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828B1 -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 Google Patents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828B1
KR102210828B1 KR1020200009204A KR20200009204A KR102210828B1 KR 102210828 B1 KR102210828 B1 KR 102210828B1 KR 1020200009204 A KR1020200009204 A KR 1020200009204A KR 20200009204 A KR20200009204 A KR 20200009204A KR 102210828 B1 KR102210828 B1 KR 10221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ard
elevator
identification
elevator c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수
Original Assignee
김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수 filed Critical 김옥수
Priority to KR102020000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2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6K2209/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지하철과 같은 공공시설 등에 설치하여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층 운행하는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는 베이스(110) 상에 승강로(120)가 형성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00); 상기 승강로(1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출입구를 갖는 원형 구조의 승강기 카(200); 상기 승강기 카(200)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승강기 도어(3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형성된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며, 체인(600)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410)를 갖는 복수의 유압실린더(4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기어박스(140)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축(141)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기 카(2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체인(600)이 치합되는 복수의 체인기어(500); 상기 체인기어(500)와 치합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기 카(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400)에 고정되는 체인(600); 및 상기 승강로(1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카(2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Small elevator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본 발명은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지하철과 같은 공공시설 등에 설치하여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층 운행하는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의 보도육교를 이용하거나 대중교통 중의 하나인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된 보도육교나 지하철 승강장 등의 계단을 이용하여 오르거나 내려가게 된다.
하지만, 신체 건강한 이용자의 경우에는 부담없이 계단을 이용하여 보도육교나 지하철 승강장으로 내려갈 수 있으나, 몸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 등은 보도육교나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리프트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보도육교의 측면프레임이나 지하철 계단의 일측벽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후, 그 가이드레일 상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되도록 절첩되는 이송판을 설치하여 휠체어 등을 탑재시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리프트의 경우, 장애인이 혼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보조 요원이 있어야 사용 가능한 번거러움은 물론 휠체어가 탑재되는 이송판이 협소하여 탑재된 상태가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이송 중에 작은 충격이나 사소한 부주위에 의하여 휠체어가 이송판으로부터 이탈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 뿐만 아니라 노약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각종 건축물에 소형 승강기가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지상으로부터 도로상의 보도육교 또는 지하철 승강장으로 설치되는 저층용 승강기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중앙측으로 승하강로가 형성되게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동식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제1 커플링에 의해 감속기와 연결되고 그 감속기와 제2 커플링에 의해 상기 승하강로 내의 양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크류와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스크류 상에 상하단의 양측으로 너트하우징이 장착된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으로 전면에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장착되는 승강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용 승강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승강기 카에 설치된 도어의 좌우 개폐로 인하여 승강로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형 승강기는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의 이동 편리를 위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이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다보니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정작 노약자나 장애인들은 제대로 승강기를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통약자의 배려나 이용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소형 승강기가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1274호(2004.07.12.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실이 없고, 원형 구조를 갖는 승강기 카에 의하여 승강로 면적이 협소한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노약자나 장애인만이 소형 승강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는 베이스(110) 상에 승강로(120)가 형성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00); 상기 승강로(1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출입구를 갖는 원형 구조의 승강기 카(200); 상기 승강기 카(200)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승강기 도어(3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형성된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며, 체인(600)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410)를 갖는 복수의 유압실린더(4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기어박스(140)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축(141)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기 카(2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체인(600)이 치합되는 복수의 체인기어(500); 상기 체인기어(500)와 치합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기 카(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400)에 고정되는 체인(600); 및 상기 승강로(1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카(2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는 상기 유압실린더(40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수단(8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기 카(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노약자 및 장애인의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신분증 이미지에 대하여 문자 인식 기술에 의해 신분증 종류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스캐닝 처리된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910); 상기 데이터 수신부(910)에 의해 수신된 신분증 이미지를 OCR 처리하여 신분증에 기록된 문자 정보를 획득하는 OCR 처리부(920); 상기 OCR 처리부(920)에서 획득한 신분증의 문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문자 정보와 비교하여 신분증의 종류를 식별하는 신분증 식별부(930); 상기 신분증 식별부(930)에 의해 식별된 신분증에 기록된 특정 정보 영역을 판독하여 신분증을 인증하는 신분증 인증부(940); 및 상기 신분증 인증부(940)에 의해 신분증 인증이 완료된 경우, 승강기 도어(300)를 개폐하는 도어구동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9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증에 기록된 특정 정보 영역은 노약자가 소지하고 있는 주민등록증에 기록된 주민등록번호와, 장애인이 소지하고 있는 복지카드에 기록된 장애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신분증 인증부(940)의 특정 정보 영역에 해당하는 주민등록번호의 기준 연령을 연도별로 업데이트하는 연령 카운팅부(9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는 승강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이로 인해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약자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인의 소형 승강기 이용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교통약자의 이용 편의를 도모하고, 높은 이용빈도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신분증 인식단말기를 이용하여 신분증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는 프레임(100), 승강기 카(200), 승강기 도어(300), 유압실린더(400), 체인기어(500), 체인(600) 및 가이드 레일(7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베이스(110) 상에 승강로(120)가 형성되게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승강기 카(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지주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기 카(200)는 상기 승강로(1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출입구를 갖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기 카(200)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승강로(120)의 면적이 협소한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없고, 원형 구조를 갖는 승강기 카(200)에 의해 승강로(120)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이로 인해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도어(300)는 도어구동부(3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기 카(200)의 출입구를 개폐시킨다.
상기 승강기 도어(300)는 승강기 카(2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승강기 카(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분리되어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구동부(310)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도어구동부(310)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형성된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며, 체인(600)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410)를 갖는다. 즉, 상기 승강기 카(200)는 동기화되어 작동하는 2개의 유압실린더(400)에 의해 기울어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체인기어(500)는 복수로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기어박스(140)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축(141)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기 카(2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체인(600)이 치합된다.
상기 체인(600)은 상기 체인기어(500)와 치합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기 카(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40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120)의 양쪽에는 상기 승강기 카(2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700)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는 상기 유압실린더(40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수단(800)이 설치된다.
상기 유압공급수단(800)은 오일펌프(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탱크에 저장된 오일이 유압실린더(400)로 공급되거나 또는 유압실린더(400)에서 탱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유압공급수단(800)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는 이용자가 승강기 카(200)에 탑승한 후 승강기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동작시키면, 유압실린더(400)로 유압이 인가됨에 따라 유압실린더(400)의 피스톤로드(410)가 작동되면서 이와 연결된 체인(600)을 잡아당김에 따라 승강기 카(2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유압 구동방식으로서, 주택이나 지하철과 같은 공공시설 등에 설치하여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층 운행되며,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소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 카(200)의 일측에는 노약자 및 장애인의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신분증 이미지에 대하여 문자 인식 기술에 의해 신분증 종류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신분증 인식단말기(9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노약자나 장애인 등과 같은 교통약자들만 승강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기 도어(300)를 개폐하는 도어구동부(31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하여 승강기 이용자의 신분증에 기록된 특정 문자를 인식하여, 특정 기준 연령 이상의 노약자 또는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승강기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노약자 연령 정보, 장애인 정보)들을 인식하여 수집한 후 승강기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의 설치로 인하여 특정 기준 연령 이상의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만이 승강기 출입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약자들의 이동 편리를 제공함은 물론 일반인들의 출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승강기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데이터 수신부(910), OCR 처리부(920), 신분증 식별부(930), 신분증 인증부(940) 및 제어부(95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910)는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를 통해 스캐닝 처리된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상기 데이터 수신부(910)는 신분증 인식단말기(900)에 내장된 스캐너에 의해 신분증을 광학적으로 스캐닝하여 생성된 신분증 이미지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OCR 처리부(920)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910)에 의해 수신된 신분증 이미지를 OCR 처리하여 신분증에 기록된 문자 정보를 획득한다.
즉, 상기 OCR 처리부(920)는 노약자가 소지하고 있는 주민등록증의 경우 "주민등록증" , "주민등록번호" 라는 문자를 추출하고, 장애인이 소지하고 있는 복지카드의 경우 "복지카드" , "장애" 라는 문자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신분증 식별부(930)는 상기 OCR 처리부(920)에서 획득한 신분증의 문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문자 정보와 비교하여 신분증의 종류를 식별한다.
즉, 상기 신분증 식별부(930)는 상기 OCR 처리부(920)에서 획득한 주민등록증에 기록된 "주민등록증" , "123456-7891012(주민등록번호)" 문자 또는 장애인 복지카드에 기록된 "복지카드" , "장애" 문자를 미리 저장된 문자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한 후, 주민등록증인지 장애인 복지카드인지를 식별한다.
상기 신분증 인증부(940)는 상기 신분증 식별부(930)에 의해 식별된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복지카드)에 기록된 특정 정보 영역을 판독하여 기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정보가 일치한 경우 신분증을 인증한다.
상기 신분증 인증부(940)는 신분증의 종류에 따른 특정 정보 영역을 판독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신분증에 기록된 특정 정보 영역은 노약자가 소지하고 있는 주민등록증에 기록된"123456-7891012(주민등록번호)"와, 장애인이 소지하고 있는 복지카드에 기록된"장애"라는 문자이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주민등록증의 경우에는 소형 승강기 이용이 가능한 노약자의 연령이 60세 이상인 자로 가정한다면, 2019년 기준으로 1959년생 이하인 자는 소형 승강기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1959년생 이상인 자는 소형 승강기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소형 승강기 이용자에 해당되려면 주민등록번호의 맨앞자리 숫자가 "59" 이하로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장애인 복지카드의 경우에는, 복지카드 중간부에 기록된 "장애"라는 문자가 인식되면 소형 승강기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신분증 인증부(940)의 특정 정보 영역에 해당하는 주민등록번호의 기준 연령을 연도별로 업데이트하는 연령 업데이트부(9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령 업데이트부(96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준 연령 정보를 연도별로 업데이트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령 업데이트부(960)는 외부 디바이스(스마트폰, PDA 등)를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와 연결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연도별 정보를 공유하여 동기화시킴으로써 연도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950)는 상기 신분증 인증부(940)에 의해 신분증 인증이 완료된 경우, 승강기 도어(300)를 개폐하는 도어구동부(31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950)는 상기 신분증 인증부(940)에 의해 소형 승강기 이용이 가능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으로 인증되면, 도어구동부(310)를 작동시켜 승강기 도어(30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본 발명은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를 통해 교통약자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인의 소형 승강기 이용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교통약자의 이용 편의를 도모하고, 높은 이용빈도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베이스
120 : 승강로 130 : 플레이트
140 : 기어박스 141 : 축
200 : 승강기 카 300 : 승강기 도어
310 : 도어구동부 400 : 유압실린더
410 : 피스톤로드 500 : 체인기어
600 : 체인 700 : 가이드 레일
800 : 유압공급수단 900 : 신분증 인식단말기
910 : 데이터 수신부 920 : OCR 처리부
930 : 신분증 식별부 940 : 신분증 인증부
950 : 제어부 960 : 연령 업데이트부

Claims (6)

  1. 베이스(110) 상에 승강로(120)가 형성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00);
    상기 승강로(1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출입구를 갖는 원형 구조의 승강기 카(200);
    상기 승강기 카(200)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승강기 도어(3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형성된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며, 체인(600)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410)를 갖는 복수의 유압실린더(4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기어박스(140)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축(141)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기 카(2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체인(600)이 치합되는 복수의 체인기어(500);
    상기 체인기어(500)와 치합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기 카(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400)에 고정되는 체인(600); 및
    상기 승강로(1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카(2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70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0)은 승강기 카(2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는 상기 유압실린더(40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수단(800)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 카(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노약자 및 장애인의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신분증 이미지에 대하여 문자 인식 기술에 의해 신분증 종류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스캐닝 처리된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910);
    상기 데이터 수신부(910)에 의해 수신된 신분증 이미지를 OCR 처리하여 신분증에 기록된 문자 정보를 획득하는 OCR 처리부(920);
    상기 OCR 처리부(920)에서 획득한 신분증의 문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문자 정보와 비교하여 신분증의 종류를 식별하는 신분증 식별부(930);
    상기 신분증 식별부(930)에 의해 식별된 신분증에 기록된 특정 정보 영역을 판독하여 신분증을 인증하는 신분증 인증부(940); 및
    상기 신분증 인증부(940)에 의해 신분증 인증이 완료된 경우, 승강기 도어(300)를 개폐하는 도어구동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9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에 기록된 특정 정보 영역은 노약자가 소지하고 있는 주민등록증에 기록된 주민등록번호와, 장애인이 소지하고 있는 복지카드에 기록된 장애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인식단말기(900)는 신분증 인증부(940)의 특정 정보 영역에 해당하는 주민등록번호의 기준 연령을 연도별로 업데이트하는 연령 업데이트부(9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KR1020200009204A 2020-01-23 2020-01-23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KR10221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04A KR102210828B1 (ko) 2020-01-23 2020-01-23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04A KR102210828B1 (ko) 2020-01-23 2020-01-23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828B1 true KR102210828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04A KR102210828B1 (ko) 2020-01-23 2020-01-23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8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114B2 (ja) * 1989-12-22 1997-02-26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ホームエレベータ
KR100441274B1 (ko) 2002-11-25 2004-07-21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저층용 승강기
KR20090005439U (ko) * 2007-11-30 2009-06-03 강부자 신분증 사용이 가능한 무료승객용 개찰장치
JP6227271B2 (ja) * 2013-04-10 2017-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114B2 (ja) * 1989-12-22 1997-02-26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ホームエレベータ
KR100441274B1 (ko) 2002-11-25 2004-07-21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저층용 승강기
KR20090005439U (ko) * 2007-11-30 2009-06-03 강부자 신분증 사용이 가능한 무료승객용 개찰장치
JP6227271B2 (ja) * 2013-04-10 2017-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971A (en) Convertible lift mechanism
RU2532008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лицами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места их нахождения в здании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JP2004352502A (ja) セキュリティを照合しまたはリフト設備によって人物を輸送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の動作方法
CA2412196A1 (en) System for security control and/or transportation of persons with a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of operating this system, and method of retrofitting an elevator installation with this system
KR102416326B1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KR102210828B1 (ko) 교통약자용 소형 승강기
CN106185547A (zh) 电梯
JPWO2012032649A1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009024337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US20070205058A1 (en) Elevator inspection system
CN108316668A (zh) 旧楼装电梯创新方案
KR101947570B1 (ko)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JPH11349238A (ja) 共同住宅用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2003308303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通行制御装置
CN111186752A (zh) 一种平层与错层入户相结合的加装电梯结构及其工作方法
US20230242376A1 (en) Method for raising an alert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a platform lift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CN114104888A (zh) 一种带有人脸识别的自动电梯及操作方法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CN108910633B (zh) 基于身份识别的电梯系统
KR102364499B1 (ko) 휠체어 리프트
JP5407820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2668556B1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CN212198039U (zh) 一种提升与平滑的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