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365B1 -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365B1
KR101052365B1 KR1020080109249A KR20080109249A KR101052365B1 KR 101052365 B1 KR101052365 B1 KR 101052365B1 KR 1020080109249 A KR1020080109249 A KR 1020080109249A KR 20080109249 A KR20080109249 A KR 20080109249A KR 101052365 B1 KR101052365 B1 KR 101052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factory
smell
sample
test system
cogn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120A (ko
Inventor
김현진
김남균
유문호
박경준
Original Assignee
김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진 filed Critical 김현진
Priority to KR102008010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3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통사고나 뇌졸중으로 인한 뇌손상 환자나 노인성 우울증, 치매 환자의 후각인지능력을 검사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손에 들고 냄새를 맡도록 하는 후각샘플에 전자 칩과 향기재료가 담긴 후각카트리지를 내장하고, 그 후각샘플의 냄새를 맡은 결과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그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소리나 숫자 또는 그림으로 알려주는 표시모듈, 그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저장모듈, 그 검사결과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프린터나 컴퓨터에 연결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은 노인성 우울증, 치매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뇌 손상을 입은 환자의 후각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과 치료경과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장치이다.
후각인지기능, 후각샘플, 전자 칩, 후각카트리지, 치매, 뇌 손상

Description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A test system for olfactory recognition ability}
본 발명은 후각인지능력을 검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 손상 환자나, 노인성 우울증, 치매환자들은 가장 먼저 후각에 문제가 생겨서 자신이 일상적으로 맡아왔던 양파, 레몬, 파인애플, 계피, 후춧가루, 가솔린, 담배 냄새 등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연구가 오래 전부터 발표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노인이나 뇌 손상 환자들을 위해서 개인 병원이나, 양로원, 가정에서 일상생활에서 맡아왔던 냄새들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후각인지능력이 정상인가 비정상인가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장치가 별로 없다.
국내 공개특허(제 10-2007-0099100 호)에 보면 본 발명과 비슷한 목적을 갖고는 있으나 이것은 단지 후각테스트용 카트리지에 관한 제안인데, 이 역시도 카트리지에 도포된 후각캡슐을 수동으로 비벼서 터트린 후에 냄새를 맡아 평가 하는 도구이나 사용자가 비비는 정도에 따라 향의 농도가 달라지는 등 사용하기 불편하고 객관적이지 못하다. 미국등록특허(제 6558322호)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후각인지능력을 판별하는 하나의 방법과 그 방법에 필요한 향 보관 컨테이너, 향 보관 컨테이너를 그룹별로 구분하여 올려놓는 보드 등에 관한 것뿐이다. 위에서 참고로 인용한 특허들은 모두 향을 발산하는 키트나 향 컨테이너의 냄새를 환자가 맡고 그 결과를 환자가 의사나 임상 검사요원에게 음성으로 대답하는 방식에 이용하는 것들이다.
본 발명은 의사나 임상병리사가 환자와 문답식으로 일일이 하던 후각인지능력 검사를 수행하던 종래의 방법과 달리하여, 일상생활에서 흔히 맡을 수 있는 냄새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헬스장, 경로당 등에서 간단하게 환자 스스로 후각인지능력을 검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종래 사용자가 손에 들고 냄새를 맡도록 하는 후각샘플에 전자 칩과 후각카트리지를 내장시키고, 그 후각샘플의 냄새를 맡은 결과를 사용자 스스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소리나 숫자 또는 그림으로 알려주는 표시모듈, 검사결과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프린터나 컴퓨터에 연결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은 가정이나 양로원, 헬스장, 개인병원 등에서 간단하게 노인성 우울증, 치매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뇌 손상을 입은 환자의 뇌 치료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후각인지능력 검사 및 후각인지능력 증진을 위한 훈련과 치료경과를 평가하는데도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으로서, 종래 사용자가 손에 들고 냄새를 맡도록 하는 후각샘플에 전자 칩과 후각카트리지를 내장시키고, 그 후각샘플의 냄새를 맡은 결과를 사용자 스스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 그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소리나 숫자 또는 그림으로 알려주는 표시모듈, 그 검사결과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프린터나 컴퓨터에 연결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참조된 도면을 보고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에 들고 냄새를 맡도록 하는 후각샘플(10)과 , 그 후각샘플(10)의 냄새를 맡은 결과를 사용자 스스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20), 그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소리나 숫자 또는 그림으로 인식률, 총 검사시간, 인식하지 못한 냄새의 이름 등을 보여주는 표시모듈(30), 그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모듈(40), 그 검사결과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프린터(50)나 컴퓨터(60)에 연결하는 통신모듈(7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용 후각샘플의 사시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후각샘플(10)은 내부에 전자 칩(80)과 향기재료를 담고 있는 후각카트리지(90)를 내장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든 것은 전자 칩으로 RFID 태그를 사용한 예이다. 그러나 전자 칩으로 홀센서나 광학센서를 이용할 수 도 있다. 검사 용 후각샘플(10)은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나무, 고분자 합성재료 , 금속합성재료로 만들어지고, 그 모양은 통상의 페그 형태와 같은 다각형의 기둥 형태나 파이프 관 모양을 갖고, 그 크기나 무게는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용 후각카트리지의 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후각카트리지(90)는 플라스틱, 유리, 나무, 실리콘, 종이, 고분자 합성재료, 금속합성재료로 만들어진 다각형의 아주 작은 기둥 형태나 파이프 관 모양을 갖고, 그 내부에 향기재료(100)를 담고 있으며, 향기재료(100)는 고체, 고체분말을 담은 캡슐, 액체로 된 천연 및 인공 향이다. 후각카트리지 양쪽 끝단에 향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110)을 갖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후각샘플을 직접 사용하는 입력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각샘플(10)의 냄새를 맡고 그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0)는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몸체의 일부에 그 냄새에 해당하는 글자나 그림(120)이 표시되어 있고, 전자 칩을 식별하는 RFID 리더 안테나(160)가 삽입되어 있으며, 각각의 후각샘플이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든 지정 공간(130)에 RFID 태그(80)가 내장되어 있는 후각샘플(10)을 직접 집어넣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후각샘플(10)을 집을 때 후각샘플(10)을 보관하고 있던 보관함(140)의 전자 칩 식별기인 RFID 리더 안테나(150)에서 후각샘플(10)에 삽입된 RFID 태그(80)에서 송신하는 고유한 신호를 받아서 테스 트 시작시간을 계산하고, 사용자가 후각샘플(10)의 냄새를 맡고 그 후각샘플(10)을 입력장치(20)에 있는 지정 공간(130)에 넣으면, 후각샘플(10)에 내장된 RFID 태그(80)의 고유한 송신신호를 입력장치(20)에 내장되어있는 전자 칩 식별기인 RFID 리더 안테나(160)가 받아서 입력된 후각샘플(10)이 그 냄새에 해당하는 정확한 자리에 들어왔는가와 그 들어온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각인지능력 검사기의 또 다른 입력장치의 예를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몸체의 일부에 터치스크린 화면(17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후각샘플의 냄새를 맡고 난후에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그 냄새에 해당하는 글자나 그림, 숫자 등(180)을 손가락으로 직접 터치하여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후각인지능력 검사기의 입력장치의 예를 도 6을 사용하여 하나 더 들어보면,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몸체의 일부에 입력장치로 키보드(190)를 설치하고, 키보드(190)의 각각의 키(200)에 냄새에 해당하는 글자나 그림, 숫자 등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후각샘플의 냄새를 맡고난 후에 그 냄새에 해당하는 키(200)를 사용자가 눌러서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용 후각샘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용 후각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후각샘플을 직접 사용하는 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한 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키보드를 사용한 입력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각샘플 20 : 입력장치
30 : 표시모듈 40 : 저장모듈
50 : 프린터 60 : 컴퓨터
70 : 통신모듈 80 : 전자 칩
90 : 후각카트리지 100: 향기재료
110: 미세구멍 120: 표시글자나 그림
130: 후각샘플이 입력되는 지정공간
140: 후각샘플이 보관되는 보관함
150: 후각샘플 보관측 전자 칩 식별기
160: 후각샘플 입력측 전자 칩 식별기
170: 입력장치의 터치스크린
180: 후각샘플 냄새의 글자, 그림, 숫자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의 일부분
190: 입력장치의 키보드
200: 후각샘플 냄새의 글자, 그림, 숫자에 해당하는 키보드의 키

Claims (7)

  1.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 사용자가 손에 들고 냄새를 맡도록 하는 후각샘플에 전자 칩과 냄새를 발산하는 향기재료를 담고 있는 후각카트리지를 내장시키고, 그 후각샘플의 냄새를 맡은 결과를 사용자 스스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 후각인지능력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글자, 숫자 또는 그림으로 알려주는 표시모듈, 후각인지능력 검사결과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저장모듈, 후각인지능력 검사결과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프린터나 컴퓨터에 연결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
  2. 상기 제 1항에서,
    사용자가 손에 들고 냄새를 맡도록 하는 후각샘플은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나무, 고분자 합성재료 , 금속합성재료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고, 그 모양은 통상의 페그 형태와 같은 다각형의 기둥 형태나 파이프 관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
  3. 상기 제 1항에서,
    후각샘플에 내장되는 전자 칩이라 함은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태그 ( tag), 홀 센서 ( Hall Effect Sensor), 광학센서 (Optical Senso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
  4. 상기 제 1항에서,
    향기재료를 담는 후각카트리지는 플라스틱, 유리, 나무, 실리콘, 종이, 고분자 합성재료, 금속합성재료로 만들어진 다각형의 기둥 형태나 파이프 관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
  5. 상기 제 1항에서,
    사용자가 냄새 맡은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는 전자 칩이 내장되어 있는 후각샘플을 직접 집어넣을 수 있도록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몸체의 일부에 설치된 지정 공간,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몸체의 일부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의 몸체의 일부에 설치된 키보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인지능력 검사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080109249A 2008-11-05 2008-11-05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KR10105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49A KR101052365B1 (ko) 2008-11-05 2008-11-05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49A KR101052365B1 (ko) 2008-11-05 2008-11-05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20A KR20100050120A (ko) 2010-05-13
KR101052365B1 true KR101052365B1 (ko) 2011-07-28

Family

ID=4227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249A KR101052365B1 (ko) 2008-11-05 2008-11-05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0147B2 (en) * 2014-09-19 2020-04-0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Neurodegenerative disease screening using an olfactometer
KR102214413B1 (ko) * 2018-09-21 2021-02-09 전남대학교병원 가정용 후각훈련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후각훈련방법, 및 상기 후각훈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
KR102349412B1 (ko) * 2019-07-18 2022-01-10 구목화 알츠하이머 진단용 발향 장치
CN110811552B (zh) * 2019-10-30 2023-06-06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安贞医院 自动化嗅觉测试与评分系统
CN117017222B (zh) * 2023-08-15 2024-03-08 南京鼓楼医院 一种具有嗅觉检测功能的穿戴式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88A (ja) 1998-10-01 2000-04-1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スティック型ニオイ提示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嗅覚検査法
KR20010083504A (ko) * 2000-02-15 2001-09-01 김점근 후각신경 측정시스템 및 그 후각물질 주입장치
JP2005000289A (ja) 2003-06-10 2005-01-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嗅覚検査装置
KR20070099100A (ko) * 2006-04-03 2007-10-09 이재수 후각테스트용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88A (ja) 1998-10-01 2000-04-1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スティック型ニオイ提示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嗅覚検査法
KR20010083504A (ko) * 2000-02-15 2001-09-01 김점근 후각신경 측정시스템 및 그 후각물질 주입장치
JP2005000289A (ja) 2003-06-10 2005-01-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嗅覚検査装置
KR20070099100A (ko) * 2006-04-03 2007-10-09 이재수 후각테스트용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20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365B1 (ko)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WO2011059118A1 (ko) 후각인지능력 검사 시스템
CN101479040B (zh) 具有可移除模块和远程数据传递系统的一次性测定设备
WO2006065754A3 (en) Sensor-dispensing instruments
US7927559B2 (en) Assay device
US20090156967A1 (en) System for evaluating an infant&#39;s perception of aroma
MX2011002235A (es) Dispositivo de prueba de diagnostico portatil de un solo uso, y un sistema y metodo asociado para probar muestras de prueba biologicas y ambientales.
CN1979173A (zh) 分析系统中信息片段的可听输出方法
EP2086395A4 (en) MEASU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Boatright et al. Measurement of thumb abduction strength: normative data and a comparison with grip and pinch strength
WO2019102660A1 (ja) ニオイ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139625A (zh) 用于确定对象的结构特性的系统和方法
EP1480251A3 (en) System of analyzing complex mixtures of biological and other fluids to identify biological state information
Anabitarte-García et al. Early diagnosis of frailty: Technological and non-intrusive devices for clinical detection
CN107003298A (zh) 尿液和粪便蒸汽的化学分析
US20070059678A1 (en) Breast milk contaminant detection device
US20020139170A1 (en) Smell test device
CN101438289B (zh) 测定系统和方法
KR200436314Y1 (ko) 간이소변검사가 가능한 소변검사지 자판기
JP2002329008A5 (ko)
KR100900741B1 (ko) 자동 소변분석 장치
WO2008072275A3 (en) Telematic system for using diagnostic reagent strips and method for acquiring calibration data
US20080167976A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biostrip
JP2005000289A (ja) 嗅覚検査装置
Nitsch et al. Measurement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utility of th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III among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