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11B1 -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11B1
KR101843111B1 KR1020160095461A KR20160095461A KR101843111B1 KR 101843111 B1 KR101843111 B1 KR 101843111B1 KR 1020160095461 A KR1020160095461 A KR 1020160095461A KR 20160095461 A KR20160095461 A KR 20160095461A KR 101843111 B1 KR101843111 B1 KR 10184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cartridge
housing
motor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515A (ko
Inventor
조시영
Original Assignee
조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시영 filed Critical 조시영
Priority to KR102016009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를 개시하며, 개시된 향액 분사장치는, 내부에 부품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장치 하우징, 장치 하우징 내부의 바닥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향액 카트리지들이 탑재되되 해당 위치에 탑재되는 향액 카트리지의 종류를 인식하는 칩 및 향액 카트리지의 교체 여부를 감지하는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를 구비한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 장치 하우징 내의 바닥 영역 중심부에 배치되며 카트리지 탑재부의 칩과 연결되어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PCB와 모터와 상기 메인 PCB 및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며 장치 구동모듈, 일단부는 장치 구동모듈의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복수의 향액 카트리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구동 바아, 구동 바아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향액 카트리지에 연결된 상태에서 향액 카트리지 내의 향액을 흡수하여 외부로 자동 분사시키는 향액 자동 분사모듈, 향액 자동 분사모듈의 향액 분사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을 구비하며 장치 하우징의 상부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덮개, 메인 PCB에 탑재되며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 카트리지로부터의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모터와 향액 자동 분사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및 장치 구동모듈의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Cartridge typer perfume liquid sprayer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물체)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현실감 높은 시청이 가능해질 수 있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단말기, 예컨대 PC, 스마트폰, VR(가상현실) 플레이어 등의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 등의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 서라운드 입체 음향이 제공되면 더욱 현실감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에 대한 기술이 진보되고 있다.
특히, 영상 시청 시 영상 속의 사물(물체)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이 분사될 수만 있다면 마치 영상 속의 주인공이 된 것처럼 몰입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16509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1786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3286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238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물체)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현실감 높은 시청이 가능해질 수 있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부품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장치 하우징; 교체가 가능한 향액 카트리지가 탑재되되 상기 장치 하우징 내의 바닥 영역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 탑재되는 향액 카트리지의 종류를 인식하는 칩(chip)이 마련되는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의 칩과 연결되어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PCB와, 모터와, 상기 메인 PCB 및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하우징 내의 바닥 영역 중심부에 배치되는 장치 구동모듈; 일단부는 상기 장치 구동모듈의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의 상기 향액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구동 바아; 상기 구동 바아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향액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향액 카트리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향액 카트리지 내의 향액을 흡수하여 측벽에 향액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자동 분사시키는 향액 자동 분사모듈; 상기 향액 자동 분사모듈의 향액 분사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상부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덮개; 상기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 및 상기 메인 PCB 상에 탑재되며, 상기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 카트리지로부터의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향액 자동 분사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에 탑재된 향액 카트리지의 교체 여부를 감지하는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의 감지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 내의 바닥 영역에 다수 개 배치되며, 다수의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는 상기 장치 구동모듈을 기준으로 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는 회전 가능하다.
상기 구동 바아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덮개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 보스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물체)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현실감 높은 시청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향액 분사장치(100)는 무선단말기(180)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물체)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현실감 높은 시청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장치 하우징(110) 및 하우징 덮개(125) 사이에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되어 컨트롤되는 구조를 갖는다.
각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장치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향액 분사장치(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위치별로 설치되는 부품수용공간(111)이 형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장치 하우징(110)이 원통형 구조물로 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게 하우징 덮개(125)가 원반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의 형상은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장치 하우징(110)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장치 하우징(110) 내에는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130)가 마련된다.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130)에는 교체가 가능한 향액 카트리지(120)가 탑재되되 장치 하우징(110) 내의 바닥 영역에 배치된다. 참고로, 향액 카트리지(120)는 그 내부에 미리 결정된 종류의 향액이 담겨 있는 탱크(케이스)를 의미하는데, 내부의 향액이 전부 소진된 경우에는 향액 카트리지(120)를 그대로 교체하면 된다.
카트리지 탑재부(130)는 장치 하우징(110) 내의 바닥 영역에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는데, 특히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130)는 장치 구동모듈(150)을 기준으로 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카트리지(120)를 사용하기에 좋다.
도 2에는 1개의 향액 카트리지(120)만 도시되었지만, 예를 들어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130) 상에 향기의 종류가 서로 다른 향액 카트리지가 탑재될 수 있으며, 무선 컨트롤을 통해서 원하는 향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무선단말기(180)를 통한 영상 시청 시 만약 주인공이 장미꽃 주변에 위치된 경우라면 컨트롤을 통해 다수의 향액 카트리지(120) 중에서 장미향이 들어 있는 향액 카트리지(120)를 통해 장미향이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90)에 의한 모터(152) 컨트롤에 의해 해당 위치의 향액 카트리지로 구동 바아(160)가 회전될 수 있고, 이어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동작에 기초하여 해당 향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과정이 무선으로 또한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향액, 즉 장미향의 향액 카트리지 또는 레몬향의 향액 카트리지 내의 향액이 전부 소진된 경우에는 이의 정보가 무선단말기(180)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즉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카트리지 탑재부(130)에는 해당 위치에 탑재되는 향액 카트리지의 종류를 인식하는 칩(chip, 미도시)이 마련되며, 이의 정보가 컨트롤러(19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향액 카트리지(120)들에는 고유 코드가 부여되는데, 카트리지 탑재부(130) 상의 칩이 이를 읽어서 어떤 향인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의 정보를 컨트롤러(190)로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 탑재부(130)에는 카트리지 탑재부(130)에 탑재된 향액 카트리지(120)의 교체 여부를 감지하는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1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140)는 중량 정보 또는 향액 카트리지(120) 내의 가스량 정보에 기초하여 향액 카트리지(120)의 교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140)가 마련된 경우라면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정보, 즉 향액 카트리지(120)를 교체하라는 신호는 장치 구동모듈(150)의 메인 PCB(151) 상에 마련되는 컨트롤러(19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90)는 이러한 신호를 무선 통신부(154)를 통해 무선단말기(180)로 전송함으로써 향액 카트리지(1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장치 하우징(110) 내의 바닥 영역 중심부에는 장치 구동모듈(150)이 마련된다. 장치 구동모듈(15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향액 분사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품이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장치 구동모듈(150)에는 카트리지 탑재부(130)에 마련되는 칩(chip, 미도시)과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140)와 연결되어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PCB(151)와, 모터(152)와, 메인 PCB(151) 및 모터(152)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153)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154)가 마련될 수 있다.
장치 구동모듈(150)에는 구동 바아(160)가 연결된다. 구동 바아(160)는 그 일단부가 장치 구동모듈(150)의 모터(15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카트리지 탑재부(130) 상의 향액 카트리지(12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바아(160)는 모터(152)의 동작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구동 바아(160)의 단부에는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이 마련된다.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은 구동 바아(160)의 동작 시 향액 카트리지(120)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향액 카트리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향액 카트리지(120) 내의 향액을 흡수하여 측벽에 향액 분사구(171)를 통해 외부로 자동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모터(152)의 동작에 의해 구동 바아(160)가 회전되어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이 어느 한 향액 카트리지(120)에 배치되어 연결되면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작용으로 향액 카트리지(120) 내의 향액이 흡수되어 향액 분사구(171)를 통해 외부로 자동 분사될 수 있게끔 한다.
전술한 다수의 부품이 마련되는 장치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하우징 덮개(125)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 덮개(125)에는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향액 분사구(171)가 외부로 노출되는 통공(126)이 형성된다. 도 1처럼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은 통공(126)을 통해 하우징 덮개(125)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덮개(125)는 해당 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바아(160)의 일단부에는 하우징 덮개(125)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 보스(161)가 마련된다. 회전축 보스(161)가 하우징 덮개(125)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통공(126)을 통해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이 노출되기 때문에 구동 바아(160)의 회전 시 하우징 덮개(125)가 회전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 덮개(125)가 반드시 회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무선단말기(180)는 장치 구동모듈(150)에 마련되는 무선 통신부(154)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러한 무선단말기(180)는 예컨대 PC, 스마트폰, VR(가상현실)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190)는 무선단말기(180)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 카트리지로부터의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모터(152)와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앞서 기술한 것처럼 무선단말기(180)를 통한 영상 시청 시 만약 주인공이 장미꽃 주변에 위치된 경우라면 컨트롤러(190)의 컨트롤을 통해 다수의 향액 카트리지(120) 중에서 장미향이 들어 있는 향액 카트리지(120)를 통해 장미향이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으로 현실감 있는 영상 시청이 가능해진다. 특히, 주인공이 음식을 먹을 때, 그 음식에 맞는 향액이 분사될 수 있게 됨으로써 좀 더 현실감 높은 시청이 가능해질 수 있다.
컨트롤러(190)가 상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를 컨트롤하지만, 이 외에도 컨트롤러(190)는 향액 카트리지(120)의 교체 여부에 대한 정보를 무선단말기(180)로 전송하고, 무선단말기(180) 측의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모터(152)와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무선단말기(180)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 카트리지로부터의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모터(152)와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과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무선단말기(180)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 카트리지로부터의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모터(152)와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90)가 무선단말기(180)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 카트리지로부터의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모터(152)와 향액 자동 분사모듈(1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단말기(180)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물체)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현실감 높은 시청이 가능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선택사항이기는 하지만 향액 카트리지(120)의 교체 여부 또는 분사되는 향의 종류 선택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기능을 무선단말기(180)로 접수 또는 인식한 후, 컨트롤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은 본 실시예에 따른 향액 분사장치(100)가 예컨대 실내 공간의 악취 제거용으로 사용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때는 무선단말기(180)로 분사되는 향액의 종류 등을 자동으로 선택해서 해당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게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향액 분사장치(200) 역시, 장치 하우징(110) 및 하우징 덮개(125) 사이에 다수의 부품들이 탑재되어 컨트롤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장치 하우징(110) 내의 바닥 영역에도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130)가 마련되는데, 카트리지 탑재부(130) 상에는 일정 깊이 함몰된 단턱 구조의 카트리지 자리 배치부(23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카트리지 탑재부(130)에 카트리지 자리 배치부(232)가 마련될 경우, 향액 카트리지(120)가 제자리에서 흔들리거나 자리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칩(chip) 설치가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무선단말기(180)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물체)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현실감 높은 시청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향액 분사장치(300) 역시, 장치 하우징(310) 및 하우징 덮개(325) 사이에 다수의 부품들이 탑재되어 컨트롤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장치 하우징(310) 내의 바닥 영역에는 실제 구동될 2개의 향액 카트리지(320a,320b)가 배치되는 2개의 제1 및 제2 메인 카트리지 탑재부(330a,330b)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메인 카트리지 탑재부(330a,330b)의 주변에는 예비로 사용될 향액 카트리지(미도시)가 저장되는 카트리지 버퍼부(331)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카트리지 버퍼부(331)에 예비로 사용될 향액 카트리지를 미리 배치시켜 저장해둘 수 있다.
장치 구동모듈(350)에 연결되는 구동 바아(360a,360b)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1 및 제2 메인 카트리지 탑재부(330a,330b)와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직각 형태로 된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 바아(360a,360b)로 적용된다.
이때, 향액 자동 분사모듈(370a,370b)은 제1 및 제2 구동 바아(360a,360b)의 단부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으며, 2개의 제1 및 제2 메인 카트리지 탑재부(330a,330b)에 탑재된 향액 카트리지(120)와 연결될 수 있다.
향액 자동 분사모듈(370a,370b)이 한 쌍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하우징 덮개(325) 상의 통공(326) 역시, 2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메인 카트리지 탑재부(330a,330b)에 탑재되는 카트리지(320a,320b)의 향액 종류는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컨트롤러(미도시)는 제1 및 제2 향액 자동 분사모듈(370a,370b) 중 원하는 하나를 동작시켜 해당 향액이 외부로 분사되게끔 할 수 있다. 즉 앞서 기술한 것처럼 예컨대, 향액 자동 분사모듈(370a,370b)이 장미향과 레몬향의 향액 카트리지(320a,320b)에 각각 연결된 상태라면 무선신호에 의한 컨트롤에 의해 장미향과 레몬향 중 하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는 제1 및 제2 구동 바아(360a,360b)가 굳이 회전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될 경우, 장치를 하나 더 구입하지 않더라도 서로 다른 향액을 분사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향액 분사장치 110 : 장치 하우징
111 : 부품수용공간 120 : 향액 카트리지
125 : 하우징 덮개 126 : 통공
130 : 카트리지 탑재부 140 :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
150 : 장치 구동모듈 151 : 메인 PCB
152 : 모터 153 : 배터리
154 : 무선 통신부 160 : 구동 바아
161 : 회전축 보스 170 : 향액 자동 분사모듈
171 : 분사구 180 : 무선단말기
190 : 컨트롤러

Claims (5)

  1. 내부에 부품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 내부의 바닥 영역에 배치되며, 교체 가능한 복수의 향액 카트리지들이 탑재되되 해당 위치에 탑재되는 향액 카트리지의 종류를 인식하는 칩(chip) 및 탑재되는 향액 카트리지의 교체 여부를 감지하는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를 구비한 다수의 카트리지 탑재부;
    상기 장치 하우징 내부의 바닥 영역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의 칩과 연결되어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PCB와, 모터와, 상기 메인 PCB 및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장치 구동모듈;
    일단부는 상기 장치 구동모듈의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모터의 동작에 연동되어 복수의 향액 카트리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구동 바아;
    상기 구동 바아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향액 카트리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향액 카트리지 내의 향액을 흡수하여 측벽에 구비된 향액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자동 분사시키는 향액 자동 분사모듈;
    상기 향액 자동 분사모듈의 향액 분사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상부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덮개;
    상기 장치 구동모듈의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 및
    상기 메인 PCB에 탑재되며, 상기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속의 사물 또는 장소에 대응되는 향액 카트리지로부터의 향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향액 자동 분사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교체 여부 감지부의 감지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 내의 바닥 영역에 다수 개 배치되며,
    다수의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는 상기 장치 구동모듈을 기준으로 하여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는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바아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덮개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KR1020160095461A 2016-07-27 2016-07-27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KR10184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61A KR101843111B1 (ko) 2016-07-27 2016-07-27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61A KR101843111B1 (ko) 2016-07-27 2016-07-27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15A KR20180012515A (ko) 2018-02-06
KR101843111B1 true KR101843111B1 (ko) 2018-03-28

Family

ID=6122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461A KR101843111B1 (ko) 2016-07-27 2016-07-27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055B1 (ko) * 2018-07-04 2020-07-10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카트리지
KR102214413B1 (ko) * 2018-09-21 2021-02-09 전남대학교병원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7126A (ja) * 2009-04-23 2010-11-11 Ntt Docomo Inc 匂い発生システム、匂い発生端末、配合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匂い発生方法
JP2016518165A (ja) 2013-03-15 2016-06-23 ベイパ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Vapor Communications, Inc. 嗅覚感覚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7126A (ja) * 2009-04-23 2010-11-11 Ntt Docomo Inc 匂い発生システム、匂い発生端末、配合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匂い発生方法
JP2016518165A (ja) 2013-03-15 2016-06-23 ベイパ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Vapor Communications, Inc. 嗅覚感覚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15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111B1 (ko) 무선단말기 연동식 카트리지 타입의 향액 분사장치
US1188355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hygiene of a portable packaged food container
CN109789237A (zh) 数字香味散布系统和网络
EP3476269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assessing the type of detergent in use in a dishwashing machine
EP3688218B1 (en) A dispensing mechanism for dispensing tablets of a washing product
CA3075761A1 (en) Improved neutral atmosphere and sanitization storag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JP2005224504A (ja) 香料等噴射装置
CN107020832B (zh) 一种物联网手机保护壳图像打印系统
US7704330B2 (en) Method for adapting a rinsing program in a dishwasher machine, and corresponding dishwasher machine
KR101410174B1 (ko) 호신용 스프레이
KR102654724B1 (ko) 휴대용 포장 식품 용기를 위한 위생 시스템
KR101537980B1 (ko) 기후 조건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을 안내하는 화장품 용기
US20230039557A1 (en) Device for grinding and mixing of herbs and/or tobacco and/or spices, preparing and dispensing of paper cones and method for the application thereof
JP2004249208A (ja) 吸入器及び吸入システム
US20180375965A1 (en) Packaged Product Configuration
KR101673235B1 (ko)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WO2005102009A3 (en) Metering system having a portable controller
GB24998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spaces
EP3378658B1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2006000409A (ja) カプセル排出装置
KR20200086201A (ko) 향기 분사 시스템
KR102317924B1 (ko) 향 분사 장치 및 제어 방법
JP7408141B2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ー及びアロマ液容器
US20170182427A1 (en) Portable Gaming System
WO2024059645A2 (en) Tabletop scent disp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