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639B1 -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 Google Patents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639B1
KR102216639B1 KR1020170077128A KR20170077128A KR102216639B1 KR 102216639 B1 KR102216639 B1 KR 102216639B1 KR 1020170077128 A KR1020170077128 A KR 1020170077128A KR 20170077128 A KR20170077128 A KR 20170077128A KR 102216639 B1 KR102216639 B1 KR 10221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driver
affiliated store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756A (ko
Inventor
김학해
김동현
한종헌
김승현
송정윤
Original Assignee
김학해
김동현
한종헌
김승현
송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해, 김동현, 한종헌, 김승현, 송정윤 filed Critical 김학해
Priority to KR102017007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63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배달중개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은, 가맹점의 배달 요청에 따라, 각각 특정 구역 내의 배달기사를 관리하는 복수의 구역관제서버 중 상기 가맹점이 소속된 특정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하는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 상기 선택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상기 구역관제서버가 관할하는 구역 내에서 활동 중인 배달기사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획득하는 배달기사 DB 관리부 및 상기 획득된 배달기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배달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Delivery intermediat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별 구역을 관할하는 구역관제서버와의 협업을 통하여 배달을 수행하는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각 종 배달서비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음식물 배달 서비스는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음식을 배송 받을 수 있다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배달 서비스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배달 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는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한국 특허 10-2012-00766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단위 구역 별로 빠른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타 구역에 소속된 배달기사를 통하여 그 기사를 중심으로 특정 거리 내 인접 타 구역에서 빠른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달기사의 근무태도를 반영한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송 중 사고와 같은 돌발 상황이 대처 가능한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입체적인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합리적인 비용 정산이 가능한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은, 가맹점의 배달 요청에 따라, 각각 특정 구역 내의 배달기사를 관리하는 복수의 구역관제서버 중 상기 가맹점이 소속된 특정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하는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 상기 선택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상기 구역관제서버가 관할하는 구역 내에서 활동 중인 배달기사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획득하는 배달기사 DB 관리부 및 상기 획득된 배달기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배달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기사정보는, 배달기사의 위치정보 및 배달기사의 근무태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되, 배달기사의 근무태도정보가 불량한 경우, 배달정보 제공 시점을 미리 정해진 시간 지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달기사가 상기 배달 요청을 수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로부터 사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와 가깝고 근무태도정보가 우수한 특정 배달기사에게 상기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정의 배달 요청은, 배달 준비에 소요되는 준비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에 의하여 제공된 배달정보에 따라 특정 배달기사가 배달을 수락한 경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특정 배달기사가 상기 가맹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맹점에게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배달상태정보는, 배차 대기, 배차, 배달 진행 및 배달 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실시간으로 상기 배달상태정보를 상기 가맹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상태정보가 배차 또는 배달 진행인 경우, 배달 완료 시까지 예상되는 시간 정보 및 배달기사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상태정보가 배차 대기인 경우, 예상되는 배차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요금정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달정보에 따라 배달기사가 배달을 완료한 경우, 상기 요금정산부는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배달료를 지급받아 상기 배달료의 적어도 일부를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에게 지급하며,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가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구역관제서버의 설정에 따라, 상기 구역관제서버에 비-소속된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가 상기 구역관제서버의 관할 구역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배달정보를 상기 구역관제서버에 비-소속된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요금정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역관제서버에 비-소속된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가 배달을 완료한 경우, 상기 요금정산부는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배달료를 지급받아 상기 배달료의 적어도 일부를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에게 지급하며, 상기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방법은, 가맹점으로부터 배달 요청이 있는 경우,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는 복수의 구역관제서버 중 상기 가맹점을 관리하는 특정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배달기사 DB 관리부가, 상기 선택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활동 중인 배달기사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배달정보 관리부가 상기 획득된 배달기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기사정보는, 배달기사의 위치정보 및 배달기사의 근무태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되, 배달기사의 근무태도가 불량한 경우, 배달정보 제공 시점을 미리 정해진 시간 지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달기사가 상기 배달 요청을 수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로부터 사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배달기사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와 가깝고 근무태도가 우수한 특정 배달기사에게 상기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배달 요청은, 배달 준비에 소요되는 준비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에 의하여 제공된 배달정보에 따라 특정 배달기사가 배달을 수락한 경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특정 배달기사가 상기 가맹점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가, 상기 가맹점 또는 배달 주문자에게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배달상태정보는, 배차 대기, 배차, 배달 진행 및 배달 완료를 포함하는 배달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달상태정보는 배달이 완료되기 전인 경우, 배달 완료까지 소요되는 예상시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에 따라 배달기사가 배달을 완료한 경우, 요금정산부가,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배달료를 지급받아 상기 배달료의 적어도 일부를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에게 지급하며,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가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는 요금정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구역관제서버의 설정에 따라, 상기 구역관제서버에 비-소속된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가 상기 구역관제서버의 관할 구역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배달정보를 상기 구역관제서버에 비-소속된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역관제서버에 비-소속된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가 배달을 완료한 경우, 요금정산부가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배달료를 지급받아 상기 배달료의 적어도 일부를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에게 지급하며, 상기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달을 요청한 가맹점이, 상기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로 수수료를 지급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정산부가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은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맹점의 배달 요청에 따라, 각각 특정 구역 내의 배달기사를 관리하는 복수의 구역관제서버 중 상기 가맹점이 소속된 특정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하는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 상기 선택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상기 구역관제서버가 관할하는 구역 내에서 활동 중인 배달기사정보를 획득하는 배달기사 DB 관리부 및 상기 획득된 배달기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배달정보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각 관할 구역을 관리하는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소속된 배달기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단위 구역 별로 빠른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무태도정보를 포함하는 배달기사정보를 고려하여 배달정보를 각 배달기사에게 제공함으로써, 배달기사의 근무태도 및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달 준비에 소요되는 준비시간정보 및 배달기사의 이동시간정보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스케줄링의 용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위 주문 별로,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배달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우에 따라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를 활용함으로써, 배달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합리적인 배달 요금 정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동기 부여를 통한 배달중개시장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역관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상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역관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100)은 각각의 구역을 관할하는 구역관할서버(200, 3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역관할서버(200, 300)는 해당 구역 내의 가맹점 및 배달기사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구역을 관할하는 구역관할서버(200)는 A구역에 소속된 가맹점(212, 214) 및 배달기사(222,224,226)를 관리할 수 있고, B구역을 관할하는 구역관할서버(300)는 B구역에 소속된 가맹점(312,314,316) 및 배달기사(322,324)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맹점은 음식점일 수 있다. 가맹점을 음식점으로 보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가맹점의 종류는 음식점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송을 필요로 하는 어떠한 업종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시스템(100)은 가맹점으로부터 주문 요청이 있는 경우,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할서버로부터 활동 중인 배달기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배달기사정보에 기초하여 구역에 소속된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주문을 요청한 가맹점과 배달기사의 거리 및/또는 배달기사의 근무태도를 고려하여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배달중개시스템(100)을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달중개시스템(100)은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 가맹점 위치 DB(120), 배달기사 DB(130), 배달정보 관리부(140) 및 요금정산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 해당 가맹점이 어느 구역관제서버의 관할 내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는 각각의 구역관제서버가 관할하는 가맹점 리스트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는 개별 구역관제서버가 관리하는 가맹점 ID를 데이터베이스로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가맹점으로부터 주문 요청이 있는 경우,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는, 가맹점의 ID를 파싱(parsing)하여 어느 구역관제서버의 관할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위치 DB(120)는 가맹점 별 위치를 데이터베이스로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가맹점 위치 DB(120)로부터 해당 가맹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가맹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에게 우선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달기사 DB(130)는, 배달기사정보 예를 들어, 개발 배달기사의 위치 및 근무태도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달기사 DB(130)는 구역관할서버로부터 해당 구역에 소속된 개별 배달기사의 위치 및 근무태도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가맹점으로부터 배달 요청이 있는 경우, 배달기사가 배정되도록 하며,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으로부터 배달 요청이 있는 경우, 배달 요청 정보를 상술한,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로 제공하여 해당 구역관제서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파악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배달기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획득된 배달기사정보를 상기 배달기사 DB(130)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상기 가맹점 위치 DB(120)와 배달기사정보를 활용하여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배달기사정보에게 우선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기사의 근무태도를 고려하여 근무태도가 불량한 경우, 배달정보 제공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되, 배달기사의 근무태도가 불량한 경우, 배달정보 제공 시점을 미리 정해진 시간 지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근무태도가 불량한 배달기사에게는 배달정보를 수 분(several minutes) 또는 수 초(several seconds) 늦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기사가 배달 요청을 수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달기사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와의 거리 및 근무태도를 고려하여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기사가 배달 요청을 수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달기사정보를 고려하여,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와 가깝고 근무태도가 우수한 특정 배달기사에게 상기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배송 시 발생하는 사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는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로 예를 들어,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고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관련 정보는 사고 발생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시간 정보, 배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달정보관리부(140)는 사고 관련 정보를 획득한 경우, 후술할 해당 배달기사가 소속된 구역관리서버로 사고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고라 함은, 배달이 불가해진 어떤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배달 교통 사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과 관련된 스케줄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가맹점으로부터 배달 요청을 받을 때, 배달 준비에 소요되는 준비시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특정 배달기사가 배달을 수락한 경우, 배달기사의 현재 위치에서 가맹점까지 도달하는 이동시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상태정보를 주문자 또는 가맹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요금정산부(150)는 배달이 완료된 경우, 가맹점, 구역관제서버, 배달중개시스템 사이에서 요금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금정산부(150)는 배송이 완료된 경우, 가맹점으로부터 배송료를 지급받아, 배송을 완료한 배달기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금정산부(150)는 해당 구역관할서버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상, 배달중개시스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구역관할서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 구역관할서버(200)와 B 구역관할서버(300)는 서로 대응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 구역관할서버(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역관할서버(200)는, 배달기사 관리부(230) 및 요금정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기사 관리부(230)는 구역관할서버(200)가 관리하는 A 구역 소속 배달기사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배달기사 관리부(230)는 배달기사의 출근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달기사 관리부(230)는 근무태도 관리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무태도 관리부(232)는 배달기사 별 근무태도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근무태도정보라 함은, 해당 배달기사의 근무 성실도에 관련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출근 정보, 배달 완료 후 고객 평가, 배달 수락 시 가맹점까지의 이동시간 내 이동했는지 여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배달기사 관리부(230)는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배달기사정보를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요금정산부(240)는 배달이 완료된 경우, 가맹점, 구역관제서버, 배달중개시스템 사이에서 요금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금정산부(240)는 배달을 요청한 가맹점으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요금정산부(240)는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선 지급받은 금액 중 배달 건 수 에 따른 비용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요금정산부(240)는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로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이상 간단하게, 구역관할서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앞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배달중개시스템 및 구역관할서버의 기능은 설명한 기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설명에 따른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방법이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 구역에 소속된 가맹점(212)가 주문을 요청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방법은, 가맹점이 배달중개시스템에게 배달을 요청하는 배달 요청단계(S100), 배달중개시스템이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하는 단계(S110), 배달중개시스템이 구역관제서버에 배달기사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20), 구역관제서버가 배달기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0), 배달중개시스템이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40), 특정 배달기사가 배달을 수락하는 단계(S150) 및 배달중개시스템이 가맹점 및/또는 주문자에게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맹점(212)은 배달중개시스템(100)에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가맹점(212)은 주문자로부터 음식물 배달 요청을 받은 경우, 배달중개시스템(100)에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가맹점(212)은 가맹점 ID, 배달 목적지 정보, 결제 정보 및 배달 준비시간정보를 함께 배달중개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배달 준비시간정보라 함은, 가맹점에서 배송을 위하여 준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은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S110).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의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는, 가맹점 ID에 기반하여, 배달을 요청한 가맹점이 어느 구역관제서버의 관할 내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212)이 A 구역에 속하는 가맹점이기 때문에,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110)는 A 구역관제서버(200)를 선택할 수 있다.
배달중개시스템은 구역관제서버에 배달기사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20). 배달중개시스템(100)의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A 구역관제서버(200)로 A 구역 내에 활동 중인 배달기사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역관제서버는 배달중개시스템으로 배달기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30). 상기 구역관제서버(200)의 배달기사 관리부(230)는 A 구역 내에 활동 중인 배달기사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배달기사정보는 활동 중인 배달기사 ID, 각 배달기사의 현재 위치, 각 배달기사의 근무태도정보, 현재 배달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중개시스템은 적어도 한 명의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40). 배달중개시스템(100)의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기사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을 요청한 가맹점(212)과 현재 위치가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상기 가맹점 위치 DB(120)로부터 가맹점(212)의 위치를 파악하고, 배달기사정보에 기반하여 파악된 가맹점(212)의 위치와 가까운 배달기사에게부터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기사의 근무태도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맹점(212)의 위치를 기준으로 배달기사(222)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그 다음으로 배달기사(224)가 가까이 위치하고, 그 다음으로 배달기사(226)이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상기 가맹점(212)와 가장 가까운 배달기사(222)에게 먼저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후에 배달기사(224)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하고,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후에 배달기사(226)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은, 1분 30초, 1분, 30초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이에 위치한 배달기사부터 배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배달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달기사(222), 배달기사(224), 배달기사(225)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받는 배달기사(222) 및/또는 배달기사(224)는 배달을 원하지 않는 경우 배달거절 메시지를 배달중개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달기사 간의 배달정보를 제공받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배달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배달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배달기사는 배달의 신속성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근무태도에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배달 준비시간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212)가 제공한 배달 준비시간이 10분인 경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10분 이내에 상기 가맹점(212)에 도달할 수 있는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가 집중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배달기사(222)와 배달기사(224)는 가맹점(212)로부터 10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고, 배달기사(226)은 20분 거리에 위치한 경우, 배달정보 제공부(140)는 배달기사(222), 배달기사(224)에게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고, 배달 수락이 없는 경우, 다시 배달기사(222), 배달기사(224)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배달기사(226)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과 가까이 위치한 배달기사가 배달정보를 놓친 경우를 고려함으로써, 배달의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맹점(212)의 위치를 기준으로 배달기사(222)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그 다음으로 배달기사(224)가 가까이 위치하고, 그 다음으로 배달기사(226)이 위치하고 있다. 이 때 배달기사(224)는 근무태도가 불량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원칙적으로 가맹점과 배달기사의 거리를 고려하여 배달정보를 순차적으로 배달기사에게 제공하지만, 배달기사의 근무태도가 불량한 경우, 배달정보 제공 시점을 지연하거나 배달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배달정보 제공 시점을 연기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즉,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가맹점(212)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달기사(222)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하고, 배달기사(222)가 배달을 수락하지 않는 경우, 배달기사(224)가 아니라 배달기사(226)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배달기사(226)도 배달을 수락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배달기사(224)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무태도가 불량한 배달기사에게 불이익을 줌으로써, 배달중개서비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은 배달기사정보의 현재 배달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배달을 수행 중인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은 현재 배달을 수행 중인 배달기사에게는 배달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은 특정 배달기사가 현재 배달을 수행 중인 경우라 하더라도, 배송준비시간 내에 배송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달중개시스템(100)은 상기 배송준비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배송준비시간 내에 배송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달중개시스템(100)은 현재 배달을 수행 중인 배달기사가 동시에 수행 중인 배달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지를 기준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중개시스템(100)은 특정 배달기사의 동시 배달 건 수가 3건 이상인 경우, 거리에 관계없이 배달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특정 배달기사에게 지나치게 배달 건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동시에 수행 가능한 배달 개수는 배달기사의 근무태도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태도가 우수한 경우는 근무태도가 나쁜 경우에 비하여 동시에 수행 가능한 배달 개수가 많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배달기사가 배달을 수락할 수 있다(S150). 배달을 수락한 배달기사는 배달수락신호를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배달수락신호는 배달기사가 가맹점(212)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시간정보는 현재의 배달기사 위치와 가맹점(212)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계산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배달기사가 임의로 입력할 수도 있다.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은 배달기사로부터 배달을 수락받은 경우, 배달상태정보를 가맹점 및/또는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6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맹점에게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배달상태정보는 배달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써, 배차 대기, 배차, 배달 진행 및 배달 완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차 대기라 함은, 가맹점으로부터 주문 처리 요청이 들어왔지만 배차는 대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배차는 배달기사가 배달을 수락하여 가맹점으로 이동 중인 상태를 말하며, 배달 진행은, 배달기사가 배달물을 수령하여 배달을 수행 중인 상태를 말하며, 배달 완료는 배달기사가 배달을 완료한 상태를 말한다. 이 때, 배달상태정보가 배차 대기 또는 배차인 경우는, 단계 S100 이후 가맹점 및/또는 주문자에게 배달상태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달상태정보는 배달과 관련된 대기 시간 등 입체적인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배달상태정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상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가맹점에서 배달상태를 확인하는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주문 1 내지 주문 5가 요청된 상태이며, 주문1 및 주문2는 배차 대기 상태, 주문 3은 배차 상태, 주문 4는 배달 진행 상태, 주문 5는 배달 완료 상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주문1 및 주문2과 같이 배차 대기 상태의 경우, 배차까지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달준비시간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주문3과 같이 배차 상태인 경우, 배달 완료까지 소요되는 예상 시간, 배달기사가 가맹점까지의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정보, 배달기사의 현재 위치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주문4의 배달 진행 상태인 경우, 배달 완료까지 예상되는 소요 시간 정보 및 배달기사의 현재 위치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주문5의 배달 완료 상태인 경우, 주문자 및/또는 가맹점이 평가한 배달 평점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배달기사의 현재 위치정보는 시각적인 인식을 위하여 지도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140)는 실시간으로 배달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지속적으로 가맹점에게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가맹점은 배달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차 대기 상태인 경우, 배차 예정 시간을 고려하여 배달 준비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진행 상태인 경우, 주문자에게 정확하게 언제 배달기사가 도착할 수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달기사가 배달 업무 수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배달정보 관리부는 사고가 발생한 배달기사와 가깝고 근무태도정보가 우수한 특정 배달기사에게 사고에 의하여 중지된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지속적으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해당 구역 내의 배달기사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 특히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배달이 불가해진 경우, 자동적인 배달 인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문 후 주문 내용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변경된 주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배달정보 관리부는 변경된 주문 정보를 구역관제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달중개시스템은 특정 배달기사가 현재 담당하고 있는 배달건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배달정보 제공의 판단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은, 가맹점이 구역관리서버에 수수료를 제공하는 단계(S200), 가맹점이 배달중개시스템에 배달료를 지급하는 단계(S210), 배달중개시스템이 적어도 일부의 배달료를 배달기사(220)에게 제공하는 단계(S220), 배달기사가 구역관리서버에 수수료를 지급하는 단계(S230) 및 구역관리서버가 배달중개시스템에 수수료를 지급하는 단계(S2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맹점은 구역관리서버에 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다(S200). 이는 구역관리서버가 가맹점의 배달 요청을 대응하기 위하여 배달기사를 관리하는데 소용되는 경비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맹점은 구역관리서버 운영 주체에게 선금을 지급하고 수수료 발생시에 선금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맹점은 배달중개시스템에 배달료를 지급할 수 있다(S210). 배달이 완료된 경우, 가맹점은 가맹점의 위치로부터 배달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배달료를 산정하여 지급할 수 있다.
배달중개시스템은 적어도 일부의 배달료를 배달기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S220). 즉, 상기 배달중개시스템(100)의 요금정산부(150)는 가맹점으로부터 제공받은 배달료의 적어도 일부를 배달기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배달기사는 구역관리서버에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S230). 이는 구역관리서버가 배달기사를 관리하는데 대한 수수료일 수 있다.
구역관리서버는 배달중개시스템에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S240). 이는 배달중개시스템이 제공한 배달중개인프라에 대한 수수료일 수 있다.
비용정산방법의 각 단계는 반드시 순서대로 진행될 필요는 없으며,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은, 배달 완료 이후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은, 펌뱅킹(firm banking)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역관리서버 및/또는 배달중개시스템에 수수료를 지급한다고 함은, 구역관리서버의 운영자 및/또는 배달중개시스템의 운영자에게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달중개방법은, 가맹점이 배달중개시스템에게 배달을 요청하는 배달 요청단계(S300), 배달중개시스템이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하는 단계(S310), 배달중개시스템이 구역관제서버에 배달기사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320), 방송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330), 방송모드에 따라 구역관제서버가 배달기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40), 배달중개시스템이 배달기사에게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50), 특정 배달기사가 배달을 수락하는 단계(S360) 및 배달중개시스템이 가맹점 및/또는 주문자에게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 예의 단계 중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부분을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한 실시 예에서는 방송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330) 및 방송모드에 따라 배달기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4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역관제서버(200)는 배달기사정보를 요청받은 경우(S320), 방송모드를 판단하고(S330). 판단된 방송모드에 따라 배달기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40).
방송모드는, 특정 구역관제서버 운영 주체와 계약된 배달기사에게만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제1 방송모드 및 특정 구역관제서버 운영 주체와 계약되지는 않았으나, 구역관제서버의 관내에 위치한 배달기사에게도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제2 방송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 구역 내에 A 구역관제서버(200)와 계약된 배달기사(222, 224, 226) 외에 B 구역관제서버(300)와 계약된 배달기사(322)도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A 구역관제서버(200)는 방송모드에 따라 배달기사(322)의 배달기사정보를 배달중개시스템(100)으로 제공할지 또는 제공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A 구역관제서버(200)가 제1 모드로 설정된 경우, A 구역관제서버(200)는 배달기사(322)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배달중개시스템(100)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배달중개시스템(100)은, 가맹점(212)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배달기사(222), 배달기사(224), 배달기사(226) 순서로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A 구역관제서버(200)가 제2 모드로 설정된 경우, A 구역관제서버(200)는 배달기사(322)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배달중개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달중개시스템(100)은, 가맹점(212)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배달기사(222), 배달기사(224), 배달기사(322), 배달기사(226) 순서로 배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 구역관제서버(200)가 제2 모드로 설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타 구역 배달기사(322)의 근무태도가 불량한 경우, 배달기사정보를 배달중개시스템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B 구역 소속 배달기사(322)가 배달을 수행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은, 가맹점이 자신이 소속된 구역관리서버에 수수료를 제공하는 단계(S400), 가맹점이 배달중개시스템에 배달료를 지급하는 단계(S410), 배달중개시스템이 적어도 일부의 배달료를 배달기사에게 제공하는 단계(S420), 배달기사가 자신이 소속된 구역관리서버에 수수료를 지급하는 단계(S430) 및 가맹점이 소속된 구역관리서버가 배달중개시스템에 수수료를 지급하는 단계(S4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구역 소속 배달기사의 활용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은, 배달 완료 이후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정산방법은, 펌뱅킹(firm banking)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역관리서버 및/또는 배달중개시스템에 수수료를 지급한다고 함은, 구역관리서버의 운영자 및/또는 배달중개시스템의 운영자에게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배달중개시스템과 구역관제서버를 별개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배달중개시스템
200, 300: 구역관제서버
212, 214, 216 : A 구역 가맹점
222, 224 : A 구역 배달기사
312, 314 : B 구역 가맹점
322, 324 : B 구역 배달기사

Claims (1)

  1. 가맹점의 배달 요청에 따라, 각각 특정 구역 내의 배달기사를 관리하는 복수의 구역관제서버 중 상기 가맹점이 소속된 특정 구역관제서버를 선택하는 가맹점/구역관제서버 매칭부;
    상기 선택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구역관제서버가 관할하는 특정 구역 내에서 활동 중인 배달기사와 관련된 배달기사정보를 획득하는 배달기사 DB 관리부;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활동 중인 배달기사들 중, 상기 획득된 배달기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먼 배달기사에게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는 배달정보 관리부; 및
    요금정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달정보에 따라 배달기사가 배달을 완료한 경우, 상기 요금정산부는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배달료를 지급받아 상기 배달료의 적어도 일부를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에게 지급하며, 배달을 완료한 배달기사가 소속된 구역관제서버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되,
    상기 배달기사정보는, 배달기사의 위치정보 및 배달기사의 근무태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특정 구역 내에서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가까운 배달기사부터 먼 배달기사에게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하되, 근무태도정보가 불량한 배달기사의 경우 상기 가맹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무관하게 배달정보 제공시점을 미리 정해진 시간 지연하고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맹점에게 배달상태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배달상태정보는, 배차 대기, 배차, 배달 진행 및 배달 완료를 포함하고, 상기 배달상태정보가 배차 또는 배달 진행인 경우, 배달 완료 시까지 예상되는 시간 정보 및 배달기사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달상태정보가 배차 대기인 경우, 예상되는 배차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무태도정보는 출근 정보, 배달 완료 후 고객 평가, 배달 수락 시 가맹점까지의 이동시간 내 이동했는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정보 관리부는, 우선적으로 배달정보를 제공받은 배달기사로부터 배달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배달기사의 근무태도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배달중개시스템.
KR1020170077128A 2017-06-19 2017-06-19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KR10221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28A KR102216639B1 (ko) 2017-06-19 2017-06-19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28A KR102216639B1 (ko) 2017-06-19 2017-06-19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264 Division 2016-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56A KR20170125756A (ko) 2017-11-15
KR102216639B1 true KR102216639B1 (ko) 2021-02-17

Family

ID=6038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28A KR102216639B1 (ko) 2017-06-19 2017-06-19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6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10B1 (ko) * 2021-10-26 2022-05-30 쿠팡 주식회사 배송 주문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2533B1 (ko) 2022-11-21 2023-05-15 주식회사 공감파트너스 클라우드 기반 배달 대행 정보 처리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229071A1 (ko) * 2022-05-26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주문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982A (ko) 2019-02-26 2020-09-03 최은성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KR102252520B1 (ko) 2019-06-04 2021-05-14 주식회사 한컴위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퀵서비스 배송 정보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퀵서비스 관리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86400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로지스텍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배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30559B1 (ko) 2020-04-09 2022-08-09 여태환 이륜차 운전의 ict 기반 운전자 특정 평가 분석 및 보상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59618B1 (ko) * 2020-09-29 2023-07-26 주식회사 부릉 권역 기반의 배송 오더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KR20220043750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회귀 오더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KR102508068B1 (ko) * 2020-11-13 2023-03-08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배송자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2312B1 (ko) * 2020-12-09 2023-11-23 김영민 택배기사 건강 상태에 따른 업무량 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6595A (ko) 2021-03-15 2021-04-28 최은성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KR102487094B1 (ko) * 2021-08-11 2023-01-10 장금숙 조리시간과 배달거리 정보에 기반한 배달음식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7765A (ko)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다안로지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재고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87764A (ko)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다안로지스 상품 추천을 통한 매장 컨설팅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87763A (ko)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다안로지스 통합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51607B1 (ko) * 2022-03-02 2022-10-06 쿠팡 주식회사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4447B1 (ko) * 2022-03-22 2022-07-22 주식회사 워시업코리아 수거/배송을 포함한 세탁물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제어방법
KR102653863B1 (ko) * 2023-12-28 2024-04-02 주식회사 비욘드아이앤씨 할증에 따른 우선 배차 방식을 이용하는 주문 및 배달 중개 시스템
KR102665349B1 (ko) * 2023-12-28 2024-05-13 주식회사 비욘드아이앤씨 배달 서비스에 대한 우선 배차 방식을 이용하는 주문 및 배달 중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119A (ja) * 2001-01-24 2002-08-06 Nec Corp 配達員現在位置把握システムおよび配達員用送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03A (ko) * 2005-06-23 2006-12-28 임종석 배달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KR101177862B1 (ko) 2010-12-07 2012-08-28 (주)와토시스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07789A (ko) * 2013-07-12 2015-01-21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119A (ja) * 2001-01-24 2002-08-06 Nec Corp 配達員現在位置把握システムおよび配達員用送信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10B1 (ko) * 2021-10-26 2022-05-30 쿠팡 주식회사 배송 주문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59701A (ko) * 2021-10-26 2023-05-03 쿠팡 주식회사 배송 주문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74973A1 (ko) * 2021-10-26 2023-05-04 쿠팡 주식회사 배송 주문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632504B1 (ko) * 2021-10-26 2024-02-02 쿠팡 주식회사 배송 주문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29071A1 (ko) * 2022-05-26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주문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532533B1 (ko) 2022-11-21 2023-05-15 주식회사 공감파트너스 클라우드 기반 배달 대행 정보 처리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56A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639B1 (ko)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US110688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rvice to arrange transport amongst parties through use of mobile devices
WO2019193363A1 (en) Hybrid blockchain transaction system
CN104933891A (zh) 信息处理方法、客户端及服务平台
US20150032485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WO2016025926A1 (en) Transportation services for package delivery
US20190154454A1 (en) Dynamic route recommendation and progress monitoring for service providers
CN107170285B (zh) 一种智能预约停车泊位的方法及装置
US11037097B2 (en) Local caches for last-mile item distribution
KR101718433B1 (ko) 택시 합승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20898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KR101851893B1 (ko) 택시 합승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93912A (ko)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시스템
JP6963892B2 (ja) 中央装置、施設サーバ、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76189A1 (en) An information exchange and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10390862A1 (en) Vehicle dispatch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er for vehicle dispatch service, and vehicle dispatch service providing method
WO2018194513A1 (en) Queu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710525B1 (ko) 커피 적립금을 이용한 여행상품 제공방법
JP2021182293A (ja) 配送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101619962B1 (ko) 운전 서비스의 이용 계약의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20160136879A (ko) 발렛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및 서버와, 이를 이용한 발렛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97120A (ko) 대리운전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7236A (ko) 대리운전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WO2023171461A1 (ja) 運行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93873A (ko) 차량 공유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