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466B1 -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466B1
KR102208466B1 KR1020190072102A KR20190072102A KR102208466B1 KR 102208466 B1 KR102208466 B1 KR 102208466B1 KR 1020190072102 A KR1020190072102 A KR 1020190072102A KR 20190072102 A KR20190072102 A KR 20190072102A KR 102208466 B1 KR102208466 B1 KR 10220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
raw material
brick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293A (ko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김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만 filed Critical 김종만
Priority to KR102019007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4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1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8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two or more rams per mould
    • B28B3/086The rams working in different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의 공급으로부터 가압에 의한 벽돌 성형까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부; 상기 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전달되는 원료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틀을 구비하는 성형틀;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로 원료가 채워지면 상기 성형틀에 담긴 원료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하여 벽돌을 성형하는 상부 가압부; 및 상기 성형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로 원료가 채워지기 전에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하측으로 승강하며 밀폐시키고, 상기 상부 가압부에 의한 벽돌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된 벽돌과 함께 하강하여 성형된 벽돌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부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AUTOMATIC BRICK MAKING MACHINE WHIT VARIOUS MOLDING}
본 발명은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의 공급으로부터 가압에 의한 벽돌 성형까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작업에 의해 벽돌을 생산하던 재래식 벽돌제조방식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나 내구성이 크지 못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유압을 이용한 기계식 블록 제조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벽돌 제조 장치는, 원판부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회전에 회전관성을 갖는 상기 원판부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원판브레이크가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정밀한 제어가 요구됨에 따라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원판부에 부착된 성형틀은 그 높이가 일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벽돌을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벽돌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그 외면에 다양한 문양을 새겨 넣고자 하거나 빠른 건조를 위해 건조통기구멍을 형성하고자 한다면 상기 성형틀과 푸쉬판을 전부 교체하여 상기 성형틀의 형상과 푸쉬판의 구조를 모두 변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한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다양한 크기와 무늬를 가진 황토블럭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0-0005968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5605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의 공급으로부터 가압에 의한 벽돌 성형까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부; 상기 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전달되는 원료를 울 수 있도록 벽돌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틀을 구비하는 성형틀;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로 원료가 채워지면 상기 성형틀에 담긴 원료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하여 벽돌을 성형하는 상부 가압부; 및 상기 성형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로 원료가 채워지기 전에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하측으로 승강하며 밀폐시키고, 상기 상부 가압부에 의한 벽돌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된 벽돌과 함께 하강하여 성형된 벽돌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부 가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틀은, 상기 본체의 전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전달되는 원료를 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벽돌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가압부는, "П"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연결 설치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승하강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며 상기 성형틀에 담긴 원료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하는 가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홈을 형성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본체가 안착되며, 상기 체결홈과 대향하는 하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 바아를 구비하는 안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홈의 일측에서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체결 바아를 홈의 반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밀착 플레이트; 및 홈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 바아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체결 바아의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크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 바아와 대향하는 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가이드 돌기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바아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는, 상측에 안착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사각 플레이트; 및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안착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대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구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을 형성되며, 상기 사각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구체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 구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안착 구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와의 대향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구체가 열을 지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는, 지지된 상기 사각 플레이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회전 구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의 공급으로부터 가압에 의한 벽돌 성형까지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인해 제어가 용이하고 공정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무늬를 갖거나 건조통기구멍이 형성된 벽돌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안착 플레이트와 받침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체결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체결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지지 플레이트와 회전 지지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10)는, 본체(100), 원료 투입부(200), 성형틀(300), 상부 가압부(400) 및 하부 가압부(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벽돌 제조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부에 원료 투입부(200)가 형성되고, 전단 상부에 상부 가압부(400), 전단에 성형틀(300), 그리고 전단 하부에 하부 가압부(500)가 형성된다.
원료 투입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가 투입되며, 투입된 원료를 성형틀(300)로 전달한다.
여기서,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라 함은, 모르타르 상태의 원료를 지칭하는 것으로, 기타 황토 등과 같이 벽돌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성형틀(300)은, 본체(100)의 전단에 형성되며, 원료 투입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원료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틀을 구비한다.
상부 가압부(400)는, 성형틀(3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성형틀(300)로 원료가 채워지면 성형틀(300)에 담긴 원료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하여 벽돌을 성형한다.
하부 가압부(500)는, 성형틀(300)의 하측에 형성되며, 성형틀(300)로 원료가 채워지기 전에 성형틀(300)의 개방된 하측으로 승강하며 밀폐시키고, 상부 가압부(400)에 의한 벽돌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된 벽돌과 함께 하강하여 성형된 벽돌을 성형틀(300)로부터 분리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성형틀(300)은, 본체(100)의 전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원료 투입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원료를 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벽돌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료를 담기 위한 공간은, 상측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성형이 완료된 벽돌이 하측으로 하강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10)는,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의 공급으로부터 가압에 의한 벽돌 성형까지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인해 제어가 용이하고 공정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다양 한 크기와 다양한 무늬를 갖거나 건조통기구멍이 형성된 벽돌을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상부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가압부(400)는, 지지 프레임(410), 승하강 프레임(420), 승하강 구동부(430) 및 가압 프레임(44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410)은, "П"형태로 형성되고, 내측 공간을 따라 승하강 프레임(42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승하강 프레임(420)은, 지지 프레임(410)의 내측 공간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 구동부(430)의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며, 하측에 가압 프레임(440)이 설치된다.
승하강 구동부(430)는, 지지 프레임(410)과 승하강 프레임(420) 사이에 설치되며,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이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여 승하강 프레임(42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가압 프레임(440)은, 승하강 프레임(4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승하강 프레임(420)이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며 성형틀(300)에 담긴 원료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20)는, 본체(100), 원료 투입부(200), 성형틀(300), 상부 가압부(400), 하부 가압부(500), 안착 플레이트(600) 및 받침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0), 원료 투입부(200), 성형틀(300), 상부 가압부(400) 및 하부 가압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대(700)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에 설치되며, 상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홈(900)을 형성한다.
안착 플레이트(600)는, 받침대(7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본체(100)가 안착되며, 체결홈(900)과 대향하는 하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 바아(800)를 구비한다.
이때, 안착 플레이트(600)는, 본체(100)의 하측 각 모서리 등에 각각 설치되어 효율적으로 본체(100)를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체결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홈(900a)은, 밀착 플레이트(910) 및 피니언 기어(920)를 포함한다.
밀착 플레이트(910)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홈(900a)의 일측에서 탄성체(S)(예를 들어, 용수철 등)에 의하여 지지되며, 체결 바아(800)를 홈의 반대 방향, 즉 피니언 기어(920)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피니언 기어(920)는, 홈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체결 바아(8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체결 바아(800)의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크 기어(81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린 상태로 체결 바아(8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920)는, 체결홈(900a)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회전축(920a)이 물리는 정도에 따라 체결 바아(800)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축(920a)이 강하게 물리면 체결 바아(800)가 승강 또는 하강이 잘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회전축(920a)이 약하게 물리면 체결 바아(800)가 승강 또는 하강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920)는, 체결홈(900a)에서의 체결 바아(800)의 상하 운동 정도를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밀착 플레이트(910)는 체결 바아(800)와 대향하는 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가이드 돌기(911)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 바아(800)는 밀착 플레이트(910)와 대향하는 면에 가이드 돌기(911)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820)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바아(800)가 체결홈(900a)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있어, 가이드 돌기(911)가 슬라이딩 유도홈(8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도되어 체결 바아(80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고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체결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홈(900b)은, 고정 플레이트(930), 누름 플레이트(940), 팽창백(950), 밀대(960) 및 팽창액 공급탱크(970)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930)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홈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의 관통홀(931)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930)는, 체결 바아(800)와 대향하는 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가이드 돌기(932)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 바아(800)는 고정 플레이트(930)와 대향하는 면에 가이드 돌기(932)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820)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누름 플레이트(940)는, 고정 플레이트(930)와 팽창백(950)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관통홀(931)을 통과하여 체결 바아(800)를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돌기(941)가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며, 팽창백(950)이 팽창됨에 따라 체결 바아(800) 방향으로 이동되어 관통홀(931)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누름돌기(941)로 체결 바아(800)를 눌러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누름돌기(941)는, 하측에 위치하는 것일 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 바아(800)가 하강함에 따라 누름 플레이트(940)의 이동 거리도 늘어나게 되는데, 체결 바아(800)가 조금만 하강한 경우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누름돌기(941)에 의하여 조금 눌러지게 될 것이나, 체결 바아(800)가 최하단까지 하강하게 되면 최하측에 위치한 누름돌기(941)까지 체결 바아(800)를 눌러 체결 바아(800)가 체결홈(900b)에서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팽창백(950)은, 누름 플레이트(940)와 홈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팽창액이 공급되면 팽창하여 누름 플레이트(940)를 체결 바아(8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즉, 팽창백(950)은,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비닐팩 등과 같은 밀폐용기로 제작되며,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팽창액 공급탱크(970)로부터 공급되는 팽창액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너비가 t1으로부터 t2를 거쳐 t3까지 팽창하여 누름 플레이트(940)를 체결 바아(8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밀대(960)는, 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홈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고, 하부가 팽창액 공급탱크(97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체결 바아(800)가 홈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측을 누름에 따라 하강하여 팽창액 공급탱크(97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하부로 팽창액 공급탱크(970)에 담긴 팽창액을 주사기에 수용된 액체를 밀착시키듯이 밀착시켜 연결관(980)을 통해 팽창백(950)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팽창액 공급탱크(970)는, 밀폐된 내부 공간에 팽창액을 수용하여 두며, 밀대(960)의 하부가 상부에 배치되며, 밀대(960)가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긴 팽창액이 하측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하부로부터 팽창백(950)까지 연결된 연결관(980)을 통해 팽창백(950)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홈(900b)은, 체결 바아(800)가 체결홈(900b)에 삽입됨에 따라 체결홈(900)에 의한 체결 바아(800)의 체결을 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착 플레이트(600)에 안착된 본체(100)가 받침대(700)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인 벽돌의 제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30)는, 본체(100), 원료 투입부(200), 성형틀(300), 상부 가압부(400), 하부 가압부(500), 지지 플레이트(1000) 및 회전 지지대(1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0), 원료 투입부(200), 성형틀(300), 상부 가압부(400) 및 하부 가압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1000)는, 상측에 안착된 본체(100)를 지지하며, 회전 지지대(11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지지대(1100)는, 지지 플레이트(1000)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플레이트(100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30)는, 벽돌을 제조하고 있는 본체(100)로부터 상하 방향, 즉 수직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뒤틀림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킴으로써, 벽돌 제조에 따른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지지 플레이트와 회전 지지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1000)는, 사각 플레이트(1010) 및 안착 구체(1020)를 포함한다.
사각 플레이트(1010)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를 지지하며, 하측 중심 부분에 안착 구체(1020)가 설치된다.
안착 구체(1020)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 플레이트(1010)의 하측면에 설치되며, 안착홈(1130)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 지지대(1100)는, 상부 플레이트(1110), 하부 플레이트(1120) 및 안착홈(1130)을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110)는, 사각 플레이트(1010)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안착 구체(10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안착 구체(1020)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1112)을 형성되며, 사각 플레이트(10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1110)는, 상측에 지지된 사각 플레이트(1010)가 지지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회전 구체(11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1110)는, 회전 구체(1111)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구체(11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113)이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3)에 삽입된 회전 구체(1111)는, 상부 플레이트(1110)의 하측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부 플레이트(1120)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1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11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1120)는, 상부 플레이트(1110)의 하측 각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탄성체(1121)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1130)은, 안착 구체(10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부 플레이트(1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안착 구체(1020)가 안착된다.
이때, 안착홈(1130)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안착 구체(10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안착 구체(1020)와의 대향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구체(1131)가 열을 지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홈(1130)는, 회전 구체(1131)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구체(113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132)이 안착 구체(1020)와의 대향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100: 본체
200: 원료 투입부
300: 성형틀
400: 상부 가압부
500: 하부 가압부
600: 안착 플레이트
700: 받침대
800: 체결 바아
900: 체결홈
1000: 지지 플레이트
1100: 회전 지지대

Claims (10)

  1.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벽돌 제조를 위한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부;
    상기 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전달되는 원료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틀을 구비하는 성형틀;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로 원료가 채워지면 상기 성형틀에 담긴 원료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하여 벽돌을 성형하는 상부 가압부;
    상기 성형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틀로 원료가 채워지기 전에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하측으로 승강하며 밀폐시키고, 상기 상부 가압부에 의한 벽돌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된 벽돌과 함께 하강하여 성형된 벽돌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부 가압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홈을 형성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본체가 안착되며, 상기 체결홈과 대향하는 하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 바아를 구비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홈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 바아를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돌기가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는 누름 플레이트;
    상기 누름 플레이트와 홈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팽창액이 공급되면 팽창하여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상기 체결 바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팽창백;
    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홈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고, 상기 체결 바아가 홈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측을 누름에 따라 하강하는 밀대; 및
    밀폐된 내부 공간에 팽창액을 수용하여 두며, 상기 밀대의 하부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대가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긴 팽창액이 하측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하부로부터 상기 팽창백까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상기 팽창백으로 공급되는 팽창액 공급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팽창백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백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체결 바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 바아와 대향하는 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가이드 돌기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 바아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는,
    하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상기 본체의 전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전달되는 원료를 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벽돌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압부는,
    "П"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연결 설치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승하강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며 상기 성형틀에 담긴 원료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하는 가압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측에 안착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사각 플레이트; 및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안착 구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대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구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을 형성되며, 상기 사각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구체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 구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안착 구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와의 대향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구체가 열을 지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는, 지지된 상기 사각 플레이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회전 구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KR1020190072102A 2019-06-18 2019-06-18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KR10220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02A KR102208466B1 (ko) 2019-06-18 2019-06-18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02A KR102208466B1 (ko) 2019-06-18 2019-06-18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93A KR20200144293A (ko) 2020-12-29
KR102208466B1 true KR102208466B1 (ko) 2021-01-26

Family

ID=7409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02A KR102208466B1 (ko) 2019-06-18 2019-06-18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5999B (zh) * 2021-06-09 2022-04-12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制砖设备及制砖工艺
CN113697381A (zh) * 2021-09-15 2021-11-26 福建华工机械有限公司 一种高精度叠砌稳定型制砖机
KR102594115B1 (ko) * 2023-04-21 2023-10-24 양철승 4면 개방 파일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86B1 (ko) * 2016-12-22 2017-07-26 주식회사 문창 수평변위 복원이 가능한 유체저장탱크
KR101826893B1 (ko) 2017-09-19 2018-02-08 (주)아쿠아 스마트 pdf 물탱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190A (en) 1988-10-11 1993-04-06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ercutaneous pharmaceutical preparation
KR20000004634A (ko) * 1998-06-30 2000-01-25 이윤동 벽돌 성형기
KR19980056058U (ko) 1998-06-30 1998-10-07 한봉수 황토벽돌 성형제조기
KR101734052B1 (ko) * 2015-06-09 2017-05-11 김근식 블럭제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86B1 (ko) * 2016-12-22 2017-07-26 주식회사 문창 수평변위 복원이 가능한 유체저장탱크
KR101826893B1 (ko) 2017-09-19 2018-02-08 (주)아쿠아 스마트 pdf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93A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466B1 (ko) 다양한 성형이 가능한 자동 벽돌 제조 장치
US7735543B2 (en) Method of compacting support particulates
CN207273473U (zh) 一种连续装料的再生混凝土振动台
JP2005153533A (ja) 再結合フォームブロックを製造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CN109282637B (zh) 柱状陶瓷素坯干燥装置及干燥方法
KR20190005295A (ko) 3차원물체를 성형하는 3d 프린터
CN215881977U (zh) 一种快速成型陶瓷球素坯装置
JPS6258281B2 (ko)
US3970223A (en) Material metering units
EP12622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ingle-layer tiles
CN116278130B (zh) 一种火工品粉末成型系统
CN206796113U (zh) 一种制得500mm高的台振砌块成型机
JP2001293539A (ja) 鋳物砂の充填圧縮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4353137U (zh) 一种预制水泥基础柱的制作装置
CN216299606U (zh) 一种仿生多孔陶瓷制备成型装置
JP2006224188A (ja) 加工ステーション
CN112026604A (zh) 一种可精确调控的汽车座减震装置
JP2719948B2 (ja) 化粧面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US1359899A (en) Eugene keel
KR102574688B1 (ko) 피자 도우 제조 시스템
EP0300983B1 (en) Apparatus for the pressing and removal of press-made cement products
CN215395845U (zh) 一种半承重式隔热砖加工模具
JP5863678B2 (ja) 歯科用の複製模型を作製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210280585U (zh) 压实造型机
KR102129670B1 (ko) 다각핀을 이용한 3차원 쾌속금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