상기 공기 조화기(30)의 공기 토출방향으로 인하여 맞바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맞바람에 의해, 실내 공간내에 조화된 공기가 균일하게 퍼질 수 있다. 즉, 실내공간의 온도 편차가 적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공기조화기(10) 및 공기순환기(30)의 통신방식에 있어 차이가 있다.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제 3 실시예: 모바일 기기에 의해 결정된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기반하여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은, 공기 조화기(10), 공기 순환기(30), 공유기(50), 및 모바일 기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공유기(50)와 무선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모바일 기기(70)와 무선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기기(70)에 입력된 조작명령은 상기 공유기(50)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순환기(5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와 일대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기기(70)에 입력된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조작명령은 상기 공유기(50), 상기 공기 조화기(10)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50)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70)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입력된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기(30)는 전달받은 공기 조화기(10)의 토출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30)의 토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공기 조화 시스템 10: 공기 조화기
30: 공기 순환기 50: 공유기
70: 모바일 기기

Claims (17)

  1. 실내공간을 설정 온도로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
    상기 공기 조화기와 통신 연결 가능하며, 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에 무선 통신 연결 가능한 공유기; 및
    상기 공유기에 무선 통신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 토출방향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실내공간 내의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에 토출방향이 입력되면, 상기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는 상기 공유기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에 전달되고,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전달받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따른 토출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가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을 향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위치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경우,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입력된 토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가 상기 실내공간의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 위치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실내공간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정면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정면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공기 순환기는 회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및 Y축을 구분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은 4개의 사분면으로 구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좌측 상단을 제 1 사분면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우측 상단을 제 2 사분면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우측 하단을 제 3 사분면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실내공간의 좌측 하단을 제 4 사분면으로 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4개의 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위치할 때,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한 상기 공기 순환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4개의 사분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공기 조화기 및 다른 하나에 위치된 공기 순환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한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공기 순환기와 일대일 통신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인식할 수 있는 촬영부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가 서로 통신 연결될 때,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3. 모바일 기기에 실내공간에서의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의 위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공기 조화기에 토출방향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공기 조화기는 입력된 토출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공기 순환기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입력받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입력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순환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 및 상기 공기 순환기는 통신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순환기는 촬영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공기 순환기의 토출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기는,
    상기 촬영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명령 또는 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80044529A 2018-04-17 2018-04-17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8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29A KR102180544B1 (ko) 2018-04-17 2018-04-17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29A KR102180544B1 (ko) 2018-04-17 2018-04-17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46A KR20190121046A (ko) 2019-10-25
KR102180544B1 true KR102180544B1 (ko) 2020-11-18

Family

ID=6842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29A KR102180544B1 (ko) 2018-04-17 2018-04-17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7424A (zh) * 2019-10-31 2021-05-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CN112747425A (zh) * 2019-10-31 2021-05-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CN111322716B (zh) * 2020-02-24 2021-08-03 青岛海尔工业智能研究院有限公司 空调温度自动设置方法、空调、设备及存储介质
CN114198890B (zh) * 2020-09-17 2023-06-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072A (ja) * 2002-06-18 2004-01-22 Fujitsu General Ltd 床置型サーキュレータの制御方法
JP2013053788A (ja) * 2011-09-02 2013-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307B1 (ko) * 2011-01-06 201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072A (ja) * 2002-06-18 2004-01-22 Fujitsu General Ltd 床置型サーキュレータの制御方法
JP2013053788A (ja) * 2011-09-02 2013-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46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544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030621B (zh) 空调
JP5500181B2 (ja) 空気調和装置の天井設置型室内ユニット
JP693200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6242309B2 (ja) 空気調和機
EP2942579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circuit
JP2011069524A (ja) 空気調和機
JP6071626B2 (ja) 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EP3203160B1 (en) Air-conditioning-device indoor unit
KR20140132854A (ko) 공기조화장치
JP2008101894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5507231B2 (ja) 空気調和機
JP2001174028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方法
CN105518396A (zh) 空调系统
JP2014137178A (ja) 空気調和機
JP2009180460A (ja) 空気調和機のエリア空調方法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4145488A (ja) 空気調和機
KR10242586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9138504A (ja) 空気調和装置
JPH0432634A (ja) 空気調和機
KR20120019279A (ko)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1065950A (ja) 空気調和機
KR101962164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171417B2 (ja) 空気調和機
KR102218921B1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