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532B1 -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532B1
KR102209532B1 KR1020190114648A KR20190114648A KR102209532B1 KR 102209532 B1 KR102209532 B1 KR 102209532B1 KR 1020190114648 A KR1020190114648 A KR 1020190114648A KR 20190114648 A KR20190114648 A KR 20190114648A KR 102209532 B1 KR102209532 B1 KR 10220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aper
weight
polyurethane
base sheet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오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환 filed Critical 오정환
Priority to KR102019011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non- macromolecular hydrocarbon
    • C10M127/04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non- macromolecular hydrocarbon well-defined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24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16Amides; Imid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얇은 두께의 폴리우레탄수지층을 부직포에 형성함으로써 촉감이 부드럽고 드레이프성이 우수하여 피부밀착력이 우수한 동시에 수분과 유효성분의 증발을 최소화하여 유효성분의 피부흡수율이 향상되고 피부보습효과가 우수한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Process Of Producing Base Sheet For Mask-Pack Containing Herbal Ingredients}
본 발명은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얇은 두께의 폴리우레탄수지층을 부직포에 형성한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마스크팩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얼굴에 바르고 씻어내는 것을 기반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필-오프유형, 워시-오프 유형, 시트 유형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여 사용되고 있다.
필-오프 유형(팩조성물을 얼굴에 도포한 후 건조되면 떼어내는 유형)은 피부의 불순물 및 각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나 떼어내는 과정에서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고, 워시-오프 유형(팩조성물을 얼굴에 도포한 후 씻어내는 유형)은 피지 및 각질 제거에 효과적이고 필-오프 유형에 비해 피부자극은 적으나, 사용후 세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필-오프 유형과 워시-오프 유형의 마스크팩은 소비자의 선호도 및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한편, 시트 유형(화장료가 함침된 시트를 붙였다 떼어내는 유형)은 간편한 사용방법에 비해, 피부보습 및 영양공급의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자극을 최소화한 장점이 있어 마스크팩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 타입의 마스크팩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이 있는데, 이러한 부직포 마스크팩은 부직포에 액상의 화장료를 도포하여 함침한 것으로서 재료확보가 쉽고 제조단가가 저렴해 시중에 낮은 가격대로 유통되고 있으나, 화장료가 흘러내리고 피부밀착력 및 피부보습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화장료가 흘러내리고 피부밀착력 및 피부보습효과가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직포상에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구조의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두꺼워 마스크팩이 부드럽지 못하며 드레이프성이 취약하여 피부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제10-0711182호(2007년04월24일 공고)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얇은 두께의 폴리우레탄수지층을 부직포에 형성함으로써 촉감이 부드럽고 드레이프성이 우수하여 피부밀착력이 우수한 동시에 수분과 유효성분의 증발을 최소화하여 유효성분의 피부흡수율이 향상되고 피부보습효과가 우수한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사용지의 일면에 이형제를 코팅하여 이형제층을 형성시켜 전사용지를 만드는 단계;
상기 전사용지의 이형제층위에 폴리우레탄수지액을 코팅시켜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접착용 수지액이 묻은 로울러에 상기 전사용지를 통과시켜 상기 전사용지의 폴리우레탄층상에 접착용 수지액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밀착시키고 열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여 열전사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45~50℃에서 10~24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분리하는 단계; 및
한방성분을 상기 폴리우레탄층에 함침시킨 후 상기 부직포에 타공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얇은 두께의 폴리우레탄수지층으로도 에센스의 증발이 최소화될 수 있고 촉감이 부드러운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은 크게 전사용지를 만드는 단계; 전사용지의 이형제층위에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접착용 수지액을 코팅하는 단계; 합지·열전사하는 단계; 숙성단계; 분리단계 및 한방성분함침·천공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사용지의 일면에 이형제를 코팅하여 이형제층을 형성시켜 전사용지를 준비한다. 상기 합성수지필름은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사용지에 이형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이형제는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40중량%, 톨루엔 5~10중량%, 메틸에틸케톤 20~30중량%, 잔부로서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부직포와 전사용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사용지의 이형제층위에 폴리우레탄수지액을 코팅시켜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여 수분 및 한방성분등의 유효성분을 함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수지액은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45중량%, 폴리우레탄 30~50%중량%, 메틸에틸케톤 15~20중량% 및 잔부로서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1액형 폴리우레탄수지와 메틸에틸케톤이 중량비로 1:2~1:3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수분 및 한방성분등의 유효성분의 증발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1~3㎛의 얇은 두께로 폴리우레탄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어 최종제품의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피부 보습유지에 바람직하다.
상기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45중량%, 폴리우레탄 30~50중량%, 메틸에틸케톤 15~20중량% 및 잔부로서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1액형 폴리우레탄수지와 메틸에틸케톤이 중량비로 1:2미만인 경우에는 이형력 및 두께 균일성에 문제점이 있고, 1:3을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두꺼워 최종제품이 부드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 상기 전사용지의 폴리우레탄층위에 접착용 수지액을 코팅하게 되는데, 접착용 수지액이 묻은 로울러에 상기 전사용지를 통과시켜 상기 전사용지의 수지액층상에 접착용 수지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행한다.
상기 접착용 수지액은 방향족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70~80중량%, 아세트산 에틸 2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폴리우레탄수지층의 부직포에 대한 접착력이 향상되고, 부직포의 촉감이 뻣뻣해지지 않아 바람직하다.
이후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밀착시키고 80~90℃의 열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여 열전사하는 단계를 행한다. 상기 코팅단계에서 무늬가 없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부직포의 표면을 매끈하게 할 수도 있으며, 엠보무늬를 가진 로울러에 의해 무늬가 부직포의 표면에 형성되게 할 수 도 있다. 이렇게 접착용 수지액층이 형성된 전사용지를 부직포에 열전사한 후, 하기 숙성단계를 거쳐 전사용지를 분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수지층이 부직포에 접착력 강하게 형성된다.
상기 부직포는 마스크팩용으로 사용되는 부직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텐셀, 대나무, 비장탄 중 어느 하나인 천연분해성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 폴리우레탄수지층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45~50℃에서 10~24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행하여 분리작업 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거쳐 전사용지를 분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수지층이 부직포에 형성된다.
이렇게 부직포의 상층에 폴리우레탄수지층을 형성한 후, 상기 부직포에 한방성분을 상기 폴리우레탄층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치고 타공을 하여 본 발명의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한방성분은 홍삼, 어성초, 오배자, 목단피, 감초, 구지뽕나무, 치자, 황기, 오미자, 황금, 계피 및 왕겨초액 및 당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한방재료추출액 상기 폴리우레탄층에 함침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얇은 두께의 폴리우레탄수지층을 부직포에 형성함으로써 촉감이 부드럽고 드레이프성이 우수하여 피부밀착력이 우수한 동시에 수분과 유효성분의 증발을 최소화하여 유효성분의 피부흡수율이 향상되고 피부보습효과가 우수한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물성시험결과이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사용지의 일면에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3중량%, 톨루엔 10중량%, 메틸 에틸 케톤 27중량%, 폴리우레탄 30중량%로 이루어진 이형제를 코팅하여 이형제층을 형성시켜 전사용지를 만든 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3중량%, 톨루엔 10중량%, 메틸에틸케톤 27중량% 및 폴리우레탄 30중량%로 이루어진 1액형 폴리우레탄수지와 메틸에틸케톤이 중량비로 1:2로 혼합된 폴리우레탄수지액을 상기 전사용지의 이형제층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코팅시켜 두께 2㎛의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한 후, 방향족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80중량%, 아세트산 에틸 20중량%로 이루어진 접착용 수지액이 담겨진 접착용 수지액욕조에 로울러를 일부 담그고 로울러 상부로 상기 전사용지를 통과시켜 상기 전사용지의 폴리우레탄수지액층상에 접착용 수지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거치고, 상기 전사용지의 접착용 수지액이 코팅된 면에 부직포를 밀착시키고 80℃의 열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여 열전사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45~50℃에서 24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분리한 후, 상기 부직포에 홍삼추출액 50%를 함유하는 한방추출액을 코팅 방법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층에 함침시켜 타공한후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내지 도 2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마스크팩의 드레이프성이 우수하였으며, 건조속도는 100%의 수분이 건조되는데 62.6분이 소요되어 마스크팩으로 사용시 수분보유능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사용지의 일면에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40중량%, 톨루엔 5~10중량%, 메틸에틸케톤 20~30중량%, 잔부로서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이형제를 코팅하여 이형제층을 형성시켜 전사용지를 만드는 단계;
    상기 전사용지의 이형제층위에 폴리우레탄수지액을 코팅시켜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접착용 수지액이 묻은 로울러에 상기 전사용지를 통과시켜 상기 전사용지의 폴리우레탄층상에 접착용 수지액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밀착시키고 열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여 열전사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45~50℃에서 10~24시간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합지된 전사용지와 부직포를 분리하는 단계; 및
    한방성분을 상기 폴리우레탄층에 함침시킨 후 상기 부직포에 타공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수지액은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45중량%, 폴리우레탄 30~50%중량%, 메틸에틸케톤 15~20중량% 및 잔부로서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1액형 폴리우레탄수지와 메틸에틸케톤이 중량비로 1:2~1:3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 수지액은 방향족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70~80중량%, 아세트산 에틸 2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90114648A 2019-09-18 2019-09-18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KR10220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48A KR102209532B1 (ko) 2019-09-18 2019-09-18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48A KR102209532B1 (ko) 2019-09-18 2019-09-18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532B1 true KR102209532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648A KR102209532B1 (ko) 2019-09-18 2019-09-18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5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82B1 (ko) 2005-12-16 2007-04-24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41589A (ko)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64875A (ko) * 2015-12-02 2017-06-12 (주)엘에스화장품 하이브리드 마스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62635B1 (ko) * 2017-04-12 2018-05-31 이상훈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82B1 (ko) 2005-12-16 2007-04-24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41589A (ko)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64875A (ko) * 2015-12-02 2017-06-12 (주)엘에스화장품 하이브리드 마스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62635B1 (ko) * 2017-04-12 2018-05-31 이상훈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5523B (en) Peel-off-type sheet pack and method for applying the sheet pack
CN106659287A (zh) 美容片及其制造方法
WO2014058066A1 (ja) 美容方法
KR10198906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US352384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rous,self-adhesive tapes or sheets,particularly plasters
KR100836713B1 (ko) 부위별 스포츠 근육 테이프의 제조방법
JP2004035545A (ja) 化粧品接着ストリップ
CN111148452A (zh) 面膜及其制造方法
MXPA02005538A (es) Dispositivo para la aplicacion de un producto de bronceado artificial.
KR101811273B1 (ko)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7322737B2 (ja) 転写シート、および、薄膜層の転写方法
KR102209532B1 (ko)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EP1104670B1 (en) Pack preparation
TWI225446B (en) Mold releasable composite material for wet production of polyurethane resin synthetic leather
CN105456231A (zh) 一种医用超薄tpu薄膜及其制备方法
KR20000029965A (ko) 습윤점착성조성물,이를사용한첩부재및이의사용방법
JPH0454107A (ja) シート状パック剤
WO2000004869A1 (fr) Sachet en feuilles et procedes de fabrication et d'utilisation correspondants
JPS63162610A (ja) シ−ト状パツク材
KR20140143973A (ko) 색상을 갖는 천연섬유 마스크팩
CN111542245B (zh) 面膜及其制造方法
KR20120006370U (ko) 천연 단백질섬유 마스크 시트
JP6167704B2 (ja) 通液性に優れ、乾燥しにくい積層シート
KR20170043165A (ko) 박리형 건식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2195A (ko) 마스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