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045B1 -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045B1
KR102212045B1 KR1020190071875A KR20190071875A KR102212045B1 KR 102212045 B1 KR102212045 B1 KR 102212045B1 KR 1020190071875 A KR1020190071875 A KR 1020190071875A KR 20190071875 A KR20190071875 A KR 20190071875A KR 102212045 B1 KR102212045 B1 KR 10221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lt
screw hole
vertical post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025A (ko
Inventor
심명순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심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순 filed Critical 심명순
Priority to KR102019007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04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출고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가 고정되며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 및 상기 수직 포스트 및 베이스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지면을 향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제2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공의 직경이 상기 제2 나사공의 직경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AND METHOD FOR ADJUSTING HEIGHT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사용되는 물품을 탑재 및 하역하는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重量物)을 적재하거나 반출하는데 사용되는 물품 입출고장치는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아야만 한다. 그러나, 일정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물품 입출고장치를 이전하는 경우 최초 장소에서의 지면과 다른 장소에서의 지면의 높낮이가 다르기 때문에 물품 입출고장치가 다소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물품 입출고장치가 가벼운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들어올림으로써 수평을 맞출 수 있으나 자동창고와 같이 중량물을 입출고하는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수평을 맞추기는 매우 어렵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물품 입출고장치의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다른 부품을 절삭하는 등의 방식으로 해결하였으나 이는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가 고정되며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 및 상기 수직 포스트 및 베이스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지면을 향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제2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공의 직경이 상기 제2 나사공의 직경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볼트가 아래를 향하여 제1 나사공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볼트가 위를 향하여 제2 나사공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볼트 및 제1 플레이트가 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볼트 및 제2 볼트와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나사공 및 제2 나사공이 삽입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인 경우, 상기 스페이서는 삽입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2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을 향하는 제1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볼트가 관통하는 제1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가 고정되며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상측에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제2 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제1 나사공의 직경보다 큰 제2 나사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높이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 중 낮게 기울어진 수직 포스트를 검사하는 단계; 기울어진 수직 포스트쪽의 제1 볼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기울어진 수직 포스트쪽의 상기 제2 볼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체결하면서 상기 제1 볼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밀어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높이 조절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볼트 및 제2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볼트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품 입출고장치의 좌우 균형이 맞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물품 입출고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포스트의 일 지점에서 아래를 향하여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페이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의 절차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 (이하 입출고장치(100)라 칭하기로 한다.)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130)과, 일측은 상기 이동 유닛(1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과 함께 승하강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지지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연결부(120)는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이동 유닛(130)이 이동하면서 적재부(105)에 중량품(重量品)을 저장하거나 반출하기도 한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량품이 탑재된 상태로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프레임(frame) 형태의 지지프레임(135)을 포함하며, 지지프레임(135)에 의해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일체로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물품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가 고정되며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120)는 적재부(105)에 형성되는 상부 레일(102)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베이스부재(106)는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쪽이 기울어진 입출고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상기 입출고장치(1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1,112)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1,112)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1,112)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1,112)가 고정되며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수직 포스트(111,112) 및 베이스부재(106)를 결합하는 체결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80)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지면을 향하는 제1 플레이트(181)와, 상기 베이스부재(106)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81)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185)와, 상기 제1 플레이트(181) 및 제2 플레이트(185)를 체결하는 볼트(1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플레이트(181)에는 제1 나사공(18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85)에는 제2 나사공(18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공(183)의 직경(D1)이 상기 제2 나사공(186)의 직경(D2)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나사공(183) 및 제2 나사공(186)에는 하나의 볼트(187)가 체결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두 개의 볼트(182,187)가 위와 아래에서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입출고장치(100)의 연결부(120)가 기울어져 있다면 상기 수직 포스트(110) 중 어느 한 쪽이 낮게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낮은 쪽의 수직 포스트(110)의 높이를 상승시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입출고장치(100)를 설치하였으나 양쪽의 수직 포스트(110)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거나 입출고장치(100)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어느 한쪽의 수직 포스트(110)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상태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 포스트(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의 절차흐름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4a, 도 4b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수평으로 형성되는 포스트 즉, 연결부(120)가 기울어졌는지를 검사(S110)한다. 만약,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인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111,112)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 낮다면 낮은 쪽의 수직 포스트의 높이를 높이면 양쪽의 수직 포스트의 높이가 동일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제2 수직 포스트(112)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제2 수직 포스트(112)쪽의 제1 볼트(182)를 상기 제1 플레이트(181)에 체결(S120)하고, 상기 높이가 낮은 제2 수직 포스트(112)쪽의 상기 제2 볼트(187)를 상기 제2 플레이트(185)에 체결하면서 상기 제1 볼트(18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81)를 밀어올린다.(S130)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볼트(182)는 제1 나사공(183)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며 상기 제1 볼트(182)의 직경(D1)이 제2 나사공(186)의 직경(D2)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 볼트(182)는 상기 제2 플레이트(185)의 상면에 접촉되며 제2 나사공(186)에는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플레이트(185)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볼트(187)를 제2 나사공(186)에 삽입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2 플레이트(185)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볼트(182)와 접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 볼트(187)를 계속하여 삽입하여 체결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볼트(182)가 위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1 볼트(182)와 결합되어 있는 제1 플레이트(181)도 함께 일정 높이(h)만큼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볼트(182) 및 제2 볼트(187)가 위와 아래에서 각각 삽입되어 단부가 접촉하는 상태를 제1 상태라 칭하기로 하고, 상기 제1 볼트(182) 및 제1 플레이트(181)가 위로 이동하여 제1 플레이트(181)와 제2 플레이트(185) 사이의 간격이 보다 넓어진 상태를 제2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181)와 제2 플레이트(185) 사이에 스페이서(189)를 삽입(S140)하여 수직 포스트(110)의 높이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볼트(182)를 제1 플레이트(181)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2 볼트(187)를 제2 플레이트(185)에서 제거(S150)한 다음, 상기 제2 볼트(187)를 제1 플레이트(181)를 관통시켜 상기 제2 플레이에 체결(S160)하게 되면 양측의 수직 포스트(111,112)가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1,112)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레이트(181)에는 제1 볼트(182)가 아래를 향하여 제1 나사공(183)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볼트(187)가 위를 향하여 제2 나사공(186)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볼트(187)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제1 볼트(182) 및 제1 플레이트(181)가 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81)와 제2 플레이트(185) 사이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111,112)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89)(spacer)가 삽입된다.
상기 스페이서(189)는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볼트(182) 및 제2 볼트(187)와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될 수 있다. 즉,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직포스트(110)의 일 지점에서 아래를 향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페이서(189)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서는 일 방향에서 스페이서(189)가 상기 제1 플레이트(181)와 제2 플레이트(185)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6b에서는 분할 형성된 스페이서(189a,189b)가 양 방향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181)와 제2 플레이트(185)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나사공(183) 및 제2 나사공(186)이 삽입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인 경우, 상기 스페이서(189)는 삽입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2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입출고장치, 101: 하부 레일, 102: 상부 레일, 105: 적재부, 106: 베이스부재, 110: 수직 포스트, 120: 연결부, 130: 이동 유닛, 135: 지지 프레임, 180: 체결부, 181: 제1 플레이트, 182: 제1 볼트, 183: 제1 나사공, 184: 제1 나사산, 185: 제2 플레이트, 186: 제2 나사공, 187: 제2 볼트, 188: 제2 나사산, 189: 스페이서,

Claims (6)

  1.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가 고정되며 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 및
    상기 수직 포스트 및 베이스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단에 구비되고 지면을 향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제2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공의 직경이 상기 제2 나사공의 직경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볼트가 아래를 향하여 제1 나사공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볼트가 위를 향하여 제2 나사공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볼트 및 제1 플레이트가 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볼트 및 제2 볼트와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공 및 제2 나사공이 삽입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인 경우, 상기 스페이서는 삽입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2개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5.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을 향하는 제1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볼트가 관통하는 제1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가 고정되며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상측에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제2 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제1 나사공의 직경보다 큰 제2 나사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높이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포스트 중 낮게 기울어진 수직 포스트를 검사하는 단계;
    기울어진 수직 포스트쪽의 제1 볼트를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기울어진 수직 포스트쪽의 상기 제2 볼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체결하면서 상기 제1 볼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밀어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높이 조절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볼트 및 제2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볼트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높이 조절 방법.
KR1020190071875A 2019-06-17 2019-06-1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 KR10221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75A KR102212045B1 (ko) 2019-06-17 2019-06-1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75A KR102212045B1 (ko) 2019-06-17 2019-06-1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025A KR20200144025A (ko) 2020-12-28
KR102212045B1 true KR102212045B1 (ko) 2021-02-03

Family

ID=7408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875A KR102212045B1 (ko) 2019-06-17 2019-06-1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7757B (zh) * 2021-04-30 2022-08-19 上海汉石昀升住宅工业发展有限公司 一种预制板吊装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907A (ja) 2000-10-16 2002-04-23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の地レール装置
JP2004293565A (ja) * 2003-03-25 2004-10-21 Toyota Industries Corp ボルト締結構造
JP2012062152A (ja) 2010-09-15 2012-03-29 Murata Machinery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983828B1 (ko) *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6912B2 (ja) * 1995-02-17 2003-03-17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のレ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907A (ja) 2000-10-16 2002-04-23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の地レール装置
JP2004293565A (ja) * 2003-03-25 2004-10-21 Toyota Industries Corp ボルト締結構造
JP2012062152A (ja) 2010-09-15 2012-03-29 Murata Machinery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983828B1 (ko) *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025A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4648A (en) Gravity feed shelf
US6520357B1 (en) Rack with members attached by clips
RU2004112561A (ru) Система стеллажей для хранения и архивиро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KR102212045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및 이의 높이 조절 방법
KR100958275B1 (ko) 핸들러의 스택커
JPH11208830A (ja) 自動倉庫のラック
JPH048089Y2 (ko)
CN216003968U (zh) 一种托盘式货架
US7828164B2 (en) Suspended platform for overhead traveling carriage
KR102162556B1 (ko) 자동차 부품 운반용 팔레트
US20140205399A1 (en) Automatic storage rack
KR101933394B1 (ko) 이송용 지그
CN213009208U (zh) 一种货物放置稳定性高的物流货架
JP5094585B2 (ja) 立体格納庫
CN110803433A (zh) 货架装置和装载组件
CN217806165U (zh) 一种平放式包装箱
KR101843839B1 (ko) 기판의 지지장치
KR101974402B1 (ko) 디스플레이용 필름 제품 스태커
JP6604481B2 (ja) ラック
JP3625037B2 (ja) 物品保管設備
CN216970370U (zh) 一种药剂防脱落托盘
CN217725627U (zh) 一种药品检测用试管架
KR102212047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4505735B2 (ja) 収納棚
CN215300581U (zh) 光伏组件承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