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077B1 - 향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향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077B1
KR101790077B1 KR1020150170542A KR20150170542A KR101790077B1 KR 101790077 B1 KR101790077 B1 KR 101790077B1 KR 1020150170542 A KR1020150170542 A KR 1020150170542A KR 20150170542 A KR20150170542 A KR 20150170542A KR 101790077 B1 KR101790077 B1 KR 10179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grance
perfume
emitting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724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0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smetic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은 향 토출 용기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후각 재활 훈련에 이용할 수 있는 향 토출 용기 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 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향 발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상기 향 발산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향 토출 용기 {CONTAINER FOR DISPENSING ODOR}
본원은 향 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후각 재활 훈련에 이용할 수 있는 향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 손상 환자나, 노인성 우울증, 치매환자들은 가장 먼저 후각에 문제가 생겨서 자신이 일상적으로 맡아왔던 양파, 레몬, 파인애플, 계피, 후춧가루 냄새 등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오래 전에 발표된 바 있어, 뇌 손상 환자나 치매 환자들에게는 뇌를 자극시킬 수 있는 향을 지속적으로 맡게 함으로써 손상된 후각 기능을 회복시키는 후각 재활 훈련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환자들에게 병원이나, 양로원, 가정 등에서 평소 맡아왔던 냄새를 효과적으로 자극시켜 손상된 후각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기술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방향제, 향수 등을 담는 용기로서, 스프레이 용기가 이용되고 있으며, 스프레이 용기는 비교적 점도가 낮은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보관토록 하는 용기의 주입구에 스프레이 펌프가 체결되어 내용물을 정량씩 외부로 분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프레이 용기는 용기 내에 담긴 액체 상태의 물질을 액적(droplet; 작은 액체방울) 형태로 분사하기 때문에, 소량을 일정하게 분사하더라도 비교적 많은 양의 물질이 분사되며, 또한, 분사된 향이 공기 중에 오래 잔존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용기는 후각 재활 훈련을 위한 향 자극 용기로서 이용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후각 재활 훈련에서는 한 가지의 향 만이 아닌 복수의 향을 차례로 사용자에게 자극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처럼 복수의 향을 순차적으로 자극할 때, 각각의 향들이 다른 향들과 섞이지 않고 명확히 구분되도록 자극시켜야 보다 정확한 재활 훈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용기는 작은 액체방울을 흩뿌리는 방식으로 분사함에 따라 소량을 일정하게 분사하더라도 분사된 향이 공기 중에 오래 잔존하기 때문에, 스프레이 용기를 이용하여 후각 재활 훈련을 수행할 경우, 순차적으로 복수의 향 자극 시 이전에 분사된 향과 현재 분사된 향이 서로 혼합되어 명확한 향 자극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1855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향을 자극하는 후각 재활 훈련 시 각각의 향들이 명확히 구분되어 자극될 수 있는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필요한 소량의 향만 토출할 수 있는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소량의 향을 일정량으로 토출할 수 있는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외력에 의하여 용기와 향 발산유닛 사이의 공간이 소정만큼 압축됨에 따라, 용기 내의 향을 머금은 공기가 향 발산유닛의 내측을 거쳐 토출되게 함으로써 밀도 높은 향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액체 상태의 입자들을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향 밀도를 갖는 공기를 소량 토출할 수 있는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후각을 잃은 사람들이 후각 기능을 치료할 때 사용하거나, 후각기관의 기능이 퇴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후각 재활 훈련용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향 발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상기 향 발산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향 발산유닛과 상기 용기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으며, 상기 향 발산유닛은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향 함유부, 및 상기 향 함유부의 둘레를 감싸는 외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는 상기 용기의 둘레부의 재질보다 휨에 대한 유연성이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개구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향 발산유닛은 그 하단이 상기 중공부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그 상단이 상기 개구통로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통로는 상기 향 발산유닛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상기 향 함유부의 하부 둘레가 상기 중공부의 공간에 노출되도록 상기 향 함유부를 감싸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향 함유부는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상기 향 함유부를 감싸는 둘레부재, 및 상기 향 함유부를 상기 중공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둘레부재의 하단과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부재일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을 복수개로 절개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는 상기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속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는, 상기 외력의 작용시 향을 포함하는 상기 용기 내부 공기의 토출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향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는 상기 향 토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 발산유닛은 후각 기능 신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자극하는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향 발산유닛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향, 지역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도출된 향, 및 상기 사용자의 후각 기능 신경 영역들 중 다수의 신경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은 향 발산유닛을 용기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공부에 배치하고, 용기의 둘레부를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향 발산유닛에 접촉되면서 상기 소정의 간격에 대응하는 부피만큼의 향이 배출될 수 있어, 필요한 소량의 향을 일정량으로 배출할 수 있는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스프레이 장치는 액적을 분무하는 방식에 의하므로, 소량을 일정하게 분무하더라도 그 향이 오랜 시간 잔존하여, 복수의 향 자극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후각 재활 훈련 프로세스에 적용하기에는 이웃하는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각각의 향들이 서로 혼합되어 명확한 향 자극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원에 의하면, 액체 상태의 입자들을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향 밀도를 갖는 공기를 소량 토출하는 것이므로,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향 토출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은 복수의 향을 자극하는 후각 재환 훈련 시 각각의 향들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자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은 외력에 의하여 용기와 향 발산유닛 사이의 공간이 소정만큼 압축됨에 따라 필요한 소량의 향을 일정량으로 토출할 수 있고, 압축 시 공기가 향 발산유닛의 내측을 거쳐 토출되게 함으로써 밀도 높은 향을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은 액체 상태의 입자들을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향 밀도를 갖는 공기를 소량 토출할 수 있는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은 후각을 잃은 사람들이 후각 기능을 치료할 때 사용하거나, 후각기관의 기능이 퇴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후각 재활 훈련용 향 토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전체 결합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용기 내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유닛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액체 상태의 입자들을 분무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향 밀도를 갖는 공기를 소량 토출 가능한, 후각 재활 훈련에 최적화된 향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전체 결합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유닛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100)는 크게 용기(10), 덮개부(20), 뚜껑(30), 및 향 발산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중공부(13)를 가지며, 중공부(13)에는 향 발산유닛(40)이 수용될 수 있다.
용기(10)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향 발산유닛(4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향 발산유닛(40)은 용기(10)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s1)을 두고 중공부(13)에 배치되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향 발산유닛(40)과 용기(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s1)은 일정할 수 있다. 즉, 용기(10)의 내주면은 향 발산유닛(4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의 일정 간격(s1)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향 발산유닛(40)은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향 함유부(43), 및 향 함유부(43)의 둘레를 감싸는 외피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피부(41)는 용기(10)의 둘레부의 재질보다 휨에 대한 유연성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즉, 용기(10)의 둘레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지고, 외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인 반면, 향 발산유닛(40)의 외피부(41)는 유연성이 낮은 단단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향 발산유닛(40)의 향 함유부(43)는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향 함유부(43)는 심지로서, 향 발산물질이 함유된 실오라기나 헝겊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향을 발산하는 디퓨저 리드스틱, 섬유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향 발산유닛(40)은 후각 기능 신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자극하는 향 발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향 발산유닛(40)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향(즉, 사용자가 좋아하는 향, 사용자가 익숙해 하는 향), 지역별(또는 국가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도출된 향, 및 상기 사용자의 후각 기능 신경 영역들 중 다수(또는 후각 기능 신경들 전체)의 신경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향 발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 손상 환자나, 노인성 우울증, 치매나 파킨슨 질환 환자들은 가장 먼저 후각에 문제가 생겨서 자신이 일상적으로 맡아왔던 양파, 레몬, 파인애플, 계피, 후춧가루, 오렌지, 커피 냄새 등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오래 전에 발표된 바 있다. 이러한 연구로부터 후각기관은 중추신경계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기억력과 감정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치매나 파킨슨 질환, 우울증 등에 밀접한 관련이 있어 후각기관의 기능이 퇴화되지 않도록 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은 후각을 잃은 사람들이 후각 기능을 치료할 때 사용하거나, 후각기관의 기능이 퇴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후각 재활 훈련용 향 토출 용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종래에 양파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오렌지향 등 각각의 향 마다 후각 기능의 신경 영역을 자극하는 부위가 다르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각각의 향이 자극하는 신경 부위가 다름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향 발산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향(즉, 사용자가 좋아하는 향, 사용자가 익숙해 하는 향), 지역별(또는 국가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도출된 향, 및 상기 사용자의 후각 기능 신경 영역들 중 다수(또는 후각 기능 신경들 전체)의 신경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향 발사물질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용기(10)의 개구부(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통로(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향 발산유닛(40)은 하단이 중공부(13)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개구통로(1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향 발산유닛(40)의 상단은 개구통로(12)에 위치함으로써, 용기(10) 내에서 어느 한편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개구통로(12)는 향 발산유닛(4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즉 개구통로(12)의 직경(d1)은 향 발산유닛(4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통로(12)의 직경(d1)이 향 발산유닛(4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향 발산유닛(40)이 용기(1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통로(12)의 직경(d1)이 향 발산유닛(40)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 "직경"이라는 용어는 원 형상의 지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좁게 해석되기보다는, 다양한 형상의 폭(너비)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 발산유닛(40)은 용기(10)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개구통로(12)의 직경(d1)과 향 발산유닛(40)의 직경이 비슷함에 따라,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용기(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향 함유부(43)를 거치지 않고 개구통로(12)로 바로 배출되기보다는, 용기(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향 발산유닛(40)의 하단을 통해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향 발산유닛(40)을 거쳐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본원의 향 토출 용기(100)는 향 밀도가 높은 상태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용기 내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기(10)의 외주면의 양측을 누름으로써 외력이 가해질 수 있음), 용기(10)의 둘레부가 제1 거리(s2)만큼 수축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향 발산유닛(40)의 상단 둘레 사이에 틈(gap)이 거의 없는 경우, 대부분의 공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향 함유부(43)의 내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개구통로(12)의 직경이 향 발산유닛(40)의 직경에 대응하는 경우, 본원의 향 토출 용기(100)는 보다 향 밀도가 높은 상태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향 발산유닛(40)의 외피부(41)는 향 함유부(43)의 하부 둘레가 중공부(13)의 공간에 노출되도록 향 함유부(43)를 감쌀 수 있다. 이때, 향 함유부(43)의 하부가 중공부(13)의 공간에 노출됨으로써,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향 발산유닛(40)의 내측으로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원의 향 토출 용기(100)는 보다 향 밀도가 높은 상태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향 발산유닛(40)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유닛(40)의 외피부(41)는 향 함유부(43)를 감싸는 둘레부재(42), 및 향 함유부(43)를 중공부(13)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둘레부재(42)의 하단과 연결되는 지지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44)는 둘레부재(42)의 하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부재(44)는 둘레부재(4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을 복수개로 절개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20)는 용기(10)의 개구부(11)에 개폐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0)는 용기(10)의 개구부(11)에 나사 결합 방식, 억지끼움 방식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덮개부(20)의 상부에는, 향 토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향 토출구(21)는 용기(10)의 외주면에 외력 작용 시 향을 포함하는 용기(10) 내부 공기의 토출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용기(10)의 개구부(1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량(Q)은 단면적(A)과 평균 유속(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유량이 동일한 경우(용기 외주면을 일정하게 가압하는 경우), 단면적이 좁을수록 평균 유속이 빨라진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향 토출구(21)의 직경(d2)이 용기(10)의 개구부(11)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원은 용기(10)에 대한 외력 작용 시,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보다 빠르게 토출시킬 수 있다.
덮개부(20)는 향 토출구(21)를 개폐하는 뚜껑(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뚜껑(30)은 향 토출구(21)에 억지끼움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100)는, 향 발산유닛(40)을 용기(10)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s1)을 두고 중공부(13)에 배치하고, 용기(10)의 둘레부를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외주면에 제1 거리(s2)만큼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향 발산유닛(4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거리(s2)에 대응하는 부피만큼의 향 만을 토출시킬 수 있고, 필요한 소량의 향 만을 일정량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토출 용기(100)는 복수의 향을 순차적으로 자극하는 후각 재환 훈련 시 각각의 향들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자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체 용기
10: 용기 11: 개구부
12: 개구통로 20: 덮개부
21: 향 토출구 30: 뚜껑
40: 향 발산유닛 41: 외피부
43: 향 함유부

Claims (15)

  1. 향 토출 용기로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향 발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둘레부는,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주면이 상기 향 발산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지며,
    상기 향 발산유닛은,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향 함유부; 및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용기의 내주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향 함유부의 둘레를 감싸는 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기 용기의 둘레부의 재질보다 휨에 대한 유연성이 낮은 재질을 갖는 것인, 향 토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향 발산유닛은 그 하단이 상기 중공부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그 상단이 상기 개구통로에 위치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통로는, 상기 향 발산유닛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것인, 향 토출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상기 향 함유부의 하부 둘레가 상기 중공부의 공간에 노출되도록 상기 향 함유부를 감싸는 것인, 향 토출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함유부는 향 발산물질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심지를 포함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상기 향 함유부를 감싸는 둘레부재; 및
    상기 향 함유부를 상기 중공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둘레부재의 하단과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부재인 것인, 향 토출 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을 복수개로 절개하여 구비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속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는, 상기 외력의 작용시 향을 포함하는 상기 용기 내부 공기의 토출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향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향 토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발산유닛은
    후각 기능 신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자극하는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발산유닛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향, 지역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도출된 향, 및 상기 사용자의 후각 기능 신경 영역들 중 다수의 신경 영역을 자극할 수 있는 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향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향 토출 용기.
KR1020150170542A 2015-12-02 2015-12-02 향 토출 용기 KR10179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42A KR101790077B1 (ko) 2015-12-02 2015-12-02 향 토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42A KR101790077B1 (ko) 2015-12-02 2015-12-02 향 토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24A KR20170064724A (ko) 2017-06-12
KR101790077B1 true KR101790077B1 (ko) 2017-10-25

Family

ID=5921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542A KR101790077B1 (ko) 2015-12-02 2015-12-02 향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15B1 (ko) * 2020-04-24 2021-09-09 에어그린 주식회사 스프레이 펌프 조립체 및 스프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107A (ja) * 2006-05-01 2007-11-15 Sharp Corp 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気化装置
JP2013141989A (ja) * 2012-01-10 2013-07-22 Thermos Kk 飲料用容器
KR101476945B1 (ko) * 2011-01-07 2014-12-2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세탁물 향기 첨가제를 위한 패키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107A (ja) * 2006-05-01 2007-11-15 Sharp Corp 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気化装置
KR101476945B1 (ko) * 2011-01-07 2014-12-2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세탁물 향기 첨가제를 위한 패키지
JP2013141989A (ja) * 2012-01-10 2013-07-22 Thermos Kk 飲料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24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420B2 (en) Aerosol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DE69821124T2 (de) Abgabevorrichtung
DE60035297T2 (de) Bifunktionaler Spender
US2020026900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coffee-derived volatiles
ZA200500235B (en) Dispenser
KR101790077B1 (ko) 향 토출 용기
DE102005042806A1 (de) Haartrockner
KR101789768B1 (ko) 후각 기능 활성화 방법
KR200415440Y1 (ko) 향기의 제어 배출구조를 갖는 필기구
WO199603724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irntraining mittels geruchsstimulation
DE10018914A1 (de) Gerät zur Abgabe von Düften
KR20180076844A (ko) 향유 분사장치
US635813A (en) Fly-trap.
JP2007283231A (ja) 静電式霧化装置
KR200384234Y1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 저장통을 내장한 볼펜 뚜껑
JPH0534666Y2 (ko)
DE102021202093A1 (de) Aromabehälter sowie Trinkvorrichtung mit einem Aromabehälter
KR20190001258U (ko) 휴대용 아로마 디퓨저
JP2807889B2 (ja) 衛生用スプレー
DE102021003634A1 (de) Zerstäubungsvorrichtung zur Zerstäubung von Flüssigkeiten
KR200384233Y1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 저장통을 내장한 볼펜
KR20220034526A (ko) 컵에 부착된 발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향 방법
KR200374833Y1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을 내장한 볼펜
KR20060089587A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 저장통을 내장한 볼펜 뚜껑
JPH09249273A (ja) 定量粉体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