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761A -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761A
KR20140024761A KR1020120091384A KR20120091384A KR20140024761A KR 20140024761 A KR20140024761 A KR 20140024761A KR 1020120091384 A KR1020120091384 A KR 1020120091384A KR 20120091384 A KR20120091384 A KR 20120091384A KR 20140024761 A KR20140024761 A KR 2014002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factory
flavor
smell
tubular
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4761A/ko
Publication of KR2014002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2001/0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sampling for security purposes, e.g. contraband, warfare agents
    • G01N2001/027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sampling for security purposes, e.g. contraband, warfare agents field kits / quick test kits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로서 다수 개의 뚜껑 개폐방식의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하고, 여기에 각각 서로 다른 향취제, 양성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이 담지되며, 상기 향취제는 용매에 향기성분을 함침시킨 형태이다. 본 발명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는 저렴하고, 핸들링이 용이하며, 한국인에 친숙한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검사 신뢰성이 높고 후각이상 발견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는 간단하고 정확하게 후각장애 판단을 할 수 있고, 후각인지 훈련수단으로서 치매나 파킨슨 질환, 노인성 우울증 등의 질환에 있어서 치료보조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Tube-type Kit for Smell Identification Test}
본 발명은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후각은 일상생활에서 삶의 질을 유지하고 생활을 영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후각을 소실하면 식욕이 감퇴하고 식사량이 줄며 사회생활에 제한을 받게 된다. 현재 후각에 대한 기전 및 후각장애가 오는 원인에 대해서는 부비동질환, 비염, 상기도감염, 외상, 약물, 선천적 원인 등이 있다.
한편,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손상 환자나, 노인성 우울증, 치매나 파킨슨 질환 환자들은 가장 먼저 후각에 문제가 생겨서 자신이 일상적으로 맡아왔던 냄새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오래 전부터 발표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로부터 후각기관은 중추신경계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기억력과 감정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후각기관의 기능은 치매나 파킨슨 질환, 우울증 등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후각기관의 기능이 퇴화되지 않도록 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후각진단은 병력, 후각기능검사, 이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후각기능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훈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스트 방법으로는 UPS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tification Test), CC-SIT (Cross-culturalSmell Identification Test), CCCRC (Connecticut Chemosensory Clinical Research Center) 테스트 및 T&T 후각검사 등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2007-0099100호는 후각테스트용 카트리지를 제안하고 있고, 카트리지에 도포된 후각캡슐을 비벼서 터트린 후에 냄새를 맡아 평가하는 도구이다. 미국등록특허 제6558322호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후각인지능력을 판별하는 방법과 향 보관 컨테이너, 향 보관 컨테이너를 그룹별로 구분하여 올려놓는 보드 등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검사법은 가격이 비싸고 한국인에게 적합하지 않은 냄새 아이템들을 이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낮으며, 간단하게 후각인지능력이 정상인가 비정상인가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장치가 별로 없다.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2007-0099100호 특허문헌2: 미국등록특허 제65583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격이 저렴하고 한국인에 적합한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를 이용한 후각인지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뚜껑 개폐방식의 플라스틱 튜브를 다수 개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튜브에는 각각 서로 다른 향취제, 양성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이 담지되며, 상기 향취제는 한국인에게 친숙한 향기성분이 용매에 침지되어 있는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를 제공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플라스틱 튜브는 향취제가 담지된 10개의 플라스틱 튜브, 및 삼차신경자극물질인 식초와 음성대조군인 물이 각각 담긴 2개의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하는 총 1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향취제가 담지된 10개의 플라스틱 튜브는 각각 향취제로서 한국인에게 친숙한 향인 간장향, 참기름향, 송진(pine oil)향, 커피향, 딸기향, 장미향, 스모크향, 석유향, 파스향, 사과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튜브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투명또는 반투명하고 길이가 4cm 내지 12cm이고, 직경이 1cm 내지 2.5cm인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튜브들은 검사 순서에 따라 번호가 매겨져 순서대로 종이상자 내 스폰지에 보관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튜브의 향을 맡은 후 그 향이 무엇인지를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플라스틱 튜브에 대해 담지된 향의 정답을 포함한 복수의 항목 중 정답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를 이용한 후각인지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1) 튜브형 후각인지시험용 키트에서 플라스틱 튜브의 뚜껑을 열어 향기를 맡은 후 뚜껑을 닫는 단계; 2) 맡은 향기가 무엇인지 말하거나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수단에서 향기의 정답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 3)정답을 맞힌 점수를 합산하여 이를 기준 스코어에 대비하여 후각능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는 간단한 방법으로 후각인지시험이 가능하고 한국인에게 친숙한 아이템의 향들로 이루어져 검사신뢰성이 높으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개폐식 플라스틱 튜브로 만들어져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고 가격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확하게 후각인지장애를 판단을 할 수 있고, 후각인지 훈련수단으로서 치매나 파킨슨 질환, 노인성 우울증 등의 질환에 있어서 치료보조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튜브형 SIT(Smell identification test)에 사용된 플라스틱 튜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12개의 튜브형들이 보관된 스폰지가 종이상자 안에 있는 사진이다;
도 3은 환자의 BTT, CC-SIT 및 튜브형 SIT 스코어 평균이다 (BTT: butanol threshold test; CC-SIT: cross cultural smell identification test);
도 4는 성별로 구분된 환자의 각 테스트 결과 평균 스코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튜브형 SIT’는 플라스틱 튜브를 다수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를 약칭하는 것으로서, SIT는 후각인지시험(Smell identification test)의 약자이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튜브(10)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튜브(10)는 뚜껑(11)과 본체(12)로 이루어져 뚜껑(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11)은 본체(12)와 분리형일 수도 있고, 슬라이드 방식이나 또는 플라스틱 튜브와 연결된 상태로 뚜껑을 열어 제쳐서 개봉하는 방식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12)는 투명하고 원통형이며 약 4 cm의 길이와, 약 1 cm의 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본체의 색상, 형태 및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튜브는 길이가 4cm 내지 12cm이고, 직경이 1cm 내지 2.5cm인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자체의 냄새가 없어야하고, 향취제에 의해 변형되서는 안된다.
상기 플라스틱 튜브의 내부에는 향취제(13)가 담지되어 있다. 상기 향취제(13)는 용매에 향기성분을 함침시킨 탐폰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후각인지검사는 환자가 정확하게 냄새를 아는지 알아보는 방법이므로, 향취제는 피검자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친숙한 향기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20)의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2개의 플라스틱 튜브들(10)이 종이박스(21) 내에 담겨져 있다. 플라스틱 튜브들(10)은 종이박스 내의 스폰지(22)에 의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플라스틱 튜브들(10)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역할을 하는 것은 스폰지 외에도 다양한 완충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종이박스 역시 플라스틱 박스 또는 철제박스 등 다양한 소재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2개의 플라스틱 튜브 중 10개의 플라스틱 튜브는 향취제가 담지되고, 나머지 2개의 플라스틱 튜브에는 각각 양성 대조군과 음성 대조군이 담지된다. 상기 향취제가 담지된 10개의 플라스틱 튜브에는 각각 향취제로서 간장향, 참기름향, 송진(pine oil)향, 커피향, 딸기향, 장미향, 스모크향, 석유향, 파스향, 및 사과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향은 한국인에게 친숙한 것이므로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향취제들은 쉽게 이용 가능하므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향취제는 한국 외 국가에서 사용되는 경우 그 나라 국민에게 친숙한 향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성 대조군으로는 물이 이용될 수 있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삼차신경자극물질인 식초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2개의 플라스틱 튜브에는 1 ~ 12의 번호가 넘버링되어 있다. 또한, 11번은 음성 대조군, 12번은 양성 대조군이다. 상기 번호는 바람직하게는 후각인지시험 순서가 된다. 참고로 후각인지검사는 후각역치검사와는 구별되는 검사로서 후각역치검사가 농도를 달리해서 얼마나 잘 맞는지 알아보는 검사이고, 이 검사와 같은 후각인지검사는 냄새를 얼마나 잘 맞추는지 알아보는 검사로 후각 역치와도 관계있지만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후각검사이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후각검사는 역치검사와 인지검사를 모두 실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에는 각각의 플라스틱 튜브에 대해 담지된 향의 정답을 포함한 복수의 항목 중 정답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록수단은 종이이거나 전자식일 수 있다. 기록수단에는 시험일자, 성별, 연령, 병력 등의 항목을 기재하는 란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항목은 3~5 개가 바람직하고, 선택항목 역시 한국인에게 친숙한 아이템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모름’ 이나 ‘무향’ 등의 선택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SIT를 이용하여 후각인지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검자는 후각인지시험용 카트리지에서 번호순으로 플라스틱 튜브의 뚜껑을 열고 향기를 맡는다. 플라스틱 튜브의 뚜껑을 열어 발산된 냄새를 코로부터 약 1cm 정도의 거리에서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기를 맡은 후에는 뚜껑을 닫는다. 정확한 측정과 오류를 줄이기 위해 냄새를 맡는 검사 장소는 가능한 한 다른 냄새가 없는 청결한 실내로 온도와 습도가 일정한 곳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피검자는 맡은 향이 무엇인지를 조사자에게 말하거나,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수단에 기재된 복수개의 문항 중 하나의 향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차적으로 정답을 말하거나 기록한 후, 피검자가 정답이 무엇인지 모를 경우 정답을 포함한 선택문항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답을 맞힌 점수를 합산하고, 이를 기준 스코어에 대비하여 후각능의 정도를 판단한다. 후각능은 정상후각, 저후각, 무후각의 3단계로 구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대상]
본 연구는 2008년 에서 2009년 사이에 이비인후과를 방문한 코 증상(nasal symptom)을 갖는 등록된 181명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표 1). 테스트 절차를 설명하고 사전동의를 얻은 후 우리는 부탄올 역치검사(BTT), CC-SIT, 및 튜브형 SIT의 3회의 후각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정상 대조군으로서 정상인 성인 30명이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pat00001
* URI: 상기도 감염(upper respiratory infection)
* CRS: 만성 부비동염(chronic rhinosinusitis)
* NSD: 비중격 만곡증(nasal septal deviation).
[시험방법]
부탄올역치테스트( BTT )
1-부탄올을 함유한 12개의 병으로 구성되고, 가장 높은 농도는 4%이고, 나머지는 심하게 희석된 1:3의 비율이다. 가장 낮은 부탄올 농도를 갖는 병으로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대상자들이 병에서 차례로 다섯 번 부탄올의 냄새를 감지했을 때, 수치가 대상자의 역치값이다. 대상자가 냄새를 맡는데 실패하면, 테스트는 다음 레벨로 넘어간다.
CC -SIT( Cross - cultural Smell Identification Test )
CC-SIT를 수행하기 위해 후각인지테스트TM 키트 (Sensonics, NJ, USA) 를 사용하였다. 상기 CC-SIT는 표준화된 12-아이템의 강제선택형 테스트이고, 마이크로캡슐화된 향취제(odorant)를 포함하는 소책자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자는 아무런 냄새를 맡지 못한 경우라도 4개의 선택사항 중 하나를 특정해야 한다. 대상자는 대답이 맞는지 여부를 말하지 않는다. 맞힌 답의 개수가 CC-SIT 스코어이다.
본 발명의 튜브형 후각인지검사 (튜브형 SIT , Smell Identification Test )
본 발명의 튜브형 SIT 는 12개의 투명한 플라스틱 튜브로서 4 cm의 길이와 1 cm의 직경을 갖는다. 각각의 튜브는 용매-함침된 블랙 탐폰(black tampon)이고, 테스트 후 냄새 유지를 위해 뚜껑을 닫는다(도 1 참조). 10개의 아이템은 한국인에게 친숙한 것들로서, 간장, 참기름, 송진(pine oil), 커피, 딸기, 장미, 스모크(smoke), 석유, 파스향, 및 사과향이 사용되었다. 식초와 물을 각각 양성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표 3). 선택문항들도 한국인에게 친숙한 아이템들로 이루어져 있다 (표 2). 상기 12 튜브는 15x10 cm의 종이상자 내 스폰지에 보관되며,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도 2 참조).
테스트시, 대상자는 튜브의 뚜껑을 열고, 콧구멍에서 1cm 아래에 위치시키며 향취제의 감지를 위해 한번 냄새를 맡는다. 대상자가 아이템을 감지하면, 테스트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그렇지 않으면 대상자에게 4개의 문항이 주어지고, 아무런 냄새를 못 맡았더라도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평가방법]
3회 테스트 중 통계학적 상관관계는 모든 대상자에 대해 분석하였고, 성별과 후각장애의 정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CC-SIT와 튜브형 SIT의 발견율(detection rate)을 비교하였고, 튜브형 SIT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SPSS 소프트웨어(ver. 15)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
환자군에 따른 평균 스코어 비교
모든 대상자에 대한 BTT, CC-SIT. 및 튜브형 SIT 스코어의 평균은 각각 6.25± 3.55, 6.98± 3.48. 및 7.93± 3.78였다. 후각능을 고려할 때, 우리는 BTT 스코어 8 이상을 정상, BTT 스코어 3 에서 7을 저후각. 및 스코어 2 이하를 무후각으로 정의하였다. 정상후각군에서 BTT, CC-SIT. 및 튜브형 SIT 스코어의 평균은 각각 9.08± 1.34, 8.87± 2.13. 및 10.06± 1.92였다. 저후각 환자 중에서, BTT, CC-SIT. 및 튜브형 SIT 스코어의 평균은 각각 4.44± 1.35, 6.30± 2.90. 및 7.18± 3.25였고, 무후각 환자에서는 각각 0.11± 0.32, 1.70± 2.54. 및 2.11± 3.08였다(도 3 참조).
BTT 평균 스코어은 여성은 5.66± 3.62이고, 남성은 6.66± 3.46 였다. 여성과 남성의 평균 스코어는 각각 6.31± 3.85과 7.44± 3.14였고, CC-SIT 은 7.18± 4.01이고, 튜브형 SIT는 8.46± 3.53였다(도 4).
[실험예 2]
발견율
발견율을 CC-SIT와 튜브형SIT에 대해 후각기능에 따라 평가하였다. 정상군(즉, 정상후각군과 대조군)에서, CC-SIT와 튜브형 SIT의 발견율은 각각 92.1± 8.2% 과 95.6± 5.8%였다. 저후각과 무후각 환자에 있어서, 발견율은 튜브형 SIT 가 CC-SIT에 비해 더 높았다(표 4).
튜브형 SIT와 CC-SIT 테스트의 발견율,
CC-SIT 튜브형 SIT
정상 후각(대조군) 92.1± 8.2% 95.6± 5.8%
저후각 52.5± 24.1% 59.8± 27.0%
무후각 14.2± 21.1% 17.6± 25.6%
[실험예 3]
시험 간 상관관계
상관관계는 CC-SIT 과 튜브형SIT 스코어의 평균 사이는 0.856(p< 0.01) 였고, BTT와 튜브형 SIT 사이는 0.760(p < 0.01) 였다. CC-SIT과 튜브형 SIT의 평균 스코어를 비교하여, 환자들을 후각기능과 성별에 따라 그룹화하였다. CC-SIT와 튜브형 SIT 스코어의 평균 사이 상관계수는 정상후각, 저후각. 및 무후각 환자 각각에서 각각 0.549, 0.754. 및 0.870 (p < 0.01) 였다. 남성에 있어서 CC-SIT와 튜브형 SIT 스코어의 평균 사이의 상관계수는 0.830이고, 여성은 0.877였다 (p < 0.01 표 5). 이에, 모든 테스트 사이의 상관계수가 0.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는바, 모든 환자군에 있어서 튜브형 SIT는 BTT 및 CC-SIT 와 우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실험예 4]
변수조절 후 상관계수 비교
나이와 성별에 대해 조절한 후, 상관계수는 CC-SIT와 튜브형 SIT 사이가 0.826 이고, BTT와 튜브형 SIT 사이가 0.732였으며, BTT와 CC-SIT 사이는 0.726였다 (p < 0.01 표 6).
나이와 성별 조절 후의 상관계수
r (상관계수)
CC-SIT & 튜브형 SIT 0.826
BTT & 튜브형 SIT 0.732
BTT & CC-SIT 0.726
[실험예 5]
검사-재검사 시험
튜브형 SIT 에 대한 검사-재검사 결과를 비교하면, 크론바흐 알파값은 0.523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뚜껑 개폐방식의 플라스틱 튜브를 다수 개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튜브에는 각각 서로 다른 향취제, 양성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이 담지되며,
    상기 향취제는 용매에 향기성분을 함침시킨 것인,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향취제가 담지된 10개의 플라스틱 튜브, 및 삼차신경자극물질인 식초와 음성대조군인 물이 각각 담긴 2개의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취제가 담지된 10개의 플라스틱 튜브는 각각 향취제로서 한국인에게 친숙한 향기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향취제가 담지된 10개의 플라스틱 튜브는 각각 향취제로서 간장향, 참기름향, 파인유(pine oil)향, 커피향, 딸기향, 장미향, 스모크향, 석유향, 파스향, 및 사과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라스틱 튜브에 대해 담지된 향기의 정답을 포함한 복수의 항목 중 정답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6. 제5항에 따른 튜브형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에서 플라스틱 튜브의 뚜껑을 열어 향기를 맡은 후 뚜껑을 닫는 단계;
    맡은 향기가 무엇인지 말하거나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수단에서 향기의 정답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
    정답을 맞힌 점수를 평균하여 평균 스코어를 계산하고, 이를 기준 스코어에 대비하여 후각능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각인지 시험방법.
KR1020120091384A 2012-08-21 2012-08-21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KR20140024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84A KR20140024761A (ko) 2012-08-21 2012-08-21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84A KR20140024761A (ko) 2012-08-21 2012-08-21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761A true KR20140024761A (ko) 2014-03-03

Family

ID=5064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84A KR20140024761A (ko) 2012-08-21 2012-08-21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47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590A1 (ko) 2016-05-27 2017-1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향 발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향 발산 용기
KR20200035891A (ko) * 2018-09-27 2020-04-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후각 검사용 키트
KR20200035588A (ko) * 2018-09-27 2020-04-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후각 검사용 향료 조성물
KR20210009878A (ko) * 2019-07-18 2021-01-27 구목화 알츠하이머 진단용 발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590A1 (ko) 2016-05-27 2017-1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향 발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향 발산 용기
US10933154B2 (en) 2016-05-27 2021-03-02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Aroma diffusion module and aroma diffusion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20200035891A (ko) * 2018-09-27 2020-04-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후각 검사용 키트
KR20200035588A (ko) * 2018-09-27 2020-04-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후각 검사용 향료 조성물
KR20210009878A (ko) * 2019-07-18 2021-01-27 구목화 알츠하이머 진단용 발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k et al. Assessment of the Sniff Magnitude Test as a clinical test of olfactory function
Engen The perception of odors
JP6666327B2 (ja) 純粋嗅剤に対する嗅覚検知閾値の左右差を検知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
Silveira‐Moriyama et al. The use of smell identification tests in the diagnosis of Parkinson's disease in Brazil
Hilgers et al. Long-term Results of Olfaction Rehabilitation Using the Nasal Airflow–Inducing (Polite Yawning) Maneuver After Total Laryngectomy
US20150177202A1 (en) Odor threshold test
Okutani et al. Evaluation of “Open Essence” odor-identification test card by application to healthy volunteers
KR20140024761A (ko) 튜브형의 후각인지테스트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후각인지 테스트 방법
Doty Olfactory dysfunction and its measurement in the clinic and workplace
Rodríguez-Violante et al. Comparing the accuracy of different smell identification tests in Parkinson’s disease: relevance of cultural aspects
Risberg-Berlin et al. Screening and rehabilitation of olfaction after total laryngectomy in Swedish patients: Results from an intervention study using the nasal airflow–inducing maneuver
KR102297693B1 (ko) 후각 검사용 키트
Hsu et al. Development of Taiwan Smell Identification Test: a quick office-based smell screening test for Taiwanese
Hori et al. Olfactory function in elderly people and patients with A lzheimer's disease
Jiang et al. Establishment of olfactory diagnosis for the traditional Chinese version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tification Test
Philpott et al. A brief history of olfaction and olfactometry
Birkedal et al. Comparison of two behavioural pain scales for the assessment of procedural pain: A systematic review
Fusari et al. Identification of odors of edible and nonedible stimuli as affected by age and gender
Kobal et al. A threshold-like measure for the assessment of olfactory sensitivity: the “random” procedure
Villwock et al. A ffordable R apid O lfaction M easurement A rray: A Novel, Essential Oil-Based Test Strongly Correlated with UPSIT and Subjective Outcome Measures
Vodicka et al. Screening of olfactory function using odourized markers
Jiang et al. A pilot study of the self-administered computerized olfactory testing system
Vodička et al. Brief evaluation of pleasantness of olfactory and trigeminal stimulants
Tybur et al. Disgust sensitivity relates to affective responses to–but not ability to detect–olfactory cues to pathogens
CN107260128A (zh) 一种嗅觉障碍检测试剂盒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