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174B1 - 호신용 스프레이 - Google Patents

호신용 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174B1
KR101410174B1 KR1020110043820A KR20110043820A KR101410174B1 KR 101410174 B1 KR101410174 B1 KR 101410174B1 KR 1020110043820 A KR1020110043820 A KR 1020110043820A KR 20110043820 A KR20110043820 A KR 20110043820A KR 101410174 B1 KR101410174 B1 KR 10141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ush button
lid
container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200A (ko
Inventor
이성식
임용현
Original Assignee
이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식 filed Critical 이성식
Priority to KR102011004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17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10Hand-held or body-worn self-defence devices using repellant gases or chemic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87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03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호신용 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버튼이 구성된 누름수단을 보호하도록 캡을 구성하여, 상기 누름버튼이 임의로 동작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위협적인 순간에 상기 누름버튼을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휴대가 가능한 호신용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누름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누름수단의 하단에 최루액이 저장되는 용기가 구성되어 위협상황일 경우 상기 누름수단을 눌러주면 상기 누름수단의 작동에 연계되어 상기 용기에 저장된 최루액이 상기 누름수단의 일측에 구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무력화시키도록 구성된 호신용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호신용 스프레이(1)는 상단에 누름버튼(12)이 구성되고 상기 누름버튼(12)의 일측에 분사노즐(14)이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12)을 눌러줌에 따라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누름수단(10)과; 상기 누름수단(1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내측에 최루액이 저장되는 제1용기(20); 상기 누름수단(10)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일정깊이의 수납공간(32)이 마련되도록 외벽(34)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34)의 일부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개방부(36)가 마련되고 하방에는 상기 수납공간(32)으로 누름수단(10)의 누름버튼(12)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누름버튼(12)이 삽입되는 삽입공(38)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12)에 마련된 분사노즐(14)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분사노즐(14)이 삽입되도록 상기 외벽(34)의 일측에 노출공(39)이 형성된 캡(30); 상기 캡(30)의 상단에 마련되고 일측에 힌지축(52)으로 힌지 고정되어 상기 캡(30)의 수납공간(32)에 위치한 누름버튼(12)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이 예방하도록 하는 구성된 뚜껑(50); 및 상기 제1용기(20)를 보호하도록 상단이 상기 캡(30)에 체결 고정되는 제2용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신용 스프레이{Pepper spray}
본 발명은 호신용 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버튼이 구성된 누름수단을 보호하는 캡과 상기 캡의 상단에 구비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뚜껑을 구성함으로써, 휴대 중 상기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러짐을 방지하는 호신용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협으로부터 자기를 방어할 수 있도록 한 기구로서, 가스총, 삽입식 봉, 전기발생기, 휴대용 스프레이(또는 휴대용, 호신용 가스분사기), 휴대용 경보기 등 여러 가지 호신용 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의 가스총은 총기와 유사한 모양으로 구성되어 단발 또는 연발 형식으로 최루가스를 발사하는 것이고, 스프레이 형식으로 구성되어 유사시 상대방의 눈 등에 최루 가스를 발사할 수 있는 호신용 스프레이(또는 휴대용, 호신용 가스분사기), 및 상대방을 감전시켜 일시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전기 충격기 등이 있다.
한편, 종래의 호신용구 관련 선행기술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86970호에는, 고추에서 추출한 캡사이신,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알코올 등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로 최루가스용 최루액을 구성함으로써 오작동시에도 인체에 피해를 주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72973호에는, 노즐밸브가 구비된 가스통, 노즐, 조작버튼, 연결수단, 조작버튼과 가스통 노즐밸브의 연동수단 등으로 구성하여 잠김 상태에서 작동상태로의 전환이 원터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17730호에는, 진압봉과 손잡이부를 나사체결가능하도록 분리구성함과 동시에 손잡이부는 가스분사기로 구성하고, 진압봉은 분사관으로 구성함으로써, 진압봉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가스분사기로서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81966호에는, 가스실, 가스배출수단, 전원공급원, 승압수단, 전원공급원과 승압수단의 전압패스 절환수단, 탐침 및 절환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가스총과 전기충격기의 기능을 하나의 호신수단으로 통합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또는 호신용 스프레이(또는 가스분사기)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에 초점을 맞춰 기술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누름수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휴대를 위해 가방에 넣고 다닐 경우 상기 가방에 수납된 물건들에 의해 임의로 누름버튼이 눌러져 최루액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정작 위협적인 순간에 휴대용 스프레이는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는 제품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호신용 스프레이는 최루액을 저장하는 약실이 외부 케이싱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상기 약실에 저장된 최루액의 사용이 완료되면 호신용 스프레이 전체를 들고 대리점을 방문하여 최루액을 보충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신속한 최루액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일회성 사용으로 위협적인 상황을 신속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실이 외부 케이싱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충격이나 진동으로 상기 약실과 누름수단이 상호 분리되는 틈새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의 틈새로 최루액이 새거나 또는 최루액이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화학반응으로 최루성능 저하 및 최루액이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버튼이 구성된 누름수단을 보호하는 캡과 상기 캡의 상단에 구비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뚜껑을 구성함으로써, 휴대 중 상기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러짐을 방지하는 호신용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상단에 누름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누름수단의 하단에 최루액이 저장되는 약실이 구성된 용기가 구성되어 위협상황일 경우 상기 누름수단을 눌러주면 상기 누름수단의 작동에 연계되어 상기 용기에 저장된 최루액이 상기 누름수단의 일측에 구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무력화시키도록 구성된 호신용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호신용 스프레이는 상단에 누름버튼이 구성되고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에 분사노즐이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줌에 따라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누름수단과; 상기 누름수단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내측에 최루액이 저장되는 제1용기; 상기 누름수단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일정깊이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도록 외벽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의 일부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개방부가 마련되고 하방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 누름수단의 누름버튼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누름버튼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에 마련된 분사노즐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이 삽입되도록 상기 외벽의 일측에 노출공이 형성된 캡; 및 상기 캡의 상단에 마련되고 일측에 힌지축으로 힌지 고정되어 상기 캡의 수납공간에 위치한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이 예방하도록 하는 구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용기를 보호하도록 상단이 상기 캡에 체결 고정되는 제2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캡의 개방부로 손가락 삽입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일정높이 돌출되는 공간확보돌기;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뚜껑의 하단 또는 캡의 외벽의 상단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뚜껑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석; 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의 상단 또는 뚜껑의 저면에는 일정길이로 돌출된 작아도 하나 이상의 압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압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뚜껑의 저면 또는 캡의 상단에 형성하여 상기 압축돌기가 억지 끼워맞춤 됨에 따라 뚜껑이 임의 회동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압축삽입홈;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과 뚜껑 및 제2용기는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또는 아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것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누름버튼이 구성된 누름수단을 보호하는 캡과 상기 캡의 상단에 구비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뚜껑을 구성함으로써, 휴대 중 상기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캡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과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과 뚜껑의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스프레이의 캡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호신용 스프레이(1)는 누름수단(10)과, 상기 누름수단(10)의 하방에 결합되고 내측에 최루액이 저장되는 약실역할을 하는 제1용기(20)와, 상기 누름수단(10)을 보호하도록 상방에 결합되는 캡(30), 및 상기 캡(30)의 하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1용기(20)를 보호하는 제2용기(40)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수단(10)은 상단에 누름버튼(12)이 구성되고, 상기 누름버튼(12)의 일측에 마련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발생한 압력에 의해 제1용기(20)에 저장된 최루액이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는 분사노즐(14), 및 상기 누름버튼(12)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누름버튼(12)의 누름동작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용기(20)에 저장된 최루액이 상기 분사노즐(14)로 압출되도록 하는 펌핑부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누름버튼(12)은 상기 펌핑부와 연계 동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누름버튼(12)을 누르면 눌림동작에 의해 펌핑부에서 압력을 발생시켜 제1용기(20)에 저장된 최루액이 상기 분사노즐(14)을 통해 압출된다.
상기 누름버튼(12)과 펌핑부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당업계에서는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를 생략하여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삭제
상기 제1용기(20)는 내측에 최루액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상단에 상기 누름수단(1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구성된다.
따라서, 최루액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누름수단(10)에서 상기 제1용기(20)를 분리시킨 후 최루액이 채워진 다른 제1용기(20)를 교체하거나 또는 상기 제1용기(20)에 최루액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삭제
상기 캡(30)은 누름수단(10)을 보호하도록 외주연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임의로 누름버튼(12)이 눌림 동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캡(30)은 상단이 개방되고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납공간(32)이 형성되도록 외벽(34)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34)의 어느 일측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부(36)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수납공간(32)과 연통되어 누름버튼(12)이 상기 수납공간(32)에 위치되도록 하는 삽입공(38)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벽(34)의 일측 즉, 상기 개방부(36)와 대칭되는 방향에는 상기 누름수단(10)의 분사노즐(14)이 위치되어, 상기 분사노즐(14)을 통해 압출된 최루액이 분사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노출공(3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30)의 상단에는 수납공간(32)에 삽입된 누름수단(10)의 누름버튼(12)이 임의로 눌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뚜껑(50)이 구성된다.
상기 뚜껑(50)은, 상기 캡(30)의 외벽(34) 상단에 안착되고, 일측이 상기 캡(30)과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축(52)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50)에 눌림력이 작용하여도 외벽(34)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납공간(32)에 구비된 누름수단(10)은 눌림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뚜껑(50)은, 상기 캡(30)의 개방부(36)가 구성된 방향에 상기 개방부(36)와 뚜껑(50) 사이로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간확보돌기(54)가 구성된다.
상기 공간확보돌기(54)는 반원형이면서 상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확보돌기(54)에 의해 확보된 공간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시키면, 손가락의 부피만큼 상기 뚜껑(50)은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누름버튼(12)의 누름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캡(30)의 외벽(34) 상단 또는 뚜껑(50)의 하단에는 뚜껑(50)이 힌지축(52)을 통해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자석(60)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캡(30)에서 뚜껑(50)이 힌지축(5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누름버튼(12)이 임의로 눌림되는 것이 방지된다.
삭제
상기 자석(60)은, 캡(30)의 외벽(34) 또는 뚜껑(50)의 하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홈이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캡(30)의 외벽(34) 상단에 삽입홈을 형성한 후 상기 자석(60)을 고정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용기(40)는 제1용기(20)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내측에 상기 제1용기(20)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은 상기 캡(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30)과 뚜껑(50) 및 제2용기(40)는, 가공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아연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목적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신용 스프레이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용기(20)에 일정량의 최루액을 저장한 후 상기 제1용기(20)의 상단에 누름수단(10)을 결합하고, 상기 누름수단(10)의 누름버튼(12)을 캡(30)의 삽입공(38)으로 삽입하면, 상기 누름버튼(12)은 상기 캡(30)의 수납공간(32)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12)의 일측에 돌출된 분사노즐(14)은 캡(30)의 노출공(39)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캡(30)의 하단에 제2용기(40)를 결합한다.
물론, 상기 캡(30)의 상단에는 힌지축(5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뚜껑(50)이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협상황일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뚜껑(50)을 개방하지 않고, 상기 뚜껑(50)의 공간확보돌기(54)와 캡(30)의 개방부(36) 사이로 손가락을 삽입하면, 상기 손가락의 크기에 의해 자석(60)을 통해 캡(30)에 자착되었던 뚜껑(50)은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손가락으로 상기 캡(30)의 수납공간(32)에 위치한 누름수단(10)의 누름버튼(12)을 누르면 제1용기(20)에 저장된 최루액이 분사노즐(14)을 통해 분사된다.
또한, 호신용 스프레이(1)를 휴대하거나 또는 가방 등에 넣고 다닐 때 진동 등이 작용하여도 캡(30)에 뚜껑(50)이 자석(60)에 의해 자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캡(30)의 수납공간(32)에 위치한 누름버튼(12)이 임의로 눌림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호신용 스프레이(1)의 제1용기(20)에 저장된 최루액의 사용이 완료되면 제2용기(40)를 분리한 후 휴대하고 있는 다른 최루액이 채워진 제1용기(20)를 교체하거나 또는 제1용기(20)에 최루액을 보충함으로써, 호신용 스프레이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과 뚜껑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상기 캡(30)과 뚜껑(50) 사이에는, 상기 뚜껑(50)이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임의로 개방됨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0)가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의 노출공(39) 사이에 구성된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뚜껑(50)이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이면 어디든 사용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과 뚜껑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상기 캡(30)과 뚜껑(50) 사이에는, 상기 뚜껑(50)이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동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50)의 저면에는 일정길이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돌기(8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돌기(80)가 억지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압축돌기(80)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캡(30)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압축삽입홈(37)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압축돌기(80)와 압축삽입홈(37)을 캡(30)과 뚜껑(50)에 상호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압축돌기(80)와 압축삽입홈(37)의 끼워맞춤에서 간격을 두도록 도시한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즉, 압축돌기(80)가 상기 압축삽입홈(37)에 억지끼워맞춤 됨에 따라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뚜껑(50)이 쉽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자석(60)이나 탄성부재(70)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자석(60), 탄성부재(70) 및 압축돌기(80)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호신용 스프레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호신용 스프레이 10: 누름수단
12: 누름버튼 14: 분사노즐
20: 제1용기 30: 캡
32: 수납공간 34: 외벽
36: 개방부 38: 삽입공
39: 노출공 40: 제2용기
50: 뚜껑 52: 힌지축
54: 공간확보돌기 60: 자석
70: 탄성부재 80: 압축돌기

Claims (7)

  1. 누름동작에 의해 최루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된 호신용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단에 누름버튼(12)이 구성되고 상기 누름버튼(12)의 일측에 분사노즐(14)이 구성되어 상기 누름버튼(12)을 눌러줌에 따라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누름수단(10)과;
    상기 누름수단(1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내측에 최루액이 저장되는 제1용기(20);
    상기 누름수단(10)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일정깊이의 수납공간(32)이 마련되도록 외벽(34)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34)의 일부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개방부(36)가 마련되며, 하방에 상기 수납공간(32)으로 누름수단(10)의 누름버튼(12)이 위치되도록 삽입공(38)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34)의 일측에 분사노즐(14)이 위치되는 노출공(39)이 형성된 캡(30); 및
    상기 캡(30)의 상단에 마련되고 일측이 힌지축(52)으로 힌지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캡(30)의 수납공간(32)에 위치한 누름버튼(12)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뚜껑(50)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50) 또는 캡(30)에는, 자력에 의한 고정력으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뚜껑(50)이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석(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스프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30)의 하방에는, 상기 제1용기(20)를 보호하도록 체결 고정되는 제2용기(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스프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50)의 일측에는,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뚜껑(50)과 캡(30)의 개방부(36) 사이로 손가락 삽입이 용이하도록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공간확보돌기(54);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스프레이.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캡(30)과 뚜껑(50) 사이에는, 상기 자석(60)을 대체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뚜껑(5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스프레이.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캡(30)의 상단 또는 뚜껑(50)의 저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석(60)을 대체하여, 일정길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돌기(8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압축돌기(8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압축돌기(80)가 억지 끼워맞춤 됨에 따라 뚜껑(5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압축삽입홈(3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스프레이.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캡(30)과 뚜껑(50) 및 제2용기(40)는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또는 아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스프레이.
KR1020110043820A 2011-05-11 2011-05-11 호신용 스프레이 KR101410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20A KR101410174B1 (ko) 2011-05-11 2011-05-11 호신용 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20A KR101410174B1 (ko) 2011-05-11 2011-05-11 호신용 스프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00A KR20120126200A (ko) 2012-11-21
KR101410174B1 true KR101410174B1 (ko) 2014-06-20

Family

ID=4751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820A KR101410174B1 (ko) 2011-05-11 2011-05-11 호신용 스프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1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78A (ko) 2014-08-22 2016-03-03 넥시스 주식회사 호신용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및 호신용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가 장착된 모바일 단말기
KR20220028627A (ko) 2020-08-31 2022-03-08 이수연 애완견용 호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86Y1 (ko) * 2013-02-18 2013-09-12 주식회사 아이펙스 호신용 최루액 분사기
CN107957208A (zh) * 2017-12-27 2018-04-24 南泰科技有限公司 催泪喷射器防误射装置
JP3239092U (ja) * 2019-10-02 2022-09-14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液漏れ防止用容器
CN115523802B (zh) * 2022-11-10 2023-10-03 靖江荣平警用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带靶向定位开关便携式远程催泪喷射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322A (ja) * 1992-05-12 1993-11-22 Tokai:Kk 安全装置付ガスライター
KR200174577Y1 (ko) * 1999-10-13 2000-03-15 주식회사종우실업 개선된 분사펌프
KR20110105988A (ko) * 2010-03-22 2011-09-28 주식회사 엘프 스프레이 분사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322A (ja) * 1992-05-12 1993-11-22 Tokai:Kk 安全装置付ガスライター
KR200174577Y1 (ko) * 1999-10-13 2000-03-15 주식회사종우실업 개선된 분사펌프
KR20110105988A (ko) * 2010-03-22 2011-09-28 주식회사 엘프 스프레이 분사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78A (ko) 2014-08-22 2016-03-03 넥시스 주식회사 호신용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및 호신용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가 장착된 모바일 단말기
KR20220028627A (ko) 2020-08-31 2022-03-08 이수연 애완견용 호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00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74B1 (ko) 호신용 스프레이
JP2013533051A (ja) 携帯用液状化粧品電動ミスト供給器
JP6634509B2 (ja) パウチ容器を備えた垂直加圧コンパクト容器
KR200464876Y1 (ko) 진동수단이 구비된 펌프형 마사지 용기
TW201540374A (zh) 彈性流體外殼
US20070194147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090003240U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315689B1 (ko) 스프레이 장치
JP4407268B2 (ja) 間欠噴射用釦
JP4491336B2 (ja) 汚濁液噴出装置
KR20120117493A (ko) 호신용 향수병
KR101107572B1 (ko) 액상형 호신용 분사기
KR101062186B1 (ko) 호신용 경보분사장치
KR102463473B1 (ko) 약물주입단자를 구비한 무침주사기
JP2000083557A (ja) 電動式噴霧器
KR200288465Y1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분사 장치
KR100637834B1 (ko) 페인트건용 가스용기
JP6680471B2 (ja) 噴射装置、噴射キット及びこれらに用いる袋体
KR200169770Y1 (ko) 최루액 분사장치
JP3563136B2 (ja) 粉体振出装置
KR200158992Y1 (ko) 가스분사기
KR200342913Y1 (ko) 휴대형 최루탄
JP2021013893A (ja) バッテリ式動力噴霧器
JPS61560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