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635B1 -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635B1
KR101862635B1 KR1020170047552A KR20170047552A KR101862635B1 KR 101862635 B1 KR101862635 B1 KR 101862635B1 KR 1020170047552 A KR1020170047552 A KR 1020170047552A KR 20170047552 A KR20170047552 A KR 20170047552A KR 101862635 B1 KR101862635 B1 KR 10186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u
roller
nonwoven fabric
film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임영배
Original Assignee
이상훈
임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임영배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17004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제작을 위하여, 마스크팩 시트 일측에 필름층을 형성하되, 마스크팩 시트 일측에 박막상태의 필름층을 접착제 사용없이 견고하게 접합구성되게 함으로서, 접착제의 유해성 논란이 없고, 동시에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이형필름을 인출하면서 도포롤러를 통과시켜 일측면에 TPU수지(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가 그물망형태로 도포되게 하고, 평활롤러를 스쳐지나 가면서 TPU수지가 박막필름형태로 고르게 확장되게 한 복합필름을 얻고, 상기 복합필름을 이동시키면서 TPU필름층 외면에 부직포를 공급시켜 합지되게 하여, 복합부직포시트를 얻고, 상기 복합부직포시트를 찬공기로 냉각시켜 고착화시키고, 광택롤러를 통하여 한번더 가압하면서 표면을 평활하게 가공한 다음, 권취롤러에 궈취하고 숙성하여, 부직포 일측에 TPU필름층이 일체형으로 접합되게 하고, 숙성이 완료된 복합부직포시트에 접합된 이형필름을 분리시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MANUFCATURING METHOD OF FILM MASK PACK SHEET WITHOUT ADHESIVE}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제작을 위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팩 사용시 수분증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마스크팩시트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을 접착제의 사용없이 일체형으로 접합되게 하여, 유해성 논란이 없는 안전한 마스크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름답고 건강한 외모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피부관리의 한 방법으로서 마스크팩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팩(pack)이란 원래 '감싸다'라는 의미로 미용성분을 얼굴에 감싸 모공의 더러움을 깨끗이 하고, 수분과 미용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공급함으로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피부생리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기능성 화장품의 일종이다.
팩은 다양한 영양성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미용성분에 의한 보습, 진정, 노화, 각질 및 노폐물제거, 탄력증진, 미백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스크팩의 원소재는 면포나 부직포 등 다양한 소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소재로 된 마스크팩에 미용성분을 흡착시킨 제품을 얼굴에 접합시켜 피부미용을 위하여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게 되면, 미용성분에 함유된 수분이 쉽게 증발되어 굳게 되므로 팩효과가 반감될 뿐 아니라, 사용감이 반감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스크팩 외면에 필름을 접합시켜, 마스크팩 사용시 수분증발을 방지하여 보습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서 효과적인 마스크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마스크팩 시트 일측에 필름을 접합시킬 경우 마스크팩 본체와 필름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접착제의 유해성때문에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보습을 위하여 마스크팩 본체 일측에 수분증발방지를 위한 필름이 접합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3-0005084호 "마스크팩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특허문헌 1)과, 특허 제10-1697977호 "캐릭터 이미지가 인쇄된 마스크팩"(특허문헌 2)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중 마스크팩을 얼굴에 붙은 상태에서 보습을 위하여 마스크팩 표면에 필름이 접합되게 한 것이나, 상기 필름과 마스크팩 본체의 견고한 접합을 위하여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들이 접합되게 한다.
특허문헌 1, 2의 경우에도 필름접합을 위한 접착제를 인체에 무해한 성분의 접착제를 사용한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일반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접착제의 유해성 논란이 야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공개특허 제10-2003-0005084호 "마스크팩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특허 제10-1697977호 "캐릭터 이미지가 인쇄된 마스크팩"
본 발명은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제작을 위하여, 마스크팩 시트 일측에 필름층을 형성하되, 마스크팩 시트 일측에 박막상태의 필름층을 접착제 사용없이 견고하게 접합구성되게 함으로서, 접착제의 유해성 논란이 없고, 동시에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이형필름을 인출하면서 도포롤러를 통과시켜 일측면에 TPU수지(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가 그물망형태로 도포되게 하고, 평활롤러를 스쳐지나 가면서 TPU수지가 박막필름형태로 고르게 확장되게 한 복합필름을 얻고, 상기 복합필름을 이동시키면서 TPU필름층 외면에 부직포를 공급시켜 합지되게 하여, 복합부직포시트를 얻고, 상기 복합부직포시트를 찬공기로 냉각시켜 고착화시키고, 광택롤러를 통하여 한번더 가압하면서 표면을 평활하게 가공한 다음, 권취롤러에 권취하고 숙성하여, 부직포 일측에 TPU필름층이 일체형으로 접합되게 하고, 숙성이 완료된 복합부직포시트에 접합된 이형필름을 분리시켜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 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 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얻고, 마스크팩 본체에 미용성분을 흡착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형필름을 인출하면서 도포롤러를 통과시켜 일측면에 TPU수지(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가 그물망형태로 도포되게 하고, 평활롤러를 스쳐지나 가면서 TPU수지가 박막필름형태로 고르게 확장되게 한 복합필름을 얻고, 상기 복합필름을 이동시키면서 TPU필름층 외면에 부직포를 공급시켜 합지되게 하여, 복합부직포시트를 얻고, 상기 복합부직포시트를 찬공기로 냉각시켜 고착화시키고, 광택롤러를 통하여 한번더 가압하면서 표면을 평활하게 가공한 다음, 권취롤러에 권취하고 숙성하여, 부직포 일측에 TPU필름층이 일체형으로 접합되게 하고, 숙성이 완료된 복합부직포시트에 접합된 이형필름을 분리시켜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 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 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얻고, 마스크팩 본체에 미용성분을 흡착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케 함으로서, 접착제의 유해성 논란이 없고, 동시에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마스크팩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개략장치도
도 2 : 도 1의 장치에서 얻어진 복합부직포시트로부터 이형필름을 분리시켜 마스크팩시트를 제조하는 장치도
도 3 : 본 발명에서 이형필름 일측에 TPU수지가 그물망형태로 도포된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평활롤러를 통하여 TPU수지가 박막형태로 펼쳐져 TPU필름층이 형성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부직포가 접합된 상태도
도 6 : 도 5의 상태에서 이형필름을 분리시킨 마스크팩시트의 상태도
도 7 : 도 6의 마스크팩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본체를 제작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마스크팩시트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장치를 통하여 얻어진 복합부직포시트로부터 이형필름을 분리시켜 마스크팩시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마스크팩시트를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여 마스크팩본체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본체에 피부미용조성물을 흡착시켜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주목적은 마스크팩 사용시 수분증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마스크팩 일측에 접합되는 박막필름을 접착제의 사용없이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유해성 논란이 없는 안전한 마스크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마스크팩시트 제조를 위한 장치를 설명하면, 용융상태의 TPU수지(11)가 채워진 TPU탱크(10)를 구성하고, 상기 TPU탱크(10) 내에 미세홈(21)이 형성된 도포롤러(20)를 설치하되, 도포롤러(20)의 하단부가 TPU수지(11)와 접하게 한다.
도포롤러(20) 상단에는 실리콘재질의 가압롤러(22)를 설치하고, 도포롤러(20) 외면에는 끌판(23)을 설치한다.
도포롤러(20)에 구성된 미세홈(21)은 그물망형태로 요입구성한다.
도포롤러(20) 아랫쪽에는 이형필름(30)이 권취된 이형필름 인출롤러(31)를 설치하고, 상기 이형필름(30)은 필름가이드(32)롤러를 통하여 도포롤러(20)와 가압롤러(22) 사이로 지나게 한 다음 평활롤러(24)와 합지롤러(25)로 공급되게 한다.
도포롤러(20) 상부에는 부직포(40)가 권취된 부직포인출롤러(41)를 설치하여 부직포가이드롤러(42)를 경유하여 합지롤러(25)로 공급되게 한다.
합지롤러(25) 전면에는 냉각실(51)이 형성된 냉각챔버(50)를 구성하고, 냉각챔버(50) 전면에는 한쌍의 광택롤러(60)와 가이드롤러(61) 및 권취롤러(70)를 설치한다.
또한 이형필름(30)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복합부직포시트인출롤러(80)와 분리롤러(81)를 설치하고, 분리롤러(81)를 기준으로 필름권취롤러(82)와 마스크팩시트권취롤러(83)를 설치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장치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 제조는 아래와 같다.
이형필름인출롤러(31)에 권취된 이형필름(30)을 인출하여 필름가이드롤러(32)를 경유, 도포롤러(20)와 가압롤러(22) 사이로 공급되게 한다.
이때 이형필름(30)에 이형재가 코팅되어 있어 이형필름(30) 표면에 도포되는 수지가 뒷공정에서 이형필름(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한다.
이형필름(30)이 도포롤러(20)와 가압롤러(22)를 지나면서 이형필름(30) 일측면에 TPU수지(11)가 도포된다.
TPU수지(11)가 도포롤러(20)를 통하여 이형필름(30)에 도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포롤러(20)가 회전하면서 TPU탱크(10)에 채워진 TPU수지(11)를 도포롤러(20) 표면에 흡착시키게 되고, 상기 도포롤러(20)가 회전하면서 끌판(23)과 접하게 되면, 도포롤러(20) 표면에 흡착된 TPU수지(11)는 제거되어 TPU탱크(10)로 수거되고, 그물망모양으로 음각된 미세홈(21)에 흡착된 TPU수지(11)만 잔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포롤러(20)가 회전하여 가압롤러(22) 및 이형필름(30)과 접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도포롤러(20)의 미세홈(21)에 위치한 TPU수지(11)가 이형필름(30)으로 전이된다.
이때 가압롤러(22)는 실리콘수지로 구성되어 있어 이형필름(30)을 적절한 탄성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도포롤러(20)의 미세홈(21)에 위치한 TPU수지(11)가 용이하게 이형필름(30)으로 전이된다.
도포롤러(20)와 가압롤러(22)를 지난 이형필름(30)은 실리콘수지가 코팅된 평활롤러(24)를 지나면서 그물망형태로 도포된 TPU수지(11)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확개되어 박막형태의 TPU필름층(16)이 형성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이형필름(30) 일측에 TPU필름층(16)이 위치한 복합필름(17)이 얻어진다.
이때 평활롤러(24)는 이형필름(30)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회전되게 함으로서, 이형필름(30) 일측에 망형상으로 도포된 TPU수지가 얇은 형태의 TPU필름층(1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포롤러(20) 표면을 미세홈(21) 없이 평활하게 구성하고, 상기 도포롤러를 통하여 TPU수지(11)가 이형필름(20) 일측에 도포되게 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 이형필름(30) 일측에 도포되는 TPU수지층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발명에서와 같이 도포롤러(20) 표면에 그물망모양의 미세홈(21)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홈(21)을 통하여 필요량의 TPU수지가 이형필름(30)에 도포되게 하고, 다시 평활롤러(24)로 얇게 골고루 펼쳐지게 함으로서, 두께가 얇은 TPU필름층(16)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복합필름(17)은 합지롤러(25)를 지나면서 부직포인출롤러(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부직포(40)와 합지되어, 복합부직포시트(44)가 얻어지고, 이때 이형필름(30) 일측에 도포된 TPU필름층(16)은 아직 경화되지 않고 점성상태로 유지되므로 부직포(40)와의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복합부직포시트(44)는 냉각챔버(50)에 구성된 냉각실(51)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부직포(40)와 TPU필름층(16)의 접합이 고착화된다.
이때 냉각챔버(50)의 냉각실(51)에는 10~30℃정도의 찬바람이 송풍되면서 TPU수지를 냉각경화시켜 부직포(40)와 TPU필름층(16)의 접합을 고착화시킨다.
냉각챔버(50)를 지난 복합부직포시트(44)는 한쌍의 광택롤러(60)를 지나면서 경화된 TPU필름층(16)과 부직포(40)의 접합을 견고히 하고 유연처리하면서 표면을 매끄럽고 광택있게 만들어주게 되며, 상기 복합부직포시트(44)는 가이드롤러(61)를 지나 권취롤러(70)에 권취된다.
권취롤러(70)에 권취된 복합부직포시트(44)는 30~50℃의 숙성실에서 40~50시간 숙성시켜 TPU필름층(16)과 부직포(40)와의 접합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이형필름(30)과는 접합력을 이완시킨다.
숙성이 완료된 복합부직포시트(44)는 도 2에서와 같은 이형필름 분리장치를 통하여, 이형필름(30)과 TPU필름층(16)이 형성된 부직포(40)와 분리시킨다.
즉 복합부직포시트인출롤러(80)로부터 복합부직포시트(44)를 인출하여 분리롤러(81)로 공급하되, 분리롤러(81)에서 이형필름(30)를 분리시킨 다음 이형필름권취롤러(82)에 권취되게 하고, 잔류하는 부직포(40)와 TPU필름층(16)으로 구성된 마스크팩시트(90)는 마스크팩시트권취롤러(83)에 권취되게 함으로서,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마스크팩시트(90)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 마스크팩시트(90)는 별도의 재단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형상의 마스크팩본체(91)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본체(91)에 피부미용조성물을 흡착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스크팩시트(90)의 경우, 부직포(40)와 TPU필름층(16)을 접합함에 있어서, 접착제의 사용없이 이들이 접합되게 함으로서, 마스크팩시트(90)를 재단하여 만든 마스크팩의 사용시 수요자가 접착제에 대한 거부감없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일측에 접합된 TPU필름층(16)이 피부미용조성물의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팩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TPU필름층이 접합되는 소재는 부직포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TPU탱크 (11)--TPU수지
(16)--TPU필름층 (17)--복합필름
(20)--도포롤러 (21)--미세홈
(22)--가압롤러 (23)--끌판
(24)--평활롤러 (25)--합지롤러
(30)--이형필름 (31)--이형필름인출롤러
(40)--부직포 (41)--부직포인출롤러
(42)--부직포가이드롤러 (44)--복합부직포시트
(50)--냉각챔버 (51)--냉각실
(61)--가이드롤러 (70)--권취롤러
(80)--복합부직포인출롤러 (81)--분리롤러
(82)--이형필름권취롤러 (83)--마스크팩시트권취롤러
(90)--마스크팩시트

Claims (2)

  1. 이형필름인출롤러(31)에 권취된 이형필름(30)을 인출하여 도포롤러(20)와 가압롤러(22) 사이로 공급되게 하되, 상기 도포롤러(20)는 외면에 그물망형태의 미세홈(21)을 구성하고, 하단부가 TPU탱크(10)에 채워진 TPU수지(11) 내에 침지되게 하고, 일측에는 끌판(23)을 설치하여, 도포롤러(20)가 회전하면서 끌판(23)을 지나면 미세홈(21)에만 TPU수지(11)가 흡착되고, 미세홈(21)에 흡착된 TPU수지(11)가 이형필름(30)으로 전이되게 하고, TPU수지(11)가 그물망형태로 도포된 이형필름(30)이 이형필름(30)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는 평활롤러(24)를 지나면서 이형필름(30)에 도포된 TPU수지(11)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확개되어 박막형태의 TPU필름층(16)이 형성된 복합필름(17)을 얻고, 상기 복합필름(17)이 합지롤러(25)를 지나면서 부직포인출롤러(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부직포(40)와 합지된 복합부직포시트(44)를 얻고, 상기 복합부직포시트(44)를 10~30℃의 찬바람이 송풍되는 냉각챔버(50)의 냉각실(51)을 지나면서, TPU필름층(16)이 냉각경화되어 부직포(40)와 고착화되고, 냉각경화된 복합부직포시트(44)가 한쌍의 광택롤러(60)를 지나면서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한 다음 권취롤러(70)에 권취하고, 권취롤러(70)에 권취된 복합부직포시트(44)를 숙성실에서 숙성시켜 TPU필름층(16)과 부직포(40)의 접합을 견고히 함과 동시에 이형필름(30)과는 접합력을 이완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복합부직포시트(44)로부터 이형필름(30)을 분리하여, 부직포(40) 일측에 TPU필름층(16)이 형성된 마스크팩 시트가 제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70047552A 2017-04-12 2017-04-12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1862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52A KR101862635B1 (ko) 2017-04-12 2017-04-12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52A KR101862635B1 (ko) 2017-04-12 2017-04-12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635B1 true KR101862635B1 (ko) 2018-05-31

Family

ID=6245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52A KR101862635B1 (ko) 2017-04-12 2017-04-12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6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31A (ko) * 2018-09-01 2020-03-11 주식회사 영랩 필요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한 마스크팩
KR102209532B1 (ko) * 2019-09-18 2021-01-29 오정환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KR20230039091A (ko) 2021-09-13 2023-03-21 김덕환 미용팩 시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876B1 (ko) * 2009-03-26 2009-10-28 김효숙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KR20100112682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지.비라이트 컬러 티피유시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컬러 티피유시트
KR101004329B1 (ko) * 2010-07-28 2010-12-28 주식회사 에코산업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미용패드의 제조방법
KR20120119219A (ko) * 2011-04-06 2012-10-31 (주)아이앤에스 방염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876B1 (ko) * 2009-03-26 2009-10-28 김효숙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KR20100112682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지.비라이트 컬러 티피유시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컬러 티피유시트
KR101004329B1 (ko) * 2010-07-28 2010-12-28 주식회사 에코산업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미용패드의 제조방법
KR20120119219A (ko) * 2011-04-06 2012-10-31 (주)아이앤에스 방염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31A (ko) * 2018-09-01 2020-03-11 주식회사 영랩 필요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한 마스크팩
KR102090045B1 (ko) 2018-09-01 2020-03-17 주식회사 영랩 필요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한 마스크팩
KR102209532B1 (ko) * 2019-09-18 2021-01-29 오정환 한방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용 베이스시트의 제조방법
KR20230039091A (ko) 2021-09-13 2023-03-21 김덕환 미용팩 시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35B1 (ko)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RU2303531C2 (ru) Композитные ткани с дискретными эластичными полимерными областями
JPS60155783A (ja) 実質的に非弾性、可撓性の複合フラツトシート材料
RU2016133621A (ru) Адгезивная пленочная повязк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компрессии
CN106455794B (zh) 化妆用片材
KR101847461B1 (ko) 트리코트지 일면에 포일문양이 인쇄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JP4921974B2 (ja) 相互侵入高分子網目シート材料を製造する改良された方法及びその有用な物品
KR101836894B1 (ko)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US8118759B2 (en) System for producing an orthopedic splint
KR101799841B1 (ko) 소프트젤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DE69830908T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rofilierten und laminierten Materialen
JP2010536823A (ja) 接着剤塗装層を有する通気性シート素材およびその製法
TWI225446B (en) Mold releasable composite material for wet production of polyurethane resin synthetic leather
US20210337897A1 (en) Strapless mask
US20230263667A1 (en) Breathable adhesive bandages
CN105176433B (zh) 一种医用固定贴、其制备方法以及使用方法
TWI606798B (zh) 臉部敷墊
US20190335881A1 (en) Method for forming a facial pad
JP2002069397A (ja) 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救急絆創膏、並びに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102108732B1 (ko) 벨벳촉감을 갖는 지류의 제조방법.
KR101929629B1 (ko)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DE1062887B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luftdurchlaessigen, wasserdichten Klebpflasters
JP2007119403A (ja) シート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19391B1 (ko) 마스크팩 시트 이형지용 그물망 원단 및 이의 가공방법
EP1066064A1 (de) Synthetischer steifver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