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982A -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982A
KR20200103982A KR1020190022262A KR20190022262A KR20200103982A KR 20200103982 A KR20200103982 A KR 20200103982A KR 1020190022262 A KR1020190022262 A KR 1020190022262A KR 20190022262 A KR20190022262 A KR 20190022262A KR 20200103982 A KR20200103982 A KR 20200103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livery
order
suppli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성
최낙형
Original Assignee
최은성
최낙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성, 최낙형 filed Critical 최은성
Priority to KR102019002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982A/ko
Publication of KR2020010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수신부, 주문 수신부에 수신된 복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리스트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로 주문 제품을 요청하는 주문을 전송하고, 배송자 단말로 공급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주문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multi-order real-time product delivering process apparatus and multi-order real-time product delivering proces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주문을 접수받고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주문 물건을 배송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장치 및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소비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주문하고 배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 살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물건 주문 패턴에 따라 다양한 인터넷 주문 배송 서비스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문 배송 서비스 중에서 배송 시간 및 장소에 민감한 물품을 주문하고 배송 처리를 할 경우에는 여러 변수로 인하여 주문 배송 처리가 어려워지는 기술적 난관이 있다.
예를 들어, 수십~수백명의 소비자가 A라는 물건(음식)을 동시적으로 주문했고 A 물건을 특정 장소에 특정 시간까지 배송해야 한다면, A 물건을 주문 수량만큼 확보해야 하고, 확보된 수량을 특정 장소에 정시까지 배송해야 한다. 이때, 정해진 수량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공급처가 존재할 경우에 어떠한 순서에 따라 A 물건을 확보할지에 대한 공급 관리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확보한 물건을 특정 장소로 어떠한 경로에 따라 배송할 것인지에 대한 배송 관리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다중 사용자가 특정 물건을 주문할 경우에는 주문을 처리할 수 있는 있는 접수 가능 수량, 공급 관리 및 배송 관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만 다중 주문을 실시간으로 배송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중 주문에 대한 실시간 배송 처리를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7296호 (2018.11.28. 공개)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5756호 (2017.11.15. 공개)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2190호 (2015.06.08. 공개)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복수의 주문자가 주문하는 경우에 주문 수량을 충족할 수 있는 공급처를 파악하고, 공급처의 위치, 공급량 등을 고려하여 공급처의 리스트를 산출하며, 산출된 공급자에 기초하여 물건 배송 경로를 최적화 함으로써 정시에 주문 수량을 정해진 장소에 배송 처리할 수 있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수신부; 상기 주문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복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리스트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로 상기 주문 제품을 요청하는 주문을 전송하고, 배송자 단말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주문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공급처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고, 선별된 공급처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상위 랭크된 공급처로 구성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저장 모듈은, 기 결정된 시간 주기로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되,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 중 물품 재고량, 생산 가능 물품명 및 생산 가능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이 경우에, 상기 처리 모듈은, 공급처의 위치 정보와 공급처의 공급 가능 수량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1 기준을 연산하고, 상기 배송 장소와 상기 배송 시간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2 기준을 연산하며, 상기 제1 기준과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복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로 상기 주문 제품을 요청하는 주문을 전송하고, 배송자 단말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공급처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고, 선별된 공급처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상위 랭크된 공급처로 구성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기 결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공급처로부터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 중 물품 재고량, 생산 가능 물품명 및 생산 가능 수량에 대한 정보의 변경이 있을 경우에, 변경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공급처의 위치 정보와 공급처의 공급 가능 수량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1 기준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배송 장소와 상기 배송 시간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2 기준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과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문자가 특정 물건을 주문하는 경우에, 주문 물건의 주문량을 충족할 수 있는 공급처를 파악하고, 공급처의 위치, 공급량 등을 고려하여 공급처의 리스트를 산출하며, 산출된 공급자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경로를 최적화함으로써 정시에 주문 수량을 정해진 장소에 배송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가 적용된 물건 주문 배송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스트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장 모듈에 저장되는 공급처 정보의 저장과 갱신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처리 모듈에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가 적용된 물건 주문 배송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200), 배송자 단말들(300), 공급자 단말들(40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받고,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배송 처리 장치(100)에 접속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물건 주문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실시간 구매 가능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품의 종류(예, 햄버거), 주문 수량(예, 3개), 수령 장소(예, 강의실 000호)를 선택하고, 결제 처리를 통해서 주문을 완료한다. 배송 처리 장치(100)는 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면, 주문 접수 완료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배송 처리 장치(100)는 기 저장된 공급처 정보를 독출하고, 접수된 주문을 배송하기 위해서 가장 적합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배송 처리 장치(100)는 공급자 단말(400)로 공급처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공급처 정보의 요청에 따라 공급자 단말(400)로 부터 공급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송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주문 정보와 공급자의 공급처 정보를 참고참고하여 주문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의 흐름 상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배송 처리 장치(100)는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면, 물품 주문 정보를 공급자 단말(400)로 전달하고, 공급처 리스트를 배송자 단말(300)로 전달한다. 여기서 배송자 단말(300)은 물품을 픽업해서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배송 차량에 설치되거나 배송 차량을 이용하여 배송을 실행하는 배송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배송자는 배송자 단말(300)에 수신된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된 공급처 순서에 따라 물품을 픽업(Pick up)하고, 픽업한 물품을 배송 희망 장소로 배송한다. 이러한 배송자의 오프라인 행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배송자는 배송자 단말(300)을 통해서 배송 정보를 배송 처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배송자는 배송이 완료되면 완료 사실에 대한 정보도 배송 처리 장치(100)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100)는 주문 수신부(110), 리스트 생성부(130) 및 주문 송신부(150)를 포함한다.
주문 수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연동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주문 수신부(11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물품 주문 정보 이외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결제 정보, 사용자 정도 등 주문 처리를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리스트 생성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물품 주문 정보와 기 저장된 공급처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리스트 생성부(130)에 의해서 생성되는 공급처 리스트는 공급처의 위치, 공급처의 공급 수량, 공급 물품 종류, 공급 물품 가격, 대기 시간 등을 포함한다.
리스트 생성부(130)는 주문 수신부(110)에 수신된 복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리스트 생성부(130)는 추출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컨대, 주문 제품이 X, Y, Z이고, 배송 장소는 강의실 OOO호 이며, 배송 시간은 오후 12:00까지 이라고 가정한다. X, Y, Z 물품을 보유하거나 제조할 수 있는 업체가 A, B, C, D, E 업체가 있다고 판단하면, 리스트 생성부(130)는 A, B, C, D, E를 예비적인 공급처로 판단하고, 물품 수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A, B, C, D, E에 대한 그룹화를 연산하여 A-B-C(제1 그룹), A-C-D(제2 그룹), A-B-D-E(제3 그룹) 등 3개로 그룹화를 실행한다. 3개의 그룹은 물품의 수량을 충족할 수 있는 공급처로 구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물품 수량의 조건을 충족한 3개 그룹에 대해서 배송 시간을 충족할 수 있는 그룹을 1차 선별한다. 예컨대, 제1 내지 3그룹 중 제1 및 제2 그룹이 배송 시간 내에 물품을 배송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A-B-C(제1 그룹)과 A-C-D(제2 그룹)을 1차 선별한다. 제1 그룹과 제2 그룹 사이에 배송 시간, 물량, 가격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1개의 그룹을 2차 선별한다.
2차 선별된 제1 그룹에서 각 공급처 간에 픽업 순서를 정하기 위해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연산한다. 연산 결과에 따라 C업체-B업체-A업체 순서로 픽업 순서를 결정하여 이동 경로의 최적화를 달성한다.
리스트 생성부(130)는 복수의 공급처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경우에, 공급처 리스트에 공급처에서 픽업할 물품, 수량 등의 물품 픽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급처 리스트에 A업체, B업체, C업체를 포함할 경우에, "C업체에서 X물건을 O개 픽업하고, 그 다음으로 B업체로 이동하여 X물건 OO개와 Y물건 OO개를 픽업하고, 그 다음으로 A업체로 이동하여 Y물건 O개와 Z물건 OO개를 픽업한다"는 업체별 픽업 순서, 물품, 수량,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주문 송신부(150)는 리스트 생성부(130)에 의해서 생성된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400)로 주문 제품을 요청하는 주문을 전송한다. 또한, 주문 송신부(150)는 배송자 단말(300)로 공급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스트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리스트 생성부(130)는 저장 모듈(131)과 처리 모듈(132)을 포함한다. 저장 모듈(131)은 공급처 정보 및 물품 주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처리 모듈(132)은 물품 주문 정보 및 공급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물품 배송 처리를 할 수 있는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장 모듈에 저장되는 공급처 정보의 저장과 갱신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저장 모듈(131)은 기 결정된 주기로 수신되는 공급처 정보, 물품 주문 정보에 따라 배송 처리가 이루어진 이후에 저장되는 공급처 정보, 신규로 공급처 정보가 수신되거나 신규 배송 처리가 이루어진 이후에 갱신된 공급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 모듈(131)은 일정한 주기로 공급자 단말(400)로부터 공급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저장 모듈(131)은 기 저장된 공급처 정보와 수신된 공급처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정보에 대해서는 수신된 공급처 정보를 기준으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131)은 배송 처리가 완료된 후에 공급자 단말(400)로 공급처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고, 갱신된 공급자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공급처 정보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정보에 대해서는 수신된 공급처 정보를 기준으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저장 모듈(131)은 기 결정된 시간 주기로 공급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고, 공급처에 대한 정보 중 물품 재고량, 생산 가능 물품명 및 생산 가능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처리 모듈에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처리 모듈(132)은 저장 모듈(131)에 저장된 전체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독출한다. 처리 모듈(132)은 공급처의 위치 정보와 공급처의 공급 가능 수량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1 기준을 연산한다. 예를 들어, 전체 공급처가 A, B, C, D, E 및 F 인 경우에, 위치 정보와 물품의 공급 가능 수량에 따라 A 내지 F 업체를 그룹화한다. 만약, 공급 가능 수량이 있지만 너무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해당 업체를 메인 그룹에서 제외한다. 이러한 제1 기준에 의해서 A 내지 E 업체를 1차 선별한다.
그 다음으로 업체와 배송 장소의 위치 및 배송 시간을 고려하여 A 내지 E 업체 중 최적 경로를 형성하는 A, B, C 업체를 2차 선별한다. 2차 선별된 A, B, C 업체에 대한 픽업 순위는 전체 경로를 고려하여 최저 시간 조건, 최저 거리 조건 등으로 산출한다. 이렇게 제1 기준과 제2 기준에 의해서 전체 공급처 중에서 최종적으로 A, B, C 업체를 포함하고, C-B-A 픽업 순서까지 포함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배송 처리 장치(100)로 물품 주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01). 물품 주문 요청은 사용자 단말(20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주문 메뉴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배송 처리 장치(100)는 물품 주문이 접수되면 공급처 정보의 갱신을 위해서 공급처 정보 요청을 공급자 단말(400)로 전송한다(S602). 만약, 공급처 정보의 갱신이 일정한 시간 이내에 이루어진 경우에는 공급처 정보가 최신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공급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602)를 건너띌 수도 있다. 공급자 단말(400)은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최신의 공급처 정보를 배송 처리 장치(100)로 전송한다(S603). 배송 처리 장치(100)는 물품 주문 정보와 갱신된 공급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배송 처리를 위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한다(S604). 배송 처리 장치(100)는 생성된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공급자 단말(400)로 물품 주문 요청을 송신한다(S605). 배송 처리 장치(100)는 생성된 공급처 리스트를 배송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606). 배송자가 물품의 배송을 완료하면 배송 완료 사실을 배송 처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배송 처리 장치(100)는 공급자 단말(400)로 공급처 정보를 요청한다(S607). 공급자 단말(400)은 최신 공급처 정보를 배송 처리 장치(100)로 전송한다(S608). 배송 처리 장치(100)는 수신한 최신 공급처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처 정보를 갱신한다(S609). 배송 처리 장치(100)는 공급처 정보의 갱신을 일정한 시간 주기(10분, 30분, 1시간, 10시간, 1일 등)동안 반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110 : 주문 수신부
130 : 리스트 생성부
131 : 저장 모듈
132 : 처리 모듈
150 : 주문 송신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배송자 단말
400 : 공급자 단말

Claims (8)

  1.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수신부;
    상기 주문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복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리스트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로 상기 주문 제품을 요청하는 주문을 전송하고, 배송자 단말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주문 송신부;를 포함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생성부는,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공급처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고, 선별된 공급처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상위 랭크된 공급처로 구성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듈은, 기 결정된 시간 주기로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되,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 중 물품 재고량, 생산 가능 물품명 및 생산 가능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공급처의 위치 정보와 공급처의 공급 가능 수량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1 기준을 연산하고, 상기 배송 장소와 상기 배송 시간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2 기준을 연산하며, 상기 제1 기준과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5.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복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제품, 배송 장소 및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로 상기 주문 제품을 요청하는 주문을 전송하고, 배송자 단말로 상기 공급처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제품, 상기 배송 장소 및 상기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공급처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고, 선별된 공급처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상위 랭크된 공급처로 구성된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기 결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공급처로부터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공급처에 대한 정보 중 물품 재고량, 생산 가능 물품명 및 생산 가능 수량에 대한 정보의 변경이 있을 경우에, 변경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공급처의 위치 정보와 공급처의 공급 가능 수량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1 기준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배송 장소와 상기 배송 시간을 이용하여 공급처 선정을 위한 제2 기준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과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공급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KR1020190022262A 2019-02-26 2019-02-26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KR20200103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62A KR20200103982A (ko) 2019-02-26 2019-02-26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62A KR20200103982A (ko) 2019-02-26 2019-02-26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664A Division KR20210046595A (ko) 2021-03-15 2021-03-15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82A true KR20200103982A (ko) 2020-09-03

Family

ID=7245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262A KR20200103982A (ko) 2019-02-26 2019-02-26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9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8467A (zh) * 2020-11-19 2021-02-26 上海有个机器人有限公司 基于仓储机器人的预约配送方法、系统、介质及终端
KR102244568B1 (ko) * 2021-01-26 2021-04-26 주식회사 쉬즈본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8015A (ko) 2021-01-05 2023-09-01 톱윈드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로의 설치 가능하게 하는 풍력 발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90A (ko) 2013-11-28 2015-06-08 백상기 실시간 온라인망을 이용한 배달상품의 안심주문방법
KR20170125756A (ko) 2017-06-19 2017-11-15 김학해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KR20180127296A (ko) 2018-11-21 2018-11-28 박세현 음식 주문 및 배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90A (ko) 2013-11-28 2015-06-08 백상기 실시간 온라인망을 이용한 배달상품의 안심주문방법
KR20170125756A (ko) 2017-06-19 2017-11-15 김학해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KR20180127296A (ko) 2018-11-21 2018-11-28 박세현 음식 주문 및 배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8467A (zh) * 2020-11-19 2021-02-26 上海有个机器人有限公司 基于仓储机器人的预约配送方法、系统、介质及终端
KR20230128015A (ko) 2021-01-05 2023-09-01 톱윈드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로의 설치 가능하게 하는 풍력 발전 장치
KR102244568B1 (ko) * 2021-01-26 2021-04-26 주식회사 쉬즈본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vezmyradov et al. Effects of customer response to fashion product stockout on holding costs, order sizes, and profitability in omnichannel retailing
KR20200103982A (ko)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Mieghem et al. Newsvendor networks: Inventory management and capacity investment with discretionary activities
Graves et al. Supply chain design: safety stock placement and supply chain configuration
Çeven et al. Optimal wave release times for order fulfillment systems with deadlines
US201803149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fullfillment of one or more online orders
JP2010269867A (ja) 輸送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及び輸送計画立案支援方法
WO200602895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laborative demand planning and replenishment
WO2018200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tores as receiving points for third party, e-commerce suppliers
US10360522B1 (en) Updating a forecast based on real-time data associated with an item
US20170287052A1 (en) Order fulfillment management
CN111242531A (zh) 一种原料管控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8417572B1 (en) Expected exhaustion time
US10902379B2 (en) System for customized unrequested item resolution
US20090112739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Agrawal et al. Multi-location Inventory Models for Retail Supply Chain Management: A Review of Recent Research
KR20210046595A (ko)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주문 실시간 배송 처리 방법
JPH10120121A (ja)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JP74634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7273603A (zh) 一种仓库库存资源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833150A (zh) 订单生成方法及装置
US20190130346A1 (en) Perpetual inventory reconciliation
Herbon Single‐versus two‐opportunity price postponement and ordering strategies of a seasonal product
CN114820102A (zh) 一种订单生成方法及网络销售平台
JP2009223726A (ja)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