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946B1 -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 - Google Patents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946B1
KR102215946B1 KR1020190054230A KR20190054230A KR102215946B1 KR 102215946 B1 KR102215946 B1 KR 102215946B1 KR 1020190054230 A KR1020190054230 A KR 1020190054230A KR 20190054230 A KR20190054230 A KR 20190054230A KR 102215946 B1 KR102215946 B1 KR 102215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falling
sensing
game devi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592A (ko
Inventor
김영미
강정원
Original Assignee
휴와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와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와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9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63F2009/0007Games with therapeut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11Input form cards, tapes, discs
    • A63F2009/2413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 A63F2009/2444Light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칩(10)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100)가 포함된 게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칩(10)이 낙하되는 낙하공간(111)이 마련된 본체(110); 및 상기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칩(10)을 센싱하는 광센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120)의 센싱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칩(10)의 표면(a)이 향하도록, 상기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상기 칩(10)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의 낙하 여부의 센싱을 오류 없이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Game Device}
본 발명은 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게임판에서 사용된 칩이 소정의 통로를 통해 낙하되는 경우,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는 낙하된 칩의 종류를 자력의 유무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령 인구가 증대되면서 노인들의 인지능력 저하에 따른 사회적 문제점이 증대되고 있다. 치매나 노인 우울 등의 노인 정신 질환의 대부분은 인지능력의 저하에서 비롯되며 이로 인한 가족 등이 받는 물리적, 정식적 고통은 심각한 수준이다.
비단 노인뿐만 아니라 정상적 인지 능력 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한 장애인의 경우나 두뇌 발달이 진행 중인 유아의 경우 지속적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이 요구된다.
또한 일상적인 놀이 문화에 있어서도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를 유지시킬 수 있는 놀이 기구의 수요가 높다.
다만, 인지능력 향상 훈련은 참여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되어야 훈련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은 인지능력 훈련 프로그램은 의료적 관점에서 접근해 왔기 때문에 참여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어려웠고 훈련에 따른 효과를 충분히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의료적 치료의 관점이 아닌 놀이적 관점에서 게임을 기반으로 하는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참여자의 흥미를 유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참여자의 반복 훈련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순 반복 훈련이 아닌 참여자의 증상별 수준별 훈련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인지능력 향상 놀이기구를 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인지능력 향상 및 유흥을 위한 대표적인 놀이기구로 보드 위에서 칩을 이용해 진행되는 보드게임을 꼽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드게임 중 사용되는 게임 칩은 게임의 스토리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그 형태가 숫자 또는 문양이 새겨진 아날로그 방식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방식에 다른 게임장치는 쉽게 흥미가 떨어지고 다양한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아 게임에 따른 인지능력 상승의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게임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게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칩의 낙하 여부의 센싱을 오류 없이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한 게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낙하된 칩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게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10)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100)가 포함된 게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칩(10)이 낙하되는 낙하공간(111)이 마련된 본체(110); 및 상기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칩(10)을 센싱하는 광센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120)의 센싱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칩(10)의 표면(a)이 향하도록, 상기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상기 칩(10)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광센서(120)는 센싱을 위한 빛을 출력하는 출력부(121); 및 상기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을 수신하는 수신부(122);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121)는 상기 낙하공간(111) 상으로 빛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낙하공간(111) 상에 형성된 가로부재(210)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부재(210)는 소정의 위치에서의 상기 낙하공간(111)을 분할하고, 상기 가로부재(210)에 의해 분할된 상기 낙하공간(111)의 폭(d)은 상기 칩(10)의 폭(c)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낙하공간(111) 상에 형성된 깔대기형 인입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깔대기형 인입부(220)는 상기 칩(10)의 낙하방향에 따라 유입부(221)와 배출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222)는 상기 칩(10)의 표면(a)이 상기 광센서(120)의 센싱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칩(10)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측부에는 상기 출력부(121) 및 수신부(122)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 장착공(112)은 상기 본체(1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원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가 장착되는 하우징(3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낙하공간(111)을 통해 낙하된 상기 칩(10)이 거치되는 받침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받침부(310)와 외부를 연결하는 개방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칩(10)은 내부에 자석이 수납된 자석칩(11)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310)에는 상기 자석칩(11)을 감지하는 자력 센싱부(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의 낙하 여부의 센싱을 오류 없이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하된 칩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게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하우징의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하우징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하우징이 결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하우징이 결합한 상태에서의 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에서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게임장치의 게임판(1) 상의 칩(10)이 홀(2)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경우 칩(10)의 낙하여부 및 낙하되는 칩(10)의 종류를 센싱하는 센싱부(100)가 포함된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칩(10)의 낙하 여부에 따른 피드백을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어에게 전달할 수 있어 게임 운용의 다양성 및 플레이어의 게임 참여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장치의 센싱부(100)는 칩(10)이 낙하되는 낙하공간(111)이 마련된 본체(110) 및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칩(10)을 센싱하는 광센서(120)를 포함한다.
광센서(120)는 낙하공간(111) 상으로 빛을 출력하여 출력된 빛의 단절 여부를 통해 칩(10)의 낙하 여부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광센서(120)는 센싱을 위한 빛을 출력하는 출력부(121) 및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을 수신하는 수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21)는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의 개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이 반사부에 반사되어 다시 출력부(121)로 수신되어 칩(10)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장치는 광센서(120)의 센싱 방향에 대하여 칩(10)의 표면(a)이 향하도록,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칩(10)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칩(10)은 표면(a)과 두께(b)로 형성되는데 두께(b)는 표면(a)에 비하여 그 길이가 매우 짧다. 따라서,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이 두께(b)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차단 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칩(10)의 낙하 여부의 센싱의 오류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절부(200)에 의해 칩(10)의 낙하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표면(a)에 의해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 경우 두께(b)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시간보다 더 긴 시간동안 빛이 차단되므로 센싱부(100)에 의한 칩(10)의 낙하 여부의 센싱의 정확도가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200)는 낙하공간(111) 상에 형성된 가로부재(210)일 수 있다(도 3, 도 4).
가로부재(210)를 설치하는 경우 낙하되는 칩(10)이 가로부재(210)에 충돌하여 자연스럽게 표면(a) 방향이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을 향할 수 있다.
더하여, 가로부재(210)에 의해 칩(10)의 낙하속도가 저감되므로, 후술되는 받침부(310)와 충돌한 후 칩(10)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200)는 낙하공간(111) 상에 형성된 깔대기형 인입부(220)일 수 있다. 깔대기형 인입부(220)는 칩(10)의 낙하방향에 따라 유입부(221)와 배출부(222)가 형성되고, 이 경우 배출부(222)는 칩(10)의 표면(a)이 광센서(120)의 센싱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칩(10)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칩(10)의 회전을 위해 배출부(222)에 형성된 걸림턱(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장치의 본체(110)의 측부에는 출력부(121) 및 수신부(122)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장착공(112)은 본체(1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원형관일 수 있다. 이 경우 원형관 내부에 출력부(121) 및 수신부(122)가 삽입되므로, 본체(110) 내부에 빛의 인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출력부(121)에서 출력되는 빛 이외의 빛의 인입을 방지할 수 있어 센싱의 적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게임장치는 본체(110)가 장착되는 하우징(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하우징(300)은 낙하공간(111)을 통해 낙하된 상기 칩(10)이 거치되는 받침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하우징(300)은 받침부(310)와 외부를 연결하는 개방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받침부(310)로 낙하된 칩(10)을 개방구(320)를 통해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칩(10)은 내부에 자석이 수납된 자석칩(11)을 포함하되, 받침부(310)에는 자석칩(11)을 감지하는 자력 센싱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칩(11)이 아닌 일반칩(12)의 낙하여부와 자석칩(11)의 낙하여부를 구별하여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게임판
2 : 홀
10 : 칩
100 : 본체
200 : 하우징

Claims (8)

  1. 칩(10)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100)가 포함된 게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칩(10)이 낙하되는 낙하공간(111)이 마련된 본체(110); 및
    상기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칩(10)을 센싱하는 광센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120)의 센싱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칩(10)의 표면(a)이 향하도록, 상기 낙하공간(111)으로 낙하되는 상기 칩(10)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120)는
    센싱을 위한 빛을 출력하는 출력부(121); 및
    상기 출력부(121)에서 출력된 빛을 수신하는 수신부(122);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121)는 상기 낙하공간(111) 상으로 빛을 출력하며,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낙하공간(111) 상에 형성된 가로부재(210)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부재(210)는 소정의 위치에서의 상기 낙하공간(111)을 분할하고,
    상기 가로부재(210)에 의해 분할된 상기 낙하공간(111)의 폭(d)은 상기 칩(10)의 폭(c) 보다 작으며,
    상기 칩(10)은 상기 낙하공간(111) 상에서 낙하되는 도중에 상기 가로부재(210)와 충돌하며,
    상기 본체(110)가 장착되는 하우징(3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낙하공간(111)을 통해 낙하된 상기 칩(10)이 거치되는 받침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측부에는 상기 출력부(121) 및 수신부(122)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 장착공(112)은 상기 본체(1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원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받침부(310)와 외부를 연결하는 개방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칩(10)은 내부에 자석이 수납된 자석칩(11)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310)에는 상기 자석칩(11)을 감지하는 자력 센싱부(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KR1020190054230A 2019-05-09 2019-05-09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 KR10221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30A KR102215946B1 (ko) 2019-05-09 2019-05-09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30A KR102215946B1 (ko) 2019-05-09 2019-05-09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92A KR20200129592A (ko) 2020-11-18
KR102215946B1 true KR102215946B1 (ko) 2021-02-16

Family

ID=7369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30A KR102215946B1 (ko) 2019-05-09 2019-05-09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9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626A (ja) * 2000-12-18 2002-06-25 Koyo Jushi:Kk 遊技用メダル、遊技機、およびメダル計数機
KR200305125Y1 (ko) * 2002-09-12 2003-02-25 정태인 윷놀이 게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214A (ja) * 1993-08-23 1995-03-10 Toyo Commun Equip Co Ltd 釣銭ホッパにおける払出し硬貨の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626A (ja) * 2000-12-18 2002-06-25 Koyo Jushi:Kk 遊技用メダル、遊技機、およびメダル計数機
KR200305125Y1 (ko) * 2002-09-12 2003-02-25 정태인 윷놀이 게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92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8115A (en) Interactive funnel amusement device
US20080211179A1 (en) Game apparatus with multiple moving elements
US5059944A (en) Tennis court boundary sensor
ES2191743T3 (es) Sistema electronico de juegos.
US6702292B2 (en) Game ball system incorporating means for position sensing
WO1998018531A1 (en) Card-recognition and gaming-control device
WO2005097280A3 (en) Player action incentive arrangement for gaming systems
WO2003046850A3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controller for play of shared bonus games
WO2007061904A3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associated with gaming system
US7775683B2 (en) Mechanical mounting for maze attraction
JP2007296014A (ja) 弾球遊技機
KR102215946B1 (ko) 칩의 낙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포함된 게임장치
US20030020235A1 (en) Poker game using tossed balls
US20100044960A1 (en) Medal game apparatus
US7954819B2 (en) Pinball machine
TW202039039A (zh) 投球機及其控制方法
US20020107092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indicating to a child the accuracy of shooting a basketball to make a basket
JP2004049617A (ja) 遊技球検出装置及び遊技機
JP2001112933A (ja) 電動式パチンコ台の有効発射玉検知装置
JP2008086513A (ja) 球受ユニット
JP2019088363A (ja) 遊技機
KR102559614B1 (ko) 스마트 펀이볼 게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5315A (ko) 격투동작센싱장치
US9878232B1 (en) Playing card game machine with anti-cheat device
KR20200003634A (ko) 이방성 충격 측정이 가능한 센서가 구비된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게임용 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