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961B1 -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961B1
KR102213961B1 KR1020190073209A KR20190073209A KR102213961B1 KR 102213961 B1 KR102213961 B1 KR 102213961B1 KR 1020190073209 A KR1020190073209 A KR 1020190073209A KR 20190073209 A KR20190073209 A KR 20190073209A KR 102213961 B1 KR102213961 B1 KR 102213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orce value
force
driv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939A (ko
Inventor
유상수
김지성
추만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9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C23C2/51Computer-controlled imple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5/00Control of dimensions of material
    • G05D5/02Control of dimensions of material of thickness, e.g. of roll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융도금 설비의 커렉팅 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지션 모터에서 발생하는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여 이 모터 전류 값을 상기 커렉팅 롤의 반력에 대응하는 포스(Force) 값으로 환산하는 반력 측정부; 강종에 따라 폭방향 만곡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정된 포스 값을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모터 전류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 전류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COATING AMOUNT OF PLATING TO B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OF STEEL SHEET}
본 발명은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의 도금 공정에서 커렉팅 롤을 이용하여 강판의 텐션을 강종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강판에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폭방향 도금 부착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표면처리설비의 하나로서 연속공정인 용융도금(CGL : Continuous Galvanizing Line)설비는, 스트립(Strip) 강판의 표면에 아연 등의 용융액을 도포시키는 설비이다. 상기 용융도금은 스트립을 아연이 녹아있는 도금포트에 침적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트립(S)은 연속적으로 이송이 되며, 도금포트(10) 상부로부터 스트립(S)이 아연 용융면으로 진입하고, 싱크 롤(Sink Roll, 20)에 감겨 방향을 전환하여 상부의 커렉팅 롤(Correcting Roll, 30) 및 스테빌라이징 롤(Stabilizing Roll, 40)을 거쳐 다시 용융면 밖으로 출수된다.
여기서 용융도금액 탕면에 가깝게 위치한 스테빌라이징 롤(40)은 스트립(S)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커렉팅 롤(30)은 스트립의 만곡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과정에서 스트립(S) 표면에 도금 용융액이 자연 도포되는데,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도금된 표면은 융융 도금두께 측면에서 일정하지 않으며 도금무늬도 불균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금 출수면의 상부 일정위치에 에어 나이프(Air Knife, 50)를 설치하여 도금층의 두께를 제어하고 무늬를 균일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41107호(2002.07.15. 공개, 용융아연도금욕의 알루미늄 농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강판의 도금 공정에서 커렉팅 롤을 이용하여 강판의 텐션을 강종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강판에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폭방향 도금 부착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는, 용융도금 설비의 커렉팅 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지션 모터에서 발생하는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여 이 모터 전류 값을 상기 커렉팅 롤의 반력에 대응하는 포스(Force) 값으로 환산하는 반력 측정부; 강종에 따라 폭방향 만곡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정된 포스 값을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모터 전류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 전류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 측정부는, 상기 포지션 모터에서 발생하는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는 모터 전류 측정부; 및 상기 모터 전류 값을 포스 값으로 환산하는 Force 환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 측정부는, 상기 모터 전류 값을 포스 값으로 환산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력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에 있는지 비교하고, 상기 반력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포스 값을 변경하고, 상기 포스 값을 변경한 후, 상기 모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변경한 포스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스 값 범위는, 기준 포스 값에 기 지정된 ±오차를 반영한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한 포스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제어한 후, 다시 상기 포지션 모터의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에 있는지 비교하고,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포스 값을 변경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방법은, 용융도금 설비에서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도금 공정에 투입된 조업조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도금 공정의 조업조건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업조건에 대응하는 최적 포스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결정한 최적 포스 값을 커렉팅 롤의 반력에 대응하는 포지션 모터의 포스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포스 값을 포지션 모터의 전류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환한 모터 전류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가 다시 상기 포지션 모터의 모터 전류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모터 전류 값을 포스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환한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에 있는지 비교하고, 만약 상기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포스 값을 변경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환한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에 있는지 비교한 후, 상기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현재 포스 값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강판의 도금 공정에서 커렉팅 롤을 이용하여 강판의 텐션을 강종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강판에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폭방향 도금 부착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용융도금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의 용융 도금층을 임의의 일정두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에어 나이프 위치에서 스트립이 완전 평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상기 도금과정에서는 일정두께의 스트립이 일정 직경의 롤에 의하여 굽힘을 당하게 되면 스트립에 대하여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일부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용융도금 설비의 용융 도금포트에서도 스트립이 싱크 롤(20)에 의하여 굽힘을 받고, 또한 스테빌라이징 롤(40)에 대하여 굽힘을 받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스트립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스트립이 싱크 롤(20)에 의하여 굽힘을 받으면, 스트립(S)에 길이방향 및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다.
용융도금 설비에 있어서, 스트립은 길이방향 또는 이송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므로 장력작용상태에서는 길이방향 만곡은 표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폭방향 만곡은 자유상태이기 때문에 싱크 롤(20)을 통과하면서 외관상으로 일정량의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게 된다.
상이와 같이 폭방향 만곡이 발생된 상태로 스트립이 용융 도금포트를 나와 에어 나이프(50)를 통과하게 되면, 해당 위치에서의 스트립이 완전평면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활한 에어 나이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도금무늬 및 도금량이 균일하게 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폭방향 만곡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만곡 변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용융도금 설비에는 커렉팅 롤(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싱크 롤(20)과 마찬가지 원리로서 반대방향의 폭방향 만곡을 형성하며, 먼저 싱크 롤(20)에서 형성된 폭방향 만곡과 커렉팅 롤(30)에서 형성된 반대방향의 폭방향 만곡이 중첩됨으로써 서로 상쇄되어 이론적으로는 에어 나이프(50) 위치에서의 스트립(S)이 만곡없이 완전 평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롤 굽힘에 의한 만곡의 정도는 강종별 스트립의 기계적 물성 및 크기, 즉 두께 및 폭, 롤 직경, 그리고 롤의 배치 등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상이한 강종 및 각각 다른 크기의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용융 도금하는 경우 발생하는 폭방향 만곡은 형상 및 크기가 변화하게 된다. 이 때 커렉팅 롤(30)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이와 같은 폭방향 만곡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용융도금 장치의 커렉팅 롤(30)은 스트립의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용융도금 설비에는 상기 커렉팅 롤(30)의 위치를 스트립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한 포지션 모터(60)가 더 포함된다(도 2 참조).
그러나 기존에는 임의의 강종 및 크기의 스트립을 도금할 때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 만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관측하여 만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커렉팅 롤(30)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였다. 따라서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만곡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일정한 품질을 유지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강종의 종류에 대응하여 커렉팅 롤(30)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즉, 강판의 도금 공정에서 커렉팅 롤을 이용하여 강판의 텐션을 강종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강판에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폭방향 도금 부착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는, 반력 측정부(110), 제어부(120), 및 모터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포지션 모터(60)는 용융도금 설비에는 상기 커렉팅 롤(30)의 위치를 스트립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한 모터이다.
상기 반력 측정부(110)는 상기 커렉팅 롤(3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발생하는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전류 값을 측정하여 이 모터 전류 값을 Force(즉, 커렉팅 롤의 반력)로 환산한다.
예컨대 상기 Force(즉, 커렉팅 롤의 반력)가 커지는 것은 스트립의 장력이 증가한 것을 의미하고, 상기 스트립의 장력이 증가할 경우 상기 커렉팅 롤(30)을 스트립을 향하여 이동시키기(즉, 밀어내기) 위해서는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전류 값도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전류 값도 증가하는 것은 상기 스트립의 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커렉팅 롤(30)의 반력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전류 값과 이에 대응하는 Force(즉, 반력)을 환산할 경우 상기 스트립의 장력(또는 텐션)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반력 측정부(110)는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전류 값(즉,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는 모터 전류 측정부(111)와 상기 모터 전류 값을 Force(즉, 반력)로 환산하는 Force 환산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터 전류 값을 Force(즉, 반력)로 환산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강종에 따라 폭방향 만곡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Force(즉, 반력) 값을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구동을 위한 모터 전류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6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반력 측정부(110)에서 출력되는 Force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Force 값 범위(즉, 기준 Force 값에 ±오차를 반영한 범위)에 있는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반력 측정부(110)에서 출력되는 Force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Force 값 범위(즉, 기준 Force 값에 ±오차를 반영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구동을 위한 Force 값을 변경(즉,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Force 값을 변경(즉, 증가 또는 감소)한 후,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모터 구동부(130)를 통해 상기 변경한 Force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60)를 제어한다.
상기 변경한 Force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60)를 제어한 후, 다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여, 즉, 상기 반력 측정부(110)에서 출력되는 Force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Force 값 범위(즉, 기준 Force 값에 ±오차를 반영한 범위)에 있는지 비교하고,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구동을 위한 Force 값을 변경(즉, 증가 또는 감소)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60)를 구동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별도의 설비(예 : 만곡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를 투자하지 않더라도, 강종별 미리 지정된 장력(또는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강판에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폭방향 도금 부착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반력 측정부(110)와 제어부(120) 및 모터 구동부(130)를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력 측정부(110)와 모터 구동부(130)를 제어부(120)에 포함하여 일체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의 제어부(120)는, 도금 공정에 투입된 조업조건(예 : 강종, 두께, 폭, 라인속도, 텐션 등)을 확인한다(S101).
상기와 같이 도금 공정의 조업조건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조업조건에 대응하는 최적 Force(즉, 반력) 값을 결정(또는 룩업 테이블에서 인출)한다(S102).
이때 상기 조업조건에 대응하는 최적 Force(즉, 반력) 값은 실험에 기초한 룩업 테이블 형태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결정(또는 룩업 테이블에서 인출)한 최적 Force(즉, 반력) 값을 커렉팅 롤의 반력에 대응하는 포스(Force) 값(즉, 커렉팅 롤에 대한 포지션 모터의 포스 값)으로 셋업(또는 설정)한다(S103).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Force 값을 포지션 모터(60)의 전류 값(즉, 상기 Force 값에 대응하는 포지션 모터의 모터 전류 값)으로 변환한다(S104).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변환한 모터 전류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60)를 구동한다(S105).
예컨대 상기 모터 전류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60)를 구동할 경우, 상기 포지션 모터(60)는 상기 커렉팅 롤(30)을 스트립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밀어낸다.
상기와 같이 포지션 모터(60)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120)는 다시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모터 전류 값을 검출하고, 상기 모터 전류 값을 Force 값으로 변환(또는 환산)한다(S106).
그리고 상기 Force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Force 값 범위(즉, 기준 Force 값에 ±오차를 반영한 범위)에 있는지 비교하고(S107), 만약 상기 Force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Force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107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구동을 위한 Force 값을 변경(즉, 증가 또는 감소)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60)를 구동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108).
한편 상기 Force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Force 값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S107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포지션 모터(60)의 구동을 위한 현재 Force 값을 유지한다(S109).
참고로 상기 과정(S101 ~ S109)은 도금 공정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별도의 설비(예 : 만곡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를 투자하지 않더라도, 강종별 미리 지정된 장력(또는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강판에 폭방향 만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폭방향 도금 부착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반력 측정부
111 : 모터 전류 측정부
112 : Force 환산부
120 : 제어부
130 : 모터 구동부

Claims (8)

  1. 용융도금 설비의 커렉팅 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지션 모터에서 발생하는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여 이 모터 전류 값을 상기 커렉팅 롤의 반력에 대응하는 포스(Force) 값으로 환산하는 반력 측정부;
    강종에 따라 폭방향 만곡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정된 포스 값을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모터 전류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 전류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력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에 있는지 비교하고,
    상기 반력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포스 값을 변경하고,
    상기 포스 값을 변경한 후, 상기 모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변경한 포스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기준 포스 값 범위는,
    기준 포스 값에 기 지정된 ±오차를 반영한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측정부는,
    상기 포지션 모터에서 발생하는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는 모터 전류 측정부; 및 상기 모터 전류 값을 포스 값으로 환산하는 Force 환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측정부는,
    상기 모터 전류 값을 포스 값으로 환산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한 포스 값으로 상기 포지션 모터를 제어한 후,
    다시 상기 포지션 모터의 모터 전류 값을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포스 값이 강종별 미리 설정된 기준 포스 값 범위에 있는지 비교하고,
    상기 포지션 모터의 구동을 위한 포스 값을 변경하여 상기 포지션 모터를 구동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90073209A 2019-06-20 2019-06-20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KR10221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09A KR102213961B1 (ko) 2019-06-20 2019-06-20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09A KR102213961B1 (ko) 2019-06-20 2019-06-20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39A KR20200144939A (ko) 2020-12-30
KR102213961B1 true KR102213961B1 (ko) 2021-02-09

Family

ID=7408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209A KR102213961B1 (ko) 2019-06-20 2019-06-20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9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056B2 (ja) * 1993-02-08 2001-05-14 川崎製鉄株式会社 連続溶融めっき設備における浴上支持ロール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KR100804240B1 (ko) * 2001-12-26 2008-02-1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반곡을 자동 교정하는 방법
KR101137406B1 (ko) * 2009-12-15 2012-04-20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도금을 위한 롤의 구동성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39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282B2 (en) Method of controlling tension in a web
US20090191360A1 (en) Strip crossbow reduction and strip vibration reduction method and hot dip coated strip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trip stabilization method
WO2006063227A1 (en) Method of controlling tension in a web
US20240018639A1 (en) Hot dip coating device and method
EP2879170B1 (en) Flexibl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KR102213961B1 (ko) 강판의 폭방향 도금 부착량 균일 제어 장치
CA2967713C (en)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a metal strip
JP2005503487A (ja) ストランド状の金属の素材の表面を被膜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144483A (ja) 連続処理設備の速度制御方法
JP5000458B2 (ja) ガスワイピング装置
WO2019106785A1 (ja) 金属板の板反り矯正装置及び金属板の連続めっき処理設備
JP5030278B2 (ja) 連続溶融めっきラインにおける鋼帯の形状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20040056163A (ko) 용융도금포트 상부에서 이송강판의 폭반곡 및 패스라인동시교정을 위한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0445416C (zh) 用于使一个金属连铸坯浸入熔液覆层的方法和装置
JP2008207257A (ja) トリム屑細分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19731A (ko) 용융도금포트 상부에서 이송강판의 패스라인 및 반곡변형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517772B1 (ko) 용융 도금 공정에서의 라인 속도 변화에 따른 도금량 제어 방법
KR101536198B1 (ko) 용융도금포트의 롤 장치
KR100497082B1 (ko) 용융도금공정에 있어서 강판의 반곡방지 제어장치
JPH10263654A (ja) タンデム圧延機のルーパー制御方法
JP2001026854A (ja) 溶融亜鉛めっき設備におけるめっき付着量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3073791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
JPH11277135A (ja) コイル払い出し方法および装置
JP2015160959A (ja) 金属帯の非接触制御装置および溶融めっき金属帯の製造方法
JP2000239821A (ja) 鋼帯の連続溶融金属めっ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