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582B1 -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582B1
KR102209582B1 KR1020190168101A KR20190168101A KR102209582B1 KR 102209582 B1 KR102209582 B1 KR 102209582B1 KR 1020190168101 A KR1020190168101 A KR 1020190168101A KR 20190168101 A KR20190168101 A KR 20190168101A KR 102209582 B1 KR102209582 B1 KR 10220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ember
transfer
steel plate
bonding unit
receiv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강
봉원석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6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05B6/103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multiple metal pieces successively being moved close to the inductor
    • H05B6/104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multiple metal pieces successively being moved close to the inductor metal pieces being elongated like wire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은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도넛 형태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면에 열에 의해 융해되는 본딩제가 코팅된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안착되는 수용코일부 및 상기 강판에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이동되는 상기 수용코일부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통전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Moving and bonding unit an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 모터 등과 같은 전기기기의 전력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손이 낮고 자속밀도가 높은 자기적 특성을 지닌 방향성 또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이 적층되어 접착된 코어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접착시켜 코어로 형성하기 위해서, 셀프본딩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즉, 각각의 전기강판 등의 강판에 본딩제가 코팅되어 제공되고, 이를 적층 후에 가열하여 본딩제가 융해되어 적층된 전기강판 등의 강판을 결합하여 코어로 제작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셀프본딩을 융착하기 위한 방식이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셀프본딩을 위해서 본딩제가 코팅된 강판이 적층된 후에 열풍을 이용하거나 열처리로에 넣어 200도 정도로 가열하여 본딩제가 녹아 서로 융착할 수 있도록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강판의 외면부터 가열이 가열이 되기 때문에, 본딩제의 균일 융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생산되는 코어를 복수 개 제작하기 위해서, 이송되며 적층된 강판을 가열하여 결합하는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JP 2008-285741
본 발명은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생산되는 코어의 제조시에 본딩제의 융착을 위한 가열이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코어가 이송되면서 복수 개를 자동화하여 제작할 수 있는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은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도넛 형태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면에 열에 의해 융해되는 본딩제가 코팅된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안착되는 수용코일부 및 상기 강판에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이동되는 상기 수용코일부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통전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통전레일부는, 상기 수용코일부에 교류인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통전레일부는, 복수의 상기 수용코일부와 접촉되어 각각의 상기 수용코일부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수용코일부는, 적층된 상기 강판의 내부홀에 배치되는 내부코일부재, 적층된 상기 강판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외부코일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코일부재와 상기 외부코일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코일부재와 상기 외부코일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내부코일부재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는, 스프링 형태 또는 복수의 링이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코일부재와 상기 외부코일부재에 결합되되, 전도체로 형성된 연결판부재 및 상기 연결판부재 상에 결합되며, 절연체로 형성되되, 상기 강판이 안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내부코일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통전레일부와 접촉되는 상단부는 상기 외부코일부재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수용코일부는, 상기 브릿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강판과 상기 내부코일부재 사이 및 상기 강판과 상기 외부코일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되, 절연체로 형성되는 절연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의 상기 통전레일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내부코일부재에 접촉되되, 전원과 연결되는 제1통전바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외부코일부재에 접촉되되, 상기 전원과 연결되는 제2통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제조장치는 상기 이송접합유닛 및 상기 이송접합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면에 열에 의해 융해되는 본딩제가 코팅된 강판을 도넛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수용코일부로 낙하시키는 성형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제조장치는 상기 이송접합유닛을 감싸고, 상기 성형금형에서 낙하하는 상기 강판이 통과되는 입구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보온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제조장치의 상기 보온로는, 상기 이송접합유닛에 의해서 상기 본딩제가 융해된 복수의 상기 강판을 최상면에서 가압하는 가압지그가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는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생산되는 코어의 제조시에 본딩제의 융착을 위한 가열이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코어가 이송되면서 복수 개를 자동화하여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코어 제작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균일한 가열에 의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에서 수용코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에서 수용코일부의 외부코일부재가 복수의 링이 연결된 형태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접합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되어 생산되는 코어의 제조시에 본딩제의 융착을 위한 가열이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코어가 이송되면서 복수 개를 자동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제작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균일한 가열에 의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1)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1)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은 컨베이어벨트(11)가 구비된 이송부(10),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상면에 결합되며, 도넛 형태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면에 열에 의해 융해되는 본딩제가 코팅된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되어 안착되는 수용코일부(20) 및 상기 강판(C)에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이동되는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통전레일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1)은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안착된 복수의 적층된 강판(C)에 유도 전류를 형성하여 상기 강판(C)에 균일하게 가열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1)은 상기 통전레일부(30)에 의해서, 복수의 적층된 강판(C)이 안착되되 상기 이송부(10)에 의해서 이동되고 있는 수용코일부(20)에 전류를 인가하기 때문에,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되어 상기 본딩제가 융해되어 제조되는 코어를 복수 개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강판(C)은 변압기와 같은 전기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강판(C)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강판(C)이 복수 개 적층되어 융착됨에 의해서 코어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이송부(10)는 컨베이어벨트(11)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코일부(20) 등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는 복수의 회전롤(12)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코일부(20)는 복수의 적층된 상기 강판(C)이 안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통전레일부(30)에서 전류를 인가받아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의해서 적층된 상기 강판(C)를 관통하는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강판(C) 상에는 유도전류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유도전류는 상기 강판(C)의 저항에 의해서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강판(C) 상에 발생하는 열은 상기 강판(C) 상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상기 강판(C)은 전 영역에서 균일하게 발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판(C) 상에 코팅된 상기 본딩제를 균일하게 융해시키게 되며, 이웃하는 다른 강판(C)과 균일하게 접합되어 품질 높은 코어로 제작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코일부(20)는 상기 강판(C)이 수용되면서 상기 강판(C)에 균일한 유도전류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코일부재(21), 외부코일부재(22), 브릿지부재(23)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통전레일부(30)는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강판(C)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통전레일부(30)가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전류를 인가함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강판(C)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강판(C)에 계속적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통전레일부(30)는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인가하는 전류를 교류로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통전레일부(30)는, 상기 수용코일부(20)에 교류인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인가된 교류 전류에 의해서 상기 강판(C)에는 자기장이 형성되되, 교류 전류의 인가 방향에 따라서 자속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판(C)에도 유도전류가 형성되게 된다. 즉,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라 상기 강판(C)에는 상기 교류 전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류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상기 강판(C)은 유도전류의 발생시에 저항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른 발열로 상기 본딩제를 융해시키고 적층된 이웃하는 다른 강판(C)과 균일하게 접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레일부(30)는 이동되는 상기 수용레일부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상기 수용레일부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통전레일부(30)는, 복수의 상기 수용코일부(20)와 접촉되어 각각의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되어 생산되는 코어의 제조시에 본딩제의 융착을 위한 가열이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코어가 이송되면서 복수 개를 자동화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통전레일부(30)는 이동되는 복수의 수용코일부(20)와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기 때문에,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되어 안착된 복수의 상기 수용코일부(20)는 상기 강판(C)의 본딩제를 균일하게 융해시켜 코어를 복수 개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통전레일부(30)는 제1통전바(31), 제2통전바(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통전레일부(3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에 접촉되되, 전원(P)과 연결되는 제1통전바(31)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접촉되되, 상기 전원(P)과 연결되는 제2통전바(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통전바(31)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접촉되고, 상기 제2통전바(32)는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접촉되며,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외부코일부재(22)는 후술할 브릿지부재(23)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여 전류의 인가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통전바(31), 제2통전바(32)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또는 상기 외부코일부재(22)와 결합된 것이 아니라,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접촉만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전류를 인가하면서도 상기 컨베이어벨트(11) 상에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전바(31), 제2통전바(32)는 외부의 전원(P)과 연결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제1통전바(31) 및 상기 제2통전바(32)는 서로 접촉되어 합선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위해서, 서로 위치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통전바(31)가 접촉되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가 상기 제2통전바(32)가 접촉되는 상기 외부코일부재(22)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수용코일부(20)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통전바(31)와 제2통전바(32)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합선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제1통전바(31)와 상기 제2통전바(32)는 상기 수용코일부(2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서로 합선되지 않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도 2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1)에서 수용코일부(20)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1)에서 수용코일부(20)의 외부코일부재(22)가 복수의 링이 연결된 형태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수용코일부(20)는, 적층된 상기 강판(C)의 내부홀(H)에 배치되는 내부코일부재(21), 적층된 상기 강판(C)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외부코일부재(22)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외부코일부재(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코일부(20)는 상기 강판(C)이 수용되면서 상기 강판(C)에 균일한 유도전류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코일부재(21), 외부코일부재(22), 브릿지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코일부재(21)는 도넛 형태로 형성된 강판(C)의 내부홀(H)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외부코일부재(22)는 상기 강판(C)의 외부에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릿지부재(23)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외부코일부재(22)를 연결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서 도넛 형태의 상기 강판(C)은 상기 내부코일부재(21),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의해서 둘러 쌓이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통전레일부(30)와 연결되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는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강판(C)에 유도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는 상기 통전레일부(30)에서 인가하는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 스프링 형태 또는 복수의 링 형태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는, 스프링 형태 또는 복수의 링이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외 같이,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가 스프링 형태인 실시예는 도 3 등을 참조할 수 있고, 복수의 링 형태인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부재(23)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도 상기 강판(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연결판부재(23a), 지지부재(23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브릿지부재(2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결합되되, 전도체로 형성된 연결판부재(23a) 및 상기 연결판부재(23a) 상에 결합되며, 절연체로 형성되되, 상기 강판(C)이 안착되는 지지부재(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강판(C)이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의해서 둘러 쌓이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브릿지부재(23) 상에 안착되기 위해서, 상기 강판(C)이 안착되는 지지부재(23b)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판부재(23a)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배치되고, 그 상면에 절연체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23b)가 구비되어 상기 강판(C)이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로 흐르는 전류에 통전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의해 둘러 쌓이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강판(C)이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의해 둘러 쌓이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접촉되어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흐르는 전류에 통전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위해서, 상기 수용코일부(20)는 절연관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수용코일부(20)는, 상기 브릿지부재(23)에 결합되며, 상기 강판(C)과 상기 내부코일부재(21) 사이 및 상기 강판(C)과 상기 외부코일부재(22)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되, 절연체로 형성되는 절연관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강판(C) 사이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와 상기 강판(C)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절연체로 형성된 상기 절열관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강판(C)을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통전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절연관부재(24)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22)의 개략적 형태가 유사한 관재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코일부재(2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거나, 상기 외부코일부재(2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접합유닛(1)의 상기 내부코일부재(21)는, 하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재(23)와 결합되되, 상기 통전레일부(30)와 접촉되는 상단부는 상기 외부코일부재(22)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외부코일부재(22)의 형태를 한정한 것은, 상기 내부코일부재(21)와 상기 외부코일부재(22)에 접촉되는 상기 통전레일부(30)의 제1통전바(31), 제2통전바(32)의 합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통전바(31)가 접촉되는 상기 내부코일부재(21)가 상기 제2통전바(32)가 접촉되는 상기 외부코일부재(22)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수용코일부(20)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통전바(31)와 제2통전바(32)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합선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접합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제조장치는 상기 이송접합유닛(1) 및 상기 이송접합유닛(1)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면에 열에 의해 융해되는 본딩제가 코팅된 강판(C)을 도넛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수용코일부(20)로 낙하시키는 성형금형(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접합유닛(1)을 포함함에 의해서, 복수의 적층된 강판(C)이 안착되되 상기 이송부(10)에 의해서 이동되고 있는 수용코일부(20)에 상기 통전레일부(30)로 전류를 인가하기 때문에,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되어 상기 본딩제가 융해되어 제조되는 코어를 복수 개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강판(C)은 변압기와 같은 전기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강판(C)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강판(C)이 복수 개 적층되어 융착됨에 의해서 코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금형(2)은 일반 형태의 강판(C)을 도넛 형태의 강판(C)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넛 형태로 형성된 강판(C)은 상기 이송접합유닛(1)으로 낙하하여,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안착된다. 또한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된 후에 상기 이송부(10)가 상기 수용코일부(20)를 이송시키기 때문에, 또 다른 수용코일부(20)에 복수의 강판(C)을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접합유닛(1)의 통전레일부(30)가 상기 수용코일부(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강판(C)에 유도전류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강판(C) 상의 본딩제를 융해시켜 복수의 강판(C)을 접착시키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제조장치는 상기 이송접합유닛(1)을 감싸고, 상기 성형금형(2)에서 낙하하는 상기 강판(C)이 통과되는 입구부(3a)가 일단부에 형성된 보온로(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온로(3)에 의해서, 상기 이송접합유닛(1)이 유도전류에 의해서 상기 강판(C)을 가열한 열을 보온시킬 수 있어, 복수의 강판(C)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코어의 생산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온로(3)에는 상기 성형금형(2)에서 낙하는 강판(C)이 상기 수용코일부(20)에 낙하할 수 있는 입구부(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강판(C)이 서로 접착되어 코어로 제작되면,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부(3c)도 상기 보온로(3)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제조장치의 상기 보온로(3)는, 상기 이송접합유닛(1)에 의해서 상기 본딩제가 융해된 복수의 상기 강판(C)을 최상면에서 가압하는 가압지그(3b)가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지그(3b)에 의해서, 융해된 본딩제가 적층된 강판(C) 사이에서 더욱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적층된 강판(C) 사이의 접착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압지그(3b)는 상기 출구부(3c)에 인접한 상기 보온로(3)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일례로 적층된 상기 강판(C) 방향인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이송접합유닛 2: 성형금형
3: 보온로 10: 이송부
11: 컨베이어벨트 12: 회전롤
20: 수용코일부 21: 내부코일부재
22: 외부코일부재 23: 브릿지부재
24: 절연관부재 30: 통전레일부
31: 제1통전바 32: 제2통전바

Claims (12)

  1.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도넛 형태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면에 열에 의해 융해되는 본딩제가 코팅된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안착되는 수용코일부; 및
    상기 강판에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이동되는 상기 수용코일부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통전레일부;
    를 포함하는 이송접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레일부는, 상기 수용코일부에 교류인 전류를 인가하는 이송접합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레일부는, 복수의 상기 수용코일부와 접촉되어 각각의 상기 수용코일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이송접합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코일부는,
    적층된 상기 강판의 내부홀에 배치되는 내부코일부재;
    적층된 상기 강판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외부코일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결합되되, 상기 내부코일부재와 상기 외부코일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코일부재와 상기 외부코일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재;
    를 포함하는 이송접합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코일부재 및 상기 외부코일부재는, 스프링 형태 또는 복수의 링이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는 이송접합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코일부재와 상기 외부코일부재에 결합되되, 전도체로 형성된 연결판부재; 및
    상기 연결판부재 상에 결합되며, 절연체로 형성되되, 상기 강판이 안착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이송접합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코일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브릿지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통전레일부와 접촉되는 상단부는 상기 외부코일부재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 이송접합유닛.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코일부는,
    상기 브릿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강판과 상기 내부코일부재 사이 및 상기 강판과 상기 외부코일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되, 절연체로 형성되는 절연관부재;
    를 포함하는 이송접합유닛.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레일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내부코일부재에 접촉되되, 전원과 연결되는 제1통전바;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외부코일부재에 접촉되되, 상기 전원과 연결되는 제2통전바;
    를 포함하는 이송접합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송접합유닛; 및
    상기 이송접합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면에 열에 의해 융해되는 본딩제가 코팅된 강판을 도넛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수용코일부로 낙하시키는 성형금형;
    을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접합유닛을 감싸고, 상기 성형금형에서 낙하하는 상기 강판이 통과되는 입구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보온로;
    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로는, 상기 이송접합유닛에 의해서 상기 본딩제가 융해된 복수의 상기 강판을 최상면에서 가압하는 가압지그가 타단부에 구비된 코어제조장치.
KR1020190168101A 2019-12-16 2019-12-16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KR10220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01A KR102209582B1 (ko) 2019-12-16 2019-12-16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01A KR102209582B1 (ko) 2019-12-16 2019-12-16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582B1 true KR102209582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101A KR102209582B1 (ko) 2019-12-16 2019-12-16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5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5741A (ja) 2007-05-21 2008-11-27 Sumitomo Metal Ind Ltd 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32192A (ko) * 2013-05-07 2014-11-17 주식회사 다원시스 유도가열기의 위치제어 시스템
KR101839241B1 (ko) * 2016-12-07 2018-03-15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이송형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5741A (ja) 2007-05-21 2008-11-27 Sumitomo Metal Ind Ltd 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32192A (ko) * 2013-05-07 2014-11-17 주식회사 다원시스 유도가열기의 위치제어 시스템
KR101839241B1 (ko) * 2016-12-07 2018-03-15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이송형 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43635B2 (ja) 連続誘導溶接装置
US4300031A (en) Method for induction butt-welding metal parts, in particular parts of irregular cross-section
AU201537362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ductive heating of packaging casings
US2672544A (en) Apparatus for welding by means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KR102209582B1 (ko) 이송접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제조장치
JP6261728B2 (ja) 導線溶接方法、ステータ、及び高周波誘導加熱装置
WO2009063515A1 (en) Device for the generation of a temperature-controlled thermal barrier to the magnetic induction poles of a welding head
US11191131B2 (en) Double-sided flat inductor assembly
TW201412220A (zh) 製備多層印刷電路板之工具、方法與機器
JP4188521B2 (ja) 誘導加熱式融雪装置
JP2009295443A (ja) 誘導コイル及び電磁誘導加熱装置
US20190289682A1 (en) Inductors and inductor extraction assemblies
US201700791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printed circuits
CN219642881U (zh) 用于极芯的加热组件
KR101194221B1 (ko) 인덕션 히팅코일의 휴징 방법 및 휴징 장치
CN201172670Y (zh) 多工位回火感应加热装置
JPS5855216B2 (ja) ポストアニ−ル装置
JPS6397373A (ja) 高周波電縫管の溶接方法とその装置
TWI606751B (zh) 用於印刷電路感應焊接的微型頭
KR102585293B1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접착식 적층 코어 접착장치
CN219499577U (zh) 电磁感应加热装置
JPH0556948U (ja) 電縫鋼管の熱処理装置
JPH03138887A (ja) 高周波誘導加熱装置
CN106695098A (zh) 一种不同轨种钢轨的焊接方法
KR20100118393A (ko) 열간성형을 이용한 부스바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