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34B1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34B1
KR102212634B1 KR1020140143348A KR20140143348A KR102212634B1 KR 102212634 B1 KR102212634 B1 KR 102212634B1 KR 1020140143348 A KR1020140143348 A KR 1020140143348A KR 20140143348 A KR20140143348 A KR 20140143348A KR 102212634 B1 KR102212634 B1 KR 10221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pass
composition
oral
chloride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223A (ko
Inventor
박태훈
김유진
안수선
이존환
김찬호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4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벤을 포함하지 않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 벤조에이트와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파라벤을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내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Oral composition}
본 발명은 파라벤류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 벤조에이트와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파라벤을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내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 사용 중 손가락 등의 피부 접촉에 의한 균의 오염, 또는 사용 중 물에 의한 오염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미생물에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 내의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 내지 사멸시키고,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부제 등의 배합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파라벤류'로 통칭되고 있음),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또는 클로로페네신 등이 있다. 이러한 화학 방부제들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방부수단으로서는 유효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조성물 내에 배합된 이러한 화학 방부제들은, 피부 자극, 알러지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피부 독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화학 방부제들은 일단 피부 조직을 통해 몸에 들어오게 되면 거의 배출이 되지 않고, 몸 속에 그대로 축적된다는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파라벤류는 여성 호르몬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내분비계장애 추정 물질로서, 남성의 미성숙 뿐만 아니라 여성의 성조숙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유방암 등을 일으키는 성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파라벤류 또는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를 배합하지 않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러한 경우에는 방부력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 내지 장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무균 제조하거나, 내용량이나 사용기간을 제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금씩 나눠 담은 용기나 리필이 되지 않는 용기(백레스튜브, 디스펜서가 달린 용기 등)를 채용하는 등 복잡한 수단을 필요로 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치약의 경우 의약외품으로 분류되어 사용할 수 있는 방부제와 원료가 제한적이며 화장실과 같은 수분이 많은 공간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오염될 가능성이 큰 제품 중 하나이다. 따라서 파라벤과 같은 강력한 항균력을 지니면서도 구강에 사용 제품이기 때문에 구강 안전성이 확보된 물질이어야만 한다.
한편,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10082호에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천연항생물질로 알려진 은용액, 은분말 또는 은박막편을 첨가하여 뛰어난 살균 효과 및 항균효과를 제공하게 되면서, 아울러 치아를 희게 하고 구강내를 상쾌하게 하는 구강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35954호에는 충치 유발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과 치주질환 유발균인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 gingivalis)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은 리그난 유도체를 함유하여 충치와 잇몸질환 예방에 효과적이고, 이를 항균제 뿐만 아니라 치약조성물, 구강 청정제, 검, 캔디 등 다양한 제형의 조성물에 이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01476호에는 구강 살균제, 치주질환 억제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구강내 세균, 치주질환 및 악취 유발물질을 제거하여 구취를 억제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때, 사용되는 구강 살균제로는 트리클로산,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상귀나린, 티몰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 2001-0026581호에는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여 입안을 가글시 청량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항균활성으로 인한 구취제거 및 잇몸질환을 예방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고, 기존의 청정제가 지니지 못한 진통효과를 갖고 있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제1998-0014437호에는 다공성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트리클로산과 같은 수불용성 비양이온계 살균제의 살균 활성 저하를 막아 치태제거, 구취방지 및 치아 착색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재와 같이,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살균제 등이 충치예방, 잇몸질환 예방, 구취억제의 목적으로 배합되어 사용되어져 오고 있으나, 대개의 경우 빈약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안정도에 좋지 않은 측면을 가지고 있어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실제로 좋은 효능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소비자가 그 효능을 인지하지 못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잃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10082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35954호 한국 공개특허 제 2001-0026581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구강용 조성물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부제인 파라벤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하였으며, 소듐 벤조에이트를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중 1종 이상과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라벤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내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듐 벤조에이트; 및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하던 방부제인 파라벤을 대체하여 소듐 벤조에이트를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파라벤의 사용에 따른 위험성 및 문제점을 피할 수 있으면서, 우수한 방부력 및 항균력은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라벤류의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라벤류를 대체하여 방부제로서 소듐 벤조에이트; 및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소듐 벤조에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 바람직하게는 0.2~0.4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3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는 0.01~0.1중량%, 바람직하게는 0.03~0.07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중 1종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세정, 치주 질환 예방, 예를 들어 구취, 치은염 등의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치약, 구강용 세정제, 구강 청정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치약의 제형일 경우,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감미제, pH조절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 성분으로는 탄산칼슘, 침강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수소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등이 있으며, 이들 연마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습윤제 성분으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칠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60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결합제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잔탄검, 카라기난, 알긴산 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2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감미제로는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감초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5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구연산, 주석산 등이 있다.
상기 약효성분으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리클로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향료로는 페퍼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아네톨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증백제로는 이산화티탄, 색소로는 식용색소, 용제로 정제수, 에탄올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치약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최소억제농도(MIC) 평가
대장균(Escherichia coli(ATCC8739); E),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ATCC9027); P),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ATCC6538); 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ATCC10231); C), 아스페르질루스 브라실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ATCC 16404); A) 및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M; 미생물 자원센터 (http://kctc.kribb.re.kr/kctc.aspx)에서 구입)의 각 균에 적합한 배지(TSB(Tryptic Soy Broth; Difco) 또는 SDB(Sabouraud Dextrose Broth; Difco) 배지)에 접종하여 32℃에서 1일간 진탕 배양하고, 배양액을 배지로 1/100 희석한 희석액을 시험용 균액으로 사용하였다. 단, 칸디다 알비칸스는 1/10 희석한 희석액을 시험용 균액으로 사용하였으며, 아스페르질루스 브라실리엔시스는 미리 제조한 포자현탁액을 사용하였다.
TSB 또는 SDB 배지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물질을 적정 농도로 현탁한 현탁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 1번 행에 시료 희석액 200μl씩 넣었다. 나머지 웰에는 적정 배지를 100μl씩 넣었다.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μl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다시 100μl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 희석을 행하였다.
32℃에서 24시간 배양(단, 효모, 곰팡이는 22.5℃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현탁이 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값으로 결정하였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INCI 효능
P E S C A SM
BA 벤질 알코올 0.4% 0.4% 0.4% 0.4% 0.4%
SB 소듐 벤조에이트 2% 1% 4% 0.5% 0.125%
CPC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0.0625% 0.0156% 0.0078% 0.0078% 0.0078% < 1.953 ppm
STAC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0.0625% 0.0156% 0.0078% <0.0009% <0.0009%
CTAC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0.0625% 0.0156% 0.0078% <0.0009% <0.0009% <0.007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소듐 벤조에이트,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참고예]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제형예 1 및 2를 베이스 처방으로 하여 하기 시험예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때, 제형예 1 및 2는 솔비톨의 함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솔비톨을 함유하게 되면 제형 내의 수분 활성도를 낮춰주기 때문에 솔비톨이 많이 함유될수록 방부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향료 1.00 1.0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1.00 1.00
불화나트륨 0.22 0.22
삭카린나트륨 0.20 0.20
솔비톨액 50.00 40.00
함수규산 15.00 15.00
라우릴활산나트륨 0.66 0.66
정제수 To 100 To 100
[시험예 2] 방부력 평가
1. 균주의 배양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시험 균주를 배양하였다.
시험 균주의 배양 조건
배양 배지 배양 온도 배양 시간
박테리아 Tryptic soy broth(Difco) 32±2.5℃ 18 ~ 24시간
효모 Sabouraud dextrose broth(Difco) 22.5±2.5℃ 44 ~ 52시간
곰팡이 Sabouraud dextrose agar(Difco) 22.5±2.5℃ 6 ~ 10 일
2. 접종
1) 하기 표 4의 물질을 상기 표 2의 베이스 처방에 첨가하여 제조한 시험 시료를 깨끗한 실험 용기에 20g 또는 17g+멸균 이온수 3g(70% 희석된 시료)씩 담았다.
2) 아래 방법으로 박테리아, 효모 및 곰팡이를 각각 접종하였다.
① 박테리아: 접종 균액을 시험 시료 g당 5X106 CFU/g이 되도록 0.2ml로 접종한 후 멸균 스패튤라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② 효모: 접종 균액을 시험 시료 g당 106 CFU/g이 되도록 0.2ml로 접종한 후 멸균 스패튤라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③ 곰팡이: 접종 균액을 시험 시료 g당 106 CFU/g이 되도록 0.2ml로 접종한 후 멸균 스패튤라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 BA SB CPC STAC CTAC
1 0 0 0 0 0
2     0.05%    
3   0.30%      
4   0.30% 0.05%    
5       0.05%  
6         0.05%
7       0.10%  
8         0.10%
9     0.05% 0.05%  
10     0.05%   0.05%
11   0.30%   0.10%  
12   0.30%     0.10%
13   0.30%   0.10% 0.10%
3. 접종 시료의 배양
3.1. 박테리아
균액이 혼합된 시료를 32℃ 항온 배양기에서 4주간 배양시키며 접종일로부터 7, 14, 28일 후 제품 내 생존하는 균수를 일반 생균수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2. 효모, 곰팡이
25±2℃ 항온 배양기에서 60일간 배양시키며 접종일로부터 14, 28일 후 제품 내 생존하는 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7일 간격으로 변취를 확인하고 육안으로 시료 표면의 균사 생성여부를 관찰하였다.
4. 생균수 측정
4.1.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① 샘플링: 멸균 스패튤라를 사용하여 시료를 충분히 저은 후 1g의 시료를 취하여 멸균희석수를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시료 무게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원하는 비율로 희석 가능한 자동희석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1±0.1g을 취하여 희석할 수 있다. 희석수는 미생물 오염도 시험에 사용하는 희석수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접종 균액의 균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배양액을 흔들어서(vortexing) 충분히 혼합한 후 필요량을 취하여 멸균희석수를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② 주입평판법(Pour plate count)을 사용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 배지, 배양 조건은 하기 표 5와 같다.
생균수 측정 배양 배지 및 배양 조건
균주 배양 배지 배양 온도 배양 시간
박테리아 Letheen agar 32±2.5℃ 48~72시간
효모 Sabouraud dextrose agar 22.5±2.5℃ 5~7일
곰팡이 22.5±2.5℃ 5~7일
③ 배양 후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생균수를 계산하였다.
5. 결과 판정
- 제품의 방부력을 하기 표 6의 기준에 준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수성(Water-based) 제형의 방부력 판정 기준
등급 박테리아
합격 7일 후 균 수 2 Log 감소, 28일 후 증가 없음
불합격 7일 후 균 수 2 Log 이하 감소
등급 효모
합격 14일 후 2 Log 감소, 28일 후 증가 없음
불합격 14일 후 2 Log 이하 감소,
등급 곰팡이
불합격 4주 이내 기벽/표면에 곰팡이 발생
# 7일차 14일차
B Y M 오염균 B Y M 오염균 B Y M 오염균
1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2 불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3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4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5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6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7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8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9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10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11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12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13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상기 평가는 제형예 1 및 2에서 모두 확인함.)
상기 표 7을 보면,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0.05%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및 소듐 벤조에이트 0.3%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방부력이 7일 이내 99% 균 감소율을 나타내지 못하지만,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0.05%와 소듐 벤조에이트 0.3%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7일 이내 99.9% 이상의 균 감소율의 방부력을 확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0.05% 또는 0.1%의 양으로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방부력이 7일 이내 99% 균 감소율을 나타내지 못하지만, 이를 소듐 벤조에이트 0.3%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7일 이내 99.9% 이상의 균 감소율의 방부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pH에 따른 방부력 평가
일반적으로 방부력은 pH가 중성(6 내지 7 사이)인 제품에 대해서 평가하는데, 일반적으로 방부 물질들이 pH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활성이 떨어지게 되며, 일반적으로 치약 제형의 pH는 6.5 내지 8의 범위이므로,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시험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형의 방부력을 평가하되, 다만 제형의 pH를 중성이 아닌 pH 8로 설정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8의 물질을 상기 표 2의 베이스 처방에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방부력을 평가하였다. 제품의 방부력은 상기 표 6의 기준에 준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 SB CPC STAC CTAC pH
1 0.30% 0.05%     6.5
2 0.20%   0.10%   6.5
3 0.30%   0.10%   6.5
4 0.20%     0.10% 6.5
5 0.30%     0.10% 6.5
6 0.20%   0.10% 0.10% 6.5
8 0.30%   0.10%   8
9 0.20%   0.10%   8
10 0.20%     0.10% 8
11 0.20%   0.10% 0.10% 8
7일차 14일차 28일차
B Y 오염균 오염균 B Y M 오염균 B Y M 오염균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NT: 테스트되지 않음)
상기 표 9를 보면, 소듐 벤조에이트를 0.2%까지 감소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pH는 8까지 방부력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소듐 벤조에이트; 및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로서,
    상기 소듐 벤조에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0.5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상기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상기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상기 조성물은 파라벤류를 포함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약, 구강용 세정제 또는 구강 청정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4.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세정제.
  5.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청정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43348A 2014-10-22 2014-10-22 구강용 조성물 KR10221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48A KR102212634B1 (ko) 2014-10-22 2014-10-22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48A KR102212634B1 (ko) 2014-10-22 2014-10-22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23A KR20160047223A (ko) 2016-05-02
KR102212634B1 true KR102212634B1 (ko) 2021-02-08

Family

ID=5602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348A KR102212634B1 (ko) 2014-10-22 2014-10-22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6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6400A1 (en) * 2010-11-12 2013-09-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Produc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87B1 (ko) 1999-09-07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전화 단말장치의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수신 경보 방법
KR100637653B1 (ko) * 2001-07-03 2006-10-24 (주)아모레퍼시픽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KR20050010082A (ko) 2003-07-16 2005-01-27 황윤수 은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0691792B1 (ko) 2003-10-13 2007-03-12 황재관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충치와 치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 조성물
AU2004287281A1 (en) * 2003-11-11 2005-05-19 Veckis Industries Ltd. Disinfect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40002445A (ko) * 2012-06-29 2014-01-08 (주) 바이오에스텍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6400A1 (en) * 2010-11-12 2013-09-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Produc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23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5010C2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4- изопропил-3- метилфенол и ионы цинка
JP5526619B2 (ja) 練歯磨剤組成物
JP2015110664A (ja) 口腔用組成物
US9408870B2 (en) Oral care composition
NZ246184A (en) Dentifrice comprising a lanthocin antibacterial agent
JP5310553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及びカチオン性殺菌剤の殺菌力向上方法
US20210196621A1 (en) Alcohol-free botanical oral care products
JP2009149535A (ja) 口腔用組成物
KR101517142B1 (ko) 화장료용 방부 활성이 향상된 카프릴릴 글라이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및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052969A (ja) 抗菌性口腔用組成物
KR20120112538A (ko) 유화형 액체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2634B1 (ko) 구강용 조성물
CN111050747B (zh) 洁齿剂组合物
JP2015030701A (ja) 抗菌性口腔用組成物
KR100659139B1 (ko) 항균력이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JP7330692B2 (ja) 口腔用組成物
JP3460366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10128961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JP2016188262A (ja) 口腔用組成物
JP2007091737A (ja) 口腔用組成物
JP2023082319A (ja) 口腔用組成物
JP2023034874A (ja) 口腔細胞内歯周病菌殺菌用組成物
JP2004026724A (ja) 口腔用組成物
CA3050693A1 (en) Oral care composition and use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laque formation, bad breath, gingivitis, periodontal diseases and/or dental caries
CA3118452A1 (en) Oral car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