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620B1 -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 Google Patents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620B1
KR102211620B1 KR1020190022411A KR20190022411A KR102211620B1 KR 102211620 B1 KR102211620 B1 KR 102211620B1 KR 1020190022411 A KR1020190022411 A KR 1020190022411A KR 20190022411 A KR20190022411 A KR 20190022411A KR 102211620 B1 KR102211620 B1 KR 10221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ucts
protrusion
ring structure
socke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039A (ko
Inventor
박영신
Original Assignee
박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신 filed Critical 박영신
Priority to KR102019002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6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는 덕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 면을 통해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설정 깊이의 삽입홈을 구비하며, 덕트의 둘레 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중앙 확관부, 중앙 확관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의 덕트 중 하나의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제1 관형 삽입부, 중앙 확관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의 덕트 중 다른 하나의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제2 관형 삽입부, 및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을 감아 결합되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칼리 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탄성 링을 포함하며, 탄성 링은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SOCKET RING STRUCTURE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덕트 내부의 와류로 인한 진동 및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덕트의 이탈을 방지하고, 덕트 내부로부터 산, 알카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는 수소가스, 헬륨가스 및 질소가스 등의 다양한 가스들과 실란, 산류, 염기류 및 비소화합물 등의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사용된다.
따라서 반도체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거나 제품의 직접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가스들이나 화학물질들이 사용 후 적절히 배출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수의 덕트가 필요한 구조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덕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나의 소켓(1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덕트(20, 30)를 길이 방향으로 결합시켰다.
다시 말해, 각각의 덕트(20, 30)는 소켓(10)의 양단을 통해 설정된 길이만큼 소켓(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소켓(10)과 덕트(20, 30) 사이에 형성된 이음 부위로 PVC 용접이 실시되며, 복수의 덕트(20, 30)는 소켓(10)을 중심으로 좌, 우로 연결될 수 있었다.
다만, 종래의 덕트 연결 구조에 따르면 덕트(20, 30) 각각의 삽입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며, 덕트(20, 30)의 삽입 상태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여 구조적으로 어느 한 쪽의 덕트 연결 부위가 더 취약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덕트(20, 30)와 소켓(10) 사이의 연결 부위에 제작 오차가 존재하거나 또는 국부적인 손상 또는 파손 등이 유발될 경우 산, 알카리의 외부 누출이 발생되어 제품 불량 및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2171호(2003.06.26.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의 배관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두 배관을 소켓에 볼트 체결하여 배관 연결이 용이하며, 비용 절감 효과만을 제시할 뿐, 산, 알카리의 누출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관하여는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 내부의 와류로 인한 진동 및 파손을 방지하여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카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가 소켓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내부의 와류로 인한 진동 및 파손을 방지하여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카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는, 복수의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로서, 상기 덕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 면을 통해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설정 깊이의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덕트의 둘레 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중앙 확관부, 상기 중앙 확관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덕트 중 하나의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제1 관형 삽입부, 상기 중앙 확관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덕트 중 다른 하나의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제2 관형 삽입부, 및 상기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을 감아 결합되며, 상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칼리 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탄성 링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링은, 상기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삽입홈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중앙 확관부에 1차 고정되며, 상기 1차 고정된 덕트와 상기 중앙 확관부는, PVC 용접 되어 2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확관부는, 상기 삽입홈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삽입홈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측면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측면돌기가 상기 1차 고정된 덕트와 PVC 용접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링은, 상기 삽입홈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에 감겨 고정되며 제1 소재로 이루어진 제1 위치 고정링, 및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상기 제1 위치 고정링보다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에 감겨 고정되며 제2 소재로 이루어진 제2 위치 고정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2 위치 고정링 각각은, 상기 덕트의 내부 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가요성의 요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요철돌기는, 상기 덕트의 연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나란하게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큰 간격을 형성하는 갭 공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2 돌출부 각각에는, 상기 덕트의 연결 방향에 마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연결 시 상기 덕트의 내부 면과 상기 제1, 2 돌출부 각각의 접촉 면 사이의 접촉 마찰을 억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후방에는 상기 덕트의 내부 면과 면 접촉되기 위한 수평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의 연결 시 경사면을 통해 덕트는 원활하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덕트의 연결 이후에는 수평접촉면과 덕트의 내부 면이 면 접촉되어 마찰력으로 인해 덕트의 임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소재는 불소 고무, 불소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2 소재는 EPDM 고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덕트는 사각형 관 또는 원형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 내부의 와류로 인한 진동 및 파손을 방지하여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카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소켓링을 이용하여 산, 알카리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소켓링은 위치에 따라 적합한 다른 소재로 제공될 수 있는데, 불소 실리콘, 바이톤, EDPM 고무 등 탄성 재질을 선택하여 덕트의 결합 시 상호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를 소켓에 밀어 넣어 조립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덕트의 삽입 후 덕트가 임의로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덕트의 부분 삽입 구조와 함께 덕트와 소켓 간의 이음 부위에 PVC 용접을 실시하여 덕트 결합 구조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덕트용 소켓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중 제1 위치 고정링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덕트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덕트를 결합하는 작업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및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덕트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덕트를 삽입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덕트를 삽입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이고, 도 3은 탄성 링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이며, 도 4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덕트가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는 복수의 덕트(20, 30, 도 4 참조)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는 복수의 덕트(20, 30, 도 4 참조)를 길이 방향으로 일체형 구조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는 중앙 확관부(110), 제1 관형 삽입부(120), 제2 관형 삽입부(130), 그리고 탄성 링(150)을 포함한다.
중앙 확관부(110)는 덕트(20, 30)의 사이에 위치한다.
특히, 중앙 확관부(110)는 양측 면을 통해 덕트(20, 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3, 도 6 참조)을 구비한다.
삽입홈(1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확관부(110)의 양측 면을 통해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부위를 말한다.
만일, 복수의 덕트(20, 30)가 사각 관 형상을 가질 경우, 삽입홈(113, 도 6 참조)은 사각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홈(113, 도 6 참조)은 복수의 덕트(30, 40, 도 4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며, 복수의 덕트(30, 40, 도 4 참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홈(113, 도 6 참조)의 내부로 일정 길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확관부(110)는 삽입홈(113, 도 6 참조)에 끼워지는 복수의 덕트(20, 30, 도 4 참조)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확관부(110)는 복수의 덕트(20, 30, 도 4 참조) 각각의 둘레 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덕트(30, 40, 도 4 참조)는 삽입홈(113, 도 6 참조)에 1차적으로 삽입 고정된다. 이에 더하여, 복수의 덕트(30, 40, )의 둘레 면과 돌출된 중앙 확관부(110) 사이에 PVC 용접이 실시되어 2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확관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13)의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113)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측면돌기(111)를 더 구비한다.
복수의 덕트(30, 40)가 삽입홈(113)에 1차적으로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측면돌기(111)는 복수의 덕트(30, 40)의 외장 면, 즉 둘레 면을 일부 감싸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측면돌기(111)와 복수의 덕트(30, 40)의 둘레 면 사이로 PVC 용접을 실시하여 한 번 더 2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1 관형 삽입부(120)는 중앙 확관부(110)로부터 일측 방향(예: 도 2의 우측 방향 등)으로 돌출된다.
제1 관형 삽입부(120)는 복수의 덕트 중 하나(즉, 도면부호 20의 덕트, 도 4 참조)의 중공을 통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1 관형 삽입부(120)는 덕트(20)의 중공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관형 삽입부(130)는 중앙 확관부(110)로부터 타측 방향(예: 도 2의 좌측 방향 등)으로 돌출된다.
제2 관형 삽입부(130)는 복수의 덕트 중 다른 하나(즉, 도면부호 30의 덕트, 도 4 참조)의 중공을 통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1 관형 삽입부(120)는 덕트(20)의 중공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링(150)은 제1, 2 관형 삽입부(120, 130) 각각의 둘레 면을 감아 결합된다.
탄성 링(15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덕트(20, 30, 도 4 참조) 각각의 중공을 통해 제1, 2 관형 삽입부(120, 130)가 삽입되면, 탄성 링(150)은 이들 사이의 밀착되어 산, 알카리 액의 외부 누출을 차단한다.
탄성 링(150)은 제1, 2 관형 삽입부(120, 130) 각각의 둘레 면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각각의 위치에 따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탄성 링(150)은 삽입홈(113, 도 6 참조)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위치 고정링(151, 151')과, 삽입홈(113, 도 6 참조)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위치 고정링(153, 15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1 위치 고정링(151, 151')은 중앙 확관부(110)에 가까운 위치에 한 쌍이 좌우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링(151, 151') 각각과 중앙 확관부(110)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덕트 진동에 의한 산, 알카리액의 누출로 인한 위험성을 줄이고, 구조적으로 어느 한 쪽에만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위치 고정링(153, 153')은 제1 위치 고정링(151, 151')보다 더 먼 위치에 한 쌍이 좌우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위치 고정링(153, 153') 각각과 중앙 확관부(110)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위치 고정링(151, 151')이 중앙 확관부(110)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
제1, 2 위치 고정링(151, 151', 153, 153')은 제1, 2 관형 삽입부(120, 130) 각각의 둘레 면에 감겨 고정되는데,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링(151, 151')은 제1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소재에는 불소 고무 및 불소 실리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 고정링(153, 153')은 제2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소재에는 EPD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2중 구조의 제1, 2 위치 고정링(151, 151', 153, 153')이 사용됨으로써,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카리액의 누출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덕트 진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2 위치 고정링(151, 151', 153, 153')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덕트와 제1,2 관형 삽입부(120, 130) 사이의 물리적인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가짐에 따라, 진동에 따른 피로 파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2 위치 고정링(151, 151', 153, 153') 각각은 덕트 내부 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가요성의 요철돌기를 구비한다.
제1, 2 위치 고정링(151, 151', 153, 153')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제1 위치 고정링(151)을 통해 요철돌기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위치 고정링(151)은 사각 띠 형상을 가진다. 이는 덕트(20, 30, 도 4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덕트 형상이 변경되면 제1 위치 고정링(151)의 형상 및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링(151)의 테두리에는 가요성의 요철돌기(152)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요철돌기(152)는 제1 돌출부(1521), 제2 돌출부(1523), 갭 공간부(152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1521)는 덕트 연결 방향(예: 좌우 방향 등)에 교차하는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돌출부(1523)는 제1 돌출부(1521)와 이격하여 제1 돌출부(1521)와 나란한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
갭 공간부(1522)는 제1, 2 돌출부(1521, 152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말하는데, 덕트의 연결 시 제1 돌출부(1521)가 탄성 변형되어 휘어질 수 있어 덕트 연결이 원활해 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갭 공간부(1522)는 제1 돌출부(1521)의 돌출 길이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덕트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덕트(20, 30)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위치 고정링(151)의 테두리에는 가요성의 요철돌기(152)가 구비된다.
요철돌기(152)는 제1 돌출부(1521), 제2 돌출부(1523), 갭 공간부(152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1521)는 덕트 연결 방향(W) 에 교차하는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돌출부(1523)는 제1 돌출부(1521)와 이격하여 제1 돌출부(1521)와 나란하게 돌출된다.
여기서, 제1, 2 돌출부(1521, 1523) 각각에는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1525)이 구비된다.
경사면(1525)은 덕트 연결 방향(W)에 마주하여 형성된다. 경사면(1525)은 덕트의 연결 시 덕트의 내부 면과 제1, 2 돌출부 각각의 접촉 면 사이의 접촉 마찰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덕트 연결 작업이 원활해 질 수 있다.
한편, 제1, 2 돌출부(1521, 1523) 각각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접촉면(1527)이 구비된다.
수평접촉면(1527)은 경사면(1525)의 후방에 배치되는데, 덕트 연결 후에 덕트의 내부 면과 면 접촉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덕트 연결 작업은 원활한 반면, 이미 연결된 덕트가 임의로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접촉면(1527)과 덕트 내부 면이 면 접촉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산, 알카리액의 외부 누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위치 고정링(153) 역시 전술한 제1 위치 고정링(151)과 마찬가지로 가요성의 요철돌기(154)가 구비되며, 요철돌기(154)는 제1 돌출부(1541), 제2 돌출부(1543), 갭 공간부(15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별도로 확대하여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2 돌출부(1541, 1543) 각각에는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1525)과 수평접촉면(1527)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덕트를 결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의 양측 삽입홈(113)을 통해 복수의 덕트(20, 30)가 서로 길이 방향으로 연결 고정된다. 이때,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제1, 2 위치 고정링(151, 153)을 포함하는 탄성 링(150)은 덕트(20, 30)의 내부 면과 밀착되어, 산, 알카리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 링(150)은 덕트(20, 30)의 진동을 흡수하여 구조적인 손상 또는 피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및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덕트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200)는 복수의 원형 덕트(40, 50)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각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와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중앙 확관부(210)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2 관형 삽입부(220, 230)도 복수의 원형 덕트(40, 5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관 형상을 가진다.
또한, 삽입홈(213)은 복수의 원형 덕트(40, 5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링(250)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1, 2 위치 고정링(251, 253)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형상은 원형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밖에 각각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각 덕트용 소켓링(100, 도 2 참조)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덕트를 삽입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고,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는 복수의 덕트(20, 30)를 삽입홈(113, 도 11 참조)에 적어도 일부 삽입시켜 1차적으로 결합을 고정시킨다.
이때, 측면돌기(111)는 복수의 덕트(20, 30)의 둘레 면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돌출되는데, 측면돌기(111)의 돌출 선단 부위와 덕트(20, 30) 각각의 둘레 면 사이로 PVC 용접을 실시한다.
이로써, 삽입홈(113, 도 11 참조)을 통해 1차 고정된 덕트(20, 30)와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100)는 한 번 더 견고하게 2차 고정되어 종래에 비해 파손 위험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덕트를 삽입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고, 도 13은 도 12의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200)는 복수의 덕트(40, 50)를 삽입홈(213, 도 13 참조)에 적어도 일부 삽입시켜 1차적으로 결합을 고정시킨다.
이때, 측면돌기(211)는 복수의 덕트(40, 50)의 둘레 면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돌출되는데, 측면돌기(211)의 돌출 선단 부위와 덕트(40, 50) 각각의 둘레 면 사이로 PVC 용접을 실시한다.
이로써, 삽입홈(213, 도 13 참조)을 통해 1차 고정된 덕트(40, 50)와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200)는 한 번 더 견고하게 2차 고정되어 종래에 비해 파손 위험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덕트 내부의 와류로 인한 진동 및 파손을 방지하여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카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다수의 소켓링을 이용하여 산, 알카리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소켓링은 위치에 따라 적합한 다른 소재로 제공될 수 있는데, 불소 실리콘, 바이톤, EDPM 고무 등 탄성 재질을 선택하여 덕트의 결합 시 상호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덕트를 소켓에 밀어 넣어 조립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덕트의 삽입 후 덕트가 임의로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덕트의 부분 삽입 구조와 함께 덕트와 소켓 간의 이음 부위에 PVC 용접을 실시하여 덕트 결합 구조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20, 30: 사각 덕트
40, 50: 제1 원형 덕트
100: 제1 실시예에 따른 댐퍼용 소켓링 조립체
110: 중앙 확관부
111: 측면돌기
113: 삽입홈
120: 제1 관형 삽입부
130: 제2 관형 삽입부
150, 150': 탄성 링
151, 151': 제1 위치 고정링
152, 154: 요철돌기
1521, 1541: 제1 돌출부
1522, 1542: 갭 공간부
1523, 1543: 제2 돌출부
1525: 경사면
1527: 수평접촉면
200: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퍼용 소켓링 조립체
210: 중앙 외경 확장부
211: 측면돌기
213: 삽입홈
220: 제1 삽입관부
230: 제2 삽입관부
250, 250': 탄성 링
251, 251': 제1 위치 고정링
253, 253': 제2 위치 고정링

Claims (8)

  1. 복수의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로서,
    상기 덕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 면을 통해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설정 깊이의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덕트의 둘레 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중앙 확관부;
    상기 중앙 확관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덕트 중 하나의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제1 관형 삽입부;
    상기 중앙 확관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덕트 중 다른 하나의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제2 관형 삽입부; 및
    상기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을 감아 결합되며, 상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산, 알칼리 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탄성 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링은, 상기 삽입홈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에 감겨 고정되며 제1 소재로 이루어진 제1 위치 고정링; 및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상기 제1 위치 고정링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2 관형 삽입부 각각의 둘레 면에 감겨 고정되며 제2 소재로 이루어진 제2 위치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위치 고정링 각각은, 상기 덕트의 내부 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가요성의 요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요철돌기는, 상기 덕트의 연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나란하게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큰 간격을 형성하는 갭 공간부;를 포함하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삽입홈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중앙 확관부에 1차 고정되며,
    상기 1차 고정된 덕트와 상기 중앙 확관부는,
    PVC 용접 되어 2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확관부는,
    상기 삽입홈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삽입홈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측면돌기를 더 구비하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돌출부 각각에는,
    상기 덕트의 연결 방향에 마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연결 시 상기 덕트의 내부 면과 상기 제1, 2 돌출부 각각의 접촉 면 사이의 접촉 마찰을 억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불소 고무, 불소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소재는 EPDM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덕트는 사각형 관 또는 원형 관 형상을 갖는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KR1020190022411A 2019-02-26 2019-02-26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KR10221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11A KR102211620B1 (ko) 2019-02-26 2019-02-26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11A KR102211620B1 (ko) 2019-02-26 2019-02-26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39A KR20200104039A (ko) 2020-09-03
KR102211620B1 true KR102211620B1 (ko) 2021-02-02

Family

ID=7245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411A KR102211620B1 (ko) 2019-02-26 2019-02-26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6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243A (ja) * 1998-09-04 2000-03-21 Sakamura Seisakusho:Kk 角ダクトの接続装置
JP2001201127A (ja) * 2000-01-19 2001-07-27 Ichimon Kiko Kk 二重管ダクト用ベントキャップ
JP2012247151A (ja) * 2011-05-30 2012-12-13 Zenjiro Honda 高剛性管とフレキシブルダクトとの接合部構造及び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47B1 (ko) * 2009-04-28 2011-12-02 강남필터 주식회사 환기덕트의 덕트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243A (ja) * 1998-09-04 2000-03-21 Sakamura Seisakusho:Kk 角ダクトの接続装置
JP2001201127A (ja) * 2000-01-19 2001-07-27 Ichimon Kiko Kk 二重管ダクト用ベントキャップ
JP2012247151A (ja) * 2011-05-30 2012-12-13 Zenjiro Honda 高剛性管とフレキシブルダクトとの接合部構造及び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39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91532A1 (en) Plug-In Piece
US20190086006A1 (en) Seismic grooveless coupling
KR101005763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CN102207017A (zh) 用于机动车的排气管道和排气系统
US20150021863A1 (en) Mutiple-Leak Proof Sealiing System
KR102211620B1 (ko)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KR20160001026U (ko) 이중 파이프
JP6722607B2 (ja) 配管継手
JP2012087931A (ja) 伸縮及び耐震用管継手
JP5468746B2 (ja) 抜け止めリング、管継手の接合構造および抜け止めリングの装着方法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15227701A (ja) 配管接続構造及び接続部材
KR101842398B1 (ko) 패킹을 포함하는 덕트 커넥터
KR100984839B1 (ko) 파이프용 연결물
JP2010535315A (ja) 回転成形のビード
JP5818855B2 (ja) 管継手
US10151410B2 (en) Extending/contracting flexible pipe and method for assembling extending/contracting flexible pipe
JP7205887B2 (ja) 二重管継手構造
KR20120040460A (ko) 상하좌우 및 신축방향 움직임 가능한 신축이음관
KR101410783B1 (ko) 배관피팅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680275B1 (ko) 배관 연결용 완충유닛
KR102319272B1 (ko) 신축 이음관
ES2813628T3 (es) Un acoplamiento de manguera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20180124406A (ko) 면진 및 내진용 신축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