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829B1 - 서스펜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829B1
KR102212829B1 KR1020200088368A KR20200088368A KR102212829B1 KR 102212829 B1 KR102212829 B1 KR 102212829B1 KR 1020200088368 A KR1020200088368 A KR 1020200088368A KR 20200088368 A KR20200088368 A KR 20200088368A KR 102212829 B1 KR102212829 B1 KR 10221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upport
coupled
mount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Original Assignee
김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주 filed Critical 김용주
Priority to KR102020008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별도의 조작없이 조립된 후 공차에 의해 미세한 공차가 발생되는 서스펜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보관 또는 이송용이성이 개선되는 서스펜션 지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스펜션 지지장치는 일단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일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단 하부에 상기 지지부와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지지장치{SUSPENSION SUPPORT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하부에 형성되는 서스펜션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고,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자동차에 부착된 부품으로, 서스펜션암, 쇼크 업소버, 코일스프링, 크로스멤버, 스테빌라이저, 스트럿 및 로어암을 포함하고 차량 양측의 디스크와 연결된다.
그러나 서스펜션을 차량에 설치하거나 이송중인 상태에서 로어암을 포함하는 서스펜션의 중량에 의해 서스펜션을 캐리어나 거치대에 거치시키면 양측이 하부를 향해 쳐지게 되고 서스펜션의 종류에 따라 쳐지는 각도 및 위치가 변경된다.
또한, 기존의 지지장치 또는 캐리어의 경우 작업공간을 제한하는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는 보관 또는 이송을 위한 공간확보가 난해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차로 인해 로어암 또는 디스크의 위치의 오차가 발생되는 서스펜션을 거치 또는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하강되는 로어암 및 디스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피 절감이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1002호는 서스펜션의 로워암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15066호는 리어 서스펜션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작업공간 확보와 함께 서스펜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별도의 조작없이 조립된 후 공차에 의해 미세한 공차가 발생되는 서스펜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보관 또는 이송용이성이 개선되는 서스펜션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스펜션 지지장치는 일단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일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단 하부에 상기 지지부와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지지장치는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의 일단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를 관통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부 및 거치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장공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거치부재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공간의 후방을 둘러싸며 일측을 향해 후크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타단이 회동되어 후방 및 상기 바닥프레임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거치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스펜션 지지장치는 차량에 설치 또는 이송이 필요한 서스펜션의 로어암 및 디스크기 하부를 향해 과도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서스펜션 설치 또는 이송 용이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스펜션 지지장치는 탄성 구동을 통해 공차의 발생으로 위치가 달라지는 로어암 및 디스크의 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서스펜션의 로어암 및 디스크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서스펜션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서스펜션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지지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하부에 형성되는 서스펜션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고, 주행 중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자동차에 부착된 부품으로, 서스펜션암, 쇼크 업소버, 코일스프링, 크로스멤버, 스테빌라이저, 스트럿 및 로어암을 포함하고 차량 양측의 디스크와 연결된다.
그러나 서스펜션을 차량에 설치하거나 이송중인 상태에서 로어암을 포함하는 서스펜션의 중량에 의해 서스펜션을 캐리어나 거치대에 거치시키면 양측이 하부를 향해 쳐지게 되고 서스펜션의 종류에 따라 쳐지는 각도 및 위치가 변경된다.
따라서, 공차로 인해 로어암 또는 디스크의 위치의 오차가 발생되는 서스펜션을 거치 또는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하강되는 로어암 및 디스크를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필요하지만 발생된 공차에 의해 서스펜션의 안정적인 거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서스펜션 지지장치(100)는 차량에 설치 또는 이송이 필요한 서스펜션의 로어암 및 디스크기 하부를 향해 과도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서스펜션 설치 또는 이송 용이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스펜션 지지장치(100)는 탄성 구동을 통해 공차의 발생으로 위치가 다른 로어암 및 디스크의 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서스펜션의 로어암 및 디스크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서스펜션 지지장치(100)는 바닥프레임(150), 지지부(200)들, 거치부(300)들, 완충부(400)들 및 고정부(500)들을 포함한다.
서스펜션 지지장치(100)는 차량의 서스펜션 하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서스펜션을 지지하고, 캐리어 또는 승강장치와 결합되어 서스펜션을 이동시키거나 승하강시켜 작업자의 작업용이성을 개선시킨다.
바닥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200), 거치부(300), 완충부(400) 및 고정부(500)는 바닥프레임(150)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도록 바닥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바닥프레임(150)의 타측에 서로 결합되는 지지부(200), 거치부(300), 완충부(400) 및 고정부(500)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구체적으로, 바닥프레임(15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인접한 상부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바닥프레임(150)의 안쪽공간을 둘러싸는 측벽이 형성된다.
지지부(200)는 하부판(220), 지지대(230), 수평지지대(240), 브라켓(250) 및 완충부재(260)를 포함한다.
지지부(200)의 일단은 바닥프레임(150)의 일측 또는 타측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스틱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하강되는 서스펜션의 로어암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부(200)들 각각은 바닥프레임(150)의 중앙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축을 사이에 두고 바닥프레임(15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바닥프레임(150)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지부(200)의 구체적인 구조의 설명은 생략된다.
하부판(22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프레임(210)의 일측 상부면에 면결합되고, 하부판(220)의 상부에서 하부판(220) 및 바닥프레임(150)을 관통하는 볼트들과 바닥프레임(150) 하부에 배치된 너트들의 결합으로 바닥프레임(2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지지대(23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사각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은 하부판(220)의 후방에 해당되는 제2 방향(2)쪽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 및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수평지지대(24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230)의 타단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스틱형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대(230)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완충부재(260)는 로어암보다 강도 또는 중량이 낮고 스티로폼 및 고무를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의 충격 흡수 소재로 형성되며, 저면은 수평지지대(240)의 타단 상부면에 면결합되어 수평지지대(240)의 상부에 거치되는 로어암의 표면 손상없이 상기 로어암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브라켓(250)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410)의 일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수평지지대(240)의 저면에 결합된다.
브라켓(250)의 타단은 일단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양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이격 배치된 수직판들 형태로 형성되며, 거치부(300)의 일부분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거치부(300)는 회동부재(310), 거치부재(320) 및 완충부재(330)를 포함한다.
거치부(300)의 일단은 지지부(200)의 타단 하부에 지지부(200)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로어암 및 디스크를 지지하는 후크 형태로 일측을 향해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재(31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의 일측 및 타측 모서리가 일측 및 타측 각각을 향해 반원 형태로 돌출된 사각형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회동부재(310)의 상하부 공간을 연결하는 장공(312)이 형성된다.
회동부재(31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된 사각형 형태의 상부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고 브라켓(25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수직판들 사이에 삽입되어 브라켓(250)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부재(31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을 향해 확장되어 형성된 사각판의 일측 상부 및 하부의 사각형 일측면들이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수평판들이 상하부에 이격 배치된 형태로 형성되며, 거치부재(320)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동부재(310)의 타단 상기 수평판들 각각의 중앙에는 원형의 상부면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관통홀(311)들이 형성되고,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회동축이 관통홀(311)들 및 거치부(300)를 관통하면서 회동부재(310)와 결합된다.
거치부재(320)의 일단은 넓은 표면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하는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제2 방향(2)쪽 모서리는 테이퍼지게 가공되며, 일단 중앙에는 원형의 상부면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일단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홀이 형성된다.
거치부재(320)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및 제2 방향(2)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일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며, 다시 제1 방향(1)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일측 공간의 후방 및 일측을 둘러싸는 후크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거치부재(320)는 연결판(321), 제1 거치대(322) 및 제2 거치대(323)로 구성된다.
연결판(321)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모서리는 테이퍼지게 가공되어 경사면이 형성되며, 회동부재(310)의 타단 상기 수평판들 사이에 삽입되어 회동부재(310)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거치대(322)의 일단은 일측 및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판(321)의 일측 및 제1 방향(1)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된다.
제1 거치대(322)는 서스펜션에서 하부를 향해 쳐지면서 이동되는 로어암의 제1 방향(1)쪽 일부분을 지지하고, 제1 거치대(322)의 제1 방향(1)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제2 거치대(323)보다 일측을 향해 짧게 돌출된다.
제2 거치대(323)의 일단은 제1 거치대(322)보다 길게 일측 및 제2 방향(2)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판(321)의 일측 및 제2 방향(2)쪽에 연결된다.
제2 거치대(323)의 타단은 스틱 형태로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된 후 다시 제1 방향(1)을 향해 절곡되며 다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제1 거치대(322)의 타단보다 제1 방향(1)을 향해 더 연장된다.
따라서, 거치부재(320)는 제1 거치대(322)의 길이 및 크기를 제2 거치대(323)보다 작게 제작되어 로어암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 방향(1)쪽 작업공간 확보, 제작비용 감소 및 중량감소가 가능하고 제2 거치대(323)를 통해 로어암 및 디스크의 지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거치대(323)는 제1 거치대(322)의 제2 방향(2)쪽에서 로어암을 지지함과 동시에 로어암과 함께 하강되는 디스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완충부재(330)의 하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테두리에 인접한 사각형 형태의 상부면이 상부를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상단부의 안쪽에는 상단부 상부에서 하단부 안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들이 형성된다.
완충부재(330)의 하단부 저면은 제2 거치대(323)의 타단 상부면에 결합되고, 스티로폼이나 고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디스크를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암 및 디스크가 하강되면, 디스크는 완충부재(330)의 상부에 안착되고, 로어암은 완충부재(260) 및 거치부재(320)의 상부에 안착된다.
디스크 및 로어암이 완충부재(260) 및 거치부(300)에 안착되면서 거치부재(320)의 타단 및 회동부재(310)의 타단이 하강되고, 회동부재(310)의 일단은 상부를 향해 이동되어 스프링(420)을 수축시킨다.
회동부재(310)의 일단이 상부를 향해 이동되면서, 장공(312) 안쪽의 회동부재(310)의 일측 방향 내측면은 가이드부재(410)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장공(312) 안쪽의 회동부재(310)의 타측 방향 내측면은 가이드부재(410)와 이격되는 방향 및 상부를 향해 이동된다.
따라서, 회동부재(310)의 일단은 디스크 및 로어암의 하강에 따라 거치부재(320)가 하강되면 장공(312)에 의해 회동 이동이 가능하고, 장공(312) 안쪽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회동부재(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재(410)에 의해 거치부재(320)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한 흔들림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420)의 수축 또는 확장 변형에 의해 거치부재(320) 및 완충부재(330)가 제자리에서 디스크 및 로어암을 지지하면서도 별도의 작업자의 위치변경이 필요없이 공차로 인해 위치오차가 발생되는 디스크 및 로어암까지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500)는 하부판(510), 고정지지대(520), 고정수평지지대(530) 및 스토퍼(540)를 포함한다.
고정부(500)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200)의 제2 방향(2)쪽에서 바닥프레임(15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된다.
고정부(500)의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 끝단의 일부분은 일측 및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회동에 따라 고정부(500)의 타단 하부로 이동되는 거치부(300)의 타단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하부판(51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200)의 제2 방향(2)쪽에서 하부판(220)보다 상대적으로 일측을 향해 배치되도록 바닥프레임(150)의 상부에 결합된다.
고정지지대(52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판(510)의 제2 방향(2)쪽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고정수평지지대(53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 끝부분의 저면은 고정지지대(520)의 타단 상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수평지지대(530)의 타단은 일단에서 사각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일측 및 제1 방향(1)쪽 모서리는 테이퍼지게 가공되어 경사면(532)이 형성된다.
경사면(532)의 일측 하부에 해당되는 사각형의 일부분은 일측 및 제1 방향(1)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육면체 형태의 돌출부(535)가 형성되고, 돌출부(535)는 스토퍼(540)의 회동을 제한시킨다.
스토퍼(540)는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회동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및 제2 방향(2)쪽 하부 모서리는 테이퍼지게 가공되어 경사면(542)이 형성되며, 일단 상부에는 일측 및 제1 방향(1)쪽 원형의 전면 일부분이 타측 및 제2 방향(2)을 향해 함몰되어 관통공(543)이 형성된다.
스토퍼(540)의 타단은 일단의 타측 및 제1 방향(1)쪽 상부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스틱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토퍼(540)는 스토퍼(540)의 배면이 경사면(532)에 밀착되고, 관통공(543)을 관통하는 회동축이 돌출부(535)의 타측쪽 경사면(532)을 관통하면서 고정수평지지대(53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토퍼(540)가 일측 및 제1 방향(1)쪽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90도 만큼 정방향으로 회동되면 스토퍼(540)의 일단 배면은 경사면(532)의 타측에 밀착되고, 스토퍼(540)의 타단은 돌출부(535)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반대로, 스토퍼(540)의 타단이 돌출부(535)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토퍼(540)가 역방향으로 90도 각도 만큼 회동되면, 스토퍼(540)의 타단이 하부를 향해 이동되어 고정지지대(520)의 일측으로 회동되어 이동된 거치부재(320)의 일측을 차단하여 거치부(300)가 제자리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스펜션 지지장치 150: 바닥프레임
200: 지지부 300: 거치부
400: 완충부 500: 고정부

Claims (6)

  1. 일단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일측으로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단 하부에 상기 지지부와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거치부; 및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의 일단을 관통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부와 거치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과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일측의 거치부재와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지지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공간의 후방 및 일측을 둘러싸며 일측을 향해 후크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지지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타단이 회동되어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거치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지지장치.

KR1020200088368A 2020-07-16 2020-07-16 서스펜션 지지장치 KR10221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68A KR102212829B1 (ko) 2020-07-16 2020-07-16 서스펜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68A KR102212829B1 (ko) 2020-07-16 2020-07-16 서스펜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829B1 true KR102212829B1 (ko) 2021-02-05

Family

ID=7455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368A KR102212829B1 (ko) 2020-07-16 2020-07-16 서스펜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8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002B1 (ko) * 2005-07-15 2008-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프런트 서스펜션의 로워암 지지장치
KR101961709B1 (ko) * 2017-09-21 2019-03-25 이운상 자동차용 문 거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002B1 (ko) * 2005-07-15 2008-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프런트 서스펜션의 로워암 지지장치
KR101961709B1 (ko) * 2017-09-21 2019-03-25 이운상 자동차용 문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8623B1 (ja) 作業機械用バッテリケース、作業機械用バッテリユニット、バッテリ式作業機械及び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AU2016303253A1 (en) Pneumatic axle suspension for a rear axle of a vehicle
KR102212829B1 (ko) 서스펜션 지지장치
JP2015128973A (ja) 移動体
CN111532347A (zh) 防爆无人搬运车
CN214732375U (zh) 电池包转运装置及其翻转机构
CN216232335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货物装卸搬运辅助设备
WO2022143632A1 (zh) 移动机器人及其行走机构
CN210882155U (zh) 一种柔性传输的智能车
CN212313581U (zh) 一种防止运输破片的芯片盒推车
CN210139751U (zh) 一种麦克纳姆轮全向移动机器人独立悬架结构
CN112942170A (zh) 一种道路施工用交通灯柱
CN113184027A (zh) 一种装配式钢结构施工用的载运装置
CN208646889U (zh) 一种玻璃运输车
CN205837703U (zh) 一种可伸缩支撑结构
JPH0788125B2 (ja) 自動車の懸架装置
JP6987293B1 (ja) 自動二輪車の補助輪装置及び自動二輪車
KR100857648B1 (ko)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CN211040197U (zh) 一种弹性支撑装置
JPH03504952A (ja) プラスチックサスペンション付車両
WO2022262625A1 (zh) 移动机器人
CN210629761U (zh) 一种户外便携式蓝牙音箱
JP2548690Y2 (ja) 荷役用スプレッダ
CN216103386U (zh) 一种汽车零部件用防碰撞的运输盒
CN220077701U (zh) 一种180度液压翻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