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250B1 -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 Google Patents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250B1
KR102218250B1 KR1020190022791A KR20190022791A KR102218250B1 KR 102218250 B1 KR102218250 B1 KR 102218250B1 KR 1020190022791 A KR1020190022791 A KR 1020190022791A KR 20190022791 A KR20190022791 A KR 20190022791A KR 102218250 B1 KR102218250 B1 KR 10221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andle
safety
safety pin
fire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173A (ko
Inventor
이말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02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2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손잡이와 상부 손잡이 사이에 결합되어 제2힌지축에 의해 중심이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제2힌지축에 안전핀이 삽입되면 접히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부 손잡이가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며, 지지블록은 하부 손잡이에 형성된 제1지지축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링크와, 상부 손잡이에 형성된 제2지지축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링크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고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시켜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힌지축과, 제2힌지축에 형성되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외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A safety handle of the fire-extinguisher with angle control}
본 발명은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결합되어 있는 안전핀을 쉽게 분리하게 해주는 구조를 가진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는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고 소화제를 분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 1은 통상의 소화기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한 도면으로, 통상의 소화기는 본체(10) 내에 소화제가 충전되어 있으며, 본체(10)에 충진된 소화제는 본체(10)내에 배치되는 방출 파이프(11)를 통하여 배출되어 호스(12)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곳에 방출된다.
통상의 소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안전 손잡이(20)를 강하게 파지하면 상부 손잡이(22)가 하부 손잡이(21)쪽으로 강하게 눌리고, 안전핀(24)은 안전 손잡이의 관통공에서 강한 전단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에 의해 안전핀(24)을 잡아 당겨도 관통공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강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안전핀을 뽑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안전핀이 잘 빠지지 않게 되어 위급한 상황에서 소화기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출원된 특허 10-2016-0012049호(2016.01.31.출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 손잡이를 강하게 파지한 상태에서도 안전핀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선출원 특허의 안전핀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소화기에 사용되는 안전 손잡이의 도면이다.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축(43)의 중심 위치는 제1링크(41)와 제2링크(42)의 회동 운동의 중심이 되는 제1지지축(312) 및 제2지지축(3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b는 제1지지축(312), 제1링크(41), 제2힌지축(43), 안전핀(50), 제2링크(42), 제2지지축(322)만을 도시하고 있고, 상부 손잡이(32)를 누름에 따라 제2지지축(322)에 가압력(F)이 작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제2지지축(322)에 인가되는 힘(F)은 제2지지축(322)과 제1지지축(31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힘은 제2링크(42)를 통하여 제2힌지축(43)에 제2링크(42)의 길이 방향의 분력(Fy)과 이에 수직하는 방향의 분력(Fx)의 합력이다.
가압력(F)에 따른 안전핀(50)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분력(Fx)은 다음의 식으로 된다.
Fx = sin(θ)*F
여기서, 각도 'θ'는 제1지지축(312)과 제2지지축(322)을 연결하는 직선과 제2지지축(322)과 제2힌지축(43)을 연결하는 직선, 즉 제2링크(42)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2힌지축(43)의 중심이 제1지지축(312)과 제2지지축(32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나서 배치되도록 각도 'θ'가 작은 값을 갖게 되면, 상부 손잡이(31)를 누르는 힘(F)이 크더라도 안전핀(50)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분력(Fx)은 매우 작은 것이고, 이러한 분력에 의해 안전핀에 작용하는 마찰력도 매우 작은 것이므로, 상부 손잡이를 누른 상태에서 안전핀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선출원 특허의 경우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결합된 상태에서 펼치게 되는 경우 제1링크(41)와 제2링크(42)에 형성된 돌출단(도시되지 않음)에 일정각도(θ) 까지만 펼쳐지도록 생산되고 있다.
즉, 손잡이에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결합된 후 안전핀에 의해 고정되면 일정각도(θ)로 유지되어 상부 손잡이(41)를 가압하더라도 안전핀이 쉽게 뽑힐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1링크(41) 또는 제2링크(42)에 형성된 돌출단(도시되지 않음)에 일정각도(θ)를 형성시켜 제조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돌출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일정각도(θ)로 구부러진 링크를 안전손잡이에 조립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완전히 펼쳤을 때 일정각도(θ)로 펼쳐지지 않는 경우 소화기의 손잡이에 결합될 수 없어 제조된 링크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16-0012049호(2016.01.31. 출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축을 연결하는 지지블록이 일직선으로 펴질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상부와 하부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지더라도 안전핀이 쉽게 제거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와 하부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지더라도 안전핀이 쉽게 제거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기 보관 시 사람의 실수나 전도, 충격 등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눌려 소화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장소로 소화기를 이동시킬 때 소화기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한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없이 안전핀만 소화기에 삽입 고정될 수 있어 화재시 안전핀을 빠르게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는 밸브에 형성된 제1힌지축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핀을 가압하는 상부 손잡이를 구비한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있어서, 하부 손잡이와 상부 손잡이 사이에 결합되어 제2힌지축에 의해 중심이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제2힌지축에 안전핀이 삽입되면 접히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부 손잡이가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며, 지지블록은 하부 손잡이에 형성된 제1지지축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링크와, 상부 손잡이에 형성된 제2지지축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링크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고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시켜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힌지축과, 제2힌지축에 형성되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외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탄성부재는 지지블록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 지지블록이 2~4도의 빗각이 형성되도록 외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제2힌지축은 상부 손잡이를 가압할 때 제1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제2링크를 통해 하부 손잡이 방면으로 전달하여 안전핀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탄성부재는 지지블록에 안전핀이 삽입되면 안전핀이 중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력에 의해 지지블록을 가압하여 안전핀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탄성부재는 중앙은 권취되어 있고 양단은 외면으로 돌출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탄성부재는 양단이 제1링크 및 제2링크에 삽입되거나 결합되어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복귀되어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지지축을 연결하는 지지블록이 일직선으로 펴질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상부와 하부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지더라도 안전핀이 쉽게 제거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소화기 보관 시 사람의 실수나 전도, 충격 등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눌려 소화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화재 장소로 소화기를 이동시킬 때 소화기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안전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없이 안전핀만 소화기에 삽입 고정될 수 있어 화재시 안전핀을 빠르게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성의 소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선출원 특허의 안전손잡이 구조 및 그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내부 구조를 분리시켜 나타낸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지지블록이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지지블록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허출원번호 10-2016-0012049호(2016.01.3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안전 손잡이에 결합되어 있는 안전핀을 쉽게 분리하게 해주는 구조를 가진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는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제외하고 소화기 본체(10) 및 밸브(13) 등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소화기와 동일한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는 소화제가 내장된 본체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제1힌지축(3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소화제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배출핀이 형성된 밸브(13)와, 일측이 밸브(13)에 형성된 제1힌지축(33)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31)와, 일측이 밸브(13)에 형성된 제1힌지축(33)에 결합되어 하부 손잡이(31)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핀(도5 참조)을 가압하는 상부 손잡이(32)와, 하부 손잡이(31)와 상부 손잡이(32) 사이에 결합되어 제2힌지축(43)(도 7참조)에 의해 중심이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제2힌지축(43)에 안전핀(50)이 삽입되면 접히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부 손잡이(32)가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블록(40)(도4 참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손잡이(32)와 하부 손잡이(31)의 일측은 밸브(13)에 형성된 제1힌지축(33)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 손잡이(31)는 수평방면으로 고정되고 상부 손잡이(32)는 제1힌지축(33)을 기준으로 하부 손잡이(31)를 향해 회동하면서 도 5의 개방핀(14)을 가압하여 소화제를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손잡이(31)와 상부 손잡이(32)에는 제1힌지축(33)이 삽입되는 제1힌지홀(33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손잡이(31)에는 제1힌지홀(331)을 기준으로 수평방면으로 a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에 제1지지축(312)이 삽입되는 제1지지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손잡이(32)에는 제1힌지홀(331)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면으로 b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에 제2지지축(322)이 삽입되는 제2지지홀(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이격된 길이 즉, a와 b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힌지홀(331)을 기준으로 제1지지홀(311)과 제2지지홀(321)을 서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힌지홀(331), 제1지지홀(311), 제2지지홀(321)을 연결시키면 각각의 선분 a, b, c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이 되게 된다.
이때 도 4의 지지블록(40)의 중단에 형성된 도 4의 제2힌지축(43)의 위치를 안전핀(50)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손잡이(31)에는 안전핀(50)이 삽입되는 핀홀(313)이 형성되며, 핀홀(313)의 위치는 제1지지홀(311)과 제2지지홀(321)을 잇는 직선 c의 중간점에서 제1힌지홀(331)에 가까워지는 방면으로 중심점이 이동되어 있게 된다.
핀홀(313)의 중심점이 제1지지홀(311)과 제2지지홀(321)을 잇는 직선 c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도 4의 지지블록(40)은 제1지지홀(311)과 제2지지홀(321)에 의해 하단과 상단이 고정된 후 핀홀(313)을 통해 삽입되는 안전핀(50)이 도 4의 제2힌지축(43)에 삽입되면서 도 4의 지지블록(40)의 형상이 "<"으로 된다.
또한 핀홀(313)은 직선 c의 중간점에서 제1힌지홀(331)과 멀어지는 방면으로 중심적이 이동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 4의 지지블록(40)이 상부 손잡이(32)에 의해 가압되어 접힐 때 제1힌지홀(331)에서 멀어지는 방면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핀홀(313)이 직선 c에서 제1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면으로 중심점이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의 지지블록(40)은 ">"(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빗각이 발생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4의 지지블록(40)은 하단이 하부 손잡이(31)에 형성된 제1지지축(312)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부 손잡이(32)에 형성된 제2지지축(322)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단에는 도 4의 제2힌지축(43)이 결합되어 있어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의 지지블록(40)은 상부 손잡이(32)의 회동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손잡이(31)에 형성된 핀홀(313)을 통해 안전핀(50)이 도 4의 제2힌지축(43)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안전핀(50)에 의해 중단이 고정된 도 4의 지지블록(40)은 접혀지지 못하고 안전핀(5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또한 하부 손잡이(31)에 형성되어 지지블록(40)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1지지축(312)이 삽입되도록 제1힌지축(33)으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1지지홀(311)과, 상부 손잡이(32)에 형성되어 지지블록(40)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2지지축(322)이 삽입되도록 제1힌지축(33)으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2지지홀(321)과, 하부 손잡이(31)에 형성되며 제1지지홀(311)과 제2지지홀(321)을 잇는 직선의 중간지점에서 제1힌지축(33)을 향해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핀홀(313)을 더 포함하며, 안전핀(50)은 핀홀(313)을 통해 지지블록(40)(도4 참조)의 제2힌지축(43)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지지블록(40)에 2~4도의 빗각을 형성시키고 지지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안전핀(50)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 4의 지지블록(40)에 발생한 빗각은 2~4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빗각이 1도 이하인 경우 상부 손잡이(32)가 회동할 때 발생하는 힘이 도 4의 지지블록(40)을 통해 완전히 전달되어 도 4의 지지블록(40)이 접혀지지 않게 되고, 빗각이 5도 이상인 경우 도 4의 지지블록(40)이 안전핀(50)에 가하는 전단력이 증가하여 안전핀(50)을 제거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1지지홀(311) 또는 제2지지홀(321)의 중심점에서 핀홀(313)의 중심점을 잇는 선분과 제1지지홀(311)과 제2지지홀(321)을 잇는 선분 c사이의 각도가 2~4도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도 4의 지지블록(40)이 안전핀(50)에 의해 고정되면 2~4도의 빗각을 가져 안전핀(50)에 가하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의 지지블록(40)은 제조가 용이하도록 완전히 펼쳐질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전핀(50)이 삽입되는 핀홀(313)의 위치에 따라 빗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핀(50)이 결합되면 도 4의 지지블록(40)은 빗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안전핀(50)은 핀홀(313)에 삽입된 후 중공축으로 구성된 도 4의 제2힌지축(43)을 관통하여 도 4의 지지블록(40)을 고정시키며 도 4의 제2힌지축(43) 내경은 안전핀(50) 보다 크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안전핀(50)이 도 4의 제2힌지축(43)의 일부분에만 접촉되어 상부 손잡이(32)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안전핀(50)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도 4의 지지블록(40)이 빗각을 가짐으로써 안전핀(50)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부 손잡이(32)를 가압하게 되면 빗각에 의해 도 4의 제2힌지축(43)이 제1힌지축(3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손잡이(32)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의 내부 구조를 분리시켜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의 지지블록(40)은 하부 손잡이(31)에 형성된 제1지지축(312)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링크(41)와, 상부 손잡이(32)에 형성된 제2지지축(322)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링크(42)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안전핀(50)이 삽입될 수 있고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연결시켜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힌지축(43)과, 제2힌지축(43)에 형성되며 제1링크(41)와 제2링크(42)의 외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지지블록(40)이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4)로 이루어지며, 제2힌지축(43)은 상부 손잡이(32)를 가압할 때 제1링크(4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제2링크(42)를 통해 하부 손잡이(31) 방면으로 전달하여 안전핀(50)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블록(40)은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링크(41)는 하단은 하부 손잡이(31)의 제1지지축(3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4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하단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어 제2힌지축(4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43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링크(42)의 상단은 상부 손잡이(32)의 제2지지축(3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관통홀(4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제2링크(42)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이 개구되고 제2힌지축(4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432)이 형성되게 된다.
즉, 제1링크(41)의 상단은 제2링크(42) 하단의 개구된 중앙에 중심축이 동일하게 삽입된 후 제2힌지축(43)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관통하여 삽입되게 되고 제2힌지축(43)을 기준으로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는 서로 회동되어 접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힌지축(43)은 중공으로 형성된 제2힌지홀(431)에 안전핀(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힌지축(43)의 내경은 안전핀(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안전핀(50)이 삽입되면 안전핀(50)은 지지블록(40)의 접히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밀착되어 제2회전축이 접히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 손잡이(32)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제2링크(42)를 통해 제2힌지축(43)으로 전달되어 하부 손잡이(31)와 연결된 제1링크(41)로 전달되게 되며, 제2힌지축(43)의 내경이 안전핀(50)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안전핀(50)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제1링크(41)의 상단에는 제2링크(42)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단(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링크(42)의 하단에도 제1링크(41)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단(4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단(412)과 제2돌출단(422)은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회동하여 접힐 때 제2힌지축(43)이 이동되는 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제2힌지축(43)이 제1힌지축(3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제1돌출단(412)은 제2링크(42)와 밀착되고 제2돌출단(422)은 제1링크(41)와 밀착되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히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즉, 소화기의 손잡이를 제조할 때 안전핀(50)을 삽입하기 위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완전히 펼친 후 제2힌지축(43)이 제1힌지축(33)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함으로써 안전핀(50)을 삽입할 때 지지블록(40)이 반대로 움직이는 현상을 막아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주축인 제1힌지축(33)에서 안전핀(50) 뒤쪽의 상부 손잡이(32)를 움켜잡게 되면 주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하중이 발생하여 큰 토크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토크는 안전핀(50)이 삽입되어 빗각이 형성된 지지블록(40)에 의해 하부 손잡이(31)로 전달됨으로써 안전핀(50)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안전핀(50)은 제2힌지축(43)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핀홀(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토크에 의해 이동되는 제2힌지축(43)이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안전핀(50)이 제2힌지축(43)의 내경 일측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전핀(50)에 가해지는 전단력이 감소되어 쉽게 뽑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블록(40)에는 제1링크(41)와 제2링크(42)의 외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44)는 중앙은 권취되어 있고 양단은 외면으로 돌출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44)는 지지블록(4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 지지블록(40)이 2~4도의 빗각이 형성되도록 외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블록(40)에 안전핀(50)이 삽입되면 안전핀(50)이 중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력에 의해 지지블록(40)을 가압하여 안전핀(5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44)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중앙에는 코일스프링처럼 권취된 형태를 가지며, 권취된 상태에서 일단과 타단이 외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4)는 중앙에 제2힌지축(43)이 삽입된 후 외면으로 돌출되는 일단과 타단이 제1링크(41) 및 제2링크(42)의 외면에 밀착되어 탄성력에 의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가압하게 되며,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는 설정된 각도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손잡이(32)가 상부 방면으로 회동되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일직선이 되는 경우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설정된 각도대로 복귀되므로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30)를 가압하여 소화제를 분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탄성부재(44)를 통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일직선이 되면서 상부 손잡이(32)를 가압하더라도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접혀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화재 초기에 패닉상태에 빠져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설정된 각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부재(44)의 일단과 타단은 제1링크(41)와 제2링크(42)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안전 손잡이(30)를 가압한 후 탄성부재(44)에 의해 손잡이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44)는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2~4도 범위까지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44)가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안전핀(50)을 쉽게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4)는 안전핀(50)의 삽입되는 핀홀(313)과 제2힌지홀(431)의 각도가 어긋나는 범위까지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가압함으로써 안전핀(50)이 삽입되면 어긋난 핀홀(313)과 제2힌지홀(431)의 차이에 의해 가압력이 발생되어 안전핀(50)이 중력에 의해 뽑히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소화기에 장착된 안전핀(50)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안전핀(50)이 안정적으로 핀홀(313) 및 제2힌지홀(43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화재 발생시 안전핀(50)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핀(50)을 쉽게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는 안전핀(5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지지블록(40)이 빗각을 가지게 되어 상부 손잡이(32)를 가압하더라도 안전핀(50)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안전핀(50)을 쉽게 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안전핀(50)이 제거되면 상부 손잡이(32)가 제1힌지축(33)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방핀(14)을 가압하여 밸브(13)를 통해 소화제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블록(40)은 안전핀(50)에 의해 2~4도의 빗각을 가진 상태로 상부 손잡이(32)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하부 손잡이(31)로 전달하게 되며 빗각을 가지고 있어 안전핀(50)이 제거되면 하중에 의해 제2힌지축(43)이 제1힌지축(3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손잡이(32)가 하부 손잡이(31)를 향해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안전핀(50)이 제거되어 상부 손잡이(32)가 회동하게 되면 지지블록(40)의 빗각이 점차 커지게 되고 상부 손잡이(32)가 하부 손잡이(31)를 향해 완전히 회동하게 되면 지지블록(40)은 "<"자 형상으로 접혀지게 되며, 상부 손잡이(32)는 소화제를 분출하는 개방핀(14)을 가압하게 됨으로 밸브(13)를 통해 소화제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블록(40)은 도 3의 핀홀(313)이 제1힌지축(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면에 위치하는 경우 지지블록(40)은 ">"(도시되지 않음) 형상으로 접혀질 수도 있게 되며, 이 경우 지지블록(40)은 반대 방향으로 조립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의 지지블록(40)이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30)의 지지블록(40)의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는 제2힌지축(43)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일직선으로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링크(41)에는 제1돌출단(412)이 제2링크(42)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제2링크(42)에는 제2돌출단(422)이 제1링크(41)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돌출단(412)은 제2링크(42)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고 제2돌출단(422)은 제1링크(41)의 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돌출단(412)은 제2링크(42)가 회동될 때 일면에 밀착되어 제2링크(42)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하며, 제2돌출단(422)은 제1링크(41)의 일면에 밀착되어 제1링크(41)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제2힌지축(43)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면 제1돌출단(412)과 제2돌출단(422)에 의해 더 이상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회동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링크(41)와 제2링크(42)의 타면이 서로 포개어지는 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으며, 도 5의 상부 손잡이(32)와 도 5의 하부 손잡이(31)에 결합될 때 지지블록(40)을 펼쳤을 때 각도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일직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수월해진다.
또한 제1돌출단(412)과 제2돌출단(422)에 각도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조 과정이 보다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44)는 양단이 제1링크(41) 및 제2링크(42)에 삽입되거나 결합되어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복귀되어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44)는 탄성력에 의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의 외면을 설정된 각도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지지블록(40)이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 사이에 결합되면 탄성부재(44)에 의해 지지블록(40)이 설정된 각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홀(313)과 제2힌지홀(431)의 위치가 거의 일치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 손잡이(50)를 제조할 때 안전핀을 쉽게 삽입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탄성부재(44)에 의해 지지블록(40)이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므로 핀홀(313)과 제2힌지홀(431)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44)는 제1링크(41)와 제2링크(42)가 일직선이 된 상태가 되더라도 하중이 제거되면 제1링크(41)와 제2링크(42)의 각도를 설정된 각도대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안전 손잡이(50)가 초기 위치로 쉽게 복구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의 지지블록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는 안전핀(50)에 작용하는 하중은 제1링크(41)와 제2링크(42) 사이의 각도(θ)에 따른 분력 F*Fx sin(θ)의 힘만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안전핀(50)이 하부 손잡이에 형성된 핀홀(313)을 통해 제2힌지축(43)에 삽입되면 상부 손잡이를 가압하면서 발생되는 하중의 대부분은 제1링크(41)와 제2링크(42)를 통해 상부 손잡이에서 하부 손잡이로 전달되므로 안전핀(50)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지더라도 안전핀이 쉽게 제거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소화기 보관 시 사람의 실수나 전도, 충격 등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눌려 소화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장소로 소화기를 이동시킬 때 소화기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안전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없이 안전핀만 소화기에 삽입 고정될 수 있어 화재시 안전핀을 빠르게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소화기 본체 11 : 방출 파이프
12 : 호스 13 : 밸브
14 : 개방핀 20 : 안전 손잡이
21 : 하부 손잡이 22 : 상부 손잡이
23 : 힌지축 24 : 안전핀
30 : 안전 손잡이 31 : 하부 손잡이
311 : 제1지지홀 312 : 제1지지축
313 : 핀홀 32 : 상부 손잡이
321 : 제2지지홀 322 : 제2지지축
33 : 제1힌지축 331 :제1힌지홀
40 : 지지블록 41: 제1링크
411 : 제1관통홀 412 : 제1돌출단
42 : 제2링크 421 : 제2관통홀
422 : 제2돌출단 43 : 제2힌지축
431 : 제2힌지홀 432 : 삽입홀
44 : 탄성부재 50: 안전핀

Claims (6)

  1. 밸브에 형성된 제1힌지축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와; 상기 하부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핀을 가압하는 상부 손잡이를 구비한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손잡이와 상기 상부 손잡이 사이에 결합되어 제2힌지축에 의해 중심이 접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축에 안전핀이 삽입되면 접히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상부 손잡이가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하부 손잡이에 형성된 제1지지축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링크와;
    상기 상부 손잡이에 형성된 제2지지축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링크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연결시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에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외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가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블록에 안전핀이 삽입되면 상기 안전핀이 중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안전핀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 손잡이가 상부 방면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가 일직선이 되는 경우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가 2~4도의 빗각이 형성되도록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은 상기 상부 손잡이를 가압할 때 상기 제1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2링크를 통해 상기 하부 손잡이 방면으로 전달하여 상기 안전핀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은 권취되어 있고 양단은 외면으로 돌출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삽입되거나 결합되어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복귀되어 안전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KR1020190022791A 2019-02-26 2019-02-26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KR10221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91A KR102218250B1 (ko) 2019-02-26 2019-02-26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91A KR102218250B1 (ko) 2019-02-26 2019-02-26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73A KR20200104173A (ko) 2020-09-03
KR102218250B1 true KR102218250B1 (ko) 2021-02-22

Family

ID=7246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791A KR102218250B1 (ko) 2019-02-26 2019-02-26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4521A1 (en) * 2021-01-29 2023-12-06 Tyco Fire Products LP Handle assembly for a portable fire suppres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618B1 (en) * 2001-09-18 2002-04-30 Chen-Hsin Yang Control switch for a fire extinguisher
KR20160012049A (ko) 2014-07-23 2016-02-02 임용태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KR101915713B1 (ko) * 2016-11-28 2018-11-06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73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7012B1 (en) Lower joint folding preventing device for one touch type dome shaped tent
KR102218250B1 (ko)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RU24719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верной руч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50226514A1 (en) Projectile Firing Building Element
EP0730102A1 (fr) Mousqueton à bague de verrouillage
US8056969B2 (en) Collapsible articles of furniture
FR2757774A1 (fr) Appareil antichute sur cable vertical
FR2957500A3 (fr) Articulations de lit pouvant automatiquement rester a l&#39;etat non verrouille
KR101915713B1 (ko)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JP6681469B2 (ja) 消火器の安全ハンドル及びその安全ハンドルを備えた消火器
EP2556269B1 (en) A mechanical fuse, a neck cord comprising a mechanical fuse and a method of connecting a mechanical fuse to a neck cord
CN113453767B (zh) 易于管理和使用的灭火器
US20170049193A1 (en) Web-connecting assembly having a release button
JP7144622B2 (ja) 管理及び使用が便利な消火器
EP3618662A1 (fr) Fermoir pour article de bijouterie et joaillerie
KR100715726B1 (ko) 절첩사다리용 힌지
KR100963121B1 (ko) 가압식 소화기 작동장치
JP5313199B2 (ja) 消火栓装置
KR20140036450A (ko) 최루탄 발사기의 접철 장치
KR102447664B1 (ko) 전기충격 기능을 갖는 다목적 스틱
WO2022054386A1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の接続機構
KR102649701B1 (ko) 난간 벽용 로프 피팅 장치
KR200400910Y1 (ko) 소화기용 안전핀의 복귀장치
JP3018629U (ja) 消火器保持用壁面ホルダー
TWI576157B (zh) Fire hydrant assembly for fire f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