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424A - 건강패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건강패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424A
KR20060041424A KR1020040090506A KR20040090506A KR20060041424A KR 20060041424 A KR20060041424 A KR 20060041424A KR 1020040090506 A KR1020040090506 A KR 1020040090506A KR 20040090506 A KR20040090506 A KR 20040090506A KR 20060041424 A KR20060041424 A KR 20060041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paper
nonwoven fabric
fabric
powd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376B1 (ko
Inventor
이형철
Original Assignee
이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철 filed Critical 이형철
Priority to KR102004009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3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4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6/00Patches, e.g. medical patches, repair p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이용하여 신경통 및 근육통 등을 치료하는 건강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높으며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광물질 분말이나 또는 한약제 분말을 패드의 접착성 부직포에 도포하여 사용자의 환부에 분말이 직접 접촉되게 붙임으로서 환부에 가해지는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건강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부직포의 접착면에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매우 높고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제 분말을 붙여서 도포하여 제조하고, 부직포에 도포된 분말이 사용자의 환부에 직접 접촉되게 패드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환부에 가해지는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한층 높이고, 음이온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패드, 원적외선, 음이온, 분말, 도포, 부직포, 박리지

Description

건강패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품{The health PAD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ed good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공정의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공정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정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분말 도포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분말 도포드럼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분말 도포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 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박리지 합지수단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10 과 도 11 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위에 분말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건강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패드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단 투입공정 2: 박리지 분리공정 3: 분말 도포공정
4: 박리지 합지공정 5: 절단공정 6: 포장공정
7: 박리지 롤링공정 8: 박리지 투입공정 10: 원단롤
20: 분리롤러 30: 박리지롤 40: 분말 도포수단
41: 도포드럼 42: 도포공 44: 호퍼
45: 이송관 46: 모터 47: 스크류
50: 안내롤러 60: 박리지 합지수단 61: 합지롤러
62: 실린더 63: 피스톤축 70: 박리지롤
80: 가이드롤러 90: 패드원단롤 100: 베이스프레임
100a: 동력전달부 101: 모터 102: 체인
a: 부직포 b: 박리지 c: 분말
본 발명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이용하여 신경통 및 근육통 등의 진통완화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높으며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광물질 분말이나 또는 한약제 분말을 패드의 접착성 부직포위에 도포하여 사용자의 환부에 분말이 직접 접촉되게 붙임으로서 환부에 가해지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건강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근육통이나 신경통 등의 환부에 부착하는 종래의 패드에 는 습포제와 파스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같은 습포제와 파스는 대부분 사각형태를 갖는 접착성 부직포의 한쪽 면에 약품이 혼합된 점착제를 도포한 다음 부직포와 점착제 위에 박리지를 부착하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습포제나 파스 등은 일반적으로 소염 진통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체의 환부에 부착하면 점착제에 함유된 약품 성분이 환부의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소염 진통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종래의 파스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나트륨, 솔비톨(sorbit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glycol), 젤라틴(gelatin)등을 포함한 약제와, ℓ-멘톨(menthol), ㎗-캠퍼(campher) 및 박화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염 진통효과를 갖는 약제와, 점착성 물질을 혼합한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한방 약제가 요통과 경부통, 견통 등에 대해 진통, 진양, 수렴, 소염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약제로는 황백 연조엑스, 산치자 연조엑스, 산초 연조엑스 등을 접착 물질과 혼합하여 신체의 환부에 붙이는 방식의 한방 패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패드는 장시간 사용시 발진, 발작, 가려움, 피부염 등이 발생하는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피부환자의 경우에는 부작용이 발생하여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약제가 도포된 접착성 부직포를 신체의 환부에 붙임으로서 약효가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러한 종류의 패드는 그 약효가 피부속으로 충분하게 침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소염 진통효과의 약품 성분이 점착성 물질에 함유되어 있으므로 약제가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못하여 피부속으로 충분하게 침투하지 못하는 한편 약품과 접착제의 특이한 냄새가 패드 사용자 및 주변 사람들의 후각에 불쾌한 자극을 주는 것이다.
또한 한방 패드의 경우는 약제가 봉지형태의 시트안에 밀봉되어 있으므로 피부와의 접촉이 충분치 못하여 약제의 효능이 피부속으로 충분하게 침투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체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 작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원적외선의 방사제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원적외선은 인체의 피부 표면으로부터 100㎛ 깊이에 이르기까지 침투하여 원자와 분자의 진동을 일으키고, 체내에서는 열반응이 일어나 피하조직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증진, 세포조직 부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원적외선과 더불어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음이온은 마이너스(-) 전기를 띈 미립자로서 음이온은 인체를 약 알카리성 체질로 변화시켜 호흡과 혈압을 안정시켜서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패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에 아무런 해가 없고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매우 높으며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광물질 분말이나 또는 한약제 분말을 패드의 접착성 부직포위에 도포하여 사용자의 환부에 분말이 직접 접촉되게 붙임으로서 환부에 가해지는 원적외선과 음이 온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소염 진통효과를 높이는 건강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부직포의 접착면에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매우 높고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제 분말을 붙여서 도포하여 제조하고, 부직포에 도포된 분말이 사용자의 환부에 직접 접촉되게 패드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환부에 가해지는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한층 높이고, 음이온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높고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광물질이나 또는 한약제 분말을 부직포에 도포하여 제조한 건강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도 1 내지 도 13 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강패드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제품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방법의 특징을 도면의 도 1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건강패드 제조방법의 특징은; 부직포(a)와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 투입공정(1)과; 상기 원단 투입공정(1)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단에서 부직포(a)와 박리지(b)를 상호 분리하는 박리지 분리공정(2)과; 상기 박리지 분리공정(2)을 통하여 박리지(b)와 분리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분말(c)을 붙여서 도포하는 분말 도포공정(3)과; 상기 분말 도포공정(3)을 통하여 공급되는 부직포(a)에서 분말(c)이 도포된 접착면에 박리지(b)를 부착하여 패드원단을 만드는 박리지 합지공정(4)과; 상기 박리지 합지공정(4)을 통하여 공급되는 패드원단을 소정크기의 건강패드로 재단하는 절단공정(5)과; 상기 절단공정(5)을 통하여 소정크기로 재단된 건강패드를 포장지에 담는 포장공정(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a)는 일반적으로 면소재로서 100% 면으로 된 소재는 흡수성과 통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약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합성섬유가 혼합된 부직포도 적용 가능하며, 한쪽 면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면을 이루고, 부직포(a)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박리지(b)는 부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부착면이 필름으로 코팅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분말(c)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은 원적외선의 방사율과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광물질로서 특히, 토르마린(tourmaline)은 미세한 열에 의해 입자가 전기를 발생시켜 미약 전류를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기석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세라믹 물질이다.
이러한 미약 전류를 발생하는 토르마린은 체세포를 활성화시켜 주고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매우 높으며 강력한 이온을 발생하고 보온효과를 촉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토산(chitosan)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인체 내에 있는 당류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적합성이 높고 인체의 항균성과 면역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으며 독성이 전혀 없고 무해한 물질로서, 키토산은 약산에 녹기 쉬우며 인체 내에서는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되어 쉽게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소 화기관이나 피부로부터 쉽게 흡수될 뿐만 아니라 모든 세포에 침투해서 이를 활성화하고 면역세포에 활력을 부여하여 자연 치유력을 높여 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진 키토산은 최근에 약품재료의 신소재와 혼용될 경우 기능성 식품으로서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져 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하 황토와 맥반석은 이미 널리 공지된 물질로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분말(c)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반 한약제로 사용되는 인삼, 황백, 산치자, 산초, 당귀 등을 주원료로 농축시킨 다음, 농축액을 고형화시켜 미세한 입자로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약제 분말(c)은 효능이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소염 진통, 타박상, 근육통, 관절통, 골절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원단 투입공정(1)은 소정면적의 폭을 갖는 부직포(a)의 한쪽 접착면에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으로서, 부직포(a)와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은 일반적으로 원단의 제조과정에서 원통형태의 롤로 감겨져 제조된 다음 롤에서 서서히 풀려 연속적으로 투입된다.
원단 투입공정(1)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단은 박리지 분리공정(2)에서 부직포(a)와 박리지(b)가 상호 분리되며, 상기 박리지 분리공정(2)에서 박리지(b)가 분리된 부직포(a)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부직포(a)와 분리된 박리지(b)는 박리지 롤링공정(7)으로 이송되어 원통형태의 롤로 감겨진 다음 재활 용된다.
박리지 분리공정(2)에서 박리지(b)가 분리된 부직포(a)는 분말 도포공정(3)으로 투입되며, 여기서 부직포(a)의 접착면에 미세한 입자의 분말(c)이 도포된다.
상기 분말 도포공정(3)에 미세한 입자로 분말화된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이나 또는 한약제 분말(c)이 소모량 만큼 지속적으로 투입되어 분말 도포공정(3)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미세한 입자의 분말(c)은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달라 붙어서 도포됨으로 분말 도포공정(3)이 완료된 후 부직포(a)의 접착면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에서 접착면에 건강패드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분말(c)이 연속해서 도포된 부직포(a)는 박리지 합지공정(4)으로 투입되어 분말(c)이 도포된 접착면에 박리지(b)가 부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박리지(b)는 접착면에 도포된 분말(a)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박리지 합지공정(4)에서 부직포(a)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박리지(b)는 박리지 투입공정(8)에서 공급되며, 박리지 투입공정(8)은 원통형태로 감긴 롤에서 박리지(b)가 풀려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리지 롤링공정(7)에서 부직포(a)와 분리되어 원통형태로 감긴 박리지(b)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박리지 합지공정(4)에서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다수의 분말(c)이 도포된 부직포(a)의 접착면에 박리지(b)가 부착되어 패드원단이 제조되며, 상기 패드원단은 절단공정(5)으로 이송되어 부직포(a)의 접착면에 도포된 분말(c)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재단되어 소정크기의 건강패드로 제조된다.
상기 절단공정(5)에서 소정크기로 재단된 건강패드는 포장공정(6)에서 수개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포장지에 담아 포장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강패드 제조방법은 원단 투입공정(1)에서 부직포(a)와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을 박리지 분리공정(2)으로 연속해서 공급하고, 박리지 분리공정(2)에서 부직포(a)와 박리지(b)를 상호 분리한 다음 박리지(b)는 박리지 롤링공정(7)에서 원통형태의 롤로 감고, 부직포(a)는 분말 도포공정(3)으로 공급되며, 상기 분말 도포공정(3)에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이나 한약제 분말(c)이 도포된다.
위에서 접착면에 분말(c)이 도포된 부직포(a)는 다음 공정인 박리지 합지공정(4)으로 공급되고, 여기서 분말(c)이 도포된 접착면에 박리지(b)가 부착되어 패드원단이 제조되며, 상기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패드원단은 절단공정(5)에서 소정크기의 건강패드로 재단된 다음 포장공정(6)에서 수개를 하나의 세트로 포장지에 담아 포장작업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면의 도 2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건강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은; 부직포(a)에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겨져 베이스프레임(100)의 한쪽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원단롤(10)과; 상기 원단롤(10)이 회전되어 원단이 공급되고 박리지(b)와 부직포(a)가 감겨져 회전하면서 상호 분리되는 한쌍의 분리롤러(20)와; 상기 분리롤러(20)에서 부직포(a)와 분리된 박리지(b)가 원통형태로 감기며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박리지롤(30)과; 상기 분리롤러(20)에서 박리지(b)가 분리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분말(c)을 붙여서 도포하는 분말 도포수단(40)과; 상기 분말 도포수단(40)을 거쳐 분말(c)이 도포된 부직포(a)가 감겨져 한쪽으로 이송되는 안내롤러(50)와; 안내롤러(50)를 통하여 공급되는 부직포(a)에서 분말(c)이 도포된 접착면에 박리지(b)를 부착하는 박리지 합지수단(60)과; 상기 박리지 합지수단(60)에 박리지(b)를 공급하고 원통형태로 박리지(b)가 감겨져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박리지롤(70)과; 합지수단(70)을 거쳐 부직포(a)에 박리지(b)가 부착된 패드원단이 감겨져 이송되는 가이드롤러(80)와; 가이드롤러(80)에서 공급되는 패드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겨지며 원단롤(10)의 대향쪽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패드원단롤(90)과; 모터(101)의 동력을 수개의 체인(102)과 스프라켓으로 전달시켜 박리지(b)가 감기는 박리지롤(70)과 패드원단이 감기는 패드원단롤(90)이 회전하게 구성된 동력전달부(100a);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원단롤(10)은 소정높이를 갖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한쪽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직포(a)에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겨져 설치되고, 원단롤(10)에서 원단이 풀리면서 공급되며, 원단이 풀려 공급되는 안쪽으로 이송롤러(11)가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공급되는 원단을 안내한다.
한편 분리롤러(20)는 부직포(a)와 박리지(b)를 상호 분리시키기 위한 기능으로서, 이송롤러(11)에서 안쪽 상부에 위치하게 상하 한쌍의 분리롤러(20)를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한다.
상기 분리롤러(20)에서 상측부에는 부직포(a)와 분리된 박리지(b)가 원통형태로 감기는 박리지롤(30)이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또한 분리롤러(20)에서 안쪽 하측부에는 부직포(a)의 접착면에 분말(c)을 도포하는 분말 도포수단(40)이 설치된다.
한쌍의 분리롤러(20) 사이에 물려 공급되는 원단은 부직포(a)와 박리지(b)로 분리되어 분리롤러(20)에 감겨진 다음 상측부의 박리지롤(30)에 박리지(b)가 원통형태로 감기고, 부직포(a)는 분말 도포수단(40)의 도포드럼(41)에 감겨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이나 한약제 분말(c)이 접착면에 도포된다.
부직포(a)의 접착면에 분말(c)을 도포하는 분말 도포수단(40)을 도면의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부에 공간이 주어지고 외주면에 건강패드의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도포공(42)이 형성된 한편 양측면에 샤프트(41a)가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00)에 장착된 베어링브라켓(43)에 회전이 자유롭게 원통형태의 도포드럼(41)이 설치되고, 상기 도포드럼(41)의 내부로 분말(c)을 투입하도록 내부에 스크류(47)가 장착된 이송관(45)이 샤프트(41a)에 끼워져 도포드럼(41)의 내부로 설치되며, 이송관(45)의 외측에 분말(c)이 공급되는 호퍼(44)와 스크류(47)를 회전시키는 모터(46)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의 분말 도포수단(40)은 호퍼(44)에 분말(c)이 공급된 상태에서 모터(46)가 구동하여 스크류(47)가 회전함에 따라 도포드럼(41)의 내부로 분말(c)이 투입되며, 건강패드의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도포공(42)이 형성된 도포드럼(41)의 외주면에 부직포(a)의 접착면이 감겨져 회전함에 따라 도포드럼(41)의 내 부에 투입된 분말(c)이 도포드럼(41)의 회전시 도포공(42)을 통하여 부직포(a)의 접착면에 달라붙어서 도포공(42)의 크기와 형상으로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 도포드럼(41)의 상측부에는 안내롤러(50)가 위치하여 분말(c)이 도포된 부직포(a)를 한쪽으로 이송하여 박리지(b)를 부착하는 박리지 합지수단(60)으로 공급하며, 상기 박리지 합지수단(60)을 도면의 도 8 과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박리지 합지수단(60)은 상하 한쌍으로 합지롤러(61)(61a)가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한 합지롤러(61)는 샤프트(65)가 실린더(62)의 피스톤축(63)에 장착된 이송부재(64)에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실린더(62)와 피스톤축(63)의 가압력으로 하부에 위치한 합지롤러(61a)에 가압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서 분말(c)이 도포된 부직포(a)의 접착면에 박리지(b)를 부착하게 된다.
박리지 합지수단(60)에 사용되는 박리지(b)의 공급은 합지롤러(61)(61a)의 상측부에 위치하게 베이스프레임(100)에 박리지롤(70)을 회전가능케 설치하여 원통형태로 감긴 박리지(b)가 풀리면서 박리지 합지수단(60)으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합지롤러(61)(61a)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의 가이드롤러(80)가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가이드롤러(80)는 박리지 합지수단(60)을 거쳐 부직포(a)의 접착면에 박리지(b)가 부착된 패드원단이 감겨져 이송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패드원단을 패드원단롤(90)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부직포(a)의 접착면에 박리지(b)가 부착된 패드원단이 감기는 패드원단롤(90)은 가이드롤러(80)에서 공급되는 패드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기며, 원단롤(10) 의 대향쪽에 위치하게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a)와 분리된 박리지(b)를 감는 박리지롤(30)과, 패드원단을 감는 패드원단롤(90)을 구동시키는 동력원인 모터(101)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01)와 베이스프레임(100)에 수개의 체인(102)과 스프라켓이 설치되어 모터(101)의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박리지롤(30)과 패드원단롤(90)의 일측에 기어 및 스프라켓이 설치되어 구동하게 된다.
상기의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패드원단은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적정크기의 건강패드로 재단된 다음 포장작업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패드의 구성을 도면의 도 12 와 도 1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건강패드의 구성은,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소염 진통제의 약품이 함유된 점착성 물질이 부착되고, 부직포(a)의 접착면과 점착성 물질 위에 박리지(b)가 부착된 기존의 패드에 있어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원적외선의 방사와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을 주원료로 한 분말(c)을 붙여서 도포하고, 부직포(a)의 접착면과 도포된 분말(c) 위에 박리지(b)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건강패드는 분말(c)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약제로 사용되는 인삼, 황백, 산치자, 산초, 당귀 등을 주원료로 농축한 분말(c)을 부직포(a)의 접착면에 붙여서 도포할 수 있다.
상기의 한약제는 농축액을 고형화시킨 다음, 이를 미세한 입자로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약제 분말(c)은 효능이 피부속으로 쉽게 침투하여 소염 진통, 타박상, 근육통, 관절통, 골절통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강패드는 도 13 과 같이 사용자의 환부에 분말(c)이 직접 접촉되게 부직포(a)를 붙여서 사용함으로서, 환부에 가해지는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한층 높이고, 음이온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한약제의 효능이 피부속으로 충분히 침투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포의 접착면에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매우 높고,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 등의 광물질 분말이나 한약제 분말을 붙여서 도포하여 제조하고, 부직포에 도포된 분말이 사용자의 환부에 직접 접촉되게 패드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환부에 가해지는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한층 높이고, 음이온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한약제의 효능이 피부속으로 충분히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8)

  1. 부직포(a)와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단 투입공정(1)과; 상기 원단 투입공정(1)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단에서 부직포(a)와 박리지(b)를 상호 분리하는 박리지 분리공정(2)과; 상기 박리지 분리공정(2)을 통하여 박리지(b)와 분리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분말(c)을 붙여서 도포하는 분말 도포공정(3)과; 상기 분말 도포공정(3)을 통하여 공급되는 부직포(a)에서 분말(c)이 도포된 접착면에 박리지(b)를 부착하여 패드원단을 만드는 박리지 합지공정(4)과; 상기 박리지 합지공정(4)을 통하여 공급되는 패드원단을 소정크기의 건강패드로 재단하는 절단공정(5)과; 상기 절단공정(5)을 통하여 소정크기로 재단된 건강패드를 포장지에 담는 포장공정(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박리지 분리공정(2)에서 부직포(a)와 분리된 박리지(b)를 원통형태로 감는 박리지 롤링공정(7)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박리지 합지공정(4)에서 부직포(a)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박리지(b)를 공급하기 위한 박리지 투입공정(8)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의 제조방법.
  4. 부직포(a)에 박리지(b)가 부착된 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겨져 베이스프레임(100)의 한쪽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원단롤(10)과; 상기 원단롤(10)이 회전되어 원단이 공급되고 박리지(b)와 부직포(a)가 감겨져 회전하면서 상호 분리되는 한쌍의 분리롤러(20)와; 상기 분리롤러(20)에서 부직포(a)와 분리된 박리지(b)가 원통형태로 감기며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박리지롤(30)과; 상기 분리롤러(20)에서 박리지(b)가 분리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분말(c)을 붙여서 도포하는 분말 도포수단(40)과; 상기 분말 도포수단(40)을 거쳐 분말(c)이 도포된 부직포(a)가 감겨져 한쪽으로 이송되는 안내롤러(50)와; 안내롤러(50)를 통하여 공급되는 부직포(a)에서 분말(c)이 도포된 접착면에 박리지(b)를 부착하는 박리지 합지수단(60)과; 상기 박리지 합지수단(60)에 박리지(b)를 공급하고 원통형태로 박리지(b)가 감겨져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박리지롤(70)과; 합지수단(70)을 거쳐 부직포(a)에 박리지(b)가 부착된 패드원단이 감겨져 이송되는 가이드롤러(80)와; 가이드롤러(80)에서 공급되는 패드원단이 원통형태로 감겨지며 원단롤(10)의 대향쪽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패드원단롤(90)과; 모터(101)의 동력을 수개의 체인(102)과 스프라켓으로 전달시켜 박리지(b)가 감기는 박리지롤(70)과 패드원단이 감기는 패드원단롤(90)이 회전하게 구성된 동력전달부(10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분말 도포수단(40)은 내부에 공간이 주어지고 외주면에 건강패드의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도포공(42)이 형성된 한편 양측면에 샤프트(41a)가 돌출 형성되어 부직포(a)의 접착면이 감기는 원통형태의 도포드럼(41)이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도포드럼(41)의 내부로 스크류(47)가 장착된 이송관(45)이 샤프트(41a)에 끼워져 설치되며, 이송관(45)의 외측에 분말(c)이 공급되는 호퍼(44)와 스크류(47)를 회전시키는 모터(4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박리지 합지수단(60)은 상하 한쌍으로 합지롤러(61)(61a)가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한 합지롤러(61)는 샤프트(65)가 실린더(62)의 피스톤축(63)에 장착된 이송부재(64)에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실린더(62)와 피스톤축(63)의 가압력으로 하부에 위치한 합지롤러(61a)에 가압 밀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7.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소염 진통제의 약품이 함유된 점착성 물질이 부착되고, 부직포(a)의 접착면과 점착성 물질 위에 박리지(b)가 부착된 기존의 패드에 있어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원적외선의 방사와 음이온의 특성을 갖는 토르마린, 키토산, 황토, 맥반석을 주원료로 한 분말(c)을 붙여서 도포 하고, 부직포(a)의 접착면과 도포된 분말(c) 위에 박리지(b)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부직포(a)의 접착면에 인삼, 황백, 산치자, 산초, 당귀를 주원료로 농축한 한약제 분말(c)을 붙여서 도포하고, 부직포(a)의 접착면과 도포된 분말(c) 위에 박리지(b)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패드.
KR1020040090506A 2004-11-08 2004-11-08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KR10063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06A KR100632376B1 (ko) 2004-11-08 2004-11-08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06A KR100632376B1 (ko) 2004-11-08 2004-11-08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424A true KR20060041424A (ko) 2006-05-12
KR100632376B1 KR100632376B1 (ko) 2006-10-09

Family

ID=3714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506A KR100632376B1 (ko) 2004-11-08 2004-11-08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3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59B1 (ko) * 2007-04-04 2008-06-13 주식회사 한국목초 인삼 분말이 내장된 패드
KR100923875B1 (ko) * 2009-03-26 2009-10-28 김효숙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방법
KR100923876B1 (ko) * 2009-03-26 2009-10-28 김효숙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CN114523681A (zh) * 2022-04-01 2022-05-24 四川艾医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可替换滤芯口罩的柔性贴面体自动粘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077B1 (ko) 2007-07-30 2009-07-02 정영철 황토 부직포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59B1 (ko) * 2007-04-04 2008-06-13 주식회사 한국목초 인삼 분말이 내장된 패드
KR100923875B1 (ko) * 2009-03-26 2009-10-28 김효숙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방법
KR100923876B1 (ko) * 2009-03-26 2009-10-28 김효숙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CN114523681A (zh) * 2022-04-01 2022-05-24 四川艾医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可替换滤芯口罩的柔性贴面体自动粘贴装置
CN114523681B (zh) * 2022-04-01 2024-04-19 四川艾医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可替换滤芯口罩的柔性贴面体自动粘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376B1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327B1 (ko)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US8790384B2 (en) Skin patch laminate body
KR100632376B1 (ko) 건강패드의 제조장치
KR101653332B1 (ko) 바이오 패드
CN110652394A (zh) 双层蒸汽眼罩及其制备方法
KR100923876B1 (ko)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장치
KR100923875B1 (ko) 수용성점착제를 이용한 건강패드 제조방법
CN203694152U (zh) 一种药艾条贴剂
EP1786481B1 (de) Kompresse für die kombinierte applikation von naturheilstoffen und elektromagnetischen strahlungen
CN201658747U (zh) 远红外舒肝贴
KR101836104B1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0397691Y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건강패드
CN101601692A (zh) 治疗盗汗的双面外用贴剂
KR100853341B1 (ko)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강 파스
CN111789712B (zh) 制造吸收性物品的方法
KR101666723B1 (ko) 음이온과 약재성분이 방출되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힐링웨어
KR101004140B1 (ko)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외용제의 제조방법
KR101154328B1 (ko)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무좀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CN205215766U (zh) 一种风湿膏药贴
KR200376534Y1 (ko) 황토 성분과 알로에 및 쑥 성분이 포함된 위생 커버
US5906829A (en) Poultice comprising a titanium-based material
JP2004346037A (ja) 健康増進シート及びその利用
JP2007185397A (ja) 発熱体の製造方法及び発熱体
CN211634857U (zh) 一种穴位敷贴
JP2011088846A (ja) 鎮痛作用を有する患部貼付剤と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