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413B1 -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413B1
KR102214413B1 KR1020180114202A KR20180114202A KR102214413B1 KR 102214413 B1 KR102214413 B1 KR 102214413B1 KR 1020180114202 A KR1020180114202 A KR 1020180114202A KR 20180114202 A KR20180114202 A KR 20180114202A KR 102214413 B1 KR102214413 B1 KR 10221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psule
olfactory
olfactory trai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433A (ko
Inventor
양형채
송민근
성충만
김홍찬
김민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11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413B1/ko
Priority to PCT/KR2019/012023 priority patent/WO2020060167A1/ko
Publication of KR2020003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3Assessment of subject's compliance to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5Apparatu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9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alternative medicines, e.g. homeopathy or orient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각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통사고, 퇴행성질환 및 바이러스 감염후 후각소실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후각 저하가 발생한 환자가 병원이 아닌 자택에서 후각회복을 위한 훈련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수행한 후각훈련결과를 주치의에게 피드백 할 수 있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User-friendly Olfactory self- training and feedback system}
본 발명은 후각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통사고, 퇴행성질환 및 바이러스 감염후 후각소실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후각 저하가 발생한 환자가 병원이 아닌 자택에서 후각회복을 위한 훈련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수행한 후각훈련결과를 주치의에게 피드백 할 수 있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후각이 소실되거나 저후각증으로 호소하는 환자에서 여러 가지 냄새를 번갈아 가면서 지속적, 반복적으로 맡는 연습을 하는 '후각훈련 (Olfactory training)'이 후각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Hummel 등의 연구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각훈련을 하지 않은 군에 비해(녹색 control) 4가지 냄새나, 12가지 냄새를 이용해 후각훈련을 시행하는 군에서 소실된 후각이 회복되는 것이 보이며, 이는 후각훈련을 통해 후각수용체 신경을 재생시킬수 있는 자극을 주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후각 훈련을 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냄새를 약 5분 동안 10초 간격으로 번갈아 가면서 반복적으로 맡으면서 시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환자 본인이 인터넷 등을 통해 4가지에서 12가지 정도의 향수를 구매 후, 각각의 향기를 10초 간격으로 열어 가면서, 10초간 냄새를 맡고, 10초간 냄새를 맡지 않은 후, 냄새를 바꿔 다시 10초간 맡는 반복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여러 개의 향수병을 번갈아 가면서 열어 연습을 시행하는 것이 쉽지 않아, 실제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순응도(compliance)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편의성을 제고할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3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지속해야 하는 후각훈련의 특성상, 훈련을 병원이 아닌 자택이나 개인적인 공간에서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환자들의 훈련현황이 이 기간 동안 피드백이 되지 않는다면, 연습을 시행하지 않게 되며, 내원시 실제 후각훈련을 얼마나 잘 시행하였는지 확인할 수 없어, 이런 문제점들이 후각훈련 및 관련 연구에 제한점이 된다.
또한 교통사고 후 후각 소실 등에서는 후각회복 가능성의 판단 여부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후각회복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나, 실제 환자들이 후각소실 진단을 통한 보상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후각훈련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현재는 환자가 후각훈련을 시행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후각훈련 및 객관적인 피드백 장치가 개발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국내특허등록번호 제10-1789768호 국내공개특허번호 제10-2015-0140692호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결과 기 설정된 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자동으로 향을 발산시켜 후각훈련을 수행하고 후각훈련결과를 외부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향기(odor)를 순차적으로 일정시간동안 발산시킨 후 휴지하는 과정을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자동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훈련이 필요한 환자가 각각의 향을 정해진 시간에 쉽게 바꿔 훈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편의를 증진시켜 환자의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용 어플리케이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후각 상태 파악 및 추가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후각훈련결과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주치의가 환자들의 실제 후각훈련 시행 상태 및 주기, 빈도, 시간 등을 파악하여 이후 치료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피드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훈련을 격려할 수 있는 구조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향기가 저장된 3개 이상의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유닛; 상기 캡슐유닛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캡슐유닛 및 이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캡슐부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향기토출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에 내장되어 상기 캡슐유닛, 이동유닛 및 향기토출유닛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훈련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부는 일정직경 및 일정길이를 갖는 통형 캡슐부재, 상기 캡슐부재의 하부와 측면부에 형성되는 가열부재 및 상기 캡슐부재내부에 저장되는 향기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부에 저장되는 향기물질은 고체상태이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가열부재가 열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조절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캡슐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캡슐부의 하부가 삽입고정 되는 다수의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바닥판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바닥판부로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바닥판부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바닥판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동력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하면 및 측면 하단부를 이루어 상기 이동유닛의 바닥판부를 둘러싸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닫힌 공간의 측면을 이루어 상기 캡슐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하우징, 및 상기 측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어서 상기 캡슐유닛이 내장되는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부재와 상기 원통형부재의 외주연 내측 상부로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는 돌출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하우징은 상기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직경을 갖고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길이를 갖는 중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과 하면이 없는 관통형 원기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측면하우징 상단부의 외측면과 끼워지는 내부직경을 갖는 원판부재와 상기 원판부재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하부연장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하부하우징, 측면하우징 및 상면하우징은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하우징의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상기 측면하우징의 관통형 원기둥부재의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관통형 원기둥부재 상단부 외측으로 상기 상면하우징의 수직연장부재가 끼워져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전체적으로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 상기 닫힌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관통공부의 하부로 수직하게 상기 관통공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 중공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1개의 중공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돌출부는 그 하단부와 상기 캡슐부 사이의 거리가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 하부에 삽입되는 판상구조를 갖고 그 판상구조의 중심에 상기 이동유닛의 회전축부재 상부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캡슐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상구조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삽입홀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과 초 근접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의 하부에 상기 캡슐부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부하우징의 하면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수직하게 상기 캡슐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고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이중격벽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격벽 가이드부는 그 내부에 상기 다수의 캡슐부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 내부에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특정 캡슐부 상단부가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 향기토출횟수와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토출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훈련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의 후각훈련결과정보를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하는 후각치료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가 후각훈련을 실제로 수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근접센서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 중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이 실행되는 1단계; 상기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이 이동유닛을 동작시켜 정해진 캡슐부에 내장된 제1향기를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수초에서 수 십초 동안 발산시킨 후 상기 제1향기가 발산된 시간만큼 정지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상기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후각훈련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및 3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근접센서유닛을 통해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유닛의 감지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확한 자세를 요구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가 더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반복되지 않고 상기 후각훈련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가 더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횟수와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는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 것으로 근접센서유닛이 감지한 횟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각훈련성취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가 더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된 후각훈련성취도정보가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전송되는 단계가 더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의 상기 후각훈련성취도정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포함한 후각치료정보가 수신되는 단계가 더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적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 중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이 실행되는 1단계; 상기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이 이동유닛을 동작시켜 정해진 캡슐부에 내장된 제1향기를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수초에서 수 십초 동안 발산시킨 후 상기 제1향기가 발산된 시간만큼 정지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상기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3단계;의 각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후각훈련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및 3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근접센서유닛을 통해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근접센서유닛의 감지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확한 자세를 요구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반복되지 않고 상기 후각훈련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횟수와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후각훈련성취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후각훈련성취도정보가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입력한 상기 후각훈련성취도정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포함한 후각치료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컴퓨터로 더 실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및 상기 후각훈련장치로부터 후각훈련결과정보가 전송되는 병원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전송하는 후각훈련결과정보 및 상기 병원서버가 전송하는 상기 후각훈련결과정보에 대한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한 후각치료정보를 훈련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후각훈련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스마트폰이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향기(odor)를 순차적으로 일정시간동안 발산시킨 후 휴지하는 과정을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자동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각훈련이 필요한 환자가 각각의 향을 정해진 시간에 쉽게 바꿔 훈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편의를 증진시켜 환자의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후각 상태 파악 및 추가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후각훈련결과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주치의가 환자들의 실제 후각훈련 시행 상태 및 주기, 빈도, 시간 등을 파악하여 이후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피드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훈련을 격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각훈련의 치료 효과는 인정되고 있으나, 훈련의 프로토콜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 환자의 치료에 보다 적합한 프로토콜 파악 등에 효과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포함되는 캡슐부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포함된 이동유닛에서 바닥판부와 회전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바닥판부와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및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a에서 이동가이드부(440)가 회전축부재(221)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다양한 종류의 향기(odor)를 순차적으로 일정시간동안 발산시킨 후 휴지하는 과정을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자동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후각훈련결과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주치의가 환자들의 실제 후각훈련 시행 상태 및 주기, 빈도,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환자에게 피드백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에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MOT 는 향기를 12개 써서 training을 시행한 그룹이며, COT 는 향기를 4가지 사용해 시행한 그룹, control은 향기를 사용하지 않은 그룹이므로, 후각훈련(olfactory trainiing)을 하게 되면 후각개선 효과가 자명하지만, 향기의 개수가 늘어나면 그 효과도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어 가능한 많은 수의 향기를 편하게 훈련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는 서로 다른 향기가 저장된 3개 이상의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유닛; 상기 캡슐유닛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캡슐유닛 및 이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캡슐부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향기토출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에 내장되어 상기 캡슐유닛, 이동유닛 및 향기토출유닛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훈련순서대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훈련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통신유닛을 더 포함하여 병원서버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각훈련방법은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 중 훈련자에 의해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이 실행되는 1단계; 상기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이 이동유닛을 동작시켜 정해진 캡슐부에 내장된 제1향기를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수초에서 수 십초 동안 발산시킨 후 상기 제1향기가 발산된 시간만큼 정지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상기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구성을 도 1a 내지 도 1c,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포함되는 캡슐부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포함된 이동유닛에서 바닥판부와 회전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바닥판부와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및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1)는 캡슐유닛(100), 이동유닛(200), 하우징유닛(300), 향기토출유닛(400),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통신유닛(미도시) 및 근접센서유닛(미도시)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캡슐유닛(100)은 후각훈련을 위한 다양한 향기를 훈련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서로 다른 향기가 저장된 캡슐부(110)를 3개 이상 포함하는데 최대 16개의 캡슐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캡슐유닛(100)은 6개의 캡슐부(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슐부(110)는 향기물질을 저장하고 있다가 일정 조건에서 토출할 수 있는 구성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지만 일 구현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 캡슐부재(111), 가열부재(112) 및 향기물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형 캡슐부재(111)는 향기물질(113)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일정직경 및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시험관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112)는 캡슐부재(111)에 저장된 향기물질(113)에 열을 가하여 토출되는 향기물질(113)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부재(111)를 형성하는 하면부와 측면부를 이루는 벽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캡슐부재(111)의 외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가열부재(112)는 처음에는 캡슐부재(111)의 상부에 배치된 가열부재만 동작하다가 캡슐부재(111)에 저장된 향기물질이 사용됨에 따라 중간부에 배치된 가열부재만 동작되고, 최종적으로 하부 및 하면부에 배치된 가열부재만 동작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향기물질(113)은 일반적으로 후각훈련에 사용되는 공지된 향기물질로서 장미, 계피, 복숭아, 오렌지, 레몬, 딸기, 파인애플, 가죽, 풀, 꿀, 바닐라, 초콜릿, 페퍼민트 전나무, 양파, 코코넛, 바나나, 호두, 버찌, 사과, 자몽, 감초, 츄잉껌, 겨자, 고무, 박하, 송진, 마늘, 당근, 담배, 포도주, 연기, 멜론, 배, 자두, 녹차, 참기름, 럼주, 빵, 생선, 치주, 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향기물질(113)은 향기가 섞이지 않도록 고체상태로 캡슐부재(111)에 저장되고 향기토출유닛(400)을 통해 향기를 토출해야할 시점에만 제어유닛에 의해 가열부재(112)가 열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향기물질(113)이 고체상태인 경우는 훈련자가 보다 다양한 향기를 갖고 후각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 개의 통형 캡슐부재(111)에 1개의 향기물질만을 담는 것이 아니라 2가지 이상의 향기물질을 순차적으로 저장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되면, 상부에 있는 향기물질1이 사용되면 그 하부에 저장된 다른 향기물질2, 그 하부에 저장된 다른 향기물질 3 등이 순차적으로 토출되게 되므로 훈련자가 가능한 많은 수의 다른 향기물질을 이용하여 후각훈련을 할 수 있어 후각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동유닛(200)은 캡슐유닛(100)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즉 캡슐유닛(100)에 포함된 다수개의 캡슐부(110)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고 훈련자가 선택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향기토출유닛(400)을 통해 토출될 향기가 저장된 캡슐부(110)가 향기토출유닛(400)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동유닛(200)은 일구현예로서 바닥판부(210) 및 회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부(210)는 원판상의 바닥판부재(211)에 캡슐유닛(100)에 포함된 6개의 캡슐부(110)의 하부가 삽입고정 되는 6개의 안착홈(2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부(220)는 바닥판부(21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특정 캡슐부재(100)를 향기토출유닛(400)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회전부(220)에 의해 바닥판부(210)가 회전되면 바닥판부(210)의 안착홈(212)에 안착된 캡슐부재(100)의 위치가 이동되기 때문이다. 일 구현예로서 회전부(220)는 회전축부재(221), 회전연결부재(222), 및 회전동력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부재(221)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유닛(300)의 하부로부터 바닥판부(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회전연결부재(222)는 바닥판부(210)로 회전축부재(221)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회전축부재(221)와 바닥판부(210)사이에 형성되어 회전축부재(221)와 바닥판부(21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바퀴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동력부재는 하우징유닛(300)의 하부하우징(3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동력원이 적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전기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유닛(300)은 캡슐유닛(100) 및 이동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구현예로서, 하우징유닛(300)은 하부하우징(310), 측면하우징(320) 및 상부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10)은 닫힌 공간의 하면 및 측면 하단부를 이루어 이동유닛(200)의 바닥판부(210)를 둘러싸는 구성요소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부재(311)와 원통형부재(311)의 외주연 내측 상부로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는 돌출연장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부재(311)는 그 내부에 제어유닛, 통신유닛, 회전동력부재 등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 돌출연장부재(3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으로 측면하우징(320)이 끼워졌을 때 측면하우징(320)이 원통형부재(311)의 측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측면하우징(320)의 두께만큼 내부로 삽입된 위치에 형성된다. 측면하우징(320)은 하부하우징(310)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닫힌 공간의 측면을 이루어 캡슐유닛(10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돌출연장부재(312)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직경을 갖고 캡슐유닛(100)보다 긴 길이를 갖는 중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과 하면이 없는 관통형 원기둥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통형 원기둥부재는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환자가 시각적으로 향기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330)은 측면하우징(320)의 상단부를 덮어서 캡슐유닛(100)이 내장되는 닫힌 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측면하우징(320) 상단부의 외측면과 끼워지는 내부직경을 갖는 원판부재(331)와 원판부재(331)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하부연장부재(332)를 포함한다.
하우징유닛(300)은 일 구현예로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하부하우징(310), 측면하우징(320) 및 상면하우징(330)이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부하우징(310)의 돌출연장부재(312)의 외측으로 측면하우징(320)의 관통형 원기둥부재의 하부가 끼워지고 관통형 원기둥부재 상단부 외측으로 상면하우징(330)의 수직연장부재(332)가 끼워져서 하우징유닛(300)은 전체적으로 캡슐유닛(100)보다 긴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 닫힌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을 이룰 수 있다.
향기토출유닛(400)은 하우징유닛(300)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특정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일 구현예로서 향기토출유닛(400)은 관통공부(410), 커버부(420) 및 중공돌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부(410)는 하우징유닛(300)의 내부공간 즉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330)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으로서, 닫힌 공간에 설치된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관통공부(41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330)의 원판부재(331)에서 닫힌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110)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을 관통시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부(410)를 통해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가 외부로 토출되므로 발산된 향기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공부(410)의 크기는 캡슐부(1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20)는 관통공부(410)를 개폐함으로써 닫힌 공간을 열거나 닫는 뚜껑으로 작용하는 구성요소로서, 관통공부(410)를 그 상부에서 덮을 수 있는 직경으로 관통공부(410) 외주연 일측의 원판부재(3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20)는 관통공부(410)를 개폐할 수 있기만 하면 재질 및 형태의 제한 없이 공지된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구현예로서 내부에 관통공부(410)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형태가 설치되고 수동으로 이를 개폐하는 방식이 제안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자동개폐방식의 커버부(42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의 커버부(420)를 통해 훈련자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커버부(420)로 관통공부(410)를 덮어서 닫힌 공간을 폐쇄하고, 가정용 후각훈련장치(1)를 이용하여 후각훈련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부(420)를 열어서 닫힌 공간을 열어서 제어유닛에 의해 농도가 조절된 향기가 캡슐부(110)에서 토출되면 토출된 향기를 닫힌 공간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중공돌출부(430)는 캡슐부(11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고 관통공부(410)를 통해 거의 대부분 토출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부(410)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관통공부(41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 중공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중공돌출부(43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부(110)의 상단부와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초 근접 거리"란 용어는 중공돌출부(430)의 하단부와 캡슐부(110)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0은 아니지만 이동유닛(200)에 의해 캡슐부(110)의 이동시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가장 최소화된 초미세한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초 근접 거리"를 갖는 경우 시각적으로는 거의 접촉된 상태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수나노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유닛은 하우징유닛(300)에 내장되어 캡슐유닛(100), 이동유닛(200) 및 향기토출유닛(4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대로 향기토출유닛(400)을 통해 훈련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가정용 후각훈련장치(1)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공지된 모든 제어유닛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구현예로서 메모리, 보조회로 및 초소형연산처리장치(MPU)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조립된 형태가 하우징유닛(300)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유닛은 가정용 후각훈련장치(1)의 전원이 켜지면,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 프로그램에 따라 캡슐유닛(100), 이동유닛(200) 및 향기토출유닛(400)을 제어하는데, 특히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 향기토출횟수와 실제로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토출횟수를 비교하여 훈련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근접센서유닛이 포함된 경우에는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서 정해진 n번째 횟수와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도 있다. 즉,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는 훈련자의 얼굴이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 것으로 근접센서유닛이 감지한 횟수가 되므로, 사실상 실제로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토출횟수 이하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통신유닛(미도시)은 훈련자의 후각훈련결과정보를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송신하고,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하는 후각치료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유닛(300)에 내장되어 설치되는데 통신유닛은 유무선 통신을 제한하지 않고 공지된 모든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 구현예로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1)에서 직접 외부의 병원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방식으로 외부시스템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통신유닛이 구현될 수 있다.
근접센서유닛(미도시)은 훈련자가 가정용 후각훈련장치(1)를 이용하여 실제로 후각훈련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향기토출유닛(400) 특히 관통공부(410)에 인접하여 상부 하우징유닛(33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유닛은 훈련자의 얼굴이 관통공부(410)를 향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센싱기술을 다 적용할 수 있으나, 일 구현예로서 근접센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구성을 도 2a 내지 도 2c,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구성은 상술된 제1실시예의 구성과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향기토출유닛(400)이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향기토출유닛(400)은 하우징유닛(300)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특정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다른 구현예로서 향기토출유닛(400)은 관통공부(410), 커버부(420) 및 이동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 중 관통공부(410) 및 커버부(420)의 구성 또한 상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동가이드부(440)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동가이드부(440) 또한 중공돌출부(430)와 동일하게 캡슐부(11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고 관통공부(410)를 통해 거의 대부분 토출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공간의 상면 하부에 삽입되는 원판상 판상구조(441)를 갖고 그 판상구조(441)의 중심에 이동유닛(200)의 회전축부재(221) 상부와 고정되는 고정부재(442)가 형성되며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110)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캡슐부(11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판상구조(441)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삽입홀(44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판상구조(441)의 직경은 상부하우징(330)직경보다 작지만 캡슐유닛(100)에 포함된 모든 캡슐부(110)가 설치된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판상구조(441)의 직경은 상부하우징(330)과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판상구조(441)의 두께는 회전축부재(221)의 높이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는데, 회전축부재(221)에 판상구조(441)가 고정부재(442)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하우징(330)의 원판부재(331)의 내면과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42)는 판상구조(441)의 중심에 형성되어 회전축부재(221)와 고정될 수 있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지만, 일 구현예로서 회전축부재(221) 상부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의 고정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통삽입홀(443)은 판상구조(441)의 가장자리 측으로 바닥판부(210)에 형성된 안착홈(211)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로서 그 직경은 캡슐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가이드부(4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42)에 의해 회전축부재(221)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부하우징(330)과 초 근접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향기토출유닛(400)의 관통공부(410)의 하부에 캡슐부(110)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마찰 없이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구성을 도 3a 내지 도 3c,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하우징(330)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향기토출유닛과 캡슐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의 구성은 상술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실시예의 구성과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향기토출유닛(400)이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향기토출유닛(400)은 하우징유닛(300)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유닛(200)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특정 캡슐부(110)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또 다른 구현예로서 향기토출유닛(400)은 관통공부(410), 커버부(420) 및 이중격벽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향기토출유닛(400)의 구성 중 관통공부(410) 및 커버부(420)의 구성 또한 상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중격벽가이드부(450)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중격벽가이드부(450) 또한 중공돌출부(430) 및 이동가이드부(440)와 동일하게 캡슐부(110)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고 관통공부(410)를 통해 거의 대부분 토출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330) 특히 원판부재(331)의 하면 중 바닥판부(210)의 안착홈(211)에 안착된 다수의 캡슐부(11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수직하게 캡슐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격벽부(451)와 외측격벽부(4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향기토출유닛(400)이 이중격벽가이드부(450)를 포함하는 경우, 이중격벽 가이드부(450)의 내부 즉 내측격벽부(451)와 외측격벽부(452)사이의 이격공간에 다수의 캡슐부(110)의 상단부가 상부하우징(330)의 하면 즉 원판부재(331)의 하면과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측면하우징(320)의 높이를 원판부재(331)의 하면과 캡슐부의 상단부가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이중격벽가이드부(450)는 이동유닛(200)에 의해 특정 캡슐부 상단부가 향기토출유닛(400)의 관통공부(410)에 위치하도록 이동시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상술된 구성을 갖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는 전원을 공지된 방식의 유선 코드형식이 아니라 하우징유닛(300)에 배터리를 내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여 피검사자의 자택은 물론 어디서나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된 구성을 갖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훈련방법을 살펴보면, 크게 3가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1단계는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 중 훈련자에 의해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이 실행되는 단계이다.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는 환자의 다양한 증상을 고려하여 최소 3개 이상, 최대 10 이상의 후각훈련프로토콜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훈련자는 본인의 상태에 맞는 특정 훈련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유닛이 특정 훈련프로토콜을 실행시킬 수 있다. 훈련자의 사용상 편의를 위해 주치의로부터 적합한 후각훈련프로토콜 즉 기 설정되어 저장된 다수의 훈련프로토콜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2단계는 실행된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이 이동유닛을 동작시켜 정해진 캡슐부에 내장된 제1향기를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수초에서 수 십초 동안 발산시킨 후 제1향기가 발산된 시간만큼 정지되는 단계가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10초 발산 후 10초 정지되도록 수행될 수 있는데, 훈련자의 설정에 따라 20초 발산후 20초 정지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3단계는 상술된 2단계를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로서, 훈련자가 훈련하기로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이 12번의 향기를 맡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3단계에서 상술된 2단계가 11번 더 수행되는 방식이다. 일 구현예로서 향기가 저장된 캡슐부가 6개로 구성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훈련프로토콜을 프로그램화할 때 향기의 농도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향기를 토출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다.
보다 확실하게 훈련자가 후각훈련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단계 및 3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근접센서유닛을 통해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유닛의 감지결과로부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확한 자세를 요구하는 등의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여 훈련자가 좀 더 올바르게 후각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다.
또한, 훈련자에게 훈련성과를 보여주고 주치의에게 훈련자의 훈련결과정보를 알리기 위해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횟수와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는 훈련자의 얼굴이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 것으로 근접센서유닛이 감지한 횟수로서, 실제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향기가 토출된 횟수 이하일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한 경우 후각훈련성취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평가된 후각훈련성취도정보가 통신유닛을 통해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또는 병원서버로부터 훈련자의 주치의의 후각훈련성취도정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포함한 후각치료정보가 수신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각훈련성취도정보가 병원서버로 전송되면 주치의는 훈련자가 자택에서 후각훈련을 성실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주치의는 후각훈련기간이 3개월 이상 길어지더라도 훈련자의 훈련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훈련자에게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후각훈련을 독려하거나 향후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후각훈련에 도움이 되는 치료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훈련자는 주치의의 피드백이나 각종 치료정보를 통해 후각훈련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후각훈련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후각훈련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으로,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후각훈련용 어플리케이션은 상술된 구성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및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를 이용하여 후각훈련방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후각훈련결과정보가 후각훈련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병원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가정용 후각훈련장치가 전송하는 후각훈련결과정보 및 병원서버가 전송하는 후각훈련결과정보에 대한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한 후각치료정보가 자동으로 훈련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후각훈련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용단말기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00 : 캡슐유닛 110 : 캡슐부
111 : 갭슐부재 112 :가열부재 113 : 향기물질
200 : 이동유닛 210 : 바닥판부
211 : 안착홈 220 : 회전부
221 : 회전축부재 222 : 회전연결부재
300 : 하우징유닛 310 : 하부하우징
311 : 원통형부재 312 : 돌출형연장부재
320 : 측면하우징 321 : 중공형 내부공간
322 : 관통형 원기둥부재 330 : 상부하우징
331: 원판부재 332 : 수직하부연장부재
400 : 향기토출유닛 410 : 관통공부
420 : 커버부 430 : 중공돌출부
431 : 중공부 440 : 이동가이드부
441 : 판상구조 442 : 고정부재
443 : 관통삽입홀 450 : 이중격벽가이드부
451 : 내측격벽부 452 : 외측격벽부
453 : 격벽공간부

Claims (23)

  1. 서로 다른 향기가 저장된 3개 이상의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유닛;
    상기 캡슐유닛을 고정하고 일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캡슐유닛 및 이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닫힌 공간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일정위치로 이동된 캡슐부에 담긴 향기를 일정시간 토출시키는 향기토출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에 내장되어 상기 캡슐유닛, 이동유닛 및 향기토출유닛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훈련자가 맡을 수 있는 향기를 토출시키는 제어유닛; 및
    상기 훈련자가 후각훈련을 실제로 수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근접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부는 일정직경 및 일정길이를 갖는 통형 캡슐부재, 상기 캡슐부재의 하부와 측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가열부재 및 상기 캡슐부재내부에 저장되는 향기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부에 저장되는 향기물질은 고체상태이고,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가열부재가 열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토출되는 향기의 농도가 조절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 향기토출횟수와 상기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토출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훈련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며,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캡슐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캡슐부의 하부가 삽입고정 되는 다수의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바닥판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바닥판부로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바닥판부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바닥판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하면 및 측면 하단부를 이루어 상기 이동유닛의 바닥판부를 둘러싸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닫힌 공간의 측면을 이루어 상기 캡슐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하우징, 및 상기 측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어서 상기 캡슐유닛이 내장되는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부재와 상기 원통형부재의 외주연 내측 상부로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는 돌출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하우징은 상기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직경을 갖고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길이를 갖는 중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과 하면이 없는 관통형 원기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측면하우징 상단부의 외측면과 끼워지는 내부직경을 갖는 원판부재와 상기 원판부재의 외주연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하부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에 포함된 하부하우징, 측면하우징 및 상면하우징은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하우징의 돌출연장부재의 외측으로 상기 측면하우징의 관통형 원기둥부재의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관통형 원기둥부재 상단부 외측으로 상기 상면하우징의 수직연장부재가 끼워져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전체적으로 상기 캡슐유닛보다 긴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 상기 닫힌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관통공부의 하부로 수직하게 상기 관통공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 중공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1개의 중공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돌출부는 그 하단부와 상기 캡슐부 사이의 거리가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 하부에 삽입되는 판상구조를 갖고 그 판상구조의 중심에 상기 이동유닛의 회전축부재 상부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된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캡슐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상구조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삽입홀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과 초 근접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의 하부에 상기 캡슐부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토출유닛은 상기 닫힌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유닛의 상부하우징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1개의 관통공부, 상기 관통공부를 그 상부에서 덮도록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부하우징의 하면 중 상기 다수의 캡슐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수직하게 상기 캡슐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고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이중격벽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격벽 가이드부는 그 내부에 상기 다수의 캡슐부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 내부에 초 근접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특정 캡슐부 상단부가 상기 향기토출유닛의 관통공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의 후각훈련결과정보를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치의의 피드백정보를 포함하는 후각치료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17.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 중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이 실행되는 1단계;
    상기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이 이동유닛을 동작시켜 정해진 캡슐부에 내장된 제1향기를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수초에서 수 십초 동안 발산시킨 후 상기 제1향기가 발산된 시간만큼 정지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상기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후각훈련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및 3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근접센서유닛을 통해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근접센서유닛의 감지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확한 자세를 요구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반복되지 않고 상기 후각훈련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횟수와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후각훈련성취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후각훈련성취도정보가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입력한 상기 후각훈련성취도정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포함한 후각치료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훈련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는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 것으로 근접센서유닛이 감지한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훈련방법.
  20.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정용 후각훈련장치에 적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기 설정된 후각훈련프로토콜 중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이 실행되는 1단계;
    상기 특정 후각훈련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유닛이 이동유닛을 동작시켜 정해진 캡슐부에 내장된 제1향기를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수초에서 수 십초 동안 발산시킨 후 상기 제1향기가 발산된 시간만큼 정지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상기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3단계;의 각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후각훈련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및 3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근접센서유닛을 통해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근접센서유닛의 감지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얼굴이 실제로 상기 향기토출유닛에 인접하게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확한 자세를 요구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n번째 향기를 발산시킬 때까지 반복되지 않고 상기 후각훈련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후각훈련프로토콜에 정해진 n번째 횟수와 훈련자가 향기토출유닛을 통해 토출된 향기를 맡은 횟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후각훈련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후각훈련성취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못 미치면 재훈련을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후각훈련성취도정보가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접근할 수 있는 병원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주치의가 입력한 상기 후각훈련성취도정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포함한 후각치료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컴퓨터로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훈련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2. 삭제
  23. 삭제
KR1020180114202A 2018-09-21 2018-09-21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KR10221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202A KR102214413B1 (ko) 2018-09-21 2018-09-21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PCT/KR2019/012023 WO2020060167A1 (ko) 2018-09-21 2019-09-18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202A KR102214413B1 (ko) 2018-09-21 2018-09-21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433A KR20200034433A (ko) 2020-03-31
KR102214413B1 true KR102214413B1 (ko) 2021-02-09

Family

ID=6988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202A KR102214413B1 (ko) 2018-09-21 2018-09-21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4413B1 (ko)
WO (1) WO2020060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3478U1 (ru) * 2021-01-25 2021-04-07 Задорожный Артем Анатоль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короновируса covid-19
RU2768172C1 (ru) * 2021-02-26 2022-03-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айбрейнт Рус"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обоняния и вкуса, а также коррекции эмоциональных и когнитивных расстройств с применением интерфейса мозг-компьюте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306A (ja) * 1993-03-12 1994-09-20 O G Giken Kk 訓練用多目的センサー装置
KR20100037438A (ko) * 2008-10-01 2010-04-09 이찬석 자동 회전이 가능한 다종류 일체형 방향제 장치
KR101052365B1 (ko) * 2008-11-05 2011-07-28 김현진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KR20100005639U (ko) * 2008-11-25 2010-06-04 김현진 후각인지 훈련장치
KR101297134B1 (ko) * 2011-07-19 2013-08-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기억력 향상 훈련 방법 및 기억력 향상 훈련용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EP2983810B1 (en) 2013-04-11 2017-08-23 Sensonics, Inc. Hand held smell test
KR101789768B1 (ko) * 2015-12-02 2017-10-2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KR101843111B1 (ko) * 2016-07-27 2018-03-28 조시영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KR20180041859A (ko) * 2016-10-17 2018-04-25 강나영 아로마 발향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584호 (2013.01.29.자 공개) 1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859호 (2018.04.25.자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167A1 (ko) 2020-03-26
KR20200034433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413B1 (ko)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JP6666327B2 (ja) 純粋嗅剤に対する嗅覚検知閾値の左右差を検知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
Pring Ask a silly question: two decades of troublesome trials
Breitenstein et al. D-amphetamine boosts language learning independent of its cardiovascular and motor arousing effects
Fogg et al. Threats to validity in randomized clinical trials
Hachiga et al. Does a rat free a trapped rat due to empathy or for sociality?
JP5081754B2 (ja) 健康・リラクゼーション装置、健康・リラクゼ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及び電気機器
KR102184533B1 (ko)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방법
Korn et al. Practice guidelines for treating gambling-related problems
Medina‐Walpole et al. Mi casa o su casa? Assessing function and values in the home
Tiele et al. Development of a thermal-based olfactory display for aroma sensory training
AU2009499A (en) Remote computer-assisted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US10182789B2 (en) Toilet with stethoscope
WO2018070456A1 (ja) 匂い噴出装置
KR20140024761A (ko)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KR20230068857A (ko) 후각 역치 및 위양성 자가검사시스템
Öst One‐session treatment of dental phobia
Melli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Italian short measure of disgust propensity: The Disgust Propensity Questionnaire (DPQ)
Schuurmans et al. A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study in the nursing home: lessons learned
Smits et al. Towards practical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using robotics pets with dementia patients
WO202001416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for 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KR101789768B1 (ko)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Strickland A Bionic Nose to Smell the Roses Again: Covid Survivors Drive Demand for a Neuroprosthetic Nose
KR20050120105A (ko) 사용자별 건강 상태에 기반한 향기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6452B1 (ko) 자극 반응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