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373B1 - 주방용 수전 - Google Patents

주방용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373B1
KR102209373B1 KR1020190070712A KR20190070712A KR102209373B1 KR 102209373 B1 KR102209373 B1 KR 102209373B1 KR 1020190070712 A KR1020190070712 A KR 1020190070712A KR 20190070712 A KR20190070712 A KR 20190070712A KR 102209373 B1 KR102209373 B1 KR 10220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ucet
cold water
flow path
pow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003A (ko
Inventor
홍기욱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37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분기구가 수전 본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전 내부의 냉수측 유로를 양방향으로 분기시켜 정수기 위치에 따라 좌우측 모두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정수기나 식기세척기 등을 냉측 밸브에 별도의 어뎁터를 사용하여 연결할 필요없이, 수전 몸체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수전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수전의 외형을 구성하며 냉수 및 온수가 따로 유입되고 혼합수는 토출되도록 구성되어진 수전바디(2)와; 상기 수전바디(2)의 내부에 위치하며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거나, 혼합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수전 밸브(1)와; 수전 밸브(1)로 부터 수로 및 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손잡이(3)로 구성되는 주방용 수전에 있어서,
상기 수전밸브(1)에서 냉수측 관로(11)와 온수측 관로(12)와 혼합수 관로(13)가 일체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냉수측 관로(11)에는 바이패스 유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4)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밸브(1)의 내부에는 저수공간(15)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15)이 위치한 수전바디(2)의 측부에는 분기공(16)이 형성되므로, 상기 저수공간(15)에 있던 냉수는 상기 분기공(16)을 통해 수전바디(2)의 외측에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용 수전{Kitchen faucet}
본 발명은 양방향 분기구가 수전 본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전 내부의 냉수측 유로를 양방향으로 분기시켜 정수기 위치에 따라 좌우측 모두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정수기나 식기세척기 등을 냉측 밸브에 별도의 어뎁터를 사용하여 연결할 필요없이, 수전 몸체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수전에 관한 것이다.
수전 내부에는 카트리지(Cartridge)가 구비되어 있는데, 수도밸브 카트리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레버 조작에 의해 배수토록 하되, 냉수와 온수를 선별적으로 배출시키거나 혼합하여 적정온도와 적정량으로 배출토록 하는 장치이다.
수도밸브 카트리지는 대개 수온을 조절하는 용도와, 유로를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내부에 냉수와 온수가 따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수와 온수를 적절히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기 위한 수온조절 레버부와; 냉, 온수의 혼합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거나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 레버부로 구분된다.
주방에서는 주방용 수전 외에도 물을 사용하는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가 있다.
이들은 냉수 공급을 필요로 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하부에 위치한 냉측밸브(300)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야하는데,
상기 냉측밸브(300)에는 이미 주방수전에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전 호스(500)가 연결되어있으므로, 냉수를 분기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어뎁터(400)를 상기 냉측밸브(300)에 결합하여 사용해야한다.
상기 어뎁터(400)의 입구는 냉측밸브(300)에 연결되며, 출구는 2개로 분기형성되므로 한개는 주방수전에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전호스(500)에 연결되고, 나머지 한개는 정수기에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 호스(6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 구조에서는 냉수를 분기 공급하기 위한 수단, 즉 어뎁터(400)가 싱크대 내부에 위치하므로,
정수기를 새로 설치하거나 이동하고자할 경우 그 작업이 불편하고, 전문가가 아니면 작업이 곤란하며 작업시간도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냉수를 분기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싱크대 내부에 위치하지않고, 외부 노출되는 수전바디에 위치함으로써, 정수기를 새로 설치하거나 이동하고자할 경우 그 작업이 간편하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시간도 오래걸리지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수전의 외형을 구성하며 냉수 및 온수가 따로 유입되고 혼합수는 토출되도록 구성되어진 수전바디와; 상기 수전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며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거나, 혼합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수전 밸브와; 수전 밸브로 부터 수로 및 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되는주방용 수전에 있어서,
상기 수전밸브에서 냉수측 관로와 온수측 관로와 혼합수 관로가 일체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냉수측 관로에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밸브의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이 위치한 수전바디의 측부에는 분기공이 형성되므로, 상기 저수공간에 있던 냉수는 상기 분기공을 통해 수전바디의 외측에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공간을 매개로 상기 내수측 관로의 바이패스 유로와 분기공이 연결된 구조이므로, 냉수측 관로를 통해 공급된 냉수는 토수구까지 그대로 공급되거나,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저수공간을 거쳐 상기 분기공으로도 분기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분기공은 수전바디의 좌우측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기공의 내측 선단에는 너트가 형성되므로,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냉수 공급용 호스의 선단부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 등을 분기 연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분기공이 패쇄된 상태가 되어야할 것이므로, 평소에는 상기 분기공에 캡이 결합되어 폐쇄되어진 상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서는,
냉수를 분기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싱크대 내부에 위치하지않고, 외부 노출되는 수전바디에 위치함으로써, 정수기를 새로 설치하거나 이동하고자할 경우 그 작업이 간편하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시간도 오래걸리지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주방용 수전에서의 냉수 분기 공급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요부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요부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냉수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종단면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요부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요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수전은, 기본적으로 수전의 외형을 구성하며 냉수 및 온수가 따로 유입되고 혼합수는 토출되도록 구성되어진 수전바디(1)와; 상기 수전바디(2)의 내부에 위치하며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거나, 혼합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수전 밸브(1)와; 수전 밸브(1)로 부터 수로 및 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손잡이(3)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전바디(1)는 내부에 수전밸브(1)를 수용하고 외부 노출되어지는 부분으로서, 대개 중공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전밸브(1)는 상기 수전바디(1) 내부에 위치하며,
냉, 온수가 따로 유입되어 혼합되고, 혼합수는 토수구(4)를 통해 토출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전밸브(1)에는 냉수측 관로(11) 및 온수측 관로(12)가 입구측에 연결되고, 혼합수 관로(13)는 출구측에 연결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방용 수전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수전밸브(1)에서 냉수측 관로(11)와 온수측 관로(12)와 혼합수 관로(13)는 일체로 구성되고,
냉, 온수 또는 혼합수가 통과할 시에 바이패스되지않게 구성되어있으므로, 수전바디를 통해서는 물이 분기 공급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있는데 비해,
본원발명은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전밸브(1)에서 냉수측 관로(11)와 온수측 관로(12)와 혼합수 관로(13)가 일체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냉수측 관로(11)에는 바이패스 유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4)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밸브(1)의 내부에는 저수공간(15)이 형성된다.
상기 저수공간(15)이 위치한 수전바디(2)의 측부에는 분기공(16)이 형성되므로, 상기 저수공간(15)에 있던 냉수는 상기 분기공(16)을 통해 수전바디(2)의 외측에 직접 공급될 수 있게된다.
즉, 상기 저수공간(15)을 매개로 상기 내수측 관로(11)의 바이패스 유로(14)와 분기공(16)이 연결된 구조이므로,
냉수측 관로(11)를 통해 공급된 냉수는 토수구(4)까지 그대로 공급되거나, 상기 바이패스 유로(14)와 저수공간(15)을 거쳐 상기 분기공(16)으로도 분기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기공(16)은 수전바디(2)의 측부에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겠으나,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전바디(2)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이 복수로 형성할 경우에는 정수기뿐만 아니라 식기세척기 등도 함께 연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분기공(16)의 내측 선단에는 너트가 형성되므로,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냉수 공급용 호스의 선단부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수전에 정수기 등을 분기 연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분기공(16)이 패쇄된 상태가 되어야할 것이므로, 평소에는 상기 분기공(16)에 캡(17)이 결합되어 폐쇄되어진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냉수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종단면 사용상태도로서,
냉수가 냉수측 관로(11)를 통해 수전밸브(1) 내부로 공급되면,
그 일부가 상기 냉수측 관로(11)의 바이패스 유로(14)를 통해 빠져나와 저수공간(15)에 모이게되며,
상기 저수공간(15)에 있던 냉수는 수전바디(2)의 좌우측에 위치한 분기공(16)을 통해 외부에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기공(16)은 비사용중에는 캡(17)으로 폐쇄되고 사용부위만 개방될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모두 폐쇄되거나, 어느 하나만 개방되거나, 모두 개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냉수를 분기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싱크대 내부에 위치하지않고, 외부 노출되는 수전바디(2)에 위치함으로써, 정수기를 새로 설치하거나 이동하고자할 경우 그 작업이 간편하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시간도 오래걸리지않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수전밸브 2 : 수전바디
3 : 손잡이 4 : 토수구
11 : 냉수측 관로 12 : 온수측 관로
13 : 혼합수 관로 14 : 바이패스 유로
15 : 분기공 17 : 캡

Claims (5)

  1. 기본적으로 수전의 외형을 구성하며 냉수 및 온수가 따로 유입되고 혼합수는 토출되도록 구성되어진 수전바디(2)와; 상기 수전바디(2)의 내부에 위치하며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거나, 혼합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수전 밸브(1)와; 수전 밸브(1)로 부터 수로 및 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손잡이(3)로 구성되는 주방용 수전에 있어서,
    상기 수전밸브(1)에서 냉수측 관로(11)와 온수측 관로(12)와 혼합수 관로(13)가 일체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냉수측 관로(11)에는 바이패스 유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4)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밸브(1)의 내부에는 저수공간(15)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15)이 위치한 수전바디(2)의 측부에는 분기공(16)이 좌우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저수공간(15)에 있던 냉수는 수전바디(2) 좌우측에 위치한 분기공(16)을 통해 외부에 토출될 수 있을 것인데,
    상기 좌우의 분기공(16)은 비사용중에는 캡(17)으로 폐쇄되고 사용부위만 개방될 것이므로, 모두 폐쇄된 상태, 좌우의 어느 하나만 개방된 상태, 모두 개방된 상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15)을 매개로 상기 냉수측 관로(11)의 바이패스 유로(14)와 분기공(16)이 연결된 구조이므로, 냉수측 관로(11)를 통해 공급된 냉수는 토수구(4)까지 그대로 공급되거나, 상기 바이패스 유로(14)와 저수공간(15)을 거쳐 상기 분기공(16)으로도 분기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수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공(16)의 내측 선단에는 너트가 형성되므로,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냉수 공급용 호스의 선단부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수전.
  5. 삭제
KR1020190070712A 2019-06-14 2019-06-14 주방용 수전 KR102209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12A KR102209373B1 (ko) 2019-06-14 2019-06-14 주방용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12A KR102209373B1 (ko) 2019-06-14 2019-06-14 주방용 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03A KR20200143003A (ko) 2020-12-23
KR102209373B1 true KR102209373B1 (ko) 2021-01-29

Family

ID=7408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712A KR102209373B1 (ko) 2019-06-14 2019-06-14 주방용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688B1 (ko) 2021-04-23 2021-10-28 이우종 귀사문석이 포함된 멀티 이온아이저 주방용 수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0823B2 (ja) 1995-04-26 1997-10-08 株式会社ナニワ製作所 横向きの分岐出口および入口をもつシングルレバ−式湯水混合栓
JP3026769B2 (ja) 1997-02-21 2000-03-27 株式会社ナニワ製作所 既設混合栓に追加する横向き分岐口アタッチメント
JP2002004363A (ja) * 2000-06-23 2002-01-09 Kvk Corp 分岐口付台付き水栓
JP5406521B2 (ja) 2008-12-26 2014-02-05 ヤンマー株式会社 分岐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0823B2 (ja) 1995-04-26 1997-10-08 株式会社ナニワ製作所 横向きの分岐出口および入口をもつシングルレバ−式湯水混合栓
JP3026769B2 (ja) 1997-02-21 2000-03-27 株式会社ナニワ製作所 既設混合栓に追加する横向き分岐口アタッチメント
JP2002004363A (ja) * 2000-06-23 2002-01-09 Kvk Corp 分岐口付台付き水栓
JP5406521B2 (ja) 2008-12-26 2014-02-05 ヤンマー株式会社 分岐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688B1 (ko) 2021-04-23 2021-10-28 이우종 귀사문석이 포함된 멀티 이온아이저 주방용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03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7720C2 (ru) Смеситель для ванны с трехходовым переключением
KR102209373B1 (ko) 주방용 수전
KR102209374B1 (ko) 분기구가 위치가 회전 가능한 주방용 수전
KR102209375B1 (ko) 구스넥 타입의 주방용 수전
KR20130071343A (ko) 동결 방지 살포 막대
JPH02169933A (ja) バスユニット
CN210859903U (zh) 一种卫浴水龙头结构
JPS62204818A (ja) 給水濾過装置
KR940004308Y1 (ko) 전환용 분기관
CN216078438U (zh) 一种便于使用的分水阀
JP2604048Y2 (ja) 水処理器用流路切換装置
CN212177939U (zh) 一种带喷枪的龙头
JPS5915796Y2 (ja) 立型混合水栓に於ける湯水混合装置
JP3161953B2 (ja) ホースを備えたスプレー分岐混合栓
AU2009101084B4 (en) Water saving oxygenating shower head device
JPH0638938Y2 (ja) 水栓装置
RU2005131993A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водопроводный смеситель
KR200266612Y1 (ko) 수도전의 유로 구조
JP3100830U (ja) 浄水器接続具
JPH0148450B2 (ko)
FI84649B (fi) Sanitetsarmatur foer aostadkommande av dubbeldusch.
GB99133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ter mixing units
JP2587255Y2 (ja) 温冷水混合栓
KR200387324Y1 (ko) 분배수기를 이용한 냉·온수 혼합장치
JP2020063649A (ja) 水栓ボディ及びそれを備える両方向分岐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