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768B1 -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768B1
KR101789768B1 KR1020150170538A KR20150170538A KR101789768B1 KR 101789768 B1 KR101789768 B1 KR 101789768B1 KR 1020150170538 A KR1020150170538 A KR 1020150170538A KR 20150170538 A KR20150170538 A KR 20150170538A KR 101789768 B1 KR101789768 B1 KR 101789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ntainer
olfactory
incense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722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7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61M11/08Pocket atomiser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olfactory feedback, i.e. sm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원은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은 피검자의 후각 신경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의 각각은 상기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METHOD FOR ACTIVATING OLFACTORY FUNCTION}
본원은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 손상 환자나, 노인성 우울증, 치매환자들의 경우 후각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자신이 일상적으로 맡아왔던 냄새, 예를 들어, 양파, 레몬, 파인애플, 계피, 후춧가루 냄새 등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오래 전에 발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뇌 손상 환자나 치매 환자들에게는 뇌를 자극시킬 수 있는 향을 지속적으로 맡게 함으로써 손상된 후각 기능을 회복시키는 후각 재활 훈련이 중요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환자들에게 병원이나, 양로원, 가정 등에서 평소 맡아왔던 냄새를 효과적으로 자극시켜 손상된 후각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기술 또는 치료 방법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후각 기능 재활 훈련은 손상된 후각 신경의 특정 영역만을 자극하는 일부의 향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시키는 것에 불과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손상된 후각 신경 영역 중에서 특정 부위의 영역만이 활성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후각 기능 재활 훈련에서는 피검자의 성별, 국적, 지역, 현재 상태, 연령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으로 향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피검자가 그 향을 식별하지 못하고, 그 치료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수 있었다.
이에 따라, 후각 재활 훈련에서는 손상된 후각 신경 영역을 전체적으로 자극시키기 위하여 한 가지의 향 만이 아닌 복수의 향을 차례로 사용자에게 자극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며, 피검자의 특성에 맞고 피검자가 선호할 수 있는 향을 선택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치료의 호감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후각 재활 훈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복수의 향을 순차적으로 토출할 때, 각각의 향들이 다른 향들과 섞이지 않고 명확히 구분되도록 자극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대부분 후각 재활 훈련 시, 액체 형태의 향 발산물질을 수용한 스프레이 용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스프레이 용기는 작은 액체방울을 흩뿌리는 방식으로 분사함에 따라 소량을 일정하게 분사하더라도 분사된 향이 공기 중에 오래 잔존한다. 따라서, 스프레이 용기를 이용하여 후각 재활 훈련을 수행할 경우, 순차적으로 복수의 향 자극 시 이전에 분사된 향과 현재 분사된 향이 서로 혼합되어 명확한 향 자극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793321 (등록일: 2008.01.0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향 발산물질 각각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손상된 후각 신경 영역을 전체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는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검자의 특성에 따라 향 발산물질을 선택하여 후각 재활 훈련에 활용함으로써, 피검자에게 훈련의 높은 호감도를 제공하고, 후각 재활 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체 상태의 입자들을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향 밀도를 갖는 공기를 소량 토출할 수 있는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향 토출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향의 혼합을 방지하고, 후각 재활 훈련을 신속하고 원활히 진행할 수 있으며, 손상된 후각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은, 피검자의 후각 신경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의 각각은 상기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검자가 선호하는 향에 기초하여 상기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검자의 국적, 주거지역,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상기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이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향 발산물질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검자의 후각 신경 중 손상된 두 개 이상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두 개 이상의 손상된 후각 신경 영역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전체를 자극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의 종류 및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장미향, 계피향, 레몬향, 복숭아향 및 오렌지향을 발산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순차적으로 토출할 수 있고, 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향 토출 용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향 토출 용기의 각각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향 발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상기 향 발산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향 발산유닛은,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향 함유부, 및 상기 향 함유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의 재질보다 휨에 대한 유연성이 낮은 외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은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이 토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향 토출 용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각각의 화학적 특성과 연계된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향 토출 용기의 각각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향 발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상기 향 발산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은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토출함으로써, 피검자의 손상된 후각 신경 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은 복수의 향 발산물질 결정 시, 복수의 향 발산물질 각각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손상된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손상된 후각 신경을 전체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은 복수의 향 발산물질 결정 시, 피검자의 후각 신경 손상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향 발산물질을 결정함으로써, 피검자의 손상된 후각 신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은 복수의 향 발산물질 결정 시, 피검자가 선호하는 향이나 피검자의 국적, 주거지역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함으로써, 후각 재활 훈련의 호감도를 높이고, 피검자의 특성에 맞춰 후각 재활 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원은 후각 재활 훈련 시, 액체 상태의 입자들을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향 밀도를 갖는 공기를 소량 토출할 수 있는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향 토출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후각 재활 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향 발산물질 별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향 발산물질 별 후각 신경 자극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의해 자극되는 실제 후각 신경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전체 결합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향 토출 용기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용기 내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복수의 향 발산물질 결정 시, 복수의 향 발산물질 각각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손상된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순차적으로 피검자에게 토출함으로써, 피검자의 손상된 후각 신경을 전체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은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한국인들에게 가장 친숙하고 후각 신경구(olfactory bulb) 전체를 자극할 수 있는 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후각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은 피검자의 후각 신경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S110) 및 상기 단계S110에서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토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이 결정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에 따라 복수의 향 발산물질이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시킬 수 있다. 이때, 화학적 특성이라 함은 화학구조, 화학식 등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향 발산물질은 고유의 화학구조 또는 화학식 등의 화학적 특성에 반응하거나 또는 자극되는 후각 신경 영역과 매칭 또는 연결되어, 피검자의 후각 신경 영역 중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향 발산물질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손상된 후각 신경 중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향 발산물질 별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향 발산물질로는, Phenyl ethyl alcohol, Cinnamic aldehyde, d-limonene, Undecalactone gamma, Citral, Valeric acid, Indole, Cyclotene(Methyl cyclopentenolone), Diallyl disulphide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향 발산물질들은 각각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예를 들어, 화학적 구조, 화학식 등)을 가진다.
간단히 살펴보면, Phenyl ethyl alcohol은 장미향으로 인식되고, 화학적으로 aromatic alcohol로 분류되며,
Figure 112015117878293-pat00001
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진다. Cinnamic aldehyde는 계피향으로 인식되고, 화학적으로는 aromatic aldehyde로 분류되며,
Figure 112015117878293-pat00002
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진다. d-limonene는 레몬향으로 인식되고, 화학적으로는 terpene로 분류되며,
Figure 112015117878293-pat00003
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진다. Undecalactone gamma는 복숭아향으로 인식되고, 화학적으로는 lactone으로 분류되며,
Figure 112015117878293-pat00004
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진다. Citral은 오렌지향으로 인식되고, 화학적으로는 aldehyde로 분류되며,
Figure 112015117878293-pat00005
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진다. Valeric acid는 치즈향으로 인식되고, 화학적으로는 fattic acid로 분류되며,
Figure 112015117878293-pat00006
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진다. 이하 Indole, Cyclotene(Methyl cyclopentenolone), 및 Diallyl disulphide도 각각 서로 다른 향으로 인식되며, 각각 서로 다른 화학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향 발산물질 각각은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향 발산물질 각각은 화학적 특성(화학식 구조)과 그에 대응하는 후각 신경 영역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후각 신경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전체를 자극할 수 있도록, 복수의 향 발산물질의 종류 및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향 발산물질 별 후각 신경 자극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a) 내지 도4(f)에는 피검자가 향을 맡았을 때 자극되는 신경인 후각 신경구(olfactory bulb)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후각 신경구가 예시적으로 임의의 10개의 영역(제1 영역(401), 제2 영역(402), …, 제10 영역(410))으로 분할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20에서 5가지의 향 발산물질(제1향 발산물질, 제2향 발산물질, 제3향 발산물질, 제4향 발산물질, 제5향 발산물질)을 토출했을 경우에 자극되는 신경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a)는 장미향, 도 4(b)는 계피향, 도 4(c)는 레몬향, 도 4(d)는 복숭아향, 도 4(e)는 오렌지향을 맡았을 때 자극되는 신경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며, 장미향을 맡았을 경우에는 후각 신경구의 제2 영역(402)과 제7 영역(407)이 자극되고, 계피향을 맡았을 경우에는 후각 신경구의 제9 영역(409)과 제10 영역(410)이 자극되며, 레몬향을 맡았을 경우에는 후각 신경구의 제4 영역(404)과 제5 영역(405)이 자극되고, 복숭아향을 맡았을 경우에는 후각 신경구의 제3 영역(403)이 자극되며, 오렌지향을 맡았을 경우에는 후각 신경구의 제6 영역(406)과 제8 영역(408)이 자극될 수 있다. 이처럼, 도 4(a) 내지 도 4(e)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사용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의 각각은 후각 신경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의하면,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시킬 수 있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선택하여 피검자에게 토출함으로써,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전체 영역(또는 대부분의 전체 영역)을 자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f)를 참조하면, 본원에서 복수의 향 발산물질로서 장미향, 계피향, 레몬향, 복숭아향 및 오렌지향을 발산하는 물질을 선택할 경우, 제1 영역(401)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영역들(즉, 제2 영역(402) 내지 제10 영역(410))이 자극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로서 장미향, 계피향, 레몬향, 복숭아향 및 오렌지향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각 신경을 전체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 및 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의해 자극되는 실제 후각 신경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실제로 피검자가 장미향을 맡았을 때, 도 5(b)는 실제로 피검자가 계피향을 맡았을 때, 도 5(c)는 실제로 피검자가 레몬향을 맡았을 때, 도 5(d)는 실제로 피검자가 복숭아향을 맡았을 때, 도 5(e)는 실제로 피검자가 오렌지향을 맡았을 때 변화된 후각 신경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경우, 색이 붉은색으로 나타날수록 강한 자극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며, 각각의 향 별로 서로 다른 부위가 자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향 발산물질 각각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손상된 후각 신경을 전체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여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단계S110에서는 피검자가 좋아하거나 익숙해하는 향 등과 같은 피검자가 선호하는 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 발산물질로서, 장미향(rose)이 나는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유칼리나무 향(eucalyptus)이 나는 유칼리프톨(eucalyptol), 레몬향(lemon)이 나는 시트로넬랄(citronellal), 및 정향(cloves) 향이 나는 유제놀(eugenol)이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동양인의 피검자가 선호하는 향(또는 좋아하는 향, 익숙해하는 향 등)으로는 장미향과 레몬향이 될 수 있으며, 반면 동양인의 피검자가 선호하지 않는 향(또는, 익숙하지 않은 향, 잘 알지 못하는 향)으로는 유칼리나무 향과 정향 향이 있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단계S110에서는 장미향이 나는 페닐에틸알코올(phenyl ethyl alcohol)과 레몬향이 나는 시트로넬랄(citronellal)과 같이 피검자가 선호하는 향에 기초한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단계S110에서는 피검자의 국적, 주거지역,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피검자의 국적, 주거지역, 연령 및 성별 등에 따라 각각의 피검자들이 선호하는 향이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국인인 여성 피검자는 복숭아향을 선호하고, 미국인인 여성 피검자는 치즈향을 선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검자가 한국인인 여성인 경우 복숭아향을 발산하는 lactone gamma를 향 발산물질로서 결정할 수 있으며, 피검자가 미국인인 여성인 경우 치즈향을 발산하는 Valeric acid를 향 발산물질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계S110에서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 결정 시, 향 발산물질이 후각 신경에서 어느 영역을 자극하는지, 피검자가 선호하는 향인지, 피검자의 국적이 어디인지, 주거지역이 어디인지, 연령, 성별이 무엇인지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향 발산물질 결정 단계(단계S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S110)는 피검자의 후각 신경 중 손상된 두 개 이상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111), 및 상기 단계S111에서 결정된 두 개 이상의 손상된 후각 신경 영역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S110에서는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CT(computed tomography)나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을 통해 획득한 피검자의 후각 신경 영상으로부터, 피검자의 현재의 후각 신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피검자의 후각 신경 영상이 도 4와 같이 임의로 10개의 영역(제1 영역(401) 내지 제10 영역(410))으로 분할되어 있고, 분할된 영역들 중 제2 영역(402), 제3 영역(403) 및 제7 영역(407)이 손상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이, 단계S111에서는 손상된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서, 제2 영역(402), 제3 영역(403) 및 제7 영역(407)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12에서는 제2 영역(402), 제3 영역(403) 및 제7 영역(407)을 자극하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장미향은 제2 영역(402)과 제7 영역(407)을 자극하고, 도 4(d)의 복숭아향은 제3 영역(403)을 자극하므로, 단계S111에서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로서, 장미향을 발산하는 Phenyl ethyl alcohol과 복숭아향을 발산하는 Undecalactone gamma를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계S110에서는 피검자의 후각 신경 영역 중 어느 영역이 손상되었는지를 먼저 결정하고, 이후 손상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손상된 영역을 자극시킬 수 있는 향 발산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20에서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순차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동시에 도출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향 토출 용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소정의 시간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0에서는 향 발산물질 토출 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120에서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각각 하루에 2번, 한번 수행 시 10분 동안 토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12주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피검자는 복수의 향 발산물질에 대응하는 향을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맡게 됨으로써, 보다 확실한 후각 재활 훈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0에서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향 토출 용기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은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복수의 향 토출 용기를 이용하여 후각 재활 훈련이 수행될 수 있으며, 향 토출 용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에 적용 가능한 향 토출 용기, 즉 소정의 향 밀도를 갖는 공기를 소량 토출하는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향 토출 용기에 대해 기술한다. 복수의 향 토출 용기는 각각 다음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전체 결합도이고,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다.
이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600)는 크게 용기(10), 덮개부(20), 뚜껑(30), 및 향 발산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중공부(13)를 가지며, 중공부(13)에는 향 발산유닛(40)이 수용될 수 있다.
용기(10)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향 발산유닛(4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향 발산유닛(40)은 용기(10)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s1)을 두고 중공부(13)에 배치되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향 발산유닛(40)과 용기(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s1)은 일정할 수 있다. 즉, 용기(10)의 내주면은 향 발산유닛(4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의 일정 간격(s1)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향 발산유닛(40)은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향 함유부(43), 및 향 함유부(43)의 둘레를 감싸는 외피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피부(41)는 용기(10)의 둘레부의 재질보다 휨에 대한 유연성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즉, 용기(10)의 둘레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지고, 외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인 반면, 향 발산유닛(40)의 외피부(41)는 유연성이 낮은 단단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향 발산유닛(40)의 향 함유부(43)는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향 함유부(43)는 심지로서, 향 발산물질이 함유된 실오라기나 헝겊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향을 발산하는 디퓨저 리드스틱, 섬유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향 토출 용기의 각각의 향 발산유닛(40)은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향 발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향 발산물질은 고유의 화학적 특성 별로, 각각의 화학적 특성과 연계된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을 자극할 수 있다.
한편, 용기(10)의 개구부(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통로(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향 발산유닛(40)은 하단이 중공부(13)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개구통로(1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향 발산유닛(40)의 상단은 개구통로(12)에 위치함으로써, 용기(10) 내에서 어느 한편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개구통로(12)는 향 발산유닛(4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즉 개구통로(12)의 직경(d1)은 향 발산유닛(4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통로(12)의 직경(d1)이 향 발산유닛(4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향 발산유닛(40)이 용기(1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통로(12)의 직경(d1)이 향 발산유닛(40)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직경"이라는 용어는 원 형상의 지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좁게 해석되기보다는, 다양한 형상의 폭(너비)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 발산유닛(40)은 용기(10)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는, 향 발산유닛(40)을 용기(1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외피부(41)로부터 연장되거나 외피부(41)와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통로(12)의 직경(d1)과 향 발산유닛(40)의 직경이 비슷함에 따라,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용기(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향 함유부(43)를 거치지 않고 개구통로(12)로 바로 배출되기보다는, 용기(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향 발산유닛(40)의 하단을 통해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향 발산유닛(40)을 거쳐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본원의 향 토출 용기(600)는 향 밀도가 높은 상태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향 토출 용기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용기 내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기(10)의 외주면의 양측을 누름으로써 외력이 가해질 수 있음), 용기(10)의 둘레부가 제1 거리(s2)만큼 수축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향 발산유닛(40)의 상단 둘레 사이에 틈(gap)이 거의 없는 경우, 대부분의 공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향 함유부(43)의 내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개구통로(12)의 직경이 향 발산유닛(40)의 직경에 대응하는 경우, 본원의 향 토출 용기(100)는 보다 향 밀도가 높은 상태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향 발산유닛(40)의 외피부(41)는 향 함유부(43)의 하부 둘레가 중공부(13)의 공간에 노출되도록 향 함유부(43)를 감쌀 수 있다. 이때, 향 함유부(43)의 하부가 중공부(13)의 공간에 노출됨으로써,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원의 향 토출 용기(600)는 보다 향 밀도가 높은 상태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덮개부(20)는 용기(10)의 개구부(11)에 개폐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0)는 용기(10)의 개구부(11)에 나사 결합 방식, 억지끼움 방식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덮개부(20)의 상부에는 향 토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러한 향 토출구(21)는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 작용 시 향을 포함하는 용기(10) 내부 공기의 토출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용기(10)의 개구부(1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량(Q)은 단면적(A)과 평균 유속(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유량이 동일한 경우(용기 외주면을 일정하게 가압하는 경우), 단면적이 좁을수록 평균 유속이 빨라진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향 토출구(21)의 직경(d2)이 용기(10)의 개구부(11)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원은 용기(10)에 대한 외력 작용 시,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보다 빠르게 토출시킬 수 있다.
덮개부(20)는 향 토출구(21)를 개폐하는 뚜껑(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뚜껑(30)은 향 토출구(21)에 억지끼움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600)는, 향 발산유닛(40)을 용기(10)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s1)을 두고 중공부(13)에 배치하고, 용기(10)의 둘레부를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외주면에 제1 거리(s2)만큼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향 발산유닛(4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거리(s2)에 대응하는 부피만큼의 향 만을 토출시킬 수 있고, 필요한 소량의 향 만을 일정량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600)는 복수의 향을 순차적으로 자극하는 후각 재환 훈련 시 각각의 향들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자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600: 향 토출 용기
10: 용기 11: 개구부
12: 개구통로 20: 덮개부
21: 향 토출구 30: 뚜껑
40: 향 발산유닛 41: 외피부
43: 향 함유부

Claims (15)

  1. 후각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향 토출 용기를 제어하여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향 토출 용기의 각각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향 발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상기 향 발산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갖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피검자의 국적, 주거지역,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상기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이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과 연계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향 발산물질의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향 발산물질을 결정하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장미향, 계피향, 레몬향, 복숭아향 및 오렌지향을 발산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순차적으로 토출하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발산유닛은,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향 함유부; 및
    상기 향 함유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의 재질보다 휨에 대한 유연성이 낮은 외피부를 포함하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13. 후각 기능을 측정 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검자의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과 연계된 복수의 향 발산물질이 토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향 토출 용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향 토출 용기의 각각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향 발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상기 향 발산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갖는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은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향 발산물질 각각의 화학적 특성은 후각 신경의 서로 다른 영역과 연계된 것인, 후각 기능 측정 방법.
  15. 삭제
KR1020150170538A 2015-12-02 2015-12-02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KR101789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38A KR101789768B1 (ko) 2015-12-02 2015-12-02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38A KR101789768B1 (ko) 2015-12-02 2015-12-02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22A KR20170064722A (ko) 2017-06-12
KR101789768B1 true KR101789768B1 (ko) 2017-10-25

Family

ID=5921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538A KR101789768B1 (ko) 2015-12-02 2015-12-02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33A (ko) 2018-09-21 2020-03-31 전남대학교병원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854A (ja) * 2011-06-03 2012-12-20 Japan Tobacco Inc 香味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854A (ja) * 2011-06-03 2012-12-20 Japan Tobacco Inc 香味発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33A (ko) 2018-09-21 2020-03-31 전남대학교병원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22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yet et al. Functional anatomy of perceptual and semantic processing for odors
Ohloff et al. Scent and chemistry: the molecular world of odors
JP5996157B2 (ja) フレグランス組成物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WO2016049298A1 (en) A device for delivering od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27144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CN108136063A (zh) 香料发散装置
CN110769805B (zh) 具有情绪增强效果的新的芳香剂组合物和产品
JP2017019770A (ja) フレグランス組成物
KR101789768B1 (ko)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KR101790077B1 (ko) 향 토출 용기
EP2799864A1 (en) Method to evaluate fragrance compositions
JP7299153B2 (ja) 匂い誘発感覚に応じた脳活性化パターンを調べるためのfmri法
Hamburger et al. Odors in Cognitive Research: a commentary on'Scented Colours' and an evaluation study on odor quality, with the example of human wayfinding
Smejkal et al. Olfactory activity in the human brain identified by fMRI
KR102001127B1 (ko)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EP2654809B1 (en) Method for counteracting ammonia malodor
Royet et al. Levels-of-processing effects on a task of olfactory naming
WO199603724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irntraining mittels geruchsstimulation
CN117651878A (zh) 测量嗅觉刺激的反应的方法
EP4347762A1 (en) Fragrance for improving invigoration state and method of assessing
Brahms Aroma, touch and well‐being: following the mind to wellness
JP2807889B2 (ja) 衛生用スプレー
Morley Aromatherapy: the future
Pichon Emotion elicitation by odors and their influence on behavior and cognitive performance
JP2024521845A (ja) インビゴレーション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オーラルケアフレーバーおよび評価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