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797B1 - 동작 장치 - Google Patents

동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797B1
KR102218797B1 KR1020190094761A KR20190094761A KR102218797B1 KR 102218797 B1 KR102218797 B1 KR 102218797B1 KR 1020190094761 A KR1020190094761 A KR 1020190094761A KR 20190094761 A KR20190094761 A KR 20190094761A KR 102218797 B1 KR102218797 B1 KR 10221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frame
moving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821A (ko
Inventor
박문배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AU202025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0252997B2/en
Priority to US17/600,137 priority patent/US11822361B2/en
Priority to PCT/KR2020/003332 priority patent/WO2020204380A1/ko
Publication of KR2020011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동작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동작 장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부와, 동작부가 삽입되는 내측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동작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 및 잠금부에 연결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작 장치{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동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부의 설치와 분해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용 장치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에는 동작부가 고정된다. 푸시 동작부는 전선에 의해 회로기판에 연결되며, 푸시 동작부의 신호가 회로기판에 입력됨에 따라 특정 기능이 선택된다. 이러한 푸시 동작부는 충격 등에 의해 고장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푸시 동작부가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므로, 푸시 동작부의 고장으로 수리가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게임용 장치에서 분리한 후 디스플레이부의 수리 업체로 운반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수리 업체에서는 동작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한 후 고객사로 이동하여 게임용 장치에 디스플레이부를 재설치하므로 유지보수 비용과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4973호(2006. 12. 26 등록, 고안의 명칭: 게임기 조작버튼의 무인조작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부의 설치와 분해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장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부와, 동작부가 삽입되는 내측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동작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 및 잠금부에 연결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잠금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과 마주하는 잠금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서 제1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부는, 힌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홀부에 삽입된 동작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잠금몸체와, 잠금몸체에서 돌출되어 동작부의 측면에 구비된 구속홈부에 걸리는 돌출부 및 잠금몸체의 내측에 이동부가 삽입되는 장공을 형성하는 연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몸체 및 이동몸체에서 돌출되어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홀부는, 이동돌기의 직선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몸체와 힌지돌기는 2개씩 구비되며, 동작부의 양측에 잠금몸체가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부는, 힌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홀부에 삽입된 동작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회전몸체에서 돌출되어 이동부에 삽입되며 이동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연장돌기 및 회전몸체에서 돌출되어 동작부의 측면에 구비된 구속홈부에 걸리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는, 연장돌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내측에 연장돌기가 삽입되는 홀부를 형성하는 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몸체와 힌지돌기는 2개씩 구비되며, 동작부의 양측에 회전몸체가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장치는, 이동부의 회전이나 이동에 의해 잠금부가 회전되어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동작부의 구속을 용이하게 해제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글래스부에서 동작부만 별도로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동작부와 함께 글래스부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생략되어 동작부의 유지보수 비용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에서 동작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직선 이동으로 잠금부가 회전되어 동작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에서 동작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회전으로 잠금부도 회전되어 동작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에서 동작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직선 이동으로 잠금부가 회전되어 동작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1)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며 측면에 구속홈부(22)를 구비하는 동작부(20)와, 동작부(20)가 삽입되는 내측홀부(32)를 구비하는 프레임부(30)와, 프레임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동작부(20)의 측면에 삽입되어 동작부(20)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40)와, 잠금부(40)에 연결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잠금부(40)를 회전시키는 이동부(50) 및 이동부(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장치(1)는 카지노머신 등에서 사용되는 버튼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16)과, 디스플레이패널(16)의 일측에 프레임부(3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착하우징부(17)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와 장착하우징부(17)의 전방에는 판 형상의 글래스부(10)가 배치된다.
글래스부(10)는 시인성 확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글래스부(10)에는 동작부(2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부(12)가 형성된다. 삽입홀부(12)는 동작부(20)의 둘레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동작부(20)의 몸체가 삽입홀부(12)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구속된다.
동작부(20)는 디스플레이부(15)의 전방에 설치되는 글래스부(10)의 삽입홀부(12)에 설치된다. 또한 동작부(20)의 둘레부에는 삽입홀부(12)에 끼워지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단차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동작부(20)는 전선에 의해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로 조작신호를 전달한다. 동작부(20)의 횡단면과 삽입홀부(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 외에도 사각형이나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부(20)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동작부(20)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버튼일 수 있으며,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거나 타원형이나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동작부(2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동작부(20)의 둘레에는 잠금부(40)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구속홈부(22)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구속홈부(22)는 잠금부(40)의 돌출부(43)와 마주하는 동작부(20)의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부(40)의 돌출부(43)가 구속홈부(22)에 삽입되어 걸리면, 동작부(20)가 글래스부(10)의 삽입홀부(1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프레임부(30)는 동작부(20)가 삽입되는 내측홀부(32)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30)는, 잠금부(40)의 일측(도 2기준 상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34)과, 제1프레임(34)과 마주하는 잠금부(40)의 타측(도 2기준 하측)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36) 및 제2프레임(36)에서 제1프레임(34)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잠금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38)를 포함한다.
글래스부(10)의 하측에 제1프레임(34)이 위치하며, 제1프레임(34)의 하측에 잠금부(40)와 제2프레임(36)이 차례로 설치된다. 제2프레임(36)은 제1프레임(34)에 결합되며, 제1프레임(34)과 제2프레임(36)의 사이에는 잠금부(40)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제1프레임(34)의 내측에는 동작부(20)가 설치되기 위한 내측홀부(32)가 구비되며, 제2프레임(36)의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돌기(38)에 잠금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프레임(36)은 장착하우징부(17)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된 부재에 고정된다.
잠금부(40)는 프레임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동작부(20)의 측면에 구비된 구속홈부(22)에 삽입되어 동작부(2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부(40)는, 힌지돌기(3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홀부(32)에 삽입된 동작부(2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잠금몸체(42)와, 잠금몸체(42)에서 돌출되어 동작부(20)의 측면에 구비된 구속홈부(22)에 걸리는 돌출부(43) 및 잠금몸체(42)의 내측에 이동부(50)가 삽입되는 장공을 형성하는 연결홀부(44)를 포함한다.
구속홈부(22)와 마주하는 잠금몸체(42)의 내측에는 돌기 형상의 돌출부(43)가 구비되므로, 잠금몸체(42)는 구속홈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동작부(2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구속홈부(22)는 동작부(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이격된 상태로 홈을 형성하며, 구속홈부(22)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돌출부(43)는 잠금몸체(4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속홈부(22)의 내측에 걸린다. 잠금몸체(42)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43)도 같이 이동되어 구속홈부(22)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된다.
돌출부(43)는 잠금몸체(42)의 내측을 향하여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판 형상으로 돌출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잠금몸체(42)는 동작부(20)의 둘레를 감싸며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잠금몸체(4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몸체(42)와 힌지돌기(38)는 2개씩 구비되며, 동작부(20)의 양측에 잠금몸체(42)가 각각 위치한다. 잠금몸체(42)는 힌지돌기(38)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동작부(20)의 삽입홀부(12)에 걸려서 동작부(20)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동작부(20)에서 이격되어 동작부(20)의 잠금을 해제한다.
한 쌍의 잠금몸체(42)는 동작부(20)의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판 형상으로 연장되며, 잠금몸체(42)의 일측은 힌지돌기(38)에 연결되며, 타측은 연결홀부(44)가 형성된다. 연결홀부(44)는, 이동돌기(54)의 직선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이동부(50)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돌기(54)의 직선 이동에 의해 잠금몸체(42)가 회전된다.
이동돌기(54)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선을 기준으로, 연결홀부(44) 가상선과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동부(50)는 잠금부(40)에 연결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잠금부(4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부(50)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몸체(52) 및 이동몸체(52)에서 돌출되어 연결홀부(44)에 삽입되는 이동돌기(54)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몸체(52)는 판 형상이며 장착하우징부(17)의 상측에서 직선 이동을 한다. 이동몸체(52)의 일측은 장착하우징부(17)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작업자가 이동몸체(52)를 직접 잡고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장치에 이동몸체(52)가 연결되어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동몸체(52)의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돌기(54)는 연결홀부(44)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이동몸체(52)의 직선방향 이동으로 잠금부(40)는 회전된다.
가이드부(60)는 이동부(5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는 이동몸체(52)의 내측에 장공의 홀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62) 및 가이드홀부(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고정되는 가이드돌기(64)를 포함한다.
가이드홀부(62)는 이동몸체(52)의 내측에 복수로 구비되며, 이동몸체(52)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의 홀이다. 가이드돌기(6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며, 프레임부(30)에서 연장된 부재에 고정되거나 장착하우징부(17)에 고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본 제1실시예에서는 잠금몸체(42)가 복수 개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하나의 잠금몸체(42)를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작부(20)의 잠금을 해제할 경우, 이동부(50)를 동작부(20)가 설치된 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동몸체(52)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돌기(54)의 직선 이동으로, 이동돌기(54)와 마주하는 연결홀부(44)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잠금몸체(42)는 힌지돌기(38)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몸체(42)는 동작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동작부(20)의 구속홈부(22)에서 돌출부(43)가 이탈되어 동작부(20)의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글래스부(10)에서 동작부(20)를 빼내어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동작부(20)의 이동을 구속할 경우, 장착하우징부(17)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부(50)를 이동시킨다. 동작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부(50)가 이동되므로, 이동돌기(54)는 연결홀부(44)의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잠금부(40)를 회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몸체(42)는 동작부(20)의 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동작부(20)의 구속홈부(22)에 잠금부(40)의 돌출부(43)가 걸려서 동작부(20)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5)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에서 동작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회전으로 잠금부도 회전되어 동작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5)는, 동작부(70)와 프레임부(80)와 잠금부(90)와 이동부(100)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부(70)는 제1실시예에 의한 동작부(20)와 형상이 유사하고 잠금부(90)가 걸리기 위한 구속홈부(72)의 위치와 형상이 상이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부(70)의 측면에는 오목한 형상의 구속홈부(72)가 구비된다. 구속홈부(72)는 동작부(70)의 측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80)는 동작부(70)가 삽입되는 내측홀부(82)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80)는, 잠금부(90)의 일측(도 7기준 상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84)과, 제1프레임(84)과 마주하는 잠금부(90)의 타측(도 7기준 하측)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86) 및 제2프레임(86)에서 제1프레임(84)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잠금부(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88)를 포함한다.
글래스부(10)의 하측에 제1프레임(84)이 위치하며, 제1프레임(84)의 하측에 잠금부(90)와 제2프레임(86)이 차례로 설치된다. 제2프레임(86)은 제1프레임(84)에 결합되며, 제1프레임(84)과 제2프레임(86)의 사이에는 잠금부(90)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제1프레임(84)의 내측에는 동작부(70)가 설치되기 위한 내측홀부(82)가 구비되며, 제2프레임(86)의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돌기(88)에 잠금부(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프레임(86)은 장착하우징부(17)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된 부재에 고정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부(90)는, 힌지돌기(8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홀부(82)에 삽입된 동작부(7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몸체(92)와, 회전몸체(92)에서 돌출되어 이동부(100)에 삽입되며 이동부(1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몸체(92)와 함께 이동되는 연장돌기(94) 및 회전몸체(92)에서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동작부(70)의 측면에 구비된 구속홈부(72)에 걸리는 구속돌기부(96)를 포함한다.
구속돌기부(96)는 구속홈부(72)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구속홈부(72)에 걸려서 동작부(70)의 이동을 구속한다.
회전몸체(92)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속돌기부(96)는 구속홈부(72)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 형상과, 구속홈부(72)를 향하여 돌출되는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몸체(92)와 힌지돌기(88)는 2개씩 구비되며, 동작부(70)의 양측에 회전몸체(92)가 각각 위치한다. 회전몸체(92)는 힌지돌기(88)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동작부(70)의 삽입홀부(12)에 걸려서 동작부(70)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동작부(70)에서 이격되어 동작부(70)의 잠금을 해제한다.
한 쌍의 회전몸체(92)는 동작부(70)의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판 형상으로 연장되며, 회전몸체(92)의 일측은 힌지돌기(88)에 연결되며, 타측은 연장돌기(94)에 연결된다. 연장돌기(94)가 삽입되는 이동부(100)의 안내홈부(104)는 곡선 형상을 따라 연장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00)는, 베이스부(101)와 안내홈부(104)와 입력돌기(10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1)는 연장돌기(94)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 형상이다. 베이스부(101)의 회전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이스중심축(102)은 프레임부(80)나 장착하우징부(17) 등 고정된 부재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홈부(104)는 베이스부(101)의 내측에 연장돌기(94)가 삽입되는 홀부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안내홈부(104)는 제1홈부(105)와 제2홈부(106)를 포함한다. 제1홈부(105)와 제2홈부(106)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연장돌기(94)가 삽입되어 곡선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곡선형의 홈부를 형성한다.
입력돌기(107)는 베이스부(101)에서 돌출된 돌기 형상이며, 장착하우징부(17)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입력돌기(107)를 잡고 돌리거나 별도의 구동장치에 입력돌기(107)가 연결되어 베이스부(1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 장치(5)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작부(70)의 잠금을 해제할 경우, 입력돌기(107)를 통해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이동부(100)가 일측 방향(도 10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베이스부(101)의 회전에 의해 안내홈부(104)에 삽입된 연장돌기(94)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회전몸체(92)는 힌지돌기(88)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92)는 동작부(7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동작부(70)의 구속홈부(72)에서 잠금부(90)의 구속돌기부(96)가 이탈되어 동작부(70)의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글래스부(10)에서 동작부(70)를 빼내어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동작부(70)의 이동을 구속할 경우에는, 이동부(100)를 타측 방향(도 9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베이스부(101)의 역회전에 의해 안내홈부(104)에 삽입된 연장돌기(94)의 위치도 가변되므로, 회전몸체(92)는 힌지돌기(88)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잠금부(90)는 동작부(70)의 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잠금부(90)의 구속돌기부(96)는 동작부(70)의 구속홈부(72)에 걸려서 동작부(70)의 이동을 구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100)의 회전이나 이동에 의해 잠금부(40,90)가 회전되어 동작부(20,70)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동작부(20,70)의 구속을 용이하게 해제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글래스부(10)에서 동작부(20,70)만 별도로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동작부(20,70)와 함께 글래스부(10)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생략되어 동작부(20,70)의 유지보수 비용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5: 동작 장치
10: 글래스부 12: 삽입홀부
15: 디스플레이부 16: 디스플레이패널
17: 장착하우징부 20,70: 동작부
22,72: 구속홈부 30,80: 프레임부
32,82: 내측홀부 34,84: 제1프레임
36,86: 제2프레임 38,88: 힌지돌기
40,90: 잠금부 42: 잠금몸체
43: 돌출부 44: 연결홀부
50: 이동부 52: 이동몸체
54: 이동돌기 60: 가이드부
62: 가이드홀부 64: 가이드돌기
92: 회전몸체 94: 연장돌기
96: 구속돌기부 100: 이동부
101: 베이스부 102: 베이스중심축
104: 안내홈부 105: 제1홈부
106: 제2홈부 107: 입력돌기

Claims (9)

  1.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가 삽입되는 내측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동작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에 연결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내측홀부에 삽입된 상기 동작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잠금몸체;
    상기 잠금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동작부의 측면에 구비된 구속홈부에 걸리는 돌출부; 및
    상기 잠금몸체의 내측에 상기 이동부가 삽입되는 장공을 형성하는 연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잠금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잠금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제1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몸체는 상기 힌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부는,
    상기 이동돌기의 직선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몸체와 상기 힌지돌기는 2개씩 구비되며, 상기 동작부의 양측에 상기 잠금몸체가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7.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가 삽입되는 내측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동작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에 연결되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잠금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잠금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잠금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제1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힌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측홀부에 삽입된 상기 동작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연장돌기; 및
    상기 회전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동작부의 측면에 구비된 구속홈부에 걸리는 구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연장돌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상기 연장돌기가 삽입되는 홀부를 형성하는 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와 상기 힌지돌기는 2개씩 구비되며, 상기 동작부의 양측에 상기 회전몸체가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
KR1020190094761A 2019-04-04 2019-08-05 동작 장치 KR102218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252997A AU2020252997B2 (en) 2019-04-04 2020-03-10 Operating device
US17/600,137 US11822361B2 (en) 2019-04-04 2020-03-10 Operating device
PCT/KR2020/003332 WO2020204380A1 (ko) 2019-04-04 2020-03-10 동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9531 2019-04-04
KR1020190039531 2019-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21A KR20200117821A (ko) 2020-10-14
KR102218797B1 true KR102218797B1 (ko) 2021-02-24

Family

ID=7284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61A KR102218797B1 (ko) 2019-04-04 2019-08-05 동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8797B1 (ko)
AU (1) AU2020252997B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756A (ja) * 2002-04-17 2003-10-31 Idec Izumi Corp 操作スイッチ
KR100790156B1 (ko) *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16207295A (ja) * 2015-04-16 2016-1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分離型操作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259B1 (ko) * 2003-07-19 2005-07-27 용성전기 주식회사 본체와 핸들부를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756A (ja) * 2002-04-17 2003-10-31 Idec Izumi Corp 操作スイッチ
KR100790156B1 (ko) *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16207295A (ja) * 2015-04-16 2016-1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分離型操作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52997B2 (en) 2023-01-05
KR20200117821A (ko) 2020-10-14
AU2020252997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560B2 (en) Magnetic safety closure for a movable protection device
US11822361B2 (en) Operating device
KR102218797B1 (ko) 동작 장치
EP2112674A2 (en) Safety switch apparatus
JP6013387B2 (ja) 車両用シフト操作装置
US11378996B2 (en) Operating device
KR102148164B1 (ko) 동작 장치
WO2016017282A1 (ja) シフト装置
KR102170900B1 (ko) 동작 장치
KR102170901B1 (ko) 동작 장치
US11835981B2 (en) Operating device
KR102017637B1 (ko) 카지노머신용 버튼 장치
JP3597114B2 (ja) レーザー墨出し器における耐衝撃構造
JP4007505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KR101262281B1 (ko) 차량 혼류 생산 라인용 차체 고정장치
JPH09167536A (ja) 電子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スイッチ
JP2009199009A (ja) 電力遮断機構、画像形成装置
WO2017217322A1 (ja) 電気レバー装置
JP6429690B2 (ja) 操作ハンドル機構
JP2010095937A (ja) キャビネットの開閉扉の取付構造
CN113692681B (zh) 用于电气设备的装置、对应的电气设备、生产该装置的方法和该装置的用途
JP2011019655A (ja) 遊技機
JP643480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136476A (ja) 遊技機
CN112242264A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