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876B1 -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876B1
KR100923876B1 KR1020090025667A KR20090025667A KR100923876B1 KR 100923876 B1 KR100923876 B1 KR 100923876B1 KR 1020090025667 A KR1020090025667 A KR 1020090025667A KR 20090025667 A KR20090025667 A KR 20090025667A KR 100923876 B1 KR100923876 B1 KR 10092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lease paper
soluble adhesive
health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숙
Original Assignee
김효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숙 filed Critical 김효숙
Priority to KR102009002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을 이용하여 신경통과 근육통 등을 치료하는 건강패드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박리지가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박리지 원단롤과; 상기 박리지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박리지에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와; 상기 도포장치에서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된 박리지가 공급되고 수용성점착제에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부직포가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롤과; 상기 건조챔버에서 건조된 수용성점착제에 부직포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부직포를 부착하는 합지장치와; 상기 합지장치에서 박리지와 부직포가 합지된 건강패드 원단을 감는 건강패드 원단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25667
수용성점착제, 도포, 박리지, 부직포, 원적외선, 건조, 건강패드

Description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Health pad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water-soluble mordant}
본 발명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을 이용하여 신경통과 근육통 등을 치료하는 건강패드의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의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박리지에 도포하고,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한 다음, 수용성점착제층에 부직포를 합지하여 건강패드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점착제를 사용하므로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는 한편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의 건강조성물이 수용성점착제에 쉽게 혼합되어 박리지에 도포될 뿐만 아니라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원적외선으로 충분히 건조시켜 점착력을 높이는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신경통이나 근육통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환부에 부착하 는 패드(Pad)에는 습포제(濕布劑)와 파스(Pasta)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같은 습포제와 파스는 대부분 사각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갖는 접착성 부직포 위에 약품이 혼합된 점착제를 도포한 다음, 부직포와 점착제 위에 박리지를 부착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습포제와 파스 등은 일반적으로 소염 진통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체의 환부에 부착하면 점착제에 함유된 약품 성분이 환부의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소염 진통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종래의 파스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나트륨, 솔비톨(sorbit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glycol), 젤라틴(gelatin) 등을 포함한 약제와, ℓ-멘톨(menthol), ㎗-캠퍼(campher) 및 박화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염 진통효과를 갖는 약제와, 점착성 물질을 혼합한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한방 약제가 요통과 경부통, 견통 등에 대한 진통, 진양, 수렴, 소염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약제로 황백 연조엑스, 산치자 연조엑스, 산초 연조엑스 등을 점착성 물질과 혼합하여 신체의 환부에 붙이는 방식의 한방 패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강패드는 소염 진통효과의 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인체의 환부에 부착되는 점착성 물질로 대부분 유기용제계 점착제를 사용하므로 인체의 피부에 장시간 접촉될 경우 발진, 가려움,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으며, 이는 유기용제계 점착제에 유해성 화학물질이 잔존하여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유기용제계 점착제는 점착력과 응집력이 매우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나, 유해성 화학물질이 잔존하므로 인체의 피부에 접촉되는 패드의 경우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반면에 수용성점착제는 인체에 무해하여 부작용이 없으나, 점착력이 매우 떨어지고 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이 피부에 묻어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체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 작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원적외선의 방사제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원적외선은 인체의 피부 표면으로부터 100㎛ 깊이에 이르기까지 침투하여 원자와 분자의 진동을 일으키고, 체내에서는 열반응이 일어나 피하조직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증진, 세포조직 부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원적외선과 더불어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음이온은 마이너스(-) 전기를 띈 미립자로서 음이온은 인체를 약 알카리성 체질로 변화시켜 호흡과 혈압을 안정화시켜서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건강패드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점착제를 사용하여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의 건강조성물이 수용성점착제에 쉽게 혼합되어 박리지에 도포되는 한편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충분히 건조시켜 점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박리지에 도포한 다음,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하고, 수용성점착제층에 부직포를 합지하여 건강패드 원단을 제조하는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박리지가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박리지 원단롤과; 상기 박리지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박리지에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와; 상기 도포장치에서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된 박리지가 공급되고 수용성점착제에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챔버와; 부직포가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롤과; 상기 건조챔버에서 건조된 수용성점착제에 부직포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부직포를 부착하는 합지장치와; 상기 합지장치에서 박리지와 부직포가 합지된 건강패드 원단을 감는 건강패드 원단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건조챔버는 원적외선 열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히터가 설치되고, 박리지에 도포된 수용성점착제에 원적외선 히터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건조공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합지장치는 박리지에 도포된 수용성점착제층에 부직포를 합지하는 합지롤러에 건조히터가 설치되어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의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박리지에 도포하고,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한 다음, 수용성점착제층에 부직포를 합지하여 건강패드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점착제를 사용하므로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는 한편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의 건강조성물이 수용성점착제에 쉽게 혼합되어 박리지에 도포될 뿐만 아니라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원적외선으로 충분히 건조시켜 점착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조챔버에서 박리지에 도포된 수용성점착제층에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하므로 종래 수용성점착제의 문제점인 점착성을 충분히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고자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점착제를 사용하고,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의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박리지에 도포한 다음, 수용성점착제에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분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부직포를 수용성점착제층에 부착하여 건강패드를 제조함에 따라 종래 수용성점착제의 문제점인 점착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박리지(10a)가 공급되는 박리지 원단롤(10)과; 상기 박리지 원단롤(10)에서 공급되는 박리지(10a)에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20)와; 상기 도포장치(20)에서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된 박리지(10a)가 공급되고 수용성점착제에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챔버(30)와; 부직포(50a)가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롤(50)과; 상기 건조챔버(30)에서 건조된 수용성점착제에 부직포 원단롤(5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50a)를 부착하는 합지장치(40)와; 상기 합지장치(40)에서 박리지(10a)와 부직포(50a)가 합지된 건강패드 원단(60a)을 감는 건강패드 원단롤(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주요 구성에서 박리지 원단롤(10)은 박리지(10a) 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겨져 구비되고, 권취기에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박리지(10a) 원단이 일정한 장력으로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박리지 원단롤(10)이 일정한 장력으로 풀리도록 설치된 권취기는 공지된 선행기술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박리지 원단롤(10)에 원통형태로 감긴 박리지(10a)는 일정한 폭을 갖고,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 면에 실리콘 수지가 코팅된 실리콘 코팅층(10b)이 형성되며, 박리지 원단롤(10)에서 풀리면서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도포장치(20)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포장치(2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 농축액 및 목초액 등의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가 수용되는 저장조(21)와, 상기 저장조(21)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 일부분이 수용성점착제에 잠기는 제1도포롤러(22)와, 상기 제1도포롤러(22)의 외주연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2도포롤러(23)와, 상기 제2도포롤러(23)의 외주연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고 박리지(10a)가 감겨져 이송되면서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되는 제3도포롤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포장치(20)에서 저장조(21)에 수용되는 수용성점착제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인 아크릴계 에멀젼형 수용성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점착제의 선행기술로는 국내 특허 제10-0384039호(수용성 아크릴계 에멀젼형 점착제)와, 특허 제10-0540448호(수용성 점착제 조성물)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용성점착제에 혼합되는 건강조성물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 분말, 한약 농축액, 목초액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환부의 치료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 분말은 토르말린(tourmaline), 키토산(chitosan),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 분말로서, 특히 토르말린은 미세한 열에 의해 입자가 전기를 발생시켜 미약 전류를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기석이라 불리고 있는 세라믹 물질이다.
이와 같이 미약 전류를 발생하는 토르말린은 체세포를 활성화시켜 주고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매우 높으며 강력한 이온을 발생하고 보온효과를 촉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토산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인체 내에 있는 당류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적합성이 높고 인체의 항균성과 면역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으며 독성이 전혀 없고 무해한 물질로서, 키토산은 약산에 녹기 쉬우며 인체내에서는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되어 쉽게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소화기관이나 피부로부터 쉽게 흡수될 뿐만 아니라 모든 세포에 침투해서 이를 활성화하고 면역세포에 활력을 부여하여 자연 치유력을 높여 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진 키토산은 최근에 약품재료의 신소재와 혼용될 경우 기능성 식품으로서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져 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하 황토와 맥반석은 이미 널리 공지된 물질로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건강조성물로서 한약 농축액은 일반 한약재로 사용되는 인삼, 황백, 산치자, 산초, 당귀 등의 주원료를 달여 농축시킨 한약 농축액으로서, 한약재 효능이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소염 진통, 타박상, 근육통, 관절통, 골절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건강조성물로서 목초액은 참나무, 대나무 등의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시켜 채취할 수 있으며, 목초액은 정장제(整腸劑)ㆍ정로환(正露丸) 등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무좀ㆍ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으며, 그밖에 화상ㆍ당뇨병ㆍ빈혈에 이용되는 한편 세포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이 뛰어나 간질환ㆍ당뇨병ㆍ알레르기질환ㆍ숙취제거ㆍ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은 분쇄하여 얻어진 미립자의 분말을 수용성점착제에 혼합하고, 이를 충분히 교반하여 저장조(21)에 담아 도포공정을 수행하며, 한약 농축액과 목초액은 모두 수용성이므로 수용성점착제에 쉽게 섞여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도포장치(20)에서 저장조(21) 안에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가 수용되고, 상기 저장조(21)의 상부에서 수용성점착제에 하부 일부분이 잠기도록 제1도포롤러(22)가 설치되어 회전하므로 제1도포롤러(22)의 외주면에 수용성점착제가 골고루 묻으면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2도포롤러(23)가 제1도포롤러(22)의 외주연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므로 제1도포롤러(22)의 외주면에 묻은 수용성점착제가 제2도포롤러(23)의 외주면에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묻으면서 회전하고, 또한 박리지(10a)가 감겨져 회전하는 제3 도포롤러(24)가 제2도포롤러(23)의 외주연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므로 제2도포롤러(23)의 외주면에 묻은 수용성점착제가 박리지(10a)의 한쪽 면에 묻어 도포된다.
상기에서 수용성점착제는 박리지(10a)에 코팅된 실리콘 코팅층(10b) 위에 도포되고, 박리지 원단롤(10)에서 공급된 박리지(10a)는 가이드롤러(25)를 통해 제3도포롤러(24)에 감겨져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된 다음,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통하여 건조챔버(30)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챔버(30)는 도면에서 도 2와 도 5 및 도 6과 같이, 프레임 위에 박리지(10a)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쭉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가능한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원적외선 열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히터(31)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건조챔버(30)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된 박리지(10a)가 안내되어 이송되며, 그 위에 원적외선 열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히터(31)가 위치한다.
상기에서 원적외선 히터(31)는 원적외선 패널(32)의 내부에 히팅코일(33)이 내장되어 원적외선 패널(32)을 고온으로 가열함에 따라 원적외선 열이 방출되며, 원적외선 히터(31)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열이 수용성점착제에 가해져 함유된 수분을 건조하여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된 박리지(10a)가 건조챔버(30)를 통과하면서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이 건조되는 것으로서, 수용성점착제의 건조효율에 따라 원적외선 히터(31)를 여러개 설치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 히터(31)에서 방출되 는 원적외선 열이 수용성점착제층(20a)에 깊숙히 침투하여 수분을 충분히 건조하게 된다.
상기 건조챔버(30)에서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이 충분히 건조된 박리지(10a)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통하여 합지장치(40)로 안내되며, 상기 합지장치(40)에서 수용성점착제층(20a)에 부직포(50a)가 부착되어 박리지(10a)와 부직포(50a)가 합지됨에 따라 건강패드 원단(60a)이 제조된다.
부직포(50a)가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롤(50)은 부직포(50a) 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겨져 구비되고, 권취기에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부직포(50a)가 일정한 장력으로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부직포(50a)가 일정한 장력으로 풀리도록 설치된 권취기는 공지된 선행기술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부직포(50a)는 일반적으로 면소재로서 100% 면으로 된 소재는 흡수성과 통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약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합성섬유가 혼합된 부직포도 적용이 가능하고, 부직포 원단롤(50)에서 풀린 부직포(50a)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통해 합지장치(40)로 안내되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합지장치(40)는 도면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수용성점착제층(20a)이 도포된 박리지(10a)가 감겨져 회전하는 제1합지롤러(41)와, 상기 제1합지롤러(41)의 외주연에 접촉하고 부직포(50a)가 감겨져 회전하는 제2합지롤러(42)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1합지롤러(41)와 제2합지롤러(42)는 외주연이 상호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상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건조챔버(30)에서 이송된 박리지(10a)가 가이드롤러(43)로 안내되어 제1합지롤러(41)의 외주연에 감기고, 부직포 원단롤(5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50a)가 가이드롤러(44)로 안내되어 제2합지롤러(42)에 감기므로 박리지(10a)와 부직포(50a)가 합지된다.
즉, 수용성점착제층(20a)이 외측에 위치하도록 박리지(10a)가 제1합지롤러(41)에 감겨져 회전하고, 부직포(50a)가 제2합지롤러(42)에 감겨져 수용성점착제층(20a)에 밀착되므로 부직포(50a)가 수용성점착제층(20a)에 부착되어 결과적으로 박리지(10a)와 부직포(50a)가 합지되어 건강패드 원단(60a)이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합지장치(40)에서 박리지(10a)에 도포된 수용성점착제층(20a)에 잔존하는 수분을 재차 건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박리지(10a)가 감겨져 회전하는 제1합지롤러(41)에 건조히터(45)를 내장 설치하여 제1합지롤러(41)를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박리지(10a)와 수용성점착제층(20a)에 열을 가해 잔존하는 수분을 재차 건조하게 된다.
상기 합지장치(40)에서 박리지(10a)와 부직포(50a)가 합지된 건강패드 원단(60a)은 다수의 가이드롤러로 안내되어 건강패드 원단롤(60)에 감기며, 건강패드 원단롤(60)은 권취기에 설치되어 일정한 장력으로 건강패드 원단(60a)을 감는 것으로, 여기서 권취기는 종래 공지된 선행기술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박리지(10a)와 부직포(50a)가 합지된 건강패드 원단(60a)은 도면에서 도 9와 같이, 박리지(10a)에 코팅된 실리콘 코팅층(10b)에 수용성점착제층(20a)이 도포되고, 상기 수용성점착제층(20a)에 부직포(50a)가 부착되어 합지되므로 건강패드 원단(60a)이 구현된다.
건강패드 원단(60a)은 인체에서 배ㆍ가슴ㆍ다리ㆍ팔ㆍ관절 등의 환부에 따라 크기와 형상을 고려하여 재단되고, 인체의 환부에 부착할 경우, 종래 습포제나 파스와 같이 실리콘 코팅층(10b)에 의해 박리지(10a)가 수용성점착제층(20a)에서 쉽게 분리되며, 건강조성물이 함유된 수용성점착제층(20a)이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부직포(50a)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챔버(30)에서 수용성점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켜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 원적외선 열을 이용하는 것은 원적외선 열이 수용성점착제층(20a)에 깊숙히 침투하여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충분히 건조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으로, 일반적인 전기히터나 열풍을 이용하여 수용성점착제를 건조할 경우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만 건조될 뿐 도포층에 함유된 수분은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포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적외선 히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적외선 히터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합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합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강패드 원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박리지 원단롤 10a: 박리지
10b: 실리콘 코팅층 20: 도포장치
20a: 수용성점착제층 21: 저장조
22: 제1도포롤러 23: 제2도포롤러
24: 제3도포롤러 30: 건조챔버
31: 원적외선 히터 32: 원적외선 패널
33: 히팅코일 40: 합지장치
41: 제1합지롤러 42: 제2합지롤러
45: 건조히터 50: 부직포 원단롤
50a: 부직포 60: 건강패드 원단롤
60a: 건강패드 원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박리지(10a)가 공급되는 박리지 원단롤(10)과; 상기 박리지 원단롤(10)에서 공급되는 박리지(10a)에 건강조성물이 혼합된 수용성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20)와; 상기 도포장치(20)에서 수용성점착제가 도포된 박리지(10a)가 공급되고 수용성점착제에 원적외선 열을 가하여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챔버(30)와; 부직포(50a)가 공급되는 부직포 원단롤(50)과; 상기 건조챔버(30)에서 건조된 수용성점착제에 부직포 원단롤(5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50a)를 부착하는 합지장치(40)와; 상기 합지장치(40)에서 박리지(10a)와 부직포(50a)가 합지된 건강패드 원단(60a)을 감는 건강패드 원단롤(60);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챔버(30)는 박리지(10a)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쭉하게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원적외선 열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히터(31)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25667A 2009-03-26 2009-03-26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KR10092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667A KR100923876B1 (ko) 2009-03-26 2009-03-26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667A KR100923876B1 (ko) 2009-03-26 2009-03-26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876B1 true KR100923876B1 (ko) 2009-10-28

Family

ID=4156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667A KR100923876B1 (ko) 2009-03-26 2009-03-26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94B1 (ko) * 2016-08-09 2018-03-09 주식회사영인실업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1847461B1 (ko) * 2017-01-09 2018-04-10 주식회사영인실업 트리코트지 일면에 포일문양이 인쇄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862635B1 (ko) * 2017-04-12 2018-05-31 이상훈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354A (ko) * 1997-03-04 1998-11-05 현용길 내열성 합성수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44233A (ko) * 2001-01-19 2001-06-05 이연환 통기성 합지 제조시스템, 제조 방법 및 그 통기성 합지
KR100322988B1 (ko) * 1998-10-01 2002-11-01 일양약품주식회사 소염진통첩부제조성물및이를함유한소염진통첩부제
KR20060041424A (ko) * 2004-11-08 2006-05-12 이형철 건강패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354A (ko) * 1997-03-04 1998-11-05 현용길 내열성 합성수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22988B1 (ko) * 1998-10-01 2002-11-01 일양약품주식회사 소염진통첩부제조성물및이를함유한소염진통첩부제
KR20010044233A (ko) * 2001-01-19 2001-06-05 이연환 통기성 합지 제조시스템, 제조 방법 및 그 통기성 합지
KR20060041424A (ko) * 2004-11-08 2006-05-12 이형철 건강패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94B1 (ko) * 2016-08-09 2018-03-09 주식회사영인실업 보습기능을 갖는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1847461B1 (ko) * 2017-01-09 2018-04-10 주식회사영인실업 트리코트지 일면에 포일문양이 인쇄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862635B1 (ko) * 2017-04-12 2018-05-31 이상훈 무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필름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876B1 (ko)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CN103990230B (zh) 一种远红外磁疗速愈贴及其制备方法
CN103160156A (zh) 一种远红外负离子涂胶及其应用
KR100923875B1 (ko)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방법
CN204017156U (zh) 一种远红外磁疗速愈贴
CN203694152U (zh) 一种药艾条贴剂
KR100632376B1 (ko)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CN201658747U (zh) 远红外舒肝贴
JP2914945B1 (ja) 遠赤外線サウナ用着衣
CN203154349U (zh) 一种治疗痛经的热敷药贴
KR100853341B1 (ko)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강 파스
CN101601692A (zh) 治疗盗汗的双面外用贴剂
CN104083278A (zh) 深度灸疗热磁灸贴
JP2003116902A (ja) 機能性シート
CN206381491U (zh) 一种多功能足部美容装置
CN205215766U (zh) 一种风湿膏药贴
CN109431799A (zh) 光敷催眠熏蒸康复盘
KR101154328B1 (ko)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무좀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KR200397691Y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건강패드
CN209108050U (zh) 灸疗贴
JP2004180864A (ja) 健康増進貼シート
CN210447654U (zh) 一种治疗中风后肩痛的穴位贴
JP2004346037A (ja) 健康増進シート及びその利用
KR101205916B1 (ko) 사우나 부스의 마감재 코팅조성물 및 그 코팅방법
CN209405484U (zh) 一种多功能透药理疗片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