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40B1 - 오일 씰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오일 씰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40B1
KR102215140B1 KR1020180154801A KR20180154801A KR102215140B1 KR 102215140 B1 KR102215140 B1 KR 102215140B1 KR 1020180154801 A KR1020180154801 A KR 1020180154801A KR 20180154801 A KR20180154801 A KR 20180154801A KR 102215140 B1 KR102215140 B1 KR 10221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id frame
oil seal
core
upper core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689A (ko
Inventor
서보성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강체 프레임과, 강체 프레임에 접합된, 고무 소재로 형성된 고무 부재를 구비하는 오일 씰을 성형하기 위한 오일 씰 성형 금형이 개시된다. 개시된 오일 씰 성형 금형은, 형합되면, 강체 프레임이 고정되고 고무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마련되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를 구비한다. 하부 코어는,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 내측 돌기를 구비한 제1 부재,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내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외측면 및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한 제2 부재, 복수의 날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외주 경사면을 구비한 제3 부재를 구비한다.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되면, 상부 코어가 제3 부재를 아래로 가압하고, 아래로 가압되는 제3 부재의 외주 경사면에 의해 복수의 날개가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이 환형 내측 돌기에 밀착되며, 용융된 고무 소재가 캐비티에 사출 주입되는 동안 환형 내측 돌기가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에 계속 밀착된다.

Description

오일 씰 성형 금형{Mold for forming oil seal}
본 발명은 오일 씰 성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류 성형 과정에서 고무 부재에 버르(burr) 형성이 방지되는 오일 씰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오일 씰은 여러 종류의 기계 장치 및 기구에서 케이스(case)와 케이스를 관통하는 샤프트(shaft)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케이스 내부의 윤활 오일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거나,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오일 씰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오일 씰(1)은 금속과 같은 강체로 이루어진 링(ring) 형상의 강체 프레임(2)과,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강체 프레임(2)에 접합 지지되는 고무 부재(5)를 구비한다. 상기 고무 부재(5)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립(lip)(6)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부(7)를 포함한다.
상기 강체 프레임(2)을 오일 씰 성형 금형(미도시)에 삽입 고정하고, 용융된 고무 소재를 상기 오일 씰 성형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사출 주입하고, 상기 금형 내에서 가류함으로써, 상기 강체 프레임(2)에 접합된 고무 부재(5)가 성형된다. 그런데, 상기 오일 씰 성형 금형 내부에 용융된 고무 소재를 사출 주입할 때, 상기 캐비티를 한정하며 밀착되어 있던 부재들이 상기 고무 소재의 사출 압력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벌어지고, 이 벌어진 틈새로 용융된 고무 소재가 침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오일 씰 성형 금형에서 취출된 오일 씰(1)에는 외주부(7)에서 확산된 고무 소재가 가류 성형된 버르(burr)(8)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양품인 오일 씰(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버르(8)를 제거하는 마무리 작업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오일 씰 생산 원가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마무리 작업으로 제거되지 않는 심각한 수준의 버르(8)도 증대되어 불량율이 증대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2801호
본 발명은, 가류 성형 과정에서 불필요한 고무 소재의 번짐으로 인한 버르(burr) 형성이 예방되는 오일 씰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체 프레임과, 상기 강체 프레임에 접합된, 고무 소재로 형성된 고무 부재를 구비하는 오일 씰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으로서, 형합(型合)되면, 상기 강체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고무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마련되는 상부 코어(core)와 하부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링(ring)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 내측 돌기를 구비한 제1 부재,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내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외측면 및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한 복수의 날개(vane)를 구비한 제2 부재, 상기 복수의 날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외주 경사면을 구비한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되면, 상기 상부 코어가 상기 제3 부재를 아래로 가압하고, 상기 아래로 가압되는 제3 부재의 외주 경사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날개가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이 상기 환형 내측 돌기에 밀착되며, 용융된 고무 소재가 상기 캐비티에 사출 주입되는 동안 상기 환형 내측 돌기가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에 계속 밀착되는 오일 씰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날개는 원(circle) 궤도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복수의 날개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부재의 내측에 끼워지는 몸체(bod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되면 상기 복수의 날개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고, 상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개(型開)되면 상기 복수의 날개는 탄성 복원되어 원래의 상태로 오므려질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외주 경사면이 형성된 디스크(disk)와, 상기 디스크에서 아래로 돌출 연장된 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기둥이 끼워지는 제3 부재 끼움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에는 상기 몸체가 끼워지는 제2 부재 끼움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씰 성형 금형은, 강체 프레임이 삽입된 상태로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되면, 강체 프레임의 하단 외주면이 하부 코어의 환형 내측 돌기에 강하게 밀착되어서, 용융된 고무 소재가 오일 씰 성형 금형에 사출 주입되는 압력에 불구하고 상기 환형 내측 돌기에 강체 프레임이 계속 밀착된다. 이에 따라, 오일 씰의 고무 부재에 버르(burr)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버르를 제거하는 마무리 작업이 생략되므로 오일 씰의 생산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버르로 인한 불량율이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오일 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씰 성형 금형의 단면도로서,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 코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씰 성형 금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씰 성형 금형의 단면도로서,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하부 코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씰 성형 금형(10)은 강체 프레임(2)과, 강체 프레임(2)에 접합된, 고무 소재로 형성된 고무 부재를 구비한 오일 씰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다. 상기 금형(10)에 의해 성형되는 오일 씰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오일 씰(1)과 유사하나 버르(8)를 구비하지 않는 오일 씰이다.
상기 오일 씰 성형 금형(10)은 형합(型合) 및 형개(型開)되는 상부 코어(upper core)(11) 및 하부 코어(lower core)(20)를 구비한다. 형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밀착된 상태이고, 형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이격된 상태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코어(11)가 이동하지 않고 하부 코어(20)가 상부 코어(11)에 대해 Z축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 및 형개되지만, 이와 반대로 하부 코어(20)가 이동하지 않고 상부 코어(11)가 하부 코어(20)에 대해 Z축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 및 형개될 수도 있다.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되면, 강체 프레임(2)이 고정되며 오일 씰의 고무 부재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CA)가 마련된다. 상기 강체 프레임(2)은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환형(環形)의 부재로서, 파이프(pipe) 형상의 관부(管部)(3)와, 상기 관부(3)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 돌출부(4)를 포함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상부 코어(11)는 상부 금형에 포함된다.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상부 코어(11)를 고정 지지하는 상부 원판(미도시)과, 용융된 고무 소재를 사출(injection)하는 사출 장치(미도시)의 노즐(nozzle)에 연결되는 스프루 부시(sprue bush)(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의 상부 코어(11)에는 상기 스프루 부시를 통해 상부 금형으로 주입된, 용융된 고무 소재를 캐비티(CA)까지 유도하는 러너(runner)와, 용융된 고무 소재가 상기 러너에서 상기 캐비티(CA)로 건너가기 위해 통과하는 게이트(gate)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부 코어(20)는 제1 부재(21), 제2 부재(40), 및 제3 부재(60)를 구비한다. 제1 부재(21)는 중앙에 제2 부재 끼움 통공(22)이 형성된 경통(barrel) 형태의 부재이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제1 부재(21)는 하부 금형에 포함된다.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제1 부재(21)를 고정 지지하는 하부 원판(미도시)과,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개된 때 하부 코어(20)에 부착된 오일 씰을 밀어 하부 코어(20)에서 분리하는 이젝트 핀(eject pin)(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재(21)는, 상측 외주부에 단차진 상부 코어 스토퍼면(stopper face)(30)을 구비하고, 상단에 오일 씰 성형 금형(10)의 중앙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축선(CL)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를 따라 링(ring) 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환형 상향 돌기(31)를 구비한다. 제1 부재(21) 상단부의 내주면은 오일 씰의 고무 부재(5)(도 1 참조)의 외주부(7)(도 1 참조)의 형상을 한정하는 외주부 한정면(26)이고, 상기 외주부 한정면(26)의 아래에는 상기 축선(CL)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를 따라 링(ring)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 내측 돌기(27)가 형성된다. 상기 환형 내측 돌기(27)의 아래에는 제2 부재(40)의 대직경부(47)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inner diameter)을 갖는 대직경부 안내면(25)이 마련되고, 상기 대직경부 안내면(25)의 아래에는 상기 제2 부재(40)의 소직경부(45)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소직경부 안내면(23)이 마련된다. 대직경부 안내면(25)과 소직경부 안내면(23) 사이에는 단차진 제2 부재 스토퍼면(24)이 마련된다.
제2 부재(40)는 상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vane)(50)와, 상기 복수의 날개(50)를 지지하며 제1 부재(21)의 내측에 끼워지는 몸체(body)(41)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41)는 원통형의 대직경부(47)와 소직경부(45)를 구비한다. 소직경부(45)는 대직경부(47)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대직경부(47)의 아래에 대직경부(47)와 단차지게 배치된다. 몸체(41)의 중앙에는 상기 축선(CL)을 따라 몸체(41)를 가로지르는 제3 부재 끼움 통공(42)이 형성된다.
복수의 날개(50)는 대직경부(47)의 상단 외주부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기 대직경부(47) 상단 외주부에 지지된다. 복수의 날개(50)는 상기 축선(CL)을 중심으로 하는 원(circle) 궤도를 따라 배열된다. 각각의 날개(50)는 상단에서 상기 대직경부(47)의 상단 외주부까지 파여진 슬롯(slot)(53)에 의해 이웃한 날개(50)와 분리된다. 상기 슬롯(53)의 하단에는 상기 날개(50)가 상기 축선(CL)으로부터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오므려질 때 응력(stress) 집중으로 인한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도록 응력 분산 통공(54)이 형성된다.
각각의 날개(50)는 하부 코어(20)에 탑재된 강체 프레임(2)의 하단부 내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외측면(52)과, 아래로 갈수록 상기 축선(CL)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진 내측면(51)을 구비한다. 제1 부재(21)의 위에서 제2 부재(40)를 상기 축선(CL)을 따라 상기 제1 부재(21)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제2 부재(40)의 대직경부(47)가 제1 부재(21)의 제2 부재 스토퍼면(24)에 걸려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을 때까지 제2 부재(40)가 삽입되어 제1 부재(21)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소직경부(45)의 외주면은 제1 부재(21)의 소직경부 안내면(23)에 대면 접촉되고(도 2 참조), 상기 대직경부(47)의 외주면은 제1 부재(21)의 대직경부 안내면(25)에 대면 접촉된다(도 2 참조).
제3 부재(60)는 디스크(disk)(61)와, 상기 디스크(61)에서 아래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디스크(6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둥(68)을 구비한다. 디스크(61)는 상단에 상부 코어 밀착면(65), 상기 상부 코어 밀착면(65) 외측에 립(lip) 한정면(63), 상기 립 한정면(63) 외측에 강체 프레임 지지면(62), 및 아래측 외주면에 외주 경사면(66)을 구비한다. 상기 외주 경사면(66)은 상기 복수의 날개(5)의 내측면(51)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외주 경사면(66)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축선(CL)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 다만, 상기 날개 내측면(51)의 경사 각도와 상기 외주 경사면(66)의 경사 각도는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둥(68)은 상기 축선(CL)을 따라 연장되며, 제2 부재(40)의 제3 부재 끼움 통공(42)에 끼워진다. 상기 기둥(68)이 제3 부재 끼움 통공(42)에 끼워졌을 때 상기 기둥(68)의 외주면과 제3 부재 끼움 통공(42)의 내주면이 대면 접촉하도록 기둥(68)의 직경과 제3 부재 끼움 통공(42)의 내경이 설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68)이 제3 부재 끼움 통공(42)에 끼워지면 상기 디스크(61)는 복수의 날개(5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주 경사면(66)은 상기 복수의 날개(50)의 내측면(51)에 접촉된다.
상부 코어(11)의 하측면은, 상기 축선(CL)에서 가장 이격된 외주부에 하부 코어 스토퍼면(17), 상기 하부 코어 스토퍼면(17)의 내측에 외주부 한정면(13), 상기 외주부 한정면(13)의 내측에 강체 프레임 고정 돌기(14), 상기 강체 프레임 고정 돌기(14)의 내측에 립(lip) 한정면(15), 및 상기 립 한정면(15)의 내측에 제3 부재 가압면(12)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코어 스토퍼면(17)은 제1 부재(21)의 상부 코어 스토퍼면(30)과 마주보는 면으로서,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될 때 상기 하부 코어 스토퍼면(17)과 상부 코어 스토퍼면(30)이 밀착된다. 상기 외주부 한정면(13)은 금형(10)에서 성형되는 오일 씰의 형상 중에서 고무 부재의 외주부 형상을 한정한다. 상기 고무 부재 외주부의 형상은 도 1의 외주부(7)의 형상과 같다.
상기 강체 프레임 고정 돌기(14)는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될 때 강체 프레임(2)의 내측 돌출부(4)에 밀착되어 상기 강체 프레임(2)을 상기 금형(10) 내에서 고정시킨다. 상기 립 한정면(15)은 상기 금형(10)에서 성형되는 오일 씰의 형상 중에서 고무 부재의 립 형상을 한정한다. 상기 고무 부재 립의 형상은 도 1의 립(6)의 형상과 같다. 상기 제3 부재 가압면(12)은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될 때 제3 부재(60)의 상부 코어 밀착면(65)을 밀착 가압한다.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되면, 제1 부재(21)의 외주부 한정면(26)과 환형 상향 돌기(31), 제3 부재(60)의 립 한정면(63), 상부 코어(11)의 외주부 한정면(13)과 립 한정면(15), 및 강체 프레임(2)에 의해 용융된 고무 소재가 채워지는 캐비티(CA)가 한정된다.
상기 오일 씰 성형 금형(10)을 이용하여 오일 씰을 성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개된 상태에서 강체 프레임(2)를 하부 코어(20)에 탑재한다. 구체적으로, 강체 프레임(2)의 내측 돌출부(4) 하측면을 제3 부재(60)의 강체 프레임 지지면(62)에 올려 놓고, 강체 프레임(2)의 관부(3) 하단부를 제2 부재(40)의 복수의 날개(50)와 제1 부재(21)의 환형 내측 돌기(27) 사이의 틈새로 끼운다.
다음으로,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를 형합시킨다. 상부 코어(11)의 하부 코어 스토퍼면(17)과 제1 부재(21)의 상부 코어 스토퍼면(30)이 밀착되면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정확히 형합된다.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가 형합되는 도중에 상부 코어(11)의 제3 부재 가압면(12)이 제3 부재(60)의 상부 코어 밀착면(65)에 밀착되면서 제3 부재(60)가 아래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제3 부재(60)의 디스크(61) 하측면과 제2 부재(40)의 몸체(41) 상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디스크(61)가 제2 부재(40)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디스크(61)의 외주 경사면(66)에 의해 상기 복수의 날개(50)가 가압되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복수의 날개(50)가 상기 축선(CL)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축선(CL)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날개(50)는 상기 강체 프레임 관부(3)의 하단부 외주면이 상기 환형 내측 돌기(27)에 밀착되도록 상기 강체 프레임 관부(3)의 하단부를 상기 환형 내측 돌기(27)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강체 프레임 관부(3)의 하단부는 복수의 날개(50)와 환형 내측 돌기(27)에 물려서 척킹(chucking), 즉 고정된다.
상기 강체 프레임 관부(3)의 하단부가 복수의 날개(50)가 환형 내측 돌기(27)에 물려 고정됨과 동시에 상부 코어(11)의 강체 프레임 고정 돌기(14)가 강체 프레임(2)의 내측 돌출부(4)를 아래로 밀착 가압하여서 상기 강체 프레임 내측 돌출부(4)가 강체 프레임 고정 돌기(14)와 강체 프레임 지지면(62)에 물려 고정된다. 또한, 상부 코어(11)의 외주부 한정면(13)이 제3 부재(60)의 환형 상향 돌기(31)에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 간의 형합이 완료되면, 오일 씰 성형 금형(10) 내부에서 강체 프레임(2)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캐비티(CA)가 한정된다.
다음으로, 오일 씰 성형 금형(10)에 결합된 사출 장치(미도시)를 통해 용융된 고무 소재를 상기 오일 씰 성형 금형(10) 내부로 사출하여 상기 캐비티(CA)에 용융된 고무 소재를 주입한다. 상기 디스크(61)의 외주 경사면(66)에 밀려서 벌어진 복수의 날개(50)가 상기 강체 프레임 관부(3)의 하단부를 상기 환형 내측 돌기(27)를 향해 강하게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기 용융된 고무 소재가 캐비티(CA)에 사출 주입되는 동안에 상기 환형 내측 돌기(27)는 용융된 고무 소재의 사출 압력에 불구하고 상기 강체 프레임 관부(3)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순간적으로 이격되지 않으며, 상기 강체 프레임 관부(3)의 하단부 외주면에 계속 밀착된다. 따라서, 용융된 고무 소재는 캐비티(CA)를 벗어나 확산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캐비티(CA) 주변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된 고무 소재를 가류함으로써, 강체 프레임(2)에 접합된 고무 부재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를 형개하고, 성형된 오일 씰을 상기 오일 씰 성형 금형(10)에서 취출한다.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20)를 형개되면 상기 복수의 날개(50)는 탄성 복원되어 원래의 상태로 오므려진다. 즉, 상기 복수의 날개(50)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축선(CL)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된 고무 소재가 캐비티(CA)에 사출 주입되는 동안 상기 환형 내측 돌기(27)가 상기 강체 프레임(2)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취출된 오일 씰의 고무 부재에는 종래의 오일 씰(1)(도 1 참조)에 형성되는 버르(8)(도 1 참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버르를 제거하는 마무리 작업이 생략되므로 오일 씰의 생산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버르로 인한 불량율이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오일 씰 10: 오일 씰 성형 금형
11: 상부 코어 20: 하부 코어
21: 제1 부재 27: 환형 내측 돌기
40: 제2 부재 60: 제3 부재

Claims (4)

  1. 강체 프레임과, 상기 강체 프레임에 접합된, 고무 소재로 형성된 고무 부재를 구비하는 오일 씰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으로서,
    형합(型合)되면, 상기 강체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고무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마련되는 상부 코어(core)와 하부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코어는,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링(ring)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 내측 돌기를 구비한 제1 부재,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내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외측면 및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한 복수의 날개(vane)를 구비한 제2 부재, 상기 복수의 날개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외주 경사면을 구비한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되면, 상기 상부 코어가 상기 제3 부재를 아래로 가압하고, 상기 아래로 가압되는 제3 부재의 외주 경사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날개가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이 상기 환형 내측 돌기에 밀착되며,
    용융된 고무 소재가 상기 캐비티에 사출 주입되는 동안 상기 환형 내측 돌기가 상기 강체 프레임의 하단부 외주면에 계속 밀착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원(circle) 궤도를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복수의 날개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부재의 내측에 끼워지는 몸체(body)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씰의 성형 금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합되면 상기 복수의 날개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고, 상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형개(型開)되면 상기 복수의 날개는 탄성 복원되어 원래의 상태로 오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씰의 성형 금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외주 경사면이 형성된 디스크(disk)와, 상기 디스크에서 아래로 돌출 연장된 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기둥이 끼워지는 제3 부재 끼움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에는 상기 몸체가 끼워지는 제2 부재 끼움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씰의 성형 금형.
KR1020180154801A 2018-12-04 2018-12-04 오일 씰 성형 금형 KR10221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01A KR102215140B1 (ko) 2018-12-04 2018-12-04 오일 씰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01A KR102215140B1 (ko) 2018-12-04 2018-12-04 오일 씰 성형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89A KR20200067689A (ko) 2020-06-12
KR102215140B1 true KR102215140B1 (ko) 2021-02-10

Family

ID=7108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801A KR102215140B1 (ko) 2018-12-04 2018-12-04 오일 씰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7032A (ja) 2005-06-16 2006-12-28 Yamaichi Seiko Kk 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用金型、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方法
KR101198511B1 (ko) 2010-12-22 2012-11-06 함지현 단열재로 돌출부가 구성된 오링금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74B1 (ko) * 1999-07-08 2002-02-16 이종석 사출성형용 금형
KR20020030689A (ko) * 2000-10-19 2002-04-25 김완수 오링의 제조금형 및 오링
KR100992801B1 (ko) 2008-05-08 2010-11-08 주식회사 폴리테크 베어링 씰 제조용 금형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베어링 씰
KR101646640B1 (ko) * 2014-10-06 2016-08-08 (주)에뛰드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20170045794A (ko) * 2015-10-20 2017-04-28 (주)대륜엠유씨 버(burr)의 생성을 억제하는 발포성형 금형구조
KR101918724B1 (ko) * 2016-08-25 2018-11-14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자동차 유리창 일체형 글라스런용 인서트 사출 금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7032A (ja) 2005-06-16 2006-12-28 Yamaichi Seiko Kk 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用金型、オイルシールリングの成形方法
KR101198511B1 (ko) 2010-12-22 2012-11-06 함지현 단열재로 돌출부가 구성된 오링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89A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290B1 (ko) 성형장치
US6394779B1 (en) Molding tool for molding with cylindrical core
EP3323581B1 (en) Injection apparatus for molding combined member of constantvelocity joint boot, injection method of combined member of constant-velocity joint boot, and constant-velocity joint boot manufactured by injection method of combined member
KR101003525B1 (ko) 화학적 기계 연마 장치의 리테이너 링 제조 방법
US3063097A (en) Apparatus for forming seals
KR900008631B1 (ko) 고무,플라스틱피복로울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JP2019099146A (ja) タイヤにセンサを取り付けるためのコンテナ構造、及びタイヤ一体型コンテナ構造の製造方法
US4580962A (en) Seal mold and method
KR102215140B1 (ko) 오일 씰 성형 금형
JP3866018B2 (ja) 芯金入り弾性材被覆ボールの成形方法とその成形装置
US20070200279A1 (en) Circular Resin-Molded Product Having Circular Center Ho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The Same
KR200372247Y1 (ko) 사출금형
CN105818332B (zh) 注射成形机用喷嘴
KR100930655B1 (ko)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EP2969452B1 (en) Gate design with plunging nozzle and a waste reservoir for separating off ratio material
JP6587536B2 (ja) インペラの射出成形金型及びインペラの射出成形方法
JP2012106419A (ja) 射出成形用金型、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215142B1 (ko) 씰링 기구 성형 금형
US8025500B2 (en) Decompression sprue bush and decompression machine nozzle
JP5035484B1 (ja) ゴム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ゴムロールの製造方法
KR20120095180A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이중밸브핀 노즐장치
JP6732036B2 (ja) 射出成形機用ノズル
KR102260411B1 (ko) 가스 빼기 구조를 적용한 핫 런너 시스템
US10493684B2 (en) Composit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molding die, and composite container
JP4138805B2 (ja) 金属−ゴム複合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