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414B1 -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414B1
KR102212414B1 KR1020207006942A KR20207006942A KR102212414B1 KR 102212414 B1 KR102212414 B1 KR 102212414B1 KR 1020207006942 A KR1020207006942 A KR 1020207006942A KR 20207006942 A KR20207006942 A KR 20207006942A KR 102212414 B1 KR102212414 B1 KR 10221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moisture
grains
hopp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264A (ko
Inventor
코우이치로 아사이
마사시 스나다
히데유키 우메바야시
스바루 와다
Original Assignee
시즈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즈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즈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of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26B17/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수분을 측정하는 곡물의 종류 변경에 따라 낟알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전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의 수분 측정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낟알 이동판(43)의 각각의 유지 개구(43a)는 유지하는 낟알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소정의 동작시에 서로 다른 연통공(42a1, 42b1) 위를 먼저 통과한다. 이로 인해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 낟알 이동판(43)만 변경함으로써 호퍼(41)에 투입된 낟알을 대응하는 수분 측정부(31)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낟알의 수분을 측정할 때의 잘못된 설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본 발명은 곡물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기위한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분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곡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곡물 건조기에 설치되고, 곡물의 건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된 곡물의 일부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상기 수분 측정 장치는 쌍을 이루는 롤러와, 쌍을 이루는 롤러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한 수분 측정기구를 갖추고 있다. 상기 수분 측정 장치는 수분 측정기구에서 쌍을 이루는 롤러의 외주면 사이에 낟알을 두어 잡고, 측정부에 의해 한 쌍의 롤러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잡은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전기적으로 측정한다.
상기 수분 측정 장치는 쌍을 이루는 롤러의 외주면 사이에 낟알을 끼워 잡은 후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기 때문에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에 따라 쌍을 이루는 롤러의 외주면 간격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벼나 밀 등의 작은 곡물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할 경우에는 쌍을 이루는 롤러의 외주면의 간격을 작게 설정하고, 콩이나 옥수수 등의 큰 곡물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쌍을 이루는 롤러의 간격을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수분 측정 장치는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이 투입되는 호퍼와,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에 따라 쌍을 이루는 롤러의 간격이 서로 다른 복수의 수분 측정부와, 호퍼 및 복수의 수분 측정부 각각을 연결하여 호퍼에 투입된 낟알을 각각의 수분 측정부에 공급하는 복수의 연통로와, 복수의 연통로 중 하나의 연통로 단부를 제외한 다른 연통로의 단부를 폐쇄하는 연통로 폐쇄부재와, 낟알을 유지하는 유지 개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호퍼 내에서 회전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유지 개구에 유지한 낟알을 하나의 연통로 단부로 이동시키는 낟알 이동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분 측정 장치는 서로 낟알의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곡물의 수분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69885호
상기 수분 측정 장치는 수분을 측정하는 곡물의 종류의 변경에 따라 낟알의 크기가 바뀌는 경우에, 연통로 폐쇄부재에 의한 연통로 폐쇄 전환 작업과, 낟알의 크기에 맞는 크기의 유지 개구를 갖는 낟알 이동판 전환 작업의 두가지 전환 작업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수분을 측정하는 곡물의 종류 변경에 따라 낟알의 크기가 바뀌는 경우에도 전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분 측정 장치는 전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복수의 수분 측정부를 구비한 수분 측정 장치로서,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이 투입되는 호퍼와, 호퍼와 복수의 수분 측정부의 각각을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로가 설치되어 호퍼에 투입된 낟알을 각각의 수분 측정부에 공급하는 연통부재와, 각각 호퍼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호퍼 내에 투입된 낟알을 유지하는 유지 개구가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되고, 호퍼 내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여 유지 개구에서 유지한 낟알을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낟알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호퍼의 내면에는 복수의 연통로를 각각 호퍼 내의 공간에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낟알 이동부재의 유지 개구는 유지 낟알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소정의 동작시에 서로 다른 연통공에 먼저 통과한다.
이에 따라,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 낟알이 이동부재만 변경되고, 호퍼에 투입된 낟알이 대응하는 수분 측정부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수분 측정 장치에 따르면,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 낟알 이동부재만을 변경하여 호퍼에 투입된 낟알에 대응하는 수분 측정부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낟알의 수분을 측정할 때의 잘못된 설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건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수분 측정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분 측정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수분 측정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복수의 수분 측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호퍼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낟알 이동판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낟알 이동판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1 연통공에 작은 낟알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연통공에 큰 낟알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곡물 건조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을 저장하는 저장부(2)와, 곡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3)와, 건조부(3)에서 하강하는 곡물을 모으기 위한 집곡부(4)와, 집곡부(4)에 모아진 곡물을 저장부(2)로 되돌리기 위한 양곡부(5)를 포함하고 있다.
저장부(2)는 상부 측에 위치하고, 곡물이 수용된다.
건조부(3)는 저장부(2)의 하부에 설치되고, 저장부(2)에서 순환 동작에 의해 하강되는 곡물을, 예를 들어, 원적외선이나 열풍에 의해 가열하여 곡물에 포함된 수분을 감소시킨다.
집곡부(4)는 건조부(3)의 하부에 설치되고, 건조부(3)로부터 순환 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곡물을 모은다.
양곡부(5)는 저장부(2)와, 건조부(3), 및 집곡부(4)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집곡부(4)에 모아진 곡물을 위쪽으로 반송하여 저장부(2)의 상부로 방출한다. 또한, 양곡부(5)의 하부에는 곡물 건조기(1)에 의해 건조되는 곡물을 투입하는 투입구(6)가 설치되어 있다. 투입구(6)에 투입된 곡물은 양곡부(5)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어 저장부(2)의 상부로 방출된다. 또한, 양곡부(5)의 상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반출할 반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곡물 건조기(1)는 저장부(2)와, 건조부(3)와, 집곡부(4), 및 양곡부(5)의 순으로 곡물을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분 측정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곡부(5)의 측면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수분 측정 장치(10)는 소정 시간마다 양곡부(5)에서 상방으로 반송되는 곡물의 일부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것이다. 곡물 건조기(1)는 곡물의 건조 동작 중에서 수분 측정 장치(10)에 의해 측정된 낟알의 수분이 설정된 수분량 또는 수분율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건조부(3)와, 집곡부(4), 및 양곡부(5)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분 측정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곡부(5)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에 설치되고,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기구(30)와, 수분 측정기구(30)를 향해 낟알을 공급하기위한 낟알 공급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21)을 양곡부(5)에 맞닿은 자세로 양곡부(5)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의 바닥면(22)은 제1 측면(21)에 대향하는 제2 측면(23)으로부터 제1 측면(21)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룬다. 하우징(20)의 제1 측면(21)에 인접한 제3 측면(24)에는 외부에서 하우징(20)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보기 창(24a)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의 내부는 도 4와 같이, 칸막이 벽(26)에 의해 제3 측면(24) 측의 제1 공간(20a) 및 제3 측면(24)과 마주보는 제4 측면(25) 측의 제2 공간(20b)으로 구분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제1 측면(21)에서의 제1 공간(20a) 측의 상부에는 낟알을 도입하기 위한 입구(2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제1 측면(21)의 제1 공간(20a) 측 하부에는 수분 측정기구(30)에 의해 수분을 측정한 낟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b)가 설치되어 있다.
수분 측정기구(30)는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낟알을 잡기 위한 복수의 수분 측정부(31)와,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의 전동 모터(32)와, 전동 모터(32)의 구동력을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기구(3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는 전동 모터(32)의 구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과, 제1 회전축(31a)에 지지되는 제1 롤러(31c)와, 제2 회전 축(31b)에 지지되는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와,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 또는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서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측정부(31f)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은 각각 금속제이고, 제1 공간(20a)에서 각각의 중심 축이 서로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은 각각의 일측 단부가 칸막이 벽(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롤러(31c)는 제1 회전축(31a)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금속제 원통형 부재이다. 제1 롤러(31c)의 외주부에는 예를 들어, 격자형 등의 전조식 널링 가공이 되어 있다. 또한, 제1 롤러(31c)의 근방에는 제1 롤러(31c)의 외주면에 부착된 낟알의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회전 브러쉬(31c1) 및 스크레이퍼(31c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롤러(31d)는 제2 회전축(31b)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금속제 원통형 부재이다. 제2 롤러(31d)는 축 방향의 치수가 제1 롤러(31c)의 축 방향의 치수의 약 절반이다. 제2 롤러(31d)의 외주부에는 도 5와 같이, 예를 들어, 전조식 널링 가공에 의해 사선형, 직선형 등의 홈(31d1)이 형성되어 있다. 홈(31d1)은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2 롤러(31d)의 외주부 사이에 벼와 밀 등의 작은 낟알을 잡는 것이 가능한 깊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롤러(31e)는 제2 회전축(31b)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금속제 원통형 부재이다. 제3 롤러(31e)는 축 방향의 치수가 제1 롤러(31c)의 축 방향의 치수의 약 절반이며, 제2 롤러(31d)의 축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제3 롤러(31e)의 외주부에는 도 5와 같이, 예를 들어, 절삭식 널링 가공에 의해 사선형, 직선형 등의 홈(31e1)이 형성되어 있다. 홈(31e1)은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3 롤러(31e)의 외주부 사이에 콩이나 옥수수 등의 큰 낟알을 잡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 롤러(31d)의 홈(31d1)보다 큰 깊이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31b)의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는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2 롤러(31d)의 외주부 사이를 제1 수분 측정부(31A)로하고, 제1 롤러(31c)의 외주부와 제3 롤러(31e)의 외주부 사이를 제2 수분 측정부 (31B)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의 근방에는 제1 롤러(31c)의 외주면에 부착된 낟알의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고정 브러쉬(31d2) 및 스크레이퍼(31d3)가 설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는 각각의 낟알과는 다른 돌과 금속 조각 등의 이물질이 공급되어 있을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고 있다. 이물질 제거 구조는 제1 롤러(31c)의 외주부의 일부,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의 외주부의 일부, 또는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및 제3 롤러(31e)의 외주부 일부를 평면이 되도록 절단하여, 소위 D컷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는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이 구동하고, 낟알의 수분을 측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물질이 공급되면 이물질이 롤러(31c, 31d, 31e)에 맞물려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의 회전이 규제된다.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는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를 감지하여 수분을 측정할 때의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수분 측정부(31)에 투입된 이물질은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 또는 제1 롤러 (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서 D컷으로 형성된 틈새로 떨어져 수분 측정부(31)에서 제거된다.
측정부(31f)는 제1 회전축(31a)에 연결된 제1 측정점(31f1)과 제2 회전축(31b)에 연결된 제2 측정점(31f2)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다. 측정부(31f)는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 또는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 낟알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제1 측정점(31f1)과 제2 측정점(31f2) 사이에 전기 회로가 형성된다. 측정부(31f)는 제1 측정점(31f1) 및 제2 측정점(31f2) 사이의 전기 저항의 저항 값을 검출함으로써 낟알에 포함된 수분량 또는 수분율을 측정한다.
전동 모터(3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20a)의 상부에 설치되고, 칸막이 벽(26)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기구(33)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고, 전동 모터(32)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동시에, 제1 회전축(31a) 및 제2 회전축(31b)이 연결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기구(33)는 제2 공간(20b)에 설치되고, 칸막이 벽(26)에 고정되어 있다.
낟알 공급기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낟알이 투입되는 호퍼(41)와, 호퍼(41)와 복수의 수분 측정부(31) 각각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로(42a, 42b)가 형성된 연통부재(42)와, 호퍼(41)에 투입된 낟알을 호퍼(41) 내에서 소정의 연통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낟알 이동 부재로서의 낟알 이동판(43)을 구비하고 있다.
호퍼(41)는 하우징(20)의 상부 측에 마련된 양곡부(5) 측에 설치되어 있다. 호퍼(41)는 일단 측이 폐쇄되는 동시에 타단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호퍼(41)는 일부가 입구(21a)를 통해 양곡부(5) 측에 튀어나오게 설치되어 있으며, 통 모양의 일단 측이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호퍼(41)의 타단 측의 개구는 양곡부(5)에서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고 있다. 호퍼(41)는 양곡부(5)로부터 호퍼(41)의 내부로 낟알의 투입량을 억제하기 위해 타단 측 개구의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 판(41a)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부재(42)는 호퍼(41)의 일단과 복수의 수분 측정부(31)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0)의 제1 측면(21) 측면에서 볼 때 우측에 호퍼(41)와 제1 수분 측정부(31A)를 연통시키는 제1 연통로(42a)가 형성되고, 좌측에 호퍼(41)와 제2 수분 측정부(31B)를 연통하는 제2 연통로(4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부재(42)의 호퍼(41) 측의 단부는 호퍼(41)의 일단면의 상부 측에 연결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41)의 일단면의 상단 오른쪽에 제1 연통로(42a)의 제1 연통공(42a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연통공(42a1)의 왼쪽에 제2 연통로(42b)의 제2 연통공(42b1)이 형성되어 있다. 호퍼(41)의 일단면에서 제2 연통공(42b1)은 제1 연통공(42a1)의 반경 방향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안쪽까지 개방되어 있다.
복수의 낟알 이동판(4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41)의 일단 측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일한 외경 치수를 갖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반경 방향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호퍼(41)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낟알 이동판(43)은 전동 모터(32)의 동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정역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낟알 이동판(43)은 호퍼(41)에 투입된 낟알을 유지하고, 회전 동작에 의해 낟알을 호퍼(41) 내의 일단면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유지 개구(43a)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개구(43a)는 낟알 이동판(43)의 외주부를 잘라내거나 반경 방향의 소정 위치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낟알 이동판(43)은 이동시키는 낟알의 크기 및 호퍼(41) 내의 일단면의 연통공(42a1, 42b1)의 위치에 따라 유지 개구(43a)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된다. 유지 개구(43a)는 하나의 낟알이 유지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낟알 이동판(43)은 벼와 밀 등의 작은 낟알을 제1 연통공(42a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낟알 이동판(43-1)과, 콩이나 옥수수 등의 큰 낟알을 제2 연통공(42b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낟알 이동판(43-2)이 이용된다. 제1 낟알 이동판(43-1) 및 제2 낟알 이동판(43-2)은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에 따라 호퍼(41)에 대해 교체된다.
제1 낟알 이동판(43-1)은 외주부를 절단하여 유지 개구(43a)를 형성한다. 제1 낟알 이동판(43-1)은 서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지 개구(43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낟알 이동판(43-2)은 제1 낟알 이동판(43-1)의 유지 개구(43a)보다 지름 방향 안쪽에 유지 개구(43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낟알 이동판(43-2)은 원주 방향으로 1개의 유지 개구(43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낟알 이동판(43-2)의 유지 개구(43a)는 제1 낟알 이동판(43-1)의 유지 개구(43a)보다 큰 구멍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분 측정 장치(10)는 곡물 건조기(1)에 의해 곡물을 건조시키는 운전을 할 경우, 건조시키는 곡물의 종류에 맞추어 낟알 이동판(43)을 호퍼(41)에 설치한다. 건조시키는 곡물이 벼와 밀 등의 작은 낟알인 경우에는 제1 낟알 이동판(43-1)을 호퍼(41)에 설치한다. 또한 건조시키는 곡물이 콩이나 옥수수 등의 큰 낟알인 경우에는 제2 낟알 이동판(43-2)을 호퍼(41)에 설치한다.
곡물 건조기(1)에 의한 곡물의 건조 운전시에 수분 측정 장치(10)는 호퍼(41) 내에 낟알이 투입된 상태에서 낟알 이동판(4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수분 측정기구(30)를 구동시킴으로써,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한다.
낟알이 투입된 호퍼(41)에서 낟알 이동판(4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낟알 이동판(43)의 유지 개구(43a)가 호퍼(41)의 하부를 통과하여 호퍼(41) 내의 1개의 낟알이 유지 개구(43a)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유지 개구(43a)에 유지된 하나의 낟알은 낟알 이동판(43)의 회전에 의해 호퍼(41) 내의 일단면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호퍼(41) 내의 일단면을 따라 이동하는 유지 개구(43a)에 유지된 낟알은 호퍼(41)의 일단면에서 유지 개구(43a)의 위치가 연통공(42a1, 42b1)의 위치에 맞춰지면 연통로(42a, 42b)를 통과하여 수분 측정기구(30)에 공급되고, 하나의 수분 측정부(31A, 31B)에서 수분이 측정된다.
여기서 호퍼(41) 내에 제1 낟알 이동판(43-1)이 설치된 경우에는 유지 개구(43a)는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41) 내의 아래쪽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 연통공(42a1) 위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 개구(43a)에 유지된 낟알(S)은 제1 연통공(42a1)을 통해 제1 연통로(42a)를 통해서 제1 수분 측정부(31A)에 공급된다. 제1 수분 측정부(31A)에 공급된 낟알(S)은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에 잡아진 상태에서 전기 저항을 측정하여 포함된 수분이 측정된다.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사이에서 으스러진 낟알(S)은 배출구(21b)에서 하우징(20)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호퍼(41)에 제2 낟알 이동판(43-2)이 설치된 경우에는 유지 개구 (43a)는 제1 낟알 이동판(43-1)의 유지 개구(43a) 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41) 내의 아래쪽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림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2 연통공(42b1) 위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 개구(43a)에 유지된 낟알(L)은 제2 연통공(42b1)을 통해 제1 연통로(42b)를 통과하여 제2 수분 측정부(31B)에 공급된다. 제2 수분 측정부(31B)에 공급된 낟알(L)은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 잡아진 상태에서 전기 저항을 측정하여 포함된 수분이 측정된다.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 사이에서 으스러진 낟알(L)은 배출구(21b)에서 하우징(20)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에서의 수분 측정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낟알 이동판(43)의 각각의 유지 개구(43a)는 유지 낟알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소정의 동작시에 서로 다른 연통공(42a1, 42b1) 위를 먼저 통과한다.
이로 인해,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 낟알 이동판(43)만을 변경하여 호퍼(41)에 투입된 낟알을 대응하는 수분 측정부(31)에 공급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낟알의 수분을 측정할 때의 잘못된 설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낟알 이동판(43)은 각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동작으로 호퍼(41) 내에서 반경 방향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실시하며, 서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유지 개구(43a)가 형성되고, 복수의 연통공(42a1, 42b1)은 각각 복수의 낟알 이동판(43)의 각각의 유지 개구(4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동작을 하는 낟알 이동판(43)을 이용하여 호퍼(41) 내의 낟알을 연통공(42a1, 42b1)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낟알 이동판(43)의 작동시 큰 동작 공간이 필요 없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는 각각의 낟알을 잡도록 쌍을 이루는 롤러(31c, 31d, 31e)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외주부의 형상이 다른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정 변경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동작에 의해 호퍼(41)에 투입된 낟알을 이동시키는 낟알 이동판(43)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호퍼(41)에 투입된 낟알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호퍼 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낟알 이동판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수분 측정부(31)를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롤러(31c)와 제2 롤러(31d), 및 제1 롤러(31c)와 제3 롤러(31e)로 구성한 것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낟알의 크기에 따라 수분을 측정하는 부재를 변경하는 것이라면, 쌍을 이루는 롤러를 갖는 수분 측정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2 개의 수분 측정부(31A, 31B), 2개의 연통로(42a, 42b) 및 2 개의 낟알 이동판(43-1,43-2)에 의해 2가지 크기를 갖는 낟알의 수분을 측정하도록 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개 이상의 수분 측정부, 3개 이상의 연통로 및 3개 이상의 낟알 이동판을 갖추어, 3 종류 이상의 크기를 갖는 낟알의 수분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1: 곡물 건조기
10: 수분 측정 장치
31: 수분 측정부
31A: 제1 수분 측정부
31B: 제2 수분 측정부
41: 호퍼
42: 연통부재
42a: 제1 연통로
42a1: 제1 연통공
42b: 제2 연통로
42b1: 제2 연통공
43: 낟알 이동판
43a: 유지개구
43-1: 제1 낟알 이동판
43-2: 제2 낟알 이동판

Claims (4)

  1.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낟알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복수의 수분 측정부를 구비한 수분 측정 장치로서,
    수분을 측정하는 낟알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와 상기 복수의 수분 측정부 각각을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로가 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된 낟알을 각각의 상기 수분 측정부에 공급하는 연통부재;
    각각 상기 호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호퍼에 투입된 낟알을 유지하는 유지 개구가 구비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 내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유지 개구에서 보유한 낟알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낟알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연통로를 각각 상기 호퍼 내의 공간에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낟알 이동부재에 구비된 상기 각각의 유지 개구는 낟알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낟알 이동부재의 소정의 동작시에 서로 다른 연통공 위를 통과하는 수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낟알 이동부재는 각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동작으로 상기 호퍼 내에서 반경 방향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하며, 직경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상기 유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통공은 각각 상기 복수의 낟알 이동부재의 각 유지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수분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분 측정부는 각각의 낟알을 잡도록 쌍을 이루는 롤러를 포함하는 수분 측정 장치.
  4. 곡물을 수용하고 건조하는 곡물 건조기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분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측정 장치에 의해 수용된 곡물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는 곡물 건조기.
KR1020207006942A 2018-08-31 2019-08-28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KR102212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3024A JP6749537B2 (ja) 2018-08-31 2018-08-31 水分測定装置及び穀物乾燥機
JPJP-P-2018-163024 2018-08-31
PCT/JP2019/033740 WO2020045507A1 (ja) 2018-08-31 2019-08-28 水分測定装置及び穀物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264A KR20200085264A (ko) 2020-07-14
KR102212414B1 true KR102212414B1 (ko) 2021-02-04

Family

ID=6964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942A KR102212414B1 (ko) 2018-08-31 2019-08-28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49537B2 (ko)
KR (1) KR102212414B1 (ko)
CN (1) CN111133303B (ko)
PH (1) PH12020551871A1 (ko)
WO (1) WO2020045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3909B2 (ja) 2020-04-21 2024-01-16 株式会社サタケ 水分計
CN113533122B (zh) * 2021-07-27 2024-02-02 马鞍山利民星火冶金渣环保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钢渣含水量测量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5345A (en) 1932-11-07 1934-12-25 Gebhardt William Nut length grader
JP2006038595A (ja) 2004-07-26 2006-02-09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水分測定装置
JP2014169885A (ja) 2013-03-01 2014-09-18 Shizuoka Seiki Co Ltd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0056U (ko) * 1987-09-04 1989-03-09
JP3165962B2 (ja) * 1990-11-08 2001-05-14 静岡製機株式会社 穀物水分測定装置
JP2973230B2 (ja) * 1990-11-08 1999-11-08 静岡製機株式会社 穀物水分測定装置
JP3010287B2 (ja) * 1998-05-12 2000-02-21 静岡製機株式会社 穀物用水分計
CN2594791Y (zh) * 2003-01-03 2003-12-24 华南农业大学 谷物含水率在线检测装置
CN206519331U (zh) * 2017-02-17 2017-09-26 湖北香青化肥有限公司 一种化肥干燥、筛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5345A (en) 1932-11-07 1934-12-25 Gebhardt William Nut length grader
JP2006038595A (ja) 2004-07-26 2006-02-09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水分測定装置
JP2014169885A (ja) 2013-03-01 2014-09-18 Shizuoka Seiki Co Ltd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33303A (zh) 2020-05-08
JP2020034254A (ja) 2020-03-05
KR20200085264A (ko) 2020-07-14
JP6749537B2 (ja) 2020-09-02
CN111133303B (zh) 2021-04-27
WO2020045507A1 (ja) 2020-03-05
PH12020551871A1 (en)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414B1 (ko)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JP6127584B2 (ja) 水分測定装置および穀物乾燥機
KR101310811B1 (ko) 로스터
KR20160097530A (ko) 필터 청소 장치
KR20100123102A (ko) 2단식 전열 볶음장치
CN112006096A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粮食烘干设备
KR101733757B1 (ko) 견과류 로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과류 로스팅 방법
US20160270434A1 (en) Apparatus For Drying and/or Roasting Beans or Nibs
JP7162805B2 (ja) 水分測定装置および水分測定方法
KR102667621B1 (ko) 수분측정장치
WO2017201876A1 (zh) 一种联网控制监控筛选的农作物农药残留快速检测装置
JP5685681B2 (ja) 野菜芯取機
JP4668035B2 (ja) 製茶揉乾ライン並びにその運転制御方法
CN107990687A (zh) 一种用于水稻收割机的高效脱水干燥装置
JP7038984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WO2018035955A1 (zh) 一种多孔同时进行的微型播种推动装置
KR101290073B1 (ko) 로터리밸브
CN107670773A (zh) 一种用于农产品深加工的小麦烘干磨粉一体机
KR20120140507A (ko) 피잣 선별장치
JP5565961B2 (ja) 水分測定装置
KR20160031271A (ko) 용기 자동 세척장치
JP2014153004A (ja) 穀物乾燥装置
CN217900430U (zh) 一种干燥效果好的真空干燥机
KR102502916B1 (ko) 부품 반전 장치
CN213179302U (zh) 一种烘干机出料口热量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