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691B1 -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691B1
KR102216691B1 KR1020200137259A KR20200137259A KR102216691B1 KR 102216691 B1 KR102216691 B1 KR 102216691B1 KR 1020200137259 A KR1020200137259 A KR 1020200137259A KR 20200137259 A KR20200137259 A KR 20200137259A KR 102216691 B1 KR102216691 B1 KR 10221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horn
motor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오
김재근
허승찬
박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퓨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퓨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퓨라
Priority to KR102020013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06Disassembling, repairing or modifying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는, 액추에이터의 원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과 체결된 채,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모터혼부, 상기 모터혼부와 연결되며,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모터혼부를 관통한 채,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되, 일측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는 축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볼트부는,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이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원동축에 체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착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 회전장치{Rotation apparatus for actuator}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터의 원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에너지를 공급받아 기계적인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모터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원동축에 프레임을 결합시켜야 하며,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원동축에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 요구된다.
종래의 모터 원동축과 프레임의 결합 방법은 대부분 중심부에 모터 원동축 형상의 포켓 가공이 된 혼을, 볼트를 이용하여 모터 원동축과 결합시키고, 결합된 혼과 프레임에 동일한 위치와 패턴을 가진 다수의 구멍을 가공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구멍 간의 결합을 통해 모터 원동축과 프레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결합방법은 분해, 결합에 다수의 볼트가 사용되며, 이는 분해, 결합 시 작업시간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수의 볼트를 사용하므로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볼트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중량을 감량하고 분해, 결합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모터 원동축 혼, 후면 보조축 혼, 프레임의 형상 및 결합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924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원동축의 움직임을 온전히 프레임에 전달시키면서도 분해, 결합 작업시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중량 또한 감량가능한 모터 원동축 혼, 후면 보조축 혼, 프레임의 형상 및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는, 모터의 원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과 체결된 채,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모터혼부, 상기 모터혼부와 연결되며,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모터혼부를 관통한 채,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되, 일측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는 축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볼트부는,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이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원동축에 체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착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의 상기 원동축은,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동축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홀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홀을 규정하는 내주면은 상기 톱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톱니대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는, 상기 모터혼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결합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1-1 평행부, 상기 제1-1 평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1-2 평행부 및 상기 제1-1 평행부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평행부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1 평행부와 상기 제1-2 평행부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평행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1 관통홀 및 상기 제1-1 관통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체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홀과 상기 복수의 제1 체결홀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홀과 상기 복수의 제1 체결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의 상기 모터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장착홀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모터혼본체부 및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의 양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장착홀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홀을 구비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혼부는,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의 곡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대응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혼본체부 및 상기 제1 결합혼본체부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홀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볼트부는, 제1 볼트머리부 및 상기 제1 볼트머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혼부는, 상기 연결홀삽입부가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의 곡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상기 곡면대응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결합혼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1 관통홀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상기 결합혼부에 상기 모터혼부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장착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2-1 평행부, 상기 제2-1 평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2-2 평행부 및 상기 제1-1 평행부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평행부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1 평행부와 상기 제2-2 평행부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평행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합입된 함입부 및 상기 함입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1 관통홀을 구비하고,상기 모터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장착홀을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1 관통홀은, 상기 모터혼부가 상기 함입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2 장착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는, 상기 모터혼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결합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3-1 평행부, 상기 제3-1 평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3-2 평행부 및 상기 제3-1 평행부의 일측단과 상기 제3-2 평행부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3-1 평행부와 상기 제3-2 평행부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3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1 평행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1 관통홀 및 상기 제3-1 관통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체결홀을 구비하며,상기 복수의 제3-2 관통홀과 상기 복수의 제3 체결홀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3-2 관통홀과 상기 복수의 제3 체결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3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 장착홀을 구비하는 제3 모터혼본체부 및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함입되는 날개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혼부는,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의 평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평면대응부를 구비하는 제3 결합혼본체부 및 상기 제3 결합혼본체부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합입홈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혼부는, 상기 함입홈삽입부가 상기 연결함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의 평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상기 평면대응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결합혼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1 관통홀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상기 결합혼부에 상기 모터혼부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3 장착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4-1 평행부, 상기 제4-1 평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4-2 평행부 및 상기 제4-1 평행부의 일측단과 상기 제4-2 평행부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4-1 평행부와 상기 제4-2 평행부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4-1 평행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4-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4 장착홀 및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함입된 돌출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4-1 관통홀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출대응부에 수용된 경우, 상기 제4 장착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원동축의 움직임을 프레임에 온전히 전달하면서도, 종래의 결합 구조 및 형상에 비해 분해, 결합 작업시간을 줄이고 중량을 감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증가 및 경량화의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의 착탈 구조로 다양한 형태의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작동 기작을 통해 액추에이터를 동작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는, 모터의 원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는, 모터혼부, 프레임부 및 축볼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는, 상기 원동축과 체결된 채,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모터혼부와 연결되며,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축볼트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모터혼부를 관통한 채,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되, 일측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원동축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볼트부는,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이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원동축에 체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착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동축은,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톱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동축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홀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홀을 규정하는 내주면은 상기 톱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톱니대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고,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며,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고,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1)는, 모터혼부(11), 프레임부(13), 축볼트부(15) 및 결합혼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혼부(17)는, 상기 모터혼부(11)와 상기 프레임부(1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1-1 평행부(131), 상기 제1-1 평행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1-2 평행부(132) 및 상기 제1-1 평행부(131)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평행부(13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1 평행부(131)와 상기 제1-2 평행부(1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1 연결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평행부(1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1 관통홀(131a) 및 상기 제1-1 관통홀(131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2 관통홀(13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혼부(17)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체결홀(171b)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홀(131b)과 상기 복수의 제1 체결홀(171b)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홀(131b)과 상기 복수의 제1 체결홀(171b)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1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장착홀(111a)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모터혼본체부(111) 및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111)의 양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장착홀(111a)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홀(113a)을 구비하는 날개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혼부(17)는,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111)의 곡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대응부(171a)를 구비하는 제1 결합혼본체부(171) 및 상기 제1 결합혼본체부(17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홀삽입부(1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볼트부(15)는, 제1 볼트머리부(151) 및 상기 제1 볼트머리부(151)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11)는, 상기 연결홀삽입부(173)가 상기 연결홀(113a)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111)의 곡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상기 곡면대응부(171a)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결합혼부(1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1 관통홀(131a)은, 상기 프레임부(13)에 결합된 상기 결합혼부(17)에 상기 모터혼부(11)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장착홀(111a)과 연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2)의 프레임부(2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2-1 평행부(231), 상기 제2-1 평행부(2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2-2 평행부(232) 및 상기 제1-1 평행부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평행부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1 평행부(231)와 상기 제2-2 평행부(2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2 연결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평행부(231)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합입된 함입부(231a) 및 상기 함입부(231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1 관통홀(23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2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장착홀(211)을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231a)와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관통홀(231b)은, 상기 모터혼부(21)가 상기 함입부(231a)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2 장착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축볼트부(25)는, 제2 볼트머리부(251) 및 상기 제2 볼트머리부(251)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연장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3)는 결합혼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혼부(37)는, 상기 모터혼부(31)와 상기 프레임부(3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3-1 평행부(331), 상기 제3-1 평행부(3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3-2 평행부(332) 및 상기 제3-1 평행부(331)의 일측단과 상기 제3-2 평행부(33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3-1 평행부(331)와 상기 제3-2 평행부(3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3 연결부(3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1 평행부(3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1 관통홀(331a) 및 상기 제3-1 관통홀(331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2 관통홀(33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혼부(37)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체결홀(371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혼부(37)는, 상기 복수의 제3-2 관통홀(331b)과 상기 복수의 제3 체결홀(371a)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3-2 관통홀(331b)과 상기 복수의 제3 체결홀(371a)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3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3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 장착홀(311a)을 구비하는 제3 모터혼본체부(311) 및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311)의 양측면으로부터 함입되는 날개함입부(3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혼부(37)는,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311)의 평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평면대응부(371b)를 구비하는 제3 결합혼본체부(371) 및 상기 제3 결합혼본체부(37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함입홈삽입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31)는, 상기 함입홈삽입부(373)가 상기 날개함입부(313)에 삽입되어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311)의 평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상기 평면대응부(371b)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결합혼부(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1 관통홀(331a)은, 상기 프레임부(33)에 결합된 상기 결합혼부(37)에 상기 모터혼부(31)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3 장착홀(311a)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축볼트부(35)는, 제3 볼트머리부(351) 및 상기 제3 볼트머리부(351)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연장부(35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회전장치(4)의 프레임부(4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4-1 평행부(431), 상기 제4-1 평행부(4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4-2 평행부(432) 및 상기 제4-1 평행부(431)의 일측단과 상기 제4-2 평행부(43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4-1 평행부(431)와 상기 제4-2 평행부(4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4 연결부(4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1 평행부(431)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431a)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4-1 관통홀(43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혼부(4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4 장착홀(411) 및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돌출부(431a)와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함입된 돌출대응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1 관통홀(431b)은, 상기 돌출부(431a)가 상기 돌출대응부(413)에 수용된 경우, 상기 제4 장착홀(4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축볼트부(45)는, 제4 볼트머리부(451) 및 상기 제4 볼트머리부(451)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4 연장부(4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2, 3, 4: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11, 21, 31, 41: 모터혼부
13, 23, 33, 43: 프레임부
15, 25, 35, 45: 축볼트부
17, 37: 결합혼부

Claims (7)

  1. 액추에이터의 원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과 체결된 채,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모터혼부;
    상기 모터혼부와 연결되며, 상기 원동축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모터혼부를 관통한 채,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되, 일측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는 축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볼트부는,
    상기 원동축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이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원동축에 체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원동축으로부터의 착탈 및 상기 모터혼부의 상기 프레임부로부터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은,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혼부는,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동축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홀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홀을 규정하는 내주면은 상기 톱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톱니대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혼부(11)와 상기 프레임부(13)를 연결하는 결합혼부(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1-1 평행부(131), 상기 제1-1 평행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1-2 평행부(132) 및 상기 제1-1 평행부(131)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평행부(13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1 평행부(131)와 상기 제1-2 평행부(1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1 연결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평행부(1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1 관통홀(131a) 및 상기 제1-1 관통홀(131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2 관통홀(131b)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혼부(17)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체결홀(171b)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홀(131b)과 상기 복수의 제1 체결홀(171b)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2 관통홀(131b)과 상기 복수의 제1 체결홀(171b)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혼부(1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장착홀(111a)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모터혼본체부(111) 및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111)의 양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장착홀(111a)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홀(113a)을 구비하는 날개부(113)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혼부(17)는,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111)의 곡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대응부(171a)를 구비하는 제1 결합혼본체부(171) 및 상기 제1 결합혼본체부(17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홀삽입부(173)를 구비하고,
    상기 축볼트부(15)는,
    제1 볼트머리부(151) 및 상기 제1 볼트머리부(151)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153)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혼부(11)는,
    상기 연결홀삽입부(173)가 상기 연결홀(113a)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모터혼본체부(111)의 곡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상기 곡면대응부(171a)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결합혼부(17)와 연결되고,
    상기 제1-1 관통홀(131a)은,
    상기 프레임부(13)에 결합된 상기 결합혼부(17)에 상기 모터혼부(11)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장착홀(111a)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2-1 평행부(231), 상기 제2-1 평행부(2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2-2 평행부(232) 및 상기 제2-1 평행부(231)의 일측단과 상기 제2-2 평행부(23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1 평행부(231)와 상기 제2-2 평행부(2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2 연결부(235)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평행부(231)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합입된 함입부(231a) 및 상기 함입부(231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1 관통홀(231b)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혼부(2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장착홀(211)을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231a)와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1 관통홀(231b)은,
    상기 모터혼부(21)가 상기 함입부(231a)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2 장착홀(211)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혼부(31)와 상기 프레임부(33)를 연결하는 결합혼부(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3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3-1 평행부(331), 상기 제3-1 평행부(3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3-2 평행부(332) 및 상기 제3-1 평행부(331)의 일측단과 상기 제3-2 평행부(33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3-1 평행부(331)와 상기 제3-2 평행부(3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3 연결부(335)를 구비하며,
    상기 제3-1 평행부(3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1 관통홀(331a) 및 상기 제3-1 관통홀(331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2 관통홀(331b)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혼부(37)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체결홀(371a)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3-2 관통홀(331b)과 상기 복수의 제3 체결홀(371a)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3-2 관통홀(331b)과 상기 복수의 제3 체결홀(371a)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3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33)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혼부(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 장착홀(311a)을 구비하는 제3 모터혼본체부(311) 및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311)의 양측면으로부터 함입되는 날개함입부(313)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혼부(37)는,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311)의 평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평면대응부(371b)를 구비하는 제3 결합혼본체부(371) 및 상기 제3 결합혼본체부(37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합입홈삽입부(373)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혼부(31)는,
    상기 합입홈삽입부(373)가 상기 날개함입부(313)에 삽입되어 상기 제3 모터혼본체부(311)의 평면으로 형성된 상측면과 상기 평면대응부(371b)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결합혼부(37)와 연결되고,
    상기 제3-1 관통홀(331a)은,
    상기 프레임부(33)에 결합된 상기 결합혼부(37)에 상기 모터혼부(31)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3 장착홀(311a)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43)는,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4-1 평행부(431), 상기 제4-1 평행부(4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평탄면을 제공하는 제4-2 평행부(432) 및 상기 제4-1 평행부(431)의 일측단과 상기 제4-2 평행부(43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4-1 평행부(431)와 상기 제4-2 평행부(43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채,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4 연결부(435)를 구비하며,
    상기 제4-1 평행부(431)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431a) 및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4-1 관통홀(431b)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혼부(4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4 장착홀(411) 및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돌출부(431a)와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함입된 돌출대응부(413)를 구비하며,
    상기 제4-1 관통홀(431b)은,
    상기 돌출부(431a)가 상기 돌출대응부(413)에 수용된 경우, 상기 제4 장착홀(411)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KR1020200137259A 2020-10-22 2020-10-22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KR10221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59A KR102216691B1 (ko) 2020-10-22 2020-10-22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59A KR102216691B1 (ko) 2020-10-22 2020-10-22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691B1 true KR102216691B1 (ko) 2021-02-17

Family

ID=7473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59A KR102216691B1 (ko) 2020-10-22 2020-10-22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6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186A (ko) * 1999-12-03 2001-07-02 이충전 전동모터
KR20040066672A (ko) * 2003-01-20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고정장치
KR101992439B1 (ko) 2018-09-14 2019-09-30 이진수 이중구동 한 방향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186A (ko) * 1999-12-03 2001-07-02 이충전 전동모터
KR20040066672A (ko) * 2003-01-20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고정장치
KR101992439B1 (ko) 2018-09-14 2019-09-30 이진수 이중구동 한 방향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591B1 (ko) 보조 펌프 구조
CN107108028B (zh) 桨夹、折叠桨、动力套装及无人机
EP2273143A1 (en) Generator flexible drive coupling
KR102216691B1 (ko) 액추에이터 회전장치
CN110303824B (zh) 驱动桥的壳体构件
EP3868521A1 (en) Tool changing system of robot manipulator
US11394271B2 (en) Electric working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210126514U (zh) 加解锁组件、换电平台和换电站
CN106025624A (zh) 移动终端和柔性电路板的连接固定装置
CN106585978B (zh) 一种固定桨组件
KR20080023042A (ko) 자동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허브와 기어펌프의 연결구조
CN218728618U (zh) 一种用于鼓芯的驱动结构及硒鼓结构
CN214069678U (zh) 定子块及包括其的风力发电机
CN220101973U (zh) 传动连接组件及执行器
CN218449745U (zh) 一种快速插接式电机
CN220535980U (zh) 无人机
CN212318719U (zh) 一种新型高强度齿轮
CN215908020U (zh) 一种驱动装置及电动工程机械
CN219893034U (zh) 电机转子卡件及雨刮电机
CN218209426U (zh) 一种组合式墙灯的连接件结构及组合式墙灯
CN218335454U (zh) 拼装式无刷电机定子组件
CN219961022U (zh) 一种带有隔板电控执行器
CN113483031B (zh) 一种用于防泥沙的联轴器与甩水环一体化结构
JPH09269013A (ja) 軸継手
CN213144959U (zh) 具有快拆功能的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