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049A -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 Google Patents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049A
KR20160012049A KR1020140094187A KR20140094187A KR20160012049A KR 20160012049 A KR20160012049 A KR 20160012049A KR 1020140094187 A KR1020140094187 A KR 1020140094187A KR 20140094187 A KR20140094187 A KR 20140094187A KR 20160012049 A KR20160012049 A KR 20160012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blade
cutting edge
main body
lo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태
Original Assignee
임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태 filed Critical 임용태
Priority to KR102014009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049A/ko
Publication of KR2016001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25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scraper-buckets, dippers or sho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로서 버켓의 선단에 장삽본체부(10)와 장삽날부(100)로 이루어져 있다. 장삽날부(100)은 강철판으로 된 장삽날상단과 장삽날을 용접으로 접합한 것으로서 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장삽날 상단은 통상의 직각측면을 가진 강철판으로 하고 여기에 용접되는 장삽날 부분에는 지그재그형식의 홈을 구비토록 하여 용접되는 부위가 상기 지그재그 형식의 홈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장삽날 홈이 아닌 장삽날 면은 장삽본체와 장삽날이 체결될때 장삽본체와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철판에 형성된 홈은 철판을 자를때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고 또 용접은 쉽게 행할 수 있는 공정이므로 본 발명의 장삽날은 단순한 공정과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장삽날의 장삽날면이 직접 장삽본체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굴삭기 버켓작업시 3차원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장삽날과 장삽본체를 연결시키는 볼트에만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버켓 전체에 골고루 퍼지기 때문에 장삽날 탈부착구조의 파손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ADVANCED ATTACHABLE STRUCTURE FOR CUTTING EDGE OF BUCKET FOR THE EXCAVATOR}
본 발명은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굴삭기의 버켓 선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장삽날의 탈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통상의 굴삭기 작업에 사용되는 와이드버켓 선단부에 용접으로 부착하는 장삽본체부와 이 장삽본체부에 장삽날부가 탈부착될 수 있는 장삽날탈부착구조와 관련하여 굴삭기 작업중에 장삽날부 및 장삽본체부에 가해지는 3차원적인 충격에 장삽날탈부착구조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저렴한 비용및 간편한 공정으로 그러한 탈부착구조를 쉽게 생산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개선된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가 작업하는 도로공사, 하수도 공사, 식목공사, 땅파기, 토지개량,용수도, 바위분쇄, 토사이동 등의 여러작업을 하는데 있어 굴삭기 버켓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어태치먼트로서, 버켓은 이와 같이 여러가지 작업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계속되는 토사와의 마찰로 쉽게 마모가 되는데 특히 버켓의 선단인 장삽날 부분이 타부위에 비하여 심하게 마모가 되므로 버켓사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마모가 심한 장삽날 부분을 탈부착구조로 바꾸어 버켓에 바꿔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켓전체의 수명을 현저히 늘릴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왔다.
그런데 버켓과 이에 탈부착되는 장삽날을 단순히 볼트로 탈부착할 경우 굴삭기 버켓이 작업하면서 받게될 3차원충격이 거의 모두 볼트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쉽게 볼트가 부러지고 또 전체 장삽날탈부착구조가 파손되어 버켓을 사용할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러기에 실제로 거친 작업이 쉴새없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장에서는 이러한 장삽날 탈부착구조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버켓에 가해지는 3차원충격에 견딜수 있는 장삽날 탈부착구조를 발명하여 특허청에 등록한 바 있는데 특허 출원 제 10-2012-29691호로 출원된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가 그것이다.
이 종래의 기술은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에 사용되는 버켓에 장삽날을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버켓에 용접되는 좌우 장삽본체지지대(11,12)를 구비하고 있는 장삽본체(11) 와 이 장삽본체에 착탈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장삽날(111)로 이루어진 장삽날 탈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장삽본체(11)는 그 좌우측에 좌우 장삽본체지지대(12,13)를 구비하고 있으며, 버켓방향쪽 단부에는 돌출턱(19) 그리고 그 반대쪽에는 커팅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탈부착되는 장삽날(111)에는 좌우에 좌우 장삽날지지대(112,113)을 구비하고 중간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장삽본체(11)와 장삽날(111) 체결시에 상기 장삽본체의 돌출턱(19)이 버켓방향 장삽날(111)과 맞물려 결합되고 , 장삽본체(11)의 커팅부(18)는 장삽날(111)의 절곡부(118)와 맞물리어 장삽본체(11)의 하단면이 장삽날(111)의 하단면과 맞닿아 물리고록 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좌우 장삽본체지지대(12,13)가 장삽날지지대(112,113)와 키막대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되고 동시에 장삽본체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장삽날에 형성된 볼트구멍이 서로 볼트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같은 구성으로서 굴삭기 작업시에 굴삭기 버켓에 가해지는 무차별적인 3차원 충격은 장삽본체(11)와 장삽날(111)을 결합시키는 볼트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버켓에 고루고루 작용하게 되어 장삽날이 탈부착구조는 쉽게 파손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굴삭기 작업시 굴삭기 버켓에 작용하는 3차원적인 힘을 견딜 수 있기는 하나, 실제 생산현장에서 장삽날의 절곡부를 형성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절곡된 장삽날을 얻기 위해서는 처음 철강을 생산할 때 그러한 모양으로 만들던지 또는 큰 강판을 거대한 프레스로 철판에 압력을 가하여 형성하여야 하나 처음 철강을 생산하는 제철회사등 철강생산회사에서 그러한 모양을 만들기 어렵고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삽날은 두께가 두꺼워 어디서나 프레스로 쉽게 절곡을 하기도 어려워서 그러한 절곡부위를 구현하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나아가 장삽본체(11) 역시 상기 장삽날(111)의 절곡부위에 맞는 형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로 장삽날과 맞물리는 부위에 사선을 형성해주어야 하는데 통상적인 철판에 사선을 주는 것은 하나의 별도 공정이 필요한 것으로서 역시 비용상승과 공정추가의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강철판이 아니라, 특수하게 형상을 갖춘 철판을 미리 구비하여야 제작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비용상승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 서너가지의 공정이 추가됨으로 인해 시간상으로 그리고 작업속도상으로 생산성이 낮을 수 밖에 없어 종래 기술의 장삽날 탈부착구조는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 있는 기술로 인식되었으며 동 업계에서는 더나은 구조의 제품을 기대하는 요구가 증폭되기에 이르렀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 구현된 장삽날 구조는 내충격성을 높이는데 있어 이상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있기는 하나 실제 구현하는데에 있어서는 비용상승과 공정추가라는 두가지 문제점이 내포된 기술이기에 확포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출원인은 별도의 연구를 하지 않을 수 가 없었고 그 결과 여러가지의 시행착오끝에 본 발명을 재차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위의 기재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바람직한 구조를 가진 것이기는 하나 막상 생산현장에서 쉽게 제작할 수 없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철판을 가지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작업공정으로 만족할만한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누구든지 적은 비용으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탈부착가능한 장삽날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본원발명은 두꺼운 철판을 절곡해야 하는 방법을 아닌 용접으로 철판을 접합하더라도 종래의 내충격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장삽날 탈부착구조를 쉽게 제작할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 버켓의 사용가능년도수를 최대로 증가시킴으로서 궁극적으로 국가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정의 축소와 공정의 편이성으로 부터 저렴한 장삽날 탈부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저비용의 버켓용탈부착구조가 가능토록 하여 누구라도 쉽게 제작가능한 탈부착가능한 장삽날구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발명은 마모가 진행된 장삽날을 교체할때까지 장삽날이 장삽본체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대로의 원할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최대한 안정적인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절곡부를 구비한 장삽날 대신에 강철판으로 된 장삽날상단과 장삽날을 용접으로 접할 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장삽날 상단은 통상의 직각측면을 가진 강철판으로 하고 여기에 용접되는 장삽날 부분에는 지그재그형식의 홈을 구비토록 하여 용접되는 부위가 상기 지그재그 형식의 홈안쪽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결과 장삽본체와 장삽날이 체결될 때 장삽날의 장삽날면이 충격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장삽본체와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철판에 형성된 홈은 철판을 자를때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장삽날은 단순한 공정과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장삽날의 장삽날면이 직접 장삽본체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굴삭기 버켓작업시 3차원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장삽날과 장삽본체를 연결시키는 볼트에만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버켓 전체에 골고루 가해지기 때문에 장삽날 탈부착구조의 파손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통상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철판을 가지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작업공정으로 만족할만한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는 탈부착가능한 장삽날구조를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정의 축소와 공정의 편이성으로 부터 저렴한 장삽날 탈부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고도의 내충격성을 가진 개선된 굴삭기 버켓용탈부착구조가 가능토록 하여 굴삭기 버켓의 사용가능년도수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킴으로서 궁극적으로 국가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본발명은 마모가 진행되어 장삽날을 교체할때까지 장삽날이 장삽본체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원할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굴삭기 작업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서의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기술에서의 장삽본체와 장삽날이 결합상태를 설명해주는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굴삭기 버켓과 장삽본체부 와 장삽날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도의 굴삭기 버켓과 장바본체부 및 장삽날부를 분해상태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5는 본발명의 장잡날부에 있어서 장삽날상단(121)과 결합되는 부위에서의 여러가지 장삽날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설명도이다.
도6은 장삽날부와 장삽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7은 본발명의 장삽날부와 장삽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장삽날부와 장삽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장삽날부와 장삽본체가 버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버켓의 사시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도3은 본발명의 굴삭기 버켓(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의 단부에는 장삽본체부(10)과 장삽날부(100)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굴삭기에 사용되는 와이드 버켓은 처음 출고될 때에는 통상적으로 버켓에 장삽날이 일체로 형성되어 출고된다. 이와 같이 출고된 상태로 굴삭기 사용자는 처음 이 버켓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후 버켓의 선단이 마모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르르면 선단부를 잘라내고 본 발명의 장삽본체부(10)을 용접으로 부착한 다음 여기에 장삽날부(100)을 볼트로 탈부착하여 작업시마다 몇번이고 반복적으로 장삽날부(100)을 바꾸어 달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구조가 범용적으로 사용될 경우 버켓은 장삽본체부(10)을 부착된 채로 공장에서 출고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바로 장삽날부(100)을 탈부착하여 몇번이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통상적으로 굴삭기 버켓 작업을 할때 대부분 버켓 선단에서 마모가 일어나므로 이같이 장삽날을 반복적으로 갈아 끼우면서 사용할 경우 마모가 덜되는 버켓몸체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장삽날부(100)만을 바꾸어 달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버켓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본발명의 따른 장삽날 탈부착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제3도의 분해된 버켓을 밑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장삽날부(100)을 이루는 장삽날상단(121)과 장삽날(111)이 용접으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장삽날(111)은 장삽날상단(121)과 결합되는 부위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파여져서 장삽날상단(121)과 결합되어 있다.
즉 장삽날(111)에는 장삽날홈(333)과 장삽날면(334)가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용접시에 장삽날면(334)를 제외한 장삽날홈(333)에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삽날상단(121)과 결합되는 장삽날에 장삽날홈(3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되는 부위가 장삽날홈(333)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삽날면(334)가 생기게되어 장삽본체부(10)의 장삽본체(11)과 결합되었을때 장삽본체(11)의 우측면과 장삽날면(334)이 맞물리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반복되는 충격에 의한 장삽본체부(10)과 장삽날부(100)의 마모에서 오는 오차는 장삽본체부(10)과 장삽날부(100)의 접촉면에서 장삽날홈(333)과 장삽날면(334)의 위치를 바꾸어가면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장삽본체와 장삽날을 결합시키는 볼트에만 하중이 걸려 볼트가 부러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이 장삽본체(11)과 결합되는 부위에 장삽날(111)에 장삽날홈(333)을 형성하여 용접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서 장삽본체(11)의 우측면과 장삽날(111)의 장삽날면(334)가 직접 맞물리도록 하는 방법으로 그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인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강철판에 단순한 공정인 용접을 통해서 본 발명의 생산품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만약 장삽날(111)에 장삽날홈(333)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장삽날에 형성된 용접부위때문에 장삽본체(11)의 측면은 장삽날(111)의 측면과 완전히 맞물릴수 없으며 이같이 장삽날(111)과 장삽본체(11)가 완전히 맞물릴수 없다면 굴삭기 작업시 버켓에 가해지는 3차원 충격이 장삽날(111)과 장삽본체(11)를 결합하는 볼트에 집중되어 탈부착구조의 파손으로 이어지게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굴삭기의 버켓작업시에 버켓에 가해지는 충격이 장삽본체(11)의 볼트구멍(16)과 장삽날상단(121)의 볼트구멍(116)을 관통하는 볼트에만 힘이 가해지지 않고 이러한 충격이 버켓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기 위하여 장삽날(111)과 장삽본체(11)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 것이며 그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장삽날(111)에 용접부위를 위한 장삽날홈(333)을 형성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장삽날상단(121)과 장삽날(111)의 결합된 상태의 도면을 하단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 도5a는 장삽날홈(333)이 타원형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고 도5b는 장삽날면(334)이 장삽본체(11)와 더 많은 맞닿을수 있도록 마름모꼴로 장삽날홈(333)을 구성한 도면이다.
상기 두개의 도면에 도시된 장삽날(111)의 장삽날홈(333)에 용접이 되면 장삽날면(334)는 장삽본체와 결합되었을때 장삽본체의 측면과 더많은 면과 맞대어 있게되며 따라서 굴삭기에 가해지는 3차원적인 힘에 더욱 잘 견딜수 있게된다.
도시된 도면은 두가지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유사한 다른 형태의 홈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홈부를 숫자를 더 많이 형성하여 더많은 지그재그가 되도록 하는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형태와 숫자 변경은 본 발명의 요지에 모두 포함되는 개념의 것이므로 그러한 변경이 아무리 다양하다고 해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6은 본발명에 따른 장삽본체부(10)와 장삽날부(100) 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을 위해 버켓의 장삽본체(10)에 장삽날부(100)이 결합되면 장삽날(11)의 장삽날면(334)가 장삽본체(11)의 측면과 맞물리게되고 따라서 장삽본체(11)와 장삽날(111)이 볼트공(16)을 통해 고정되면 굴삭기 작업시 버켓에 가해지는 3차원적인 충격은 버켓에 고루 퍼지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라 장삽본체부(10)와 장삽날부(100)이 결합된 상태의 상태를 상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에서 장삽날상단(121)과 장삽날(111)은 용접선(119)를 따라 용접으로 접합된다. 나아가 보강판(107)이 장삽날상단(121)과 장삽날(111)이 결합에 의해 생겨난 직각부위에 용접으로 결합되게된다.
도면에서 각각 장삽본체와 장삽날은 좌우 장삽본체지지대(12,13)과 좌우 장삽지지대(112,113)이 볼트로 고정되며 장삽날상단(121)에 형성된 볼트구멍(116)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장삽본체(11)과 결합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구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7의 도면을 측면에서 바라본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의 도면은 한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나 주지하시다시피 다른 한쪽도 동일한 상태로 결합되는것이다.
버켓에 부착된 장삽본체부(10)은 장삽날부(100)이 결합되게 되는데 먼저 좌측 장삽본체지지대(12)와 좌측장삽날지지대(112)와 결합되고 이 두개의 지지대를 관통하는 지지대볼트공(26)에 볼트가 끼워져 결합된다.
나아가 장삽날상단(121)에 형성된 볼트공과 장삽본체(11)에 형성된 볼트공이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미도시). 이와 같이 결합되면 장삽날(111)의 장삽날면(334)는 장삽본체(11)과 완전히 맞물리게되고 따라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아울러, 장삽날상단(121)과 장삽날(111)은 용접으로 결합하게되는데 즉 상단에서는 장삽날상단(121)과 장삽날(111)이 접합하는 부위에서 용접이 되고 하단에서는 장삽날홈(333)에서 용접이 되게된다.
이러한 결과로 견고하게 접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장삽날의 장삽날면(334)는 장삽본체(11)의 측면과 맞물려서 굴삭기 작업시 버켓에 가해지는 3차원적인 충격을 버켓 전체에 고루고루 배분하게된다.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장삽날 탈부착구조가 적용된 버켓으로 장삽본체부(10)과 장삽날부(100)이 결합되어 작업에 투입되기전 상태를 보여주는 버켓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켓(1)은 좌우 좌우 장삽본체지지대(12,13) 및 좌우 장삽날지지대(112,113)가 볼트로 결합되어 있고 장삽날상단(121)이 장삽본체(11) 와 볼트로 결합되어 있을뿐 아니라, 장삽본체(11)가 하단에서 장삽날면(334)와 서로맞대어 있음으로서 견고한 결합력을 지지할 수 있게된다.
1: 버켓 10. 장삽본체부 11: 장삽본체
12: 좌측장삽본체지지대 13: 우측장삽본체지지대
16: 장삽본체 볼트공 19:돌출턱
26: 장삽본체지지대볼트공
100: 장삽날부 105: 마모패널
111: 장삽날 112:좌측장삽날지지대
113.우측장삽날지지대 119: 용접선
121: 장삽날상단
333: 장삽날홈 334: 장삽날면

Claims (3)

  1. 굴삭기에 버켓에 부착되어 있는 장삽본체부(10)와 장삽날부(100)로 이루어지는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에 있어서,
    장삽날부(100)는 좌우 장삽날지지대(112,113)를 구비하고 있는 장삽날상단(121)과 장삽날(111)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장삽날(111)이 장삽날상단(121)과 결합되는 부위에는 용접을 위한 장삽날홈(333)이 구비하고 있어 장삽날면(334)와 장삽날홈(333)이 지그재그로 교차되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장삽본체부(11)는 좌우장삽날지지대(12,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장삽본체(11)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장삽본체(11)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장삽날부(100)는 상기 장삽본체부(10)와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며 이때 장삽날(111)의 장삽날면(334)은 상기 장삽본체(11)의 일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삽날(111)이 장삽날상단(121)과 결합되는 부위의 장삽날홈(333)은 적어도 2개이상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되, 홈은 마름모 형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삽날(111)이 장삽날상단(121)과 결합되는 부위의 장삽날홈(333)은 적어도 2개이상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장삽날홈(333)은 타원형 또는 직각형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KR1020140094187A 2014-07-23 2014-07-23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KR20160012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87A KR20160012049A (ko) 2014-07-23 2014-07-23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87A KR20160012049A (ko) 2014-07-23 2014-07-23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49A true KR20160012049A (ko) 2016-02-02

Family

ID=5535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87A KR20160012049A (ko) 2014-07-23 2014-07-23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0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4452A (zh) * 2017-08-31 2017-12-29 中铁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开挖施工用修整设备及修整施工方法
CN107574849A (zh) * 2016-07-05 2018-01-12 天津卡斯特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铲斗
KR20180060015A (ko) 2016-11-28 2018-06-07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KR20200104173A (ko)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탑이엔씨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4849A (zh) * 2016-07-05 2018-01-12 天津卡斯特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铲斗
KR20180060015A (ko) 2016-11-28 2018-06-07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CN107524452A (zh) * 2017-08-31 2017-12-29 中铁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开挖施工用修整设备及修整施工方法
CN107524452B (zh) * 2017-08-31 2019-05-17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开挖施工用修整设备及修整施工方法
KR20200104173A (ko)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탑이엔씨 각도제어가 가능한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2049A (ko) 개선된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JP6316617B2 (ja) 掘削バケット及び土木機械
CN2802087Y (zh) 刨煤机刨刀
WO2013179521A1 (ja) 建設機械の掘削バケット
CN101395341B (zh) 在用于切割或磨削岩石或硬土层的切割刀片或磨碎机的主体上夹持齿的夹持器
JP2015521697A (ja) 解体及び建設の機器のための結合先端部材
CN103958791B (zh) 工程作业机械的挖掘铲斗
KR101725907B1 (ko) 환봉 절단용 절단구
KR101353152B1 (ko)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CN107075831A (zh) 具有磨损指示器的机具磨损构件
KR101543652B1 (ko) 굴삭기용 평탄작업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N104364446A (zh) 用于拆除工具的钳口组件
CN104350209A (zh) 用于拆除工具的钳口组件
CN104011303A (zh) 用于铲斗的附装件
CN110050102A (zh) 用于自动平地机的改进的松土机板
JP6226273B2 (ja) 土削機
CN203533173U (zh) 一种楔形连接板
CN203822162U (zh) 一种旋挖钻机及其钻斗
JP2012246735A (ja) ショベル系掘削機用ツース部材及びそのバケット
EP3374573B1 (en) Adapter system for cutting tooth
JP2009062714A (ja) 作業機ブーム
CN205712251U (zh) 用于平地机械的刀片及平地机械
JP2015001112A (ja) ケーシングビット及びケーシングパイプ
CN201010918Y (zh) 挖掘机加长臂杆结构
JP6226272B2 (ja) 土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