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022B1 -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022B1
KR102213022B1 KR1020200012356A KR20200012356A KR102213022B1 KR 102213022 B1 KR102213022 B1 KR 102213022B1 KR 1020200012356 A KR1020200012356 A KR 1020200012356A KR 20200012356 A KR20200012356 A KR 20200012356A KR 102213022 B1 KR102213022 B1 KR 10221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dispatched
specific ac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원
Original Assignee
윤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원 filed Critical 윤대원
Priority to KR102020001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7Benefits or employee welfare, e.g. insurance, holiday or retirement pack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견 근로자의 인적사항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 업체에 파견된 근로자의 휴식 시간에 근로자 단말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근로자 단말로부터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파견 근로자의 휴식 여부를 검증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해당 파견 근로자에게 표시하고, 해당 파견 근로자의 행동정보를 인증한 후 그 결과인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근로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Dispatche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견 근로자에 대한 근태 및 휴식 시간을 보장할 수 있는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견 업체는 복수의 파견 근로자를 고용하고, 파견 근로자가 필요한 사용 업체에 상기 등록된 파견 근로자를 파견한다.
이렇게 사용 업체에 파견된 파견 근로자는 파견 업체가 별도로 근태를 관리하지 않고 있다.
또한, 파견 근로자의 경우, 사용 업체 소속이 아니기 때문에 휴식에 대한 정상적인 근무환경을 갖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견 근로자의 휴식 시간을 알려주는 동시에 실제 휴식을 취하고 있는지를 강제로 검증함으로써, 파견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여 근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은 파견 근로자의 인적사항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 업체에 파견된 근로자의 휴식 시간에 근로자 단말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근로자 단말로부터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파견 근로자의 휴식 여부를 검증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해당 파견 근로자에게 표시하고, 해당 파견 근로자의 행동정보를 인증한 후 그 결과인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근로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는, 휴식을 취해야하는 파견 근로자가 취해야할 가상 포즈가 포함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근로자 단말을 통해 인식해야할 RFID 태그 정보의 순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근로자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제어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촬영 시, 오버랩되도록 제공하는 보조 이미지 제공부; 상기 보조 이미지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보조 이미지 정보를 촬영 화면에 오보랩시켜 표시하고, 보조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보조 이미지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RFID 태그가 기 설정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근로자 단말은, 기 설정된 형태로 구비된 RFID 태그를 순차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태그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을 이용한 인력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파견 근로자의 휴식을 인증하기 위해,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근로자 단말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가 요구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파견 근무자의 휴식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근로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는, 파견 근로자의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 및 태그의 인식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카메라 어플을 구동하고, 구동된 카메라 어플에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표시된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에 따른 파견 근로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특정 행동 형상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특정 행동 형상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근로자 단말을 통해 기 설치된 태그의 순차적인 정보를 인식한 결과인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면에,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특정 행동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근로자 단말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로자 단말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로자 단말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근로자 단말의 알람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파견 근로자의 휴식 시간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로자 인력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에 의해, 파견이 결정된 근로자 단말, 사용 업체의 관리자 단말에 파견을 알리는 파견 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 업체에 파견된 파견 근로자 단말과 이웃 하는 파견 근로자 단말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를 인식하고, 상호 근로자 단말은 인식한 상대 근로자 단말의 인식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관리 서버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인식한 근로자 단말의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에 의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의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가 요구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파견 근무자의 휴식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통해 파견 근로자의 휴식 및 근로 상황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견 근로자가 특정 시간에 휴식을 취하고, 그 파견 근로자가 취한 휴식을 자체적으로 인증할 수 있고, 파견 근로자의 휴식시간을 보장 및 인증을 통해 파견 근로자의 근로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럭도.
도 2는 근무자 단말에 제공되는 보조 이미지가 오버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로자 관리 시스템에서 근무자 단말에 제공되는 RFID 태그 순서 정보가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도 3의 파견 근로자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RFID 태그의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견 근무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도 5의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의 세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관리 방법에서 근로자 단말의 상태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을 이용한 파견 근로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 업체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화된 관리자 단말을 이용한 파견 근로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 단말간 통신을 이용한 파견 근로자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로자 시스템의 관리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관리 방법에서 근로자 단말의 상태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와 근로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100)는 파견 근로자의 인적사항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저장된 파견 근로자의 인적사항 정보는 파견 근로자의 나이, 성별, 근무 종류, 파견 근로의 대체 여부 정보, 연봉 정보, 위치 정보, 파견 근로자의 근무 태도 정보, 근로자 단말기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100)는 사용 업체(400)에 파견된 근로자의 휴식 시간에 근로자 단말(200)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근로자 단말(200)로부터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파견 근로자의 휴식 여부를 검증한다.
여기서, 파견 근로자의 휴식 시간은 일 예로, 50분 작업 후 10분 휴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매 시간 50분부터 휴식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근로자 단말(200)은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해당 파견 근로자에게 표시하고, 해당 파견 근로자의 행동정보를 인증한 후 그 결과인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근로자 단말(200)은 파견 근로자가 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독립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는 휴식을 취해야하는 파견 근로자가 취해야할 가상 포즈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근로자 단말(200)을 통해 인식해야할 RFID 태그 정보의 순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태그 정보는 RFID 태그 정보 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 가능한 QR 코드와 같은 정보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근로자 단말(200)은 제어부(210), 보조 이미지 제공부(220), 카메라부(230) 및 영상 처리부(24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보조 이미지 제공부(220)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촬영 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보조 이미지(SI)가 오버랩되도록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단말(200)에 인증을 위한 보조 이미지(SI)를 제공한다.
카메라부(230)는 보조 이미지 제공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보조 이미지 정보를 촬영 화면에 오보랩시켜 표시하고, 보조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한다.
영상 처리부(240)는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보조 이미지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로부터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근로자 단말(200)을 통해 파견 근로자가 수신하면, 파견 근로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근로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해당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른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수행한다.
일 예로, 특정 행동 요청 정보가 카메라부(230)를 통해 특정 행동을 촬영하는 것을 일 예로 들수 있다.
만약,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포함된 특정 행동이 한쪽 손을 든 파견 근로자의 자세이면, 근로자 단말(200)에는 파견 근로자가 취해야할 자세를 나타내는 보조 이미지가 겹쳐 표시된다.
따라서, 파견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된 보조 이미지에 맞게 촬영함으로써, 파견 근로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견 근로자가 특정 시간에 휴식을 취하고, 그 파견 근로자가 취한 휴식을 자체적으로 인증할 수 있고, 파견 근로자의 휴식시간을 보장 및 인증을 통해 파견 근로자의 근로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행동 요청 정보가 보조 이미지가 아니라, RFID 태그(300)의 인증 순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관리 서버(100)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RFID 태그(300)의 인식 순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RFID 태그(300)의 인식 순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근로자 단말(200)은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RFID 리더기(25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근로자 단말(200)은 파견 근로자가 기 설정된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통신 태그를 순차적으로 인식하도록, 해당 인식 정보를 근로자에게 표시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장소는 파견 근무자의 휴계소가 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파견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형태로 설치된 복수의 RFID 태그(300)를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인식한다.
이에 근로자 단말(200)은 인식한 RFID 태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0)에 제공하여 파견 근로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복수의 RFID 태그(300)를 대신하여 복수의 QR 코드가 기설정된 장소에 그 설치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파견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200)의 카메라부(230)를 통해 QR 코드를 순차적으로 인식하고, 그 결과를 관리 서버(100)에 제공함으로써, 파견 근로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음을 인증할 수도 있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 서버(100)가, 파견 근로자의 휴식을 인증하기 위해,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파견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100). 여기서,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는, 파견 근로자의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 및 태그의 인식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어서, 근로자 단말(200)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200).
이후, 상기 근로자 단말(200)에 의해,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0)가 요구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표시한다(S300).
이어서, 근로자 단말(200)에 의해,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파견 근무자의 휴식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100)에 제공한다(S400).
이하, 하기에서는 상기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S20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10).
상기 판단 단계(S210)에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YES),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S220), 구동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230).
반면에, 상기 판단 단계(S210)에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NO),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특정 행동 형상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50).
상기 판단 단계(S250)에서 특정 행동 형상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YES), 근로자 단말(200)을 통해 기 설치된 태그의 순차적인 인식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260).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S200)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 단말(100)로부터 특정 행동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S310), 상기 근로자 단말(200)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20).
만약, 상기 판단 단계(S320)에서 상기 근로자 단말(200)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으면(YES),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330).
한편, 상기 판단 단계(S320)에서 상기 근로자 단말(200)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지 않으면(NO), 상기 근로자 단말(200)의 알람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파견 근로자의 휴식 시간임을 알린다(S340).
<실시예 2>
관리 서버(100)는 파견 근로자의 인적사항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저장된 파견 근로자의 인적사항 정보는 파견 근로자의 나이, 성별, 근무 종류, 파견 근로의 대체 여부 정보, 연봉 정보, 위치 정보, 파견 근로자의 근무 태도 정보, 근로자 단말기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파견 근로자 수 정보, 사용 업체(400) 위치 정보, 사용 업체(400)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101)를 통해 저장한다. 관리 서버(100)는 사용 업체(400)에 근무 중인 파견 근로자의 연차, 반차 및 조퇴와 같은 부재에 대한 정보를 해당 근로자 단말(200) 또는 사용 업체(400)로부터 제공받는다.
한편, 관리 서버(100)는 근로자 단말(200) 또는 사용 업체(400)로부터 부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면, 저장된 파견 근로자들 중 해당 사용 업체(400)에서 근무 가능한 파견 근로자를 선택하여 파견한다.
파견 근무자 선택 기준은 사용 업체(400)에 대응되는 파견 근로자 중 현재 근무중이지 않은 파견 근로자를 선택한다.
이때, 파견 근로자를 선택하는 기준은 사용 업체(400)와 파견 근로자의 위치, 파견 근로자의 근무 태도 정보 및 파견 근로의 대체 여부 정보를 종합하여 선택하거나, 하나의 기준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파견 근로의 대체 여부 정보는 별도의 필수 교육 또는 자격증 여부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파견 근로자의 급여는 연봉, 월급 및 일당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파견 근로자의 급여가 연봉 및 월급인 경우 파견 근로자의 급여는 파근 업체와의 계약에 따라 지급된다. 다만, 파견 근로자의 급여가 일당인 경우, 파견 근로자의 근무 결과에 따라 급여를 지급한다.
이때, 급여를 지급하는 방법은 파견 근로자의 당일 근무를 사용 업체 담당자를 통해 확인시에는 파견 업체에서 계좌이체를 통해 일당을 지금하거나 현금을 통해 파견 근로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을 이용한 인력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업체(400)에 파견 근로자를 파견한 후 사용 업체의 파견 근로자를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의 관리 단말(410)에 파견된 파견 근로자의 근로 여부를 확인해주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 업체(400)의 관리자는 파견 근로자의 근로 여부를 확인한 후 인증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파견 근로자의 근무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관리 서버(100)는 파견 근로자의 근무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인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인력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등록된 사용 업체(40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파견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파견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200)들을 하나의 사용 업체 그룹으로 그룹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그룹화된 사용 업체(400)가 위치한 각 파견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200)에 상대 근로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업체에 근무 중인 파견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200)은 파근 근로자를 식별하기 위해, 근로자 단말(200)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촉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견 근로자 단말(200)은 접촉된 RFID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이웃하는 파견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201)을 식별하고, 식별한 이웃하는 파견 근로자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그러면, 관리 서버(100)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파견 근로자의 인증 정보를 해당 근로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이후, 파견 근로자가 자신이 소유한 근로자 단말(200)을 통해 이웃하는 파견 근로자의 근로를 상호 인증함으로써, 더욱 신뢰성있게 파견 근로자의 인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 단말(410)은 제어부(411), 보조 이미지 제공부(412), 카메라부(413), 영상 처리부(414) 및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415)를 포함한다.
제어부(411)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보조 이미지 제공부(412)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촬영 시, 오버랩되도록 제공한다.
카메라부(413)는 보조 이미지 제공부(412)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보조 이미지 정보를 촬영 화면에 오보랩시켜 표시하고, 보조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한다.
영상 처리부(414)는 카메라부(413)를 통해 보조 이미지가 포함된 영상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한편, 관리 서버(100)는 이미지를 이용한 파견 근로자의 인증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RFID 태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업체(201)의 기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10)을 통해 기 설정된 형태로 구비된 RFID 태그(400)를 순차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4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410)을 통해 파견 근로자의 근무 상태 또는 휴식 상태를 인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 서버(100)는 전날 파견 근로자의 파견이 결정되면, 파견이 결정된 근로자 단말(200), 사용 업체(201)의 관리자 단말(410)에 파견을 알리는 파견 결정 정보를 제공한다(S1210). 이후, 사용 업체(201)에 파견된 파견 근로자 단말(200)과 이웃 하는 파견 근로자 단말(201)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를 인식하고(S1220), 상호 근로자 단말(200, 201)은 인식한 상대 근로자 단말의 인식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S1230).
그러면, 관리 서버(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인식한 근로자 단말(200, 201)의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관리자 단말(410)에 제공한다(S1240). 여기서,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는, 관리자의 특정 행동 보조 이미지 정보 및 태그의 인식 순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후, 관리자 단말(410)은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1250).
이후, 관리자 단말(410)의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100)가 요구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표시한다(S1260).
이어서, 관리자 단말(410)에 의해,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파견 근무자의 휴식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S1270).
이후,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410)을 통해 제공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통해 파견 근로자의 휴식 및 근로 상황을 인증할 수 있다(1280).
이렇게 관리 서버(100)는 파견 근로자의 임금을 에스크로 계정에 예치하고, 상기와 같이 파견 근로자의 휴식 및 근로 상황이 인증됨이 확인되면, 해당 근로 및 휴식에 따른 비율에 따라 해당 근로자의 임금을 근로 비율에 따라 해당 근로자의 계좌로 이체하고, 그 임금 정보를 근로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파견 근로자의 근로 의욕을 고취시키는 동시에 고용 업체의 근로 임금 체불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근로자 단말을 이용한 인력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등록된 사용 업체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파견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파견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들을 하나의 사용 업체 그룹으로 그룹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파견 근로자의 파견이 결정되면, 파견이 결정된 근로자 단말, 사용 업체의 관리자 단말에 파견을 알리는 파견 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근로자 단말은 사용 업체에 파견된 파견 근로자 단말과 이웃 하는 파견 근로자 단말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를 인식한 후 인식한 상대 근로자 단말의 인식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그룹화된 사용 업체가 위치한 각 파견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과 관리자 단말에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근로자 단말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가 요구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근로자 단말에 의해,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형태로 사용 업체의 휴계실에 설치된 복수의 RFID 태그를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인식하여 파견 근무자의 휴식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관리자 단말이,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가 요구하는 특정 행동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형태로 사용 업체의 휴계실에 설치된 복수의 RFID 태그를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따라 인식하여 파견 근무자의 휴식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특정 행동 응답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는, 파견 근로자의 태그의 인식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행동 요청 정보에 특정 행동 형상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근로자 단말을 통해 기 설치된 태그의 순차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파견 근로자의 임금을 에스크로 계정에 예치하고, 파견 근로자의 휴식 및 근로 상황이 인증됨이 확인되면, 해당 근로 및 휴식에 따른 비율에 따라 해당 근로자의 임금을 근로 비율에 따라 해당 근로자의 계좌로 이체하고, 그 임금 정보를 상기 근로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인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특정 행동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근로자 단말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로자 단말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근로자 단말의 화면이 구동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근로자 단말의 알람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파견 근로자의 휴식 시간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200012356A 2020-02-03 2020-02-03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56A KR102213022B1 (ko) 2020-02-03 2020-02-03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56A KR102213022B1 (ko) 2020-02-03 2020-02-03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022B1 true KR102213022B1 (ko) 2021-02-04

Family

ID=7455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56A KR102213022B1 (ko) 2020-02-03 2020-02-03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64A (ko) 2021-11-01 2023-05-09 조중훈 반도체업체 전문 인재파견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551A (ja) * 2001-04-13 2002-10-25 Nihon Densan Kk 勤怠情報収集システム、巡回管理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109080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바일 업무 중개 시스템
JP2016071554A (ja) * 2014-09-29 2016-05-09 ギアヌーヴ株式会社 労務管理装置
KR20180073146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라인페이롤서비스 It를 활용한 자동근태 체크 및 급여계산
KR20180127765A (ko) * 2017-05-22 2018-11-30 유비벨록스(주) 강의자 단말기를 이용한 출결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551A (ja) * 2001-04-13 2002-10-25 Nihon Densan Kk 勤怠情報収集システム、巡回管理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109080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바일 업무 중개 시스템
JP2016071554A (ja) * 2014-09-29 2016-05-09 ギアヌーヴ株式会社 労務管理装置
KR20180073146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라인페이롤서비스 It를 활용한 자동근태 체크 및 급여계산
KR20180127765A (ko) * 2017-05-22 2018-11-30 유비벨록스(주) 강의자 단말기를 이용한 출결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64A (ko) 2021-11-01 2023-05-09 조중훈 반도체업체 전문 인재파견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5634A (en) Automatic trading method and apparatus
US116052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method
US20130191175A1 (en) Personnel activity recording terminal,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system
KR100802510B1 (ko)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CN107369234B (zh) 一种开锁方法及系统
CN113519014A (zh) 闸门开闭控制装置以及闸门开闭控制方法
CN113519013B (zh) 面部认证系统以及面部认证方法
CN109685514A (zh) 用于支付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490936A (zh) 面部认证机以及面部认证方法
KR102213022B1 (ko) 파견 근무자 인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639879B (zh) 智能化安保人员信息管理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服务器
CN209785058U (zh) 用于多样化支付场景的物联网支付平台
CN110648046A (zh) 一种业务处理调度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存储介质
KR20220131871A (ko)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한 공사현장 인력 실시간 자격판독 방법
KR20240038888A (ko) 국가간 파견근무자 인력관리 방법
CN115578815A (zh) 门禁管理方法、验证服务器、门禁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202103029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13508389A (zh) 面部认证登记装置以及面部认证登记方法
CN11622959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智能考勤系统
US20230377397A1 (en) Entry/Exit Management System and Entry/Exit Management Method
CN114821845B (zh) 打卡方法及装置
JP7271355B2 (ja) 通信携帯端末
CN109559252B (zh) 一种离店时间确认方法及相关装置
JP2003256664A (ja) 伝票照合方法および伝票照合システム
KR20210117789A (ko) 안전복장 착용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